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667Y1 - 전선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667Y1
KR860000667Y1 KR2019840000924U KR840000924U KR860000667Y1 KR 860000667 Y1 KR860000667 Y1 KR 860000667Y1 KR 2019840000924 U KR2019840000924 U KR 2019840000924U KR 840000924 U KR840000924 U KR 840000924U KR 860000667 Y1 KR860000667 Y1 KR 860000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upport
present
arrangement
electric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0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204U (ko
Inventor
박근배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윤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윤영석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00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667Y1/ko
Publication of KR8500072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2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6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Landscapes

  • Manipulat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선 안내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대 2 : 안내 장공
3 : 로울러핀 4 : 고정링
5 : 전선걸이 6 : 소경부
7 : 로울러
본 고안은 전선을 안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교 좌표형 산업용 로보트의 수평축과 같이 복잡한 구조의 내부에 가설되는 전선을 내부 부품들과 간섭되는 일 없이 간편하게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교 좌표형 산업용 로보트의 수평축과 같이 복잡한 구조의 내부에 전선을 가설함에 있어서는 전선의 가설거리가 변동함에 따라 신축성 있게 가설하는 것이 요구된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전선 안내 장치로서는 소위 케리스터라는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크기가 크기 때문에 내부 부품과 간섭이 생기며 많은 설치공간을 점유하여 전체 구조가 대형화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한 쌍의 지지대(1)의 수직벽에 천설된 안내 장공(2) 사이에 다수의 로울러핀(3)을 왕복 가능하게 설치하여 고정링(4)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로울러핀(3)의 중간부에는 전선걸이(5)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지지대(1)를형으로 형성하고 양측 수직벽에 천설된 안내 장공(2) 사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울러핀(3)의 중간부에 전선걸이(5)의 좌우 이동 방지용 소경부(6)를 설치한 것 외에는 제1도의 예와 동일한 것이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지지대(1)를형으로 형성하고, 로울러핀(3)의 양단에 로울러(7)를 설치하여 지지대(1)의 저면(8)상에 구름접촉하도록 한 것 외에는 제1도의 예와 동일한 구성이다. 또 이 경우 지지대(1)의 양측 수직벽에 안내 장공(2)을 천설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이다.
미설명부호(9)는 지지대(1)를 장착하기 위한 나사 삽입공이고, (10)은 전선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교 좌표형 로보트의 수평축(11) 지지대(1)를 내부상면에 나사로서 고정부착하고, 전선(10)을 전선걸이(5)에 가설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수평축(11)내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외팔보(12)의 출몰 이동에 따라 전선(10)이 신축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로울러핀(3)은 안내 장공(2)내에서 또는 저면(8)상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전선(10)을 지지 안내하도록 하였으므로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점유 공간이 적게 되어 로보트의 수평축 내부에 설치할 경우 내부의 타부품과 간섭이 생길 염려가 없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한 쌍의 지지대(1)의 수직벽에 천설된 안내 장공(2) 사이에 다수의 로울러핀(3)을 왕복 가능하게 설치하여 고정링(4)으로 이탈되지 않게 하고 로울러핀(3) 중간부에는 전선걸이(5)를 설치하여서 된 전선 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를형으로 대향 설치하고, 로울러핀(3)의 중간부에 소경부(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안내 장치.
KR2019840000924U 1984-02-03 1984-02-03 전선 안내 장치 KR860000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0924U KR860000667Y1 (ko) 1984-02-03 1984-02-03 전선 안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0924U KR860000667Y1 (ko) 1984-02-03 1984-02-03 전선 안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204U KR850007204U (ko) 1985-10-04
KR860000667Y1 true KR860000667Y1 (ko) 1986-04-18

Family

ID=19232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0924U KR860000667Y1 (ko) 1984-02-03 1984-02-03 전선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6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204U (ko) 1985-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1118857B (it) Connettore a spostamento di isolante per cavi piatti a piu' conduttori
FI91462B (fi) Segmentoitu rakenne sähköliitinkokoonpanolle
BR0006311A (pt) Dispositivo retentor de condutores em uma canalização elétrica
KR840005612A (ko) 코넥터 조립 설비물
KR880700487A (ko) 케이블 안내 부재를 갖는 전기 플러그 조립체
KR860000667Y1 (ko) 전선 안내 장치
ES2094977T3 (es) Bloque de cableado.
KR900004064A (ko) 데이지체인코넥터 및 그의 종단방법
DE68907135T2 (de) Elektrische Verbindungsanordnung für Flachkabel.
ATE71479T1 (de) Montageelement fuer leitungsfuehrungskanaele.
TR26608A (tr) KABLO TELLERI,BILHASSA TELOKOMüNIKASYON KABLOLARI ICIN TEL KONEKTÖRLERI.
CN219351219U (zh) 一种用于电缆沟槽的电缆挂钩
JPS642463Y2 (ko)
FR2528922B1 (fr) Roulement a aiguilles comportant une jupe definissant son diametre exterieur
KR100877728B1 (ko) 로봇용 케이블 덕트 어셈블리
RU171058U1 (ru) Кожух разъёма
JPH0615461Y2 (ja) 導体支持装置
JPH0420914Y2 (ko)
KR950010023Y1 (ko) 케이블용 배선관로
KR950006792Y1 (ko) 천정판 부착용 간받이
SU1247990A1 (ru) Стержень обмотки статор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ашины
ES276814Y (es) Cable multipolar con aceite fluido
JPH0119539Y2 (ko)
SU135202A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 установки монтируем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и деталей при помощи вертолета
SE8505126D0 (sv) Enhet for att fastsetta luftledningar, speciellt starkstromskablar pa en iso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