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275Y1 - 내용물의 인출이 용이한 액체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의 인출이 용이한 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275Y1
KR860000275Y1 KR2019830010177U KR830010177U KR860000275Y1 KR 860000275 Y1 KR860000275 Y1 KR 860000275Y1 KR 2019830010177 U KR2019830010177 U KR 2019830010177U KR 830010177 U KR830010177 U KR 830010177U KR 860000275 Y1 KR860000275 Y1 KR 8600002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ontainer
diaphragm
liquid container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10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966U (ko
Inventor
허익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30010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275Y1/ko
Publication of KR8500039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9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2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2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용물의 인출이 용이한 액체용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취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발췌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격판 2 : 유통공
3 : 역지변 6 : 결합부
본 고안은 액체용기, 특히 샴프와 같이 점성이 높은 액체를 항상 신속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내용물의 인출이 용이한 액체용기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샴프용기 등은 처음 사용할 때에는 내용물이 용기의 상부분까지 담겨 있으므로 신속하게 인출할 수 있었지만 반복 사용으로 내용물이 양이 줄어 담긴 높이가 점점 하향되면 인출을 하기위해 용기를 꺼꾸로 들어도, 내용물이 점성이 높은 액체이므로 신속히 주입구쪽으로 이동되지 않게되어 인출될 때까지 용기를 꺼꾸로 들고 기다리거나 흔들어야 되는 등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으며, 또 이런 점에 착안하여 용기를 항상 꺼꾸로 놓을 수도 없는 것이며 만일 꺼꾸로 놓게되면 뚜껑을 여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흘러나와 유실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해곁하기 위해 상하로 분리성형한 용기의 결합부 사이에 유통공과 역지변이 형성된 격판을 중첩부착하여 개재되게 하므로 내용물이 항상 상부격실 내에 일정량이 담겨져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격판(1)에는 수개의 유통공(2)을 뚫고, 격판(1')에는 이 유통공(2)을 개폐하는 역지변(3)을 유통공(2)보다 직경이 큰 원형상으로 되게 일측부분만 제외하고 절삭하여 형성하며, 이러한 격판(1)(1')을 상호 중첩 부착시켜 그 주면부가 상부용기(4)와 하부용기(5)의 결합부 내주면에 감착되도록 하여 격실(7)을 형성한 다음 결합부(6)를 융착 또는 나착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8"은 뚜껑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통공(2)과 역지변(3)이 형성된 격판(1)(1')을 상하용기(4)(5)의 결합부(6)에 끼워지도록 하여 용기의 상측부에 격실(7)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해 용기를 기울이거나 꺼꾸로 돌게되면 하부 용기(5)에 담꺼져 있는 내용물이 격판(1)에 천공된 유통공(2)을 통해 제3도와 같이 격판(1')의 역지변(3)을 밀어 재치면서 격실(7) 내로 이동된다.
따라서 격실(7) 내로 이동된 내용물이 주입구를 통해 인출이 되며, 인출되는 양만큼 계속 하부용기(5)에서 격실(7)로 내용물이 이동되는데 내용물의 인출을 완료 후 용기를 바로 세우면 격실(7) 내에 충만된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열렸던 각 역지변(3)이 유통공(2)을 폐쇄하므로 내용물이 하부용기(5)로 이동되지 못하고 격실(7) 내에 항상 충만되어 있게된다.
이렇게 하여 용기를 꺼꾸로 할 때마다 주입구를 통해 인출되는 양만큼 계속 하부용기(5)에서 격실(7)내로 내용물이 이동되어 충만되기 때문에 언제나 신속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격판(1)에는 수개의 유통공(2)을 뚫고 격판(1')에는 이 유통공(2)들을 개폐하는 역지변(3)을 유통공(2)의 직경보다 큰 원형상으로 되게 일측부분만 제외하고 절삭하여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격판(1)(1')을 상호 중첩부착하여 상하용기의 결합부(6) 사이에 착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인출이 용이한 액체용기.
KR2019830010177U 1983-11-30 1983-11-30 내용물의 인출이 용이한 액체용기 KR8600002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0177U KR860000275Y1 (ko) 1983-11-30 1983-11-30 내용물의 인출이 용이한 액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0177U KR860000275Y1 (ko) 1983-11-30 1983-11-30 내용물의 인출이 용이한 액체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966U KR850003966U (ko) 1985-07-13
KR860000275Y1 true KR860000275Y1 (ko) 1986-03-13

Family

ID=70160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10177U KR860000275Y1 (ko) 1983-11-30 1983-11-30 내용물의 인출이 용이한 액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27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966U (ko) 198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2241A (en) Container with supplemental opening for extracting contents
US4298145A (en) Adapter for a container
US5850953A (en) Drip-free dispensing structure with collecting reservoir
ES228359U (es) Recipiente distribuidor de liquidos.
US4856685A (en) Dispensing container
ES289420U (es) Distribuidor de detergentes liquidos y en polvo para maqui- nas lavadoras
JPH072500B2 (ja) 液体容器
KR860000275Y1 (ko) 내용물의 인출이 용이한 액체용기
US1676711A (en) Can
US2780391A (en) Spout comprising a large outlet passage and a smaller outlet passage located therein
KR100708415B1 (ko)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KR850000341A (ko) 제어된 속도로 액체를 방출시키기 위한 용기
US5094366A (en) Dispensing means for chemical solution
US4838459A (en) Aerosol structure
JPH02501298A (ja) 液体用容器
KR900001079Y1 (ko) 액체용기의 마개겸용 유출구
KR0122771Y1 (ko) 생수 냉온수기의 생수통 생수토출부 안내용 상판
CN211443131U (zh) 一种分体式储物瓶
KR200196149Y1 (ko) 공기 유입관이 구비된 용기
JPH0532424Y2 (ko)
US2184253A (en) Dispenser
KR820001745Y1 (ko) 설탕용기의 설탕배출장치
KR200236154Y1 (ko) 액체충전용기의배출대와삽입유출대구조
KR900011004Y1 (ko) 식용유 용기뚜껑
KR940004745Y1 (ko) 액체용기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3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