KR860001858B1 - 역세척과 함께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는 역류수착방법 - Google Patents

역세척과 함께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는 역류수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858B1
KR860001858B1 KR1019810003754A KR810003754A KR860001858B1 KR 860001858 B1 KR860001858 B1 KR 860001858B1 KR 1019810003754 A KR1019810003754 A KR 1019810003754A KR 810003754 A KR810003754 A KR 810003754A KR 860001858 B1 KR860001858 B1 KR 860001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desorption
adsorption
stream
raff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3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108A (ko
Inventor
멜빈 랜디스 아더
비도스 브로톤 도날드
젠 피켈 로날드
Original Assignee
유오피 인코오포레이티드
로버트 엠 바라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오피 인코오포레이티드, 로버트 엠 바라타 filed Critical 유오피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19810003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858B1/ko
Publication of KR830007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G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 C07G3/00Glycos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역세척과 함께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는 역류수착방법
첨부한 도면은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한 흡착 컬럼을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흡착지역 2 : 정제지역
3 : 탈착지역 4 : 완충지역
5 : 역류지역
본 발명은 이온교환수지로된 흡착제를 사용하여 당류의 수용액으로부터 당류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류의 수용액에서 당류성분을 분리하는데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술의 몇가지 예를들면 미국특허 제4025357 ; 4022637 ; 3928193 ; 3817787 ; 3806363 ; 3692582 ; 3416961 ; 3184334 ; 3174876 ; 3044906 ; 3044904 : 및 2813810호 등이다. 종전의 방법에 사용한 보통의 이온교환수지는 디비닐벤젠과 쌍을 이룬 폴리스트렌설포네이트 양이온 교환수지의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토금속염이다. 축적된 먼지(미국특허 제3416961호)를 제거하거나 컬럼을 통하여(미국특허 제3928193호) 수지입자 크기의 균일화를 위해 수지베드에 주기적으로 역류시키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
본인들은 역류시스템의 통합에 의해 이동상에서 이온교환수지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공정을 발견하였다.
고체흡착물과 접촉하여서 액체혼합물 성분을 분리하는 베드의 원리는 미국특허 2985589에 서술되어 있다. 이 베드는 액체흐름액을 흡착칼럼을 통하여 주입관 제거를 주기적으로 행하여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일반적인 문제는 라피네이트 자체가 원하는 성분을 지녔지만 통상의 방법에 의해서는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같은 경우에 완전한 분리를 위하여 2차의 베드를 제공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3가지 성분공급물로 발생하는 상기문제를 피하는 베드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여러가지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원료혼합물"은 흡착공정에 공급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성분 및 하나 이상의 라피네이트 성분을 지닌 혼합물이다. "추출성분"은 흡착물에 잘 흡착되는 방향족 이성체이고, "라피네이트성분"은 덜 흡착되는 화합물이다. "중간 라피네이트성분"에 대한 흡착물의 선택성은 추출물과 라피네이트성분 사이에 있다.
첫번째 실시예에서, 파라-프실렌은 추출성분이고, 에틸-벤젠, 오르소 및 메타크실렌은 라피네이트 성분이다. "라피네이트유액"이나 "라피네이트생성유액"은 라피네이트 성분이 흡착물로부터 제거된 유액을 말한다.
본 발명에는 두가지 라피네이트 유액이 있는데, 흡착범위를 구분하는 경계의 하부유액으로부터 나온 통상의 유액과 흡착범위의 중간에서 나온 중간유액이 있다. 라피네이트 유액의 조성은 100% 불착재질로부터100% 라피네이트까지 변화할 수 있다. "추출유액"과 "추출생성유액"이란 탈착재질에 의하여 탈착된 유출재질이 흡착물로부터 제거된 유액을 나타낸다. 따라서 추출유액의 조성은 100% 불착재질로부터 100% 추출성분으로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고순도의 추출생성물이나 라피네이트 생성물이 생성될 수 있지만, 추출성분은 흡착물로 완전히 흡착되지 아니하고, 라피네이트 성분은 완전히 흡착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소량의 라피네이트 성분이 추출유액 중에 존재하게 된다. 이 추출물과 라피네이트 유액은 추출성분과 특이한 라피네이트 성분 사이의 농도비율로 양측이 특이한 흐름을 나타내면서 원료 혼합물로부터 분리된다. "탈착재질"은 일반적으로 추출성분을 탈착 가능하게 하는 재질을 나타낸다. "탈착유액"이나 "탈착입출유액"은 탈착재질이 흡착물을 통과하는 융액을 나타낸다.
추출유액과 라피네이트 유액이 탈착재질을 함유할 경우, 최소한 일부의 추출유액과 추출물로부터의 일부의 라피네이트 용액은 분리기로 통과하고, 이곳에서 최소한 일부의 탈착재질이 분리조건에 따라 분리되어 추출물과 라피네이트 물질을 생성할 것이다. "추출물"과 "라피네이트 물질"은 각각의 추출유액과 라피네이트유액에서 관찰된 것보다 고농도의 추출성분과 라피네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공정에 의하여 생성된 생산물을 뜻한다. 흡착물의 "선택적 기공부피"는 원료 혼합물로부터 추출성분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물의 부피로서 나타낸다.
흡착물의 "비선택적 기공부피"는 원료 혼합물로부터 추출성분을 선택적으로 유지하지 아니하는 흡착물의 부피이다. 이 부피는 흡착물 입자사이에서 탈착위치와 공간을 함유하는 흡착물의 기공을 포함한다. 이 선택적 기공부피와 비선택적 기공부피는 일반적으로 부피로 표현되며 효과적인 조작이 주어진 양의 흡착물에 대하여 이루어지도록 공정에 통과시키는데 필요한 액의 적당한 유속을 결졍하는 데에 중요한 것이다.
흡착물이 조작지역을 통과할 때 이것의 선택적 기공부피와 함께 비선택적 기공부피도 액체를 이 지역으로 통과시킨다. 비선택적 기공부피는 비선택적 기공부피에 나타나는 액을 대체하기 위하여 흡착물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이 지역에 통과시킬 액의 양을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만일 이 지역에 통과되는 액의 양이 그 지역을 통과하는 흡착재질의 비선택적 기공부피보다 적을 경우 흡착에 의하여 이 지역으로 용액이 이동한다.
이정액은 흡착물의 비선택적 기공부피에 존재하는 액체이므로, 대부분 이것은 틸 선택적인 원료혼합물로 구성된다. 흡착물의 선택적 기공부피는 몇가지 경우에 선택성 기공부피내에서 흡착위치에 대한 탈착재질과 라피네이트 재질 사이의 경쟁때문에 흡착물을 둘러싼 액으로부터 라피네이트 재질 부분을 흡착할 수 있다. 추출재질에 대하여 다량의 라피네이트 재질이 흡착물을 둘러싼 경우, 라피네이트 재질은 흡착물에 흡착된 만큼 충분히 경쟁성이 있게 된다.
원료혼합물은 사용된 흡착된 탈착재질이 감소의 비율로 성분에 대하여 상대적인 선택성을 보이는 3성분의 혼합물로 구성될 것이다. 한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분자 또는 이성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공정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원료 혼합액을 특이한 흡착물과 접촉시키고 가장 높은 선택성의 성분은 흡착에 의하여 유지되는 반면 다른 성분은 비흡착적이고 흡착물 입자와 흡착물의 표면 사이의 빈공간으로부터 제거된다. 더 선택적으로 흡착된 성분을 지닌 흡착물은 풍부한 흡착물로 분류한다. 이 흡착된 성분은 풍부한 흡착물로부터 이것과 탈착재질을 접촉시켜서 회수한다.
탈착재질은 사용된 형태에 따라 변화한다. "탈착재질"이란 흡착물로부터 흡착된 성분을 제거하는 액체물을 의미한다. 탈착재질은 메탄, 에탄 또는 질소, 수소 같은 가스를 효과적으로 세척하기 위하여 고온이나 감압하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한 공정과 액체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온과 상압에서 계속 행하는 공정에서, 탈착재질은 잘 선택하여야 한다.
첫째, 탈착재질은 알맞는 유속으로 그 자체가 너무 강하게 흡착되지 않고 추출성분을 대체하여서 다음의 흡착사이클에서 추출성분이 탈착재질을 대체하는 것을 방해할 정도가 되어야 한다. 선택성이란 흡착물이 라피네이트에 대한 탈착재질보다 용이하게 추출성분에 대하여 선택적인 것이 더욱 양호하다. 둘째, 탈착재질은 특이한 흡착물과 특이한 원료 혼합물과 경쟁적이어야 한다. 즉, 이것은 라피네이트 성분에 대하여 추출성분에 대한 흡착물의 선택성을 감소시키거나 파괴하지 말아야 한다. 탈착재질은 공정을 통과한 원료 혼합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원료물의 추출성분을 탈착시킨 후, 탈착재질과 추출성분은 흡착물의 혼합물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라피네이트 성분은 탈착재질을 포함한 혼합물에서 흡착물로부터 제거되며 증류와 같이 일부의 탈착재질을 분리하는 방법이 없으면 추출물의 순도나 라피네이트의 순도는 그리 높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공정의 어떠한 불착재질도 원료 혼합물보다 평균비등점이 완전히 달라서 공정에서 탈착재질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단순한 분리에 의하여 추출과 라피네이트 유액에서의 원료 성분에서 탈착재질의 분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완전히 다르다"는 것은 탈착재질과 원료혼합액 사이의 평균비등점 차이가 최소한 5。 이상임을 나타낸다. 탈착재질의 비등범위는 원료 혼합액보다 높거나 낮아야 한다.
상기한 방법은 몇가지 흡착물의 특성이 절대 필요하지 아니하다면 선택적 흡착공정의 성공적인 조작에 바람직함을 알았다. 이같은 특성은 하기와 같다. 흡착부피당 추출성분 부피에 대한 흡착성기공 : 라피네이트 성분과 탈착재질에 대한 추출성분의 선택적 흡착 : 흡착물에 대한 추출성분의 탈착 및 흡착의 빠른속도.
하나 이상의 추출성분을 흡착하는데 대한 흡착물의 능력은 물론 필요하다. 이같은 능력이 없으면 흡착물은 흡착분리에 필요하지 않다. 더우기 추출성분에 대한 흡착물의 능력이 높을수록 흡착물은 좋은 것이다. 특이한 흡착물의 증가된 능력은 특이한 비율의 원료 흡착물에 함유된 추출성분 분리에 필요한 흡착물의 양의 감소가 가능하다. 특이한 흡착분리에 필요한 흡착물의 양의 감소는 분리공정의 비용을 감소시킨다. 흡착물의 양호한 초기능력은 분리공정에서 실질적인 사용을 통해서 유지됨이 중요한 것이다.
두번째 필요한 흡착특성은 원료의 성분을 분리하는 흡착물의 능력이다. 또는 다른 성분에 비교하여 한 성분에 대한 흡착물 공정흡착 선택성(B)이다. 상대적인 선택성은 다른 것에 대한 원료 성분에 대한 표현일 뿐아니라 원료 혼합물을 성분과 탈착재질 사이의 것으로도 표기될 수 있다. 선택성(B)는 평형조건에서 탈착된 상태에서 동일한 두성분의 비율에 대한 흡착된 상태의 두가지 성분의 비율로 나타낸다.
등식 1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C와 D는 원료의 두가지 성분이며, A와 U는 각각 흡착된 상과 탈착된 상을 대표한다. 평형조건은 흡착물상을 통과하는 원료물이 흡착물상과 접촉후 조성을 변화시키지 아니할 경우에 결정된 것이다. 즉, 흡착상과 탈착상 사이에 발생하는 재질의 순수한 이전이 없었다.
두가지 성분의 선택성이 1.0에 접근할 경우 다른 것에 대해서 흡착물에 의한 한가지 성분의 특이한 흡착이 없다. 이것은 서로 다른 것에 대하여 동일한 정도로 흡착된다. B가 1.0 이하 또는 그 이상이 됨에 따라 다른 것에 대하여 한 성분에 대한 흡착물에 의하여 특이한 흡착이 있다. 성분 D에 대한 성분 C의 흡착에 의한 선택성을 비교할 경우, 1.0 이상의 B는 흡착물 내에서 성분 C의 특이한 흡착을 나타낸다. 1.0 이하의 A, B는 성분 D가 성분 C에 더 풍부한 탈착된 상과 성분 D에 더 풍부한 흡착된 상을 잔존시키며 흡착된다. 라피네이트 성분으로부터 추출성분의 분리는 라피네이트 성분에 대한 추출성분이 흡착물의 선택성이 1.0을 초과할 경우 이론적으로 가능하며, 이같은 선택성은 그에 근사한 값을 지니는 것이 더 좋다.
상대적인 휘발성과 같이, 선택성이 높을수록 분리수행이 간편해진다. 선택성이 높을수록 흡착물의 사용량이 적어진다. 이성적인 탈착재질은 모든 추출성분에 대하여 1 이하에 선택성을 가지므로 모든 추출성분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모든 라피네이트 성분이 라피네이트 유액에 정확히 삽입될 수 있다.
세번째 중요한 특징은 원료 혼합물의 추출성분 교환비율 혹은 추출성분의 탈착비율이다. 이 특징은 직접 추출성분을 흡착물부터 회수하기 위하여 공정에 이용되어야 하는 불착물의 양에 관련된다. 더빠른 교환비율은 추출성분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탈착재질의 양을 감소시키며 나아가서 공정비율을 감소시킨다. 빠른 교환비율로, 공정에서 탈착재질이 재사용의 추출유액으로 분리될 수 있다.
실제의 분리공정에 이형의 데이타를 옮기고 계속적인 역류 액체-고체 접촉 메카니즘에서 가장 좋은 시스템의 실제 검사를 필요로 한다. 이같은 기구의 일반조작 원리는 종전의 미국특허 제2985589호에 서술되어 있다. 이 원리를 사용한 특이한 실험실 크기의 기구는 미국특허 제3706812호에 서술되어 있다. 이 기구는 베드내에 분배기를 부착한 인접선을 가진 다중 흡착베드이며 회전분배 발브에서 끝난다. 예정된 발브위치에서 원료외 탈착물은 두개의 선에 삽입되며 라피네이트의 추출유액은 물을 통하여 제거된다. 모든 인접라인은 비활성이며 분배발브의 위치가 하나의 인덱스로 진행될 경우 모든 활성위치는 하나의 베드로 진행될 것이다. 이것은 흡착물이 물리적으로 유출물의 유출에 역으로 작용한다. 상기의 흡착 실험기구와 흡착 측정기법의 상세한 사항은 "흡착에 의한 C8방향족의 원리"라는 제목으로 미국화학회지(1971.3.28~1971.4.2)에 서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흡착물은 특이한 결정성 알루미노 실리케이트나 분자로 구성된다. 특이한 결정성 알루미노 실리케이트는 알루미나와 실리카테트라 헤드가 열려진 3차원 그물 그 그조로 연결된 결정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 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이온교환은 염화물과 같은 금속의 가용성 수용액으로 실시한다. 과량의 이온교환용액을 이온교환 및 물로 세척후 10% 이하, 즉 2내지 7%가 되도록 900℃에서 발화시상실(LOI)로 측정하여 건조시킨다. 흡착물의 수분농도를 이 범위에서 유지시키는 것은 최대 흡착물의 유지에 필요하며 물을 가할 수 있거나 조작시 필요한 만큼 제거할 수 있다. 흡착물의 초기수분 농도와 공정 입출 전후의 농도를 분석하여 계산할 수 있다. 흡착물에 대하여 필요한 수분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그 자체에 의한 계속적인 염기 또는 원료나 흡착물의 혼합물에서 필요하면 흡착물에 물을 가할 수 있다. 수분제거는 매우 건조한 원료유액에 통과시켜서 산출유액이 원하는 농도가 될 때까지 수분을 제거하여서 행할 수 있다.
흡착물은 역류작동 베드나 동일화된 작동베드의 역류 시스템에 사용된다. 상기 베드로서 원료 혼합물과 탈착재질을 계속 가하고 추출생성 유액과 라피네이트 생성유액이 계속 생산되도록 흡착 및 탈착을 계속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미국특허 제2985589호에 서술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은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한 흡착컬럼을 나타낸 것인데, 흡착지역 1, 정제지역 2, 탈착지역 3, 완취지역 4, 열류지역 5로 나눌 수 있다. 도면은 여러 입구와 출구의 위치를 또한 나타내고 있다. 입구와 출구 스트림은 탈착제주입 라인 6, 추출물방출 라인 7, 역류방출라인 8, 공급스트림주입 라인 9, 라피네이트 방출라인 10을 통하여 이동한다. 새로운 공급혼합물은 주입탱크 14에 라인 15를 통하여 이송된다. 액체유출의 닫혀진 루프는 라인 12를 통한 필요한 유출방향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펌프 11과 라인 12를 통하여 유지된다. 발브세팅을 위해 각 지역에서의 유출방향이 도면에 표시되어 있다.
하기의 표에 각 지역에서의 유출속도를 나타내었고 발브세팅에서 컬럼의 입구와 출구스트림은 "네트플로우"와 "그로스 플로우"로서 나타내었다. 그로스플로우는 실질적인 액체유출이다. 네트플로우는 베드의 공간을 피해서 포함되는 액체에 따른다. 지역에서 유출에 관계된 양성적인 값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컬럼의 꼭대기에서 바닥으로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음성적인 값은 반대방향의 유출을 나타낸다. 양성적 흐름은 하류유출로 되고, 음성적인 흐름은 상류유출로 된다.
입구-출구 스트림
Figure kpo00002
지역
Figure kpo00003
실시 태양에서 역류액체는 라인 8로부터 공급혼합물 주입탱크에 간편하게 유출돼야 한다. 새로운 공급 혼합물은 탱트에 계속적으로 유출되어야 한다. 새로운 공급 혼합물과 같은 성분을 갖는 공급스트림을 라인 9를 통하여 탱크 14로부터 컬럼에 펌프해야 한다.
입구와 출구위치가 컬럼의 하류에 이르므로써, 각 사이클에 하나의 발브세팅을 위해서 역류지역은 타임펌프 11이 열리고 펌프 13이 전환되는 컬럼의 바닥에 있게 된다. 이러한 것은 발브 세팅에서의 역류지역에 필요한 네가티브플로우를 충분하게 한다. 펌프 13의 용량의 일부분이면 족하므로, 펌프 13은 역류지역에 대한 그로스플로우를 펌핑하는 용량이면 된다.

Claims (21)

  1. 라피네이트 성분보다 추출성분에 대한 선택성이 더 큰 이온교환수지로 이루어지는 흡착제의 사용에 의해라피네이트 성분과 추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유출공급 흡합물로부터 추출성분을 하기의 단계에 의해 분리하는 방법.
    (1) 단일 방향의 반대 방향에 있는 역류 지역에서 유출물이 유출되고 단일 방향에 있는 분리 지역에서 유출물이 유출되며, 상기 지역의 계속적 연결을 위해 연결된 컬럼의 터미날지역과 상호 계속적으로 상기 지역이 연결되고, 상기 컬럼이 역류가 효과적인 역류지역을 포함하며 컬럼이 최소한 하나의 흡착지역, 정제지역 탈착지역을 포함하며 이러한 지역이 분리 기능을 갖는 분리 지역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흡착제의 컬럼을 통한 유출을 유지 ; (2) 상기 컬럼이 상기 지역의 하류 영역에서의 라피네이트 출구스트림과 상기 지역의 상류 영역에서의 공급입구 스트림 사이에 흡착제가 존재하는 상기 컬럼에서 상기 흡착지역을 유지 ; (3) 정제지역의 하류 영역에서의 공급입구 스트림과 정제지역의 상류 영역내에서의 추출물 출구스트림 사이에 위치한 흡착제에 의해 상기 정제지역이 분리되고 상기 흡착의 단일 방향에 대해 가장 가까운 분리 지역 상류와 같이 정제지역을 유지 ; (4) 상기 지역의 하류 영역에서의 상기 추출출구 스트림과 상기 지역의 상류 영역에서의 탈착제 입구 스트림 사이에 위치한 흡착제에 의해 탈착지역이 세분되고, 상기 정제지역의 단일 방향에 대한 탈착지역 급상류를 유지 ; (5) 상기 지역의 하류 영역에서의 역류출구와 상기 지역의 상류 영역에서의 공급입구 스트림 사이에 위치한 흡착제에 의해 상기 역류지역이 세분되고, 상기 컬럼에 공급 입구 스트림의 단일 방향에 대한 역류지역 급상류를 유지 ; (6) 상기 흡착지역으로부터 라피네이트 출구스트림을 제거하고 상기 흡착지역에서 상기 흡착제에 의해 추출성분의 선택적 흡착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흡착조건에서 상기 흡착지역에 상기 공급 혼합물을 이송 ; (7) 상기 탈착지역에서 흡착제로부터 추출성분의 치환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탈착조건에서 상기 탈착지역으로 탈착물질을 이송 ; (8) 상기 흡착지역으로부터 탈착물질과 상기 추출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추출 출구 스트림을 제거 ; (9) 상기 흡착지역으로부터 역류 출구스트림을 제거 ; (10) 라피네이트 출구 스트림과 추출출구의 생성물 및 상기 흡착제를 통하여 지역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역류 출구스트림, 추출 출구스트림, 탈착입구 스트림, 라피네이트 출구스트림, 공급출구 스트림을 상기 흡착지역에서 유출하도록 하류 방향에서 흡착제의 상기컬럼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송출 ;
  2. 완충지역이 상기 완충지역의 상류 영역에서의 라피네이트 출구 스트림과 상기 완충지역의 하류 영역에서의 탈착제 입구스트림 사이에 위치하는 탈착제에 의해 세분되고, 상기 탈착지역으로부터 하나의 완충지역 급상류로 이루어지는 추가분리지역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방법.
  3. 가교결합제를 함유하는 황산 스트렌양이온교환수지의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으로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방법.
  4. 상기염이 칼슘염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3항의 방법.
  5. 상기이온 교환수지가 약 20내지 40메쉬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3항의 방법.
  6. 상기 가교결합제가 디비닐벤젠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3항의 방법.
  7. 상기 이온교환수지의 가교결합제의 함량이 약 4%(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6항의 방법.
  8. 상기 유출공급 혼합물이 당류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방법.
  9. 상기 당류가 과당 및 포도당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8항의 방법.
  10. 상기 추출성분이 과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라피네이트 성분이 포도당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9항의 방법.
  11. 상기 탈착물질이 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8항의 방법.
  12. 라피네이트 성분보다 추출성분에 대한 선택성이 더 큰 이온교환수지로 이루어지는 흡착제의 사용에 의해 라피네이트 성분과 추출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유출공급 혼합물로부터 추출성분을 하기의 단계에 의해 분리하는 방법.
    (1) 단일 방향의 반대 방향에 있는 역류지역에서 유출물이 유출되고, 단일 방향에 있는 분리 지역에서 유출물이 유출되며, 상기 지역의 계속적 연결을 위해 연결된 컬럼의 터미날지역과 상호 계속적으로 상기 지역에 연결되고, 상기컬럼이 역류가 효과적인 역류지역을 포함하며 컬럼이 최소한 하나의 흡착지역, 정제지역, 탈착지역을 포함하며, 이러한 지역이 분리 기능을 갖는 분리 지역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흡착제의 컬럼을통한 유출을 유지 ; (2) 상기 컬럼이 상기 지역의 하류 영역에서의 라피네이트 출구스트림과 상기 지역의 상류 영역에서의 공급입구 스트림사이에 흡착제가 존재하는 상기 컬럼에서 상기 흡착지역을 유지 ; (3) 상기 정제지역의 하류 영역에서의 상기 공급입구 스트림과 상기 정제지역의 상류 영역에서의 추출출구스트림 사이에 위치하는 흡착제에 의해 세분된 상기 정제지역, 상기 흡착지역의 상기 단일방향에 대한 정제지역급상류를 유지 ; (4) 상기 지역의 하류 영역에서의 추출출구 스트림과 상기 지역의 상류 영역에서의 탈착입구 스트림 사이에 위치한 탈착제에 의해 세분된 탈착지역, 상기 정제지역의 단일방향에 대한 상기 탈착지역급상류를 유지 ; (5) 상기 완충지역의 상류 영역에서의 라피네이트 출구 스트림과 상기 완충지역의 하류 영역에서의 탈착입구스트림 사이에 위치한 탈착제에 의해 세분된 완충지역, 상기 탈착지역으로부터 상기 단일지역에 대해 가장 가까운 분리지역 스트림으로서 완충지역을 유지 ; (6) 상기 지역의 하류 영역에서의 역류출구 스트림과 상기 지역의 상류 영역에서의 탈착입구 스트림사이에 위치한 흡착제에 의해 세분된 역류지역, 상기 컬럼에 대한 상기탈착입구 스트림의 단일방향에 역류지역급상류를 유지.
    (7) 상기 흡작지역으로부터 라피네이트 출구스트림을 제거하고 상기 흡착지역에서 흡착제에 의해 추출성분의 선택적 흡착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흡착조건에서 흡착지역에 상기 공급혼합물을 이송 ; (8) 상기 탈착지역에서 흡착제로부터 상기 추출성분의 치환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탈착조건에서 탈착지역에 탈착물질을 이송 ; (9) 상기 탈착지역으로부터 탈착물질과 상기추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추출출구 스트림을 제거 ;
    (10) 상기 역류지역으로부터 열류출구 스트림을 제거 ; (11) 라피네이트 출구스트림과 추출출구의 생성물 및 흡착제를 통하여 지역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역류출구 스트림, 추출출구 스트림, 탈착입구 스트림, 라피네이트 출구스트림, 공급출구스트림을 상기 흡착지역에서 유출하도록 하류 방향에서 흡착제의 상기 컬럼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송출.
  13.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가교-결합제를 함유하는 황산스티렌 양이온 교환수지의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12형의 방법.
  14. 상기염의 칼슘염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13항의 방법.
  15.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20내지 40메쉬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13항의 방법.
  16. 상기 가교-결합제가 디비닐 벤젠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13항의 방법.
  17. 상기 이온교환수지의 가교결합제의 함량이 약 4%(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16항의 방법.
  18. 상기 유출공급 혼합물이 당류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12항의 방법.
  19. 상기 당류가 과당 및 포도당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18항의 방법.
  20. 상기 추출성분이 과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라피네이트 성분이 포도당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19항의 방법.
  21. 상기 탈착물질이 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18항의 방법.
KR1019810003754A 1981-10-05 1981-10-05 역세척과 함께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는 역류수착방법 KR860001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3754A KR860001858B1 (ko) 1981-10-05 1981-10-05 역세척과 함께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는 역류수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3754A KR860001858B1 (ko) 1981-10-05 1981-10-05 역세척과 함께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는 역류수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108A KR830007108A (ko) 1983-10-14
KR860001858B1 true KR860001858B1 (ko) 1986-10-24

Family

ID=19221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3754A KR860001858B1 (ko) 1981-10-05 1981-10-05 역세척과 함께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는 역류수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8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108A (ko) 198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3015A (en) Separation process
CA1085309A (en) Process for separating para-xylene
KR890002141B1 (ko) 유체 혼합물중의 성분들을 연속분리하는 방법
KR890000511B1 (ko) 추잔물 성분으로부터 추출물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
US4157267A (en) Continuous separation of fructose from a mixture of sugars
KR870000765B1 (ko) 이소프렌의 분리공정
CA1190482A (en) Process for separating normal paraffins
US4326092A (en)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meta-xylene
US3732325A (en) Hydrocarbon separation process
US3715409A (en) Hydrocarbon separation
US4337156A (en) Adsorptive separation of contaminants from naphtha
US4306107A (en) Production of pure M-xylene and pure ethyl benzene from a mixture of C8 aromatic isomers
US4319929A (en) Simulated countercurrent sorption process employing ion exchange resins with periodic backflushing
US4529828A (en) Separation of ortho-xylene
TW303305B (ko)
US4467126A (en)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di-substituted benzene
JPH0772149B2 (ja) ジエチルトルエン脱着剤を使用するパラ‐キシレンの吸着分離方法
US4270013A (en)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nitrotoluene isomers
US4482777A (en) Separation of ortho bi-alkyl substituted monocyclic aromatic isomers
US3996306A (en) Aromatic hydrocarbon isomer separation process
KR860001858B1 (ko) 역세척과 함께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는 역류수착방법
CA1130319A (en)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ortho-chloronitrobenzene
US4386225A (en)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cresol from xylenol
CA2083546A1 (en) Para-xylene adsorptive separation with indan or indan derivatives as heavy desorbent
US5118876A (en) Separation of dichlorophenol isomers with zeolite adsorb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