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828B1 - 분리식 제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분리식 제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828B1
KR860000828B1 KR1019830004149A KR830004149A KR860000828B1 KR 860000828 B1 KR860000828 B1 KR 860000828B1 KR 1019830004149 A KR1019830004149 A KR 1019830004149A KR 830004149 A KR830004149 A KR 830004149A KR 860000828 B1 KR860000828 B1 KR 860000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brake
piston
pedal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4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정용
Original Assignee
기아산업 주식회사
김선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산업 주식회사, 김선홍 filed Critical 기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30004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82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리식 제동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동페달과 클러치페달을 각기 밟았다가 놓았을 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가로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동페달과 클러치페달을 동시에 밟았다가 제동페달만을 놓았을 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가로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작동상태에서 제동력이 부족할 때 다시 제동페달을 밟았다가 놓음으로써 제동력을 추가시켜주게 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가로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시에 대한 세로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2' : 피스톤
3 : 입구통로 4 : 출구통로
5, 5' : 코아 6, 6' : 코일
7, 7' : 프란자판 8, 8' : 피스톤 눌림판
9, 9 : 상, 하전자석뭉치 10 : 제동페달
11 : 제동마스터실린더 12 : 유압스위치
13 : 제동드럼 14 : 전원
15 : 작동표시등 16 : 경사감지스위치
17 : 개폐스위치 18 : 작동릴레이스위치
19 : 클러치페달 20 : 리미트스위치
21 : 해제릴레이스위치 27 : 압력보상통로
32 : 전기회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를 정차시키거나 정차후 재출발시킬때 각각 전륜과 후륜을 제동시켜주는 2개의 피스톤을 제동마스터실린더에 적절히 설치해 놓음으로써 제동계통을 분리시켜, 만일 전륜측 또는 후륜측 제동파이프중 어느 하나가 파열되어 제동유가 유출되어 한쪽 제동계통이 작동되지 않더라도 다른쪽 제동계통은 작동될 수 있게하여 안전을 기할 수 있게 하고, 특히 상향경사도로를 운행하는중 일단 정차한다음 재출발시킬 경우에도 후진이나 엔진정지와 같은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접촉사고라든가 전복사고같은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분리식 제동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운행중의 일단정차시에는 제동페달과 클러치페달을 함께 밟고있다가 출발시에는 제동페달과 클러치페달을 서서히 놓으면서 가속페달을 밟아 출발시키고 있는데, 이 경우 만일 상향경사도로같은 곳에서 운전미숙 및 부주의로 제동페달을 빨리 놓게되면 자동차가 순간적으로 뒤로 후진하여 뒷차와 접촉하거나 심하게는 전복되게 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위험이 있고, 반면 제동페달을 너무 늦게 놓게되는 경우에는 엔진이 정지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다시 시동을 걸어 출발시켜야 하는데, 엔진브레이크의 역할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말미암아 제동이 불충분하게되는 경우가 많게 되므로 이 또한 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는바,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서는 숙련과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경사도로에서 정차시켜야할 경우 제동페달을 놓아도 계속 제동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출발할 때 클러치페달을 놓으면 그와 함께 제동유압이 풀려 별도로 제동페달을 조작할 필요가 없으며, 만일 정차시의 제동력이 부족할 경우에는 제동페달을 다시 한번 밟았다 놓음으로써 제동력을 추가로 보충시켜줄 수 있도록 된 분리식 제동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제동마스터실린더로부터 휠실린더로 유통되는 제동계통유로에다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서 동작되는 피스톤형역지변을 설치하여 제동유로를 차단시켜 주거나 유통시켜 주도록 한 것으로서, 자동차가 상향경사도로를 운행되고 있을 때에는 경사감지스위치가 작동해서, 등판운전도중 정차시 제동페달과 클러치페달을 함께 완전히 밟은다음 제동페달을 놓아도 상기 경사감지스위치가 전기회로를 계속 연결시켜 주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말미암아 상기 피스톤형역지변이 오일통로를 차단하고 있으면서 계속 제동유압을 휠실린더에 작동시켜 주어 제동상태를 계속 유지시켜 주게 된다.
한편 일단 정차후 출발시킬 때에는, 가속페달을 밟으면서 클러치페달을 서서히 놓아주게 되면 전원과 연결된 리미트스 위치의 접점이 전환되어 제동오일통로 내에서 피스톤을 하강시켜주고 있던 전자석뭉치로 전원이 차단되어져 자력이 소실됨과 더불어, 상기 피스톤을 상승시켜 주기 위한 전자석뭉치쪽으로 전류가 흘러 상기 피스톤을 상승시켜 주게 되므로서, 제동오일통로가 열려져 제동상태가 해소됨과 동시에 클러치는 차단상태로 부터 접촉상태로 바꿔져서 엔진동력이 전달되어 자동차가 운행상태로 되게된다.
또한 평지에서 정차하게 되는 경우에도 클러치페달과 제동페달을 함께 계속 밟고 있으면 힘이 들기때문에, 별도로 설치한 제동제어장치 개폐스위치를 접속시켜 놓게 되면 제동시 클러치페달과 제동페달을 일단 함께 완전히 밟은 다음 제동페달만을 놓고 있다가, 즉클러치페달만을 밟고 있으면 제동상태가 유지되고, 이어 출발시에는 가속페달을 밟으면서 클러치페달을 놓게되면 제동이 풀림과 동시에 동력이 전달되어 자동차가 운행상태로 된다.
또한 일단 정지가 경사가 심하거나 심하지 않은 경사도로라도 짐을 많이 실은 상태에서 일어나는 경우에는, 제동페달과 클러치페달을 밟은 다음 제동페달을 놓고 클러치페달만을 밟고 있는 상태에서 만일 제동력이 부족하게 될때에는 제동페달을 다시밟아주므로서 제동유가 오일통로를 제어하는 피스톤에 형성되어져 있는 압력보상통로 등을 통하여 휠실린더속으로 압입되어 제동력을 보충하게 되고, 이어 제동페달을 놓게되면 자동적으로 피스톤이 하강하여 유로를 폐쇄시켜주게 되므로서 증가된 제동력을 계속 유지시켜 주게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입구통로(3)와 출구통로(4)가 형성된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중심부에 설치되고 압력보상통로(27)가 형성된 2개의 전, 후륜제동동작용 피스톤(2, 2'), 코아(5, 5')와 코일(6, 6')과 프란자판(7) 및 피스톤눌림판(8)을 갖추고서 상기 몸체(1)의 상, 하에 부착 설치되어 있는 전자석뭉치(9, 9), 상기 각 피스톤(2, 2')의 입구통로(3)와 연결되고 제동페달(10)이 설치되어 있는 제동마스터실린더(11), 각피스톤(2, 2')의 출구통로(4) 측에 유로관으로 연결되면 전, 후륜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제동드럼(13) 및 전원(14)으로부터 출구통로(4)에 삽입설치되는 유압스위치(12)와 클러치페달(19)에 의해 동작되는 리미트스위치(20)를 통하여 상, 하전자석뭉치(9, 9')에 연결되어져 있는 전기회로(3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회로(32)는 전원 14과 직접 연결되면서 출구통로(4)에 삽입설치된 유압스위치(12)와, 상기 유압스위치(12)에 연결된 작동표시등(16), 상기 작동표시등과 병렬로 연결되는 경사감지스위치(16)와 개폐스위치(17), 상기 스위치들(16, 17)과 전원(14) 및 상부전자석뭉치(9)에 연결되는 작동릴레이스위치(18), 상기 릴레이스위치(18)와 연결되어 클러치페달(19)에 의해 동작하게 되는 리미트스위치(20) 및, 하부전자석뭉치(9')와 전원(14) 및 리미트스위치(20)에 연결되는 해제릴레이스위치(21)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부호 22는휠실린더, 23은 제동슈우 및 라이닝, 24는 접지, 25는 축, 26은 스프링, 28은 링홈, 29는 0링, 30은 높이조정보울트, 31은 마스터피스톤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져 있는 본 발명장치는, 제1도에 도시되어져 있는 바와 같이, 평탄한 길을 운행하다가 일단정차하거나 속도를 줄이고자 할때에는 제동페달(10)만을 밟게되면 제동마스터실린더(11)에서 발생된 압력유가 피스톤(2)의 입구통로(3)로 들어가 피스톤(2) 중앙부를 거쳐 출구통로(4)를 지나 전, 후륜 각각의 제동드럼(13)의 휠실린더(22)에 제동력을 가해주게 된다. 이렇게 휠실린더(22)에 가해진 압력유의 제동력은 제동슈우 및 라이닝(23)을 벌려 제동드럼(13)에 밀착시켜 자동차의 제동동작이 일어나게 한다.
한편 이러한 제동동작이 일어나고 있는 동안에 출구통로측(4)에 부착되어 압력유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스위치(12)의 단자가 이러한 제동유압에 의해 접속되어져 전원(14)에서 나오는 전류가 이 유압스위치(12)접점을 거쳐 작동표시등(15)을 점등시키면서 접지(24)되게되나, 제동페달(10)을 놓게되면 제동슈우 및 라이닝(23)에 설치도니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휠실린더(22)의 피스톤이 압축되어져 제동유가 출구통로(4)와 피스톤 중앙부 및 입구통로(3)를 거쳐 제동마스터실린더(11)로 복귀되어 제동이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제동페달(10)을 밟으면 제동이 되고 제동페달을 놓으면 제동이 해제되게됨과 더불어 제동장치는 클러치장치와 별도로 동작되기 때문에 클러치페달(19)을 밟아도 전기 회로가 연결 작동되지 않아 일단정지나 감속조작을 할때 종래의 일반적인 제동장치와 같이 동작되게 된다.
제2도는 상향경사도로를 운행하거나 평지에서 본 발명 제어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개폐스위치(17)를 접속시켜준 상태에서 운행하던중 제동페달과 클러치페달을 함께 밟았다가 제동페달만을 놓았을 때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서, 제동페달(10)과 클러치페달(19)을 함께 밟게되면, 제동장치의 작동으로 제동마스터실린더(11)로부터 나온 제동압력유가 입구통로(3)로 들어 가피스톤(2) 중앙부와 출구통로(4)를 거쳐 휠실린더(22)로 유압을 전해줄 때 상기 출구통로(4) 측에 설치해놓은 유압스위치(12)를 동작시켜 접점을 접속시키면서 제동휠실린더(22)를 가압하여 제동시켜 주게되고, 한편으로는 클러치페달(19)의 작동으로 리미트스위치(20)의 접점이 접속되어져 전원(14)에서 나온 전류가 상기 유압스위치(12)의 접점을 지나 작동표시등(15)을 점등시키면서 접지(24)되게 됨과 더불어, 경사스위치(16) 또는 개폐스위치(17)를 개방시키고, 클러치페달(19)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리미트스위치(20)의 하부접점을 거쳐 접지되게 된다. 또 작동릴레이스위치(18)에 의해 접속된 전기회로는 전원(14)의 전류가 이 작동릴레이스위치(18)의 접점을 거쳐 전자석코일(6)에 인가되게 하며, 이에 따라 코아(5)가 자화되어 프란자판(7)을 코아(5)쪽으로 끌어당겨 하강시키면서 접지(24) 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란자판(7)은 코아(5) 중심부의 축(25)과 스프링(26)을 통하여 코아(5)의 반대편에 있는 피스톤눌림판(8)과 연결되면서 몸체(1) 내에 있는 피스톤(2) 헤드축과 밀접되어 고정 설치되어져 있기 때문에, 코아(5)에 권회되어 있는 코일(6)이 자화되어 프란자판(7)을 도면의 하부쪽으로 끌어당겨 주게되면, 상기 스프링(26)이 압축되면서 축(25)에 연결되어져 있는 피스톤눌림판(8)이 피스톤(2)을 하방으로 밀어 피스톤이 입구통로(3)와 출구통로(4) 사이의 유로를 폐쇄시켜 주게 됨에 따라 제동페달(10)을 놓게되므로 제동드럼(13) 측의 유압은 계속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고 있게되고, 이어 클러치페달(19)만 밟고있으면 계속 전류가 흘러 상부전자석뭉치(9)가 동작되어 제동상태를 유지시켜 줌과 더불어 작동표시등(15)도 점등상태로 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3도는 제동력이 부족하여 제동력을 추가시켜 주기 위하여 압력유를 추가로 공급해주기 위한 작동상태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서, 제동페달(10)과 클러치페달(19)을 함께 밟은 다음 제동페달을 놓고 클러치페달(19)만을 밟고 있는 상태의 제동상태에서, 말일 제동력이 부족하여 자동차가 완전제동상태를 유지하고 있지 못하게되는 상황일 때는 제동페달(10)을 다시 밟아주게 되면 제동마스터 실린더(11)에서 발생된 유압이 제동드럼(13)측으로 보충되어 들어가 부족한 제동력을 보충시켜 주게되는 것인데, 그 구체적인 동작은 현재 제동력으로 쓰여지고 있는 압력유의 압력이 적을 때에는 제동마스터실린더(11)에서 나온 압력유가 입구통로(3)를 거쳐 피스톤(20을 사선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압력보상통로(27)와 출구통로(4)를 거쳐 제동드럼(13)쪽으로 이송되어 이미 제동드럼(13) 내에 있던 압력유와 합류되어져 제동력을 보강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압력보상통로(27)는 피스톤(2)을 사선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2)이 출구통로(4) 측을 차단하고 있을 때에는 입구통로(3)와 출구통로(4)를 연통시켜주게 되나. 이경우 상기 피스톤(2)의 원주면상에 형성시켜 놓은 링홈(28)에 끼워져 있는 0링(29) 중 1개가 상기 압력보상통로(27)의 출구통로(40 측 입구에서 역지변 역할을 하게되므로서, 입구통로(3) 쪽으로 부터 공급되어지는 고압의 압력유는 출구통로(4) 쪽 압력유가 압력보상통로(27)를 거쳐 역류하지 못하도록 해주게 되므로서, 제동력을 보충하기 위해 제동페달을 재차 밟아줄 때에는 압력유가 입구통로(3) 쪽으로부터 출구통로(4) 쪽으로만 통과하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압력보상통로(27)를 거쳐 통과시켜줄 수 있는 이상으로 제동력보충용 압력유의 양이 많게될 경우에는 즉 보충압력이 클때에는 출구통로(4)를 차단하고 있던 피스톤(2)의 작은 직경부분과 큰 직경부분이 교차하는 단면을 떠받쳐 프란자판(7)을 끌어당기고 있는 코일(6)의 전자기력을 이기고 피스톤(2)을 약간 밀어올려 출구통로(4)를 개방시켜 주게되므로서 압력오일이 출구통로(4)쪽으로 직접 주입되게 된다.
한편 보충할 압력유의 양이 적을 때에는 피스톤(2)이 움직이지 않고 보충할 압력유의 양이 많을 때에 피스톤(2)이 움직이게 되는 이유는, 피스톤의 작은 직경부분(도면번호 없음)과 몸체(1)의 내벽면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도면번호 없음) 내로 들어오는 압력유의 압력이 프란자판(7)을 끌어당겨주고 있는 코일(6)의 전자기력을 이겨낼 수 있느냐의 여부에 따라 일어나게 되는 것으로서, 이는 또한 상대적인 것이기 때문에 그 세팅상태에 따라 특성을 약간씩 달리할 수 있기도 하여 필요에 따라 상수치를 변경시켜줄 수도 있다.
이어 이상과 같은 동작으로 보충압력오일이 출구통로(4)를 거쳐 제동드럼(13) 측으로 주입되고 나면, 피스톤(2)이 위치하는 부분의 압력은 다시 낮아져 클러치페달(19)을 계속밟고 있는 한 상부전자석뭉치(9)의 작동으로 피스톤(2)이 내려와 출구통로(4)를 막아주게 되므로 제동드럼(13)에 보충되어 가해지는 제동력이 유지되어져 있게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압력유의 주입공급과 피스톤(2)의 작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단 공급된 압력유는 불필요한 누출이 없이 제동압력유로서 이용되어지게 된다.
또 피스톤(2)을 상승, 하강시킬 때에는 압력발생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피스톤(2)의 원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링홈(28)에다 0 링(29)을 끼워놓아 발생된 압력유가 누출되지 않고 그 전부가 피스톤(2)에 전달되도록 한다.
한편, 자동차를 일단 정지하였다 재출발시킬 때에는 가속페달(도시되지 않음)을 밟으면서 클러치페달(19)을 서서히 놓아주게 되면, 높이조정보울트(30)로 반클러치 위치에 위치하고 있도록 조정시켜 놓은 리미트스위치(20)의 하부 접점이 떨어지는 순간 작동릴레이스위치(18)의 전류가 차단되어 상부전자석뭉치(9)의 자력이 소멸되어져 스프링(26)의 탄성력으로 리미트스위치(20)의 상부접점이 접속되므로, 해제릴레이스위치(21)에 전류가 통하여 하부전자석뭉치(9')의 코일(6')에 의해 코아(5')가 자화되고, 이렇게 자화된 코아(5')는 자석뭉치(9')의 프란자판(7)을 상승시켜 주게됨에 따라 피스톤(2)이 밀어올려져 입구통로(3)와 출구통로(4)가 연통되며, 그에따라 제동휠실린더(22) 내의 제동유가 제동마스터실린더(11)로 복귀되면 제동유의 압력이 소멸되어 제동력이 없어짐과 더불어 유압스위치(12)의 접점도 떨어져서 작동표시등(15)이 소멸되고 하부전자석뭉치(9')에도 전류가 차단되게 된다.
이 때 클러치(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리미트스위치(20)의 하부접점이 차단되고 상부접점이 접속되어지는 순간반클러치상태에서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기 시작하여 클러치페달(19)을 놓아주게 되는 정도에 따라 클러치가 밀착되어져 엔진동력이 변속기어를 거쳐 구동장치로 전달되게 되므로 자동차는 정지상태로부터 출발할 수 있게되고, 이어 가속페달을 밟는 정도에 따라 속력을 증가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장치는 자동차를 상향 경사도로에서 운행할때에는 경사스위치(16)의 자동동작으로, 평지도로에서는 개폐스위치(17)를 수동동작시켜, 정차시에는 제동페달(10)과 클러치페달(19)을 함께 밟아준 다음 제동페달(10)을 놓아도 클러치페달과 연결된 전기회로가 전기도통되어져 있는 상태로 되어 제동상태를 유지하게되고, 만일 제동력이 부족할 경우에는 클러치페달을 밟고있는 상태에서 제동페달만을 다시 밟아주게 되면 휠실린더내에 유압이 보충되어 완전한 제동력을 얻을 수도 있으며, 일단 정지후 출발시킬 때에는 가속페달을 밟으면서 클러치페달(19)을 서서히 놓아주게되면 제동이 풀림과 동시에 동력이 전달되어 자동차가 전진하게 할 수 있게 되므로, 특히 상향경사도로 운행하던도중 일단 정지한 다음 출발시키고자 할 때 후진현상이나 엔진이 정지되는 현상등으로 말미암는 접촉사고나 전복사고등과 같은 예상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제2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2개의 피스톤(2, 2')이 1개씩 전륜제동휠실린더(22)와 후륜제동휠실린더만을 각각 작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어서 만일 한쪽의 제동장치계통이 고장나더라도 다른 한쪽 제동력은 계속 동작될 수 있어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제동마스터실린더(11) 내의 마스타피스톤(31)이 한개인 것에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제동마스터실린더(11) 측과 연결되는 입구통로(3) 및 제동드럼(13) 측과 연결되는 출구통로(4)가 형성된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그 내부에 사선방향의 압력보상통로(27)가 형성된 피스톤(2), 코아(5, 5')와 코일(6, 6'), 프란자판(7) 및 피스톤눌림판(8)으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1)의 상, 하에 부착설치되는 전자석뭉치(9, 9') 및, 전원(14)으로 부터 상기 출구통로(4)에 삽입설치되어 있는 유압스위치(12)와 클러치페달(19)에 의해 동작하는 리미트스위치(20)를 거쳐 상기 상, 하전자석 뭉치(9, 9')와 연결되는 전기회로(32)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분리식 제동제어장치.
KR1019830004149A 1983-09-02 1983-09-02 분리식 제동제어장치 KR860000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4149A KR860000828B1 (ko) 1983-09-02 1983-09-02 분리식 제동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4149A KR860000828B1 (ko) 1983-09-02 1983-09-02 분리식 제동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828B1 true KR860000828B1 (ko) 1986-07-02

Family

ID=19229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149A KR860000828B1 (ko) 1983-09-02 1983-09-02 분리식 제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82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0750A (en) Main brake cylinder
US4515259A (en) Clutch-operated hill holder brake system
US3912334A (en) Hydraulic braking arrangement for towing vehicle with trailer
US4699435A (en) Circuit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pressure in the auxiliary pressure supply system of a hydraulic motor vehicle brake arrangement
US4590406A (en) Automatic brake control system
FR2545054A1 (fr) Systeme de freinage hydraul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amplificateur de force hydraulique
KR100191828B1 (ko) 브레이크 유압제어기
US4099790A (en) Electro-hydraulic brake actuating system
US3982792A (en) Emergency brake system for a vehicle
KR860000828B1 (ko) 분리식 제동제어장치
US2489929A (en) Anticreep brake control
CN100408397C (zh) 汽车停车制动的自动控制系统
KR20000055757A (ko) 브레이크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의 왕복형 유압밸브
US4174869A (en) Electro-hydraulic brake actuating system
US4741160A (en) Hydraulic multiple-circuit brake system
US5186524A (en) Hydraulic brake system
KR100224395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의 라이닝슈우 자동리턴장치
AU635218B2 (en) Control device for brakes
KR0142532B1 (ko) 자동차의 비상 제동시스템
KR100264659B1 (ko) 클러치 작동오일 자동공급장치
KR850000567B1 (ko) 자동 제동제어 장치
KR20000019497U (ko) 휠타입 중장비의 비상 주차 해제가 가능한 유압식 주차 브레이크장치
KR100233739B1 (ko) 브레이크 오일 부족시 안전 장치
KR100435714B1 (ko) 클러치 작동오일 자동공급장치
KR20000000538A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2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