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670Y1 - 핸들을 이용한 스피커박스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핸들을 이용한 스피커박스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670Y1
KR850002670Y1 KR2019830008805U KR830008805U KR850002670Y1 KR 850002670 Y1 KR850002670 Y1 KR 850002670Y1 KR 2019830008805 U KR2019830008805 U KR 2019830008805U KR 830008805 U KR830008805 U KR 830008805U KR 850002670 Y1 KR850002670 Y1 KR 850002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racket
speaker box
shaft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8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600U (ko
Inventor
김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30008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2670Y1/ko
Publication of KR8500036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6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6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9Other details of the casing, e.g. wall structure, passage for a connector, a cable, a shaf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Handles; G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핸들을 이용한 스피커박스 착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핸들을 세웠을때의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핸들을 눕혔을 때의 본 고안의 조립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핸들 브라켓트의 동작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핸들
3 : 축 4 : 축공
5 : 삽입공 6 : 스피커박스
7 : 걸림용돌기 8 : 고정용브라켓트
9 : 걸림턱 10, 12, 12' : 축공
11, 11' : 돌기 13, 13' : 토션코일스프링
14 : 축봉 15, 20 : 고정요와샤
16 : 스프링걸이 17 : 리브
18 : 핸들브라켓트 19 : 축공
본 고안은 음향기기의 몸체에 스피커 박스를 분리 및 조립시키는 스피커박스의 착탈장치에 있어서, 통상 사용되는 몸체의 핸들 작동만으로 몸체에서 스피커 박스를 분리 및 조립 가능하게 하면서도 핸들의 작동은 원활하고, 몸체에 형성된 스피커 박스의 걸림용 돌기의 삽입공을 막아 이물질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핸들을 이용한 스피커박스 착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는 몸체에서 스피커 박스를 분리시키기 위한 해제놉과 몸체에 형성된 스피커 박스의 걸림용돌기의 삽입공을 막아주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고, 자중으로 인한 핸들의 자유낙하 방지 및 감촉불량을 개선하기 위하여 핸들의 샤프트에 별도의 부품을 부착하여야 하는 복잡한 구조였고, 이와 같은 부품 증가에 따라 작없공정이 번거롭게 되고 원가가 상승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스피커 박스의 걸림용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몸체의 내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브라켓트를 내측으로 일정거리를 회전 운동하게 탄력 설치하고, 핸들의 샤프트에 핸들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된 통상의 핸들비라켓트가 상기 브라켓트를 설치하고, 핸들의 샤프트에 핸들운동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된 통상의 핸들비라켓트가 상기 브라켓트를 몸체의 측벽측으로 밀어주게 함으로써 핸들의 작동만으로 스피커 박스를 몸체에서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고, 상기의 몸체의 내측면에 형성된 브라켓트에 의해 삽입공의 내측부가 막혀 외부의 이물질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의 브라켓트의 탄성력이 핸들 브라켓트에 인가되어 핸들의 작동이 원활하게 되는 것으로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조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기기 몸체(1)의 일측상부에 천설된 축공(4)에 핸들(2)의 축(3)이 유착되고, 하측단이 절곡된 핸들 브라켓트(18)의 축공(19)이 상기 핸들(2)의 축(3)에 삽입되어 고정용 와샤(20)로 고정설치되고, 스피커 박스(6)의 측면에 돌설된 걸림용 돌기(7)를 롬체(1)의 측면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5)에 착탈하는 장치에 있어서, 걸림용 돌기(7)를 괘지하는 걸림턱(9)이 일측면 중간부에 형성된 고정용 브라켓트(8)의 상단부에 측공(10)을 횡방향으로 천설하여 삽입공(5) 상부 양측의 몸체(1) 내면에 돌설한 돌기(11)(11') 사이에 상기한 브라켓트(8)의 상단부를 위치시켜 그 돌기(11)(11')의 측공(12)(12')과 브라켓트(8) 의 측공(10)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측봉(14)을 끼워 고정용 와셔(15)로 유착하고, 그 축봉(14)의 양측단부에는 코일스프링(13)(13')을 설치하여 그 코일스프링(13)(13')의 일단(13a)(13'a)은 몸체(1) 내면에 접지하고 다른 일단(13b)(13'b)은 고정용 브라켓트(8)의 양측면에 돌설된스프링걸이(16)(16')에 걸어 고정용 브라켓트(8)가 축봉(14)을 지축으로 하여 몸체(1)의 내측으로 회전운동하게 하되, 고정용 브라켓트(8)가 일정한 범위내에서만 작동하도록 몸체(1)의 내측면에 리브(17)를 설치하고, 상기 핸들 브라켓트(18)가 고정용 브라켓트(8)의 외측면에 접촉되게 하여,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2) 운동방향으로 핸들 브라켓트(18)가 동작정여 핸들(2)을 세운 상태에서는 고정용 브라켓트(8)를 몸체(1)의 측벽측으로 밀어주고, 핸들(2)을 눕힌 상태에서는 고정용 브라켓트(8)가 핸들 브라켓트(18)에서 해제되게 구성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1은 스피커 박스(6)의 측면에 걸림용 돌기(7)를 부착시키는 너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들 브라켓트(18)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2)의 축(3)을 중심으로한 핸들(2)의 운동방향을 따라 회전운동을 하게된다. 따라서 핸들(2)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는 핸들 브라켓트(18)도 수직상태로 되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2)의 축(3)에 고정 설치된 핸들 브라켓트(18)가 축봉(14)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고정용 브라켓트(8)를 몸체(1)의 측벽측으로 밀어주므로 고정용 브라켓트(8)에 요설된 걸림턱(9)은 삽입공(5)에 삽입된 스피커 박스(6)의 걸림용 돌기(7)를 괘지하여 스피커 박스(6)는 몸체(1)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용 브라켓트(8)는 코일스프링(13)(13')의 탄성력에 의해 축봉(14)을 중심으로 몸체(1)의 중심쪽으로 회전운동을 하려는 힘이 가하여지므로 고정용 브라켓트(8)와 핸들브라켓트(18) 사이에 마찰력이 생겨 핸들(2)의 자유낙하를 방지할 수가 있고, 핸들(2)의 작동시에도 상기의 고정용 브라켓트(8)와 핸들브라켓트(18)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슬라이드 운동을 하므로 원활한 핸들(2)의 작동을 유도하게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용 브라켓트(8)의 측면에 의하여 몸체(1)의 삽입공(5)의 내측부를 막아주므로 삽입공(5)을 통하여 몸체(1)의 내부가 보인다거나, 내부의 활전부위에 이물질이 닿아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핸들(2)을 눕힌 상태에서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브라켓트(18)는 핸들(2)의 운동방향을 따라 위쪽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어 고정용 브라켓트(8)를 밀어주는 힘이 해제되므로 고정용 브라켓트(8)는 코일스프링(13)(13')의 탄성력에 의하여 축봉(14)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리브(17)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스피커 박스(6)의 고정용 돌기(17)와 고정용 브라켓트(8)의 걸림턱(9)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스피커박스(6)를 상부측으로 들어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에도 고정용 브라켓정(8)는 리브(17)에 걸려 몸체(1)의 삽입공(5)의 내측부를 막아주므로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삽입공(5)을 통하여 몸체(1)의 내측부가 보인다거나, 내부의 활전부위에 외부의 이물질이 닿아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핸들을 수평으로 눕힌 상태에서는 스피커 박스의 걸림용돌기를 몸체의 삽입공에 브리 및 조립 가능하게 되고, 스피커 박스의 걸림용돌기를 몸체의 삽입공에 삽입한 후 핸들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는 스피커 박스가 몸체에 완전 조립 고정되어 스피커박스가 몸체에 결합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되므로 사용하기가 대단히 간편하며, 스피커 박스를 몸체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해제놉과 몸체의 삽입공을 막아주고, 핸들의 원활한 동작을 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없는 간단한 구조이므로 작업공정이 간단하고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게된다.

Claims (1)

  1. (정정) 음향기기의 몸체(1)의 축공(4)에 유착된 핸들(2)의 축(3)에 하측단이 절곡된 핸들 브라켓트(18)가 고정설치되고, 스피커 박스(6)의 걸림용 돌기(7)를 몸체(1)의 삽입공(5)에 착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5)의 상부 양측내면에 돌설한 돌기(11)(11')의 축공(12)(12')과 상기 걸림용 돌기(7)를 괘지하는 걸림턱(9)를 일측면 중간부에 형성한 고정용 브라켓트(8)의 축공(10)에 코일스프링(13)(13')의 개재하에 축봉(14)을 끼워 그 고정용 브라켓트(8)가 몸체(1)의 내측면에 설치한 리브(17)까지 회전 운동하게 탄력 설치하여, 상기 핸들(2)의 회전운동방향에 따라 핸들브라켓트(18)가 고정용 브라켓트(8)를 몸체(1)의 측벽쪽으로 밀어주게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핸들을 이용한 스피커 박스 착탈장치.
KR2019830008805U 1983-10-14 1983-10-14 핸들을 이용한 스피커박스 착탈장치 KR850002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8805U KR850002670Y1 (ko) 1983-10-14 1983-10-14 핸들을 이용한 스피커박스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8805U KR850002670Y1 (ko) 1983-10-14 1983-10-14 핸들을 이용한 스피커박스 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600U KR850003600U (ko) 1985-06-17
KR850002670Y1 true KR850002670Y1 (ko) 1985-11-04

Family

ID=7015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8805U KR850002670Y1 (ko) 1983-10-14 1983-10-14 핸들을 이용한 스피커박스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26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600U (ko) 198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76188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штифт
KR100943391B1 (ko) 힌지장치 및 도어기구
KR850002670Y1 (ko) 핸들을 이용한 스피커박스 착탈장치
KR102082077B1 (ko) 배전반 이탈 방지장치
PL181387B1 (en) Inertial change-over switch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KR101901017B1 (ko)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
US3742211A (en) Lamp removal arrangement
KR20170000742U (ko) 일체형 낚싯대 거치구
JP4495869B2 (ja) 収納棚における脱落防止装置
JP3809559B2 (ja) スプリングバランサーの吊りワイア固定機構
KR930002378Y1 (ko) 롬 팩 고정장치
KR900000643Y1 (ko) 안테나 고정장치
KR850001966Y1 (ko) 전기전자기기의 손잡이 고정장치
KR970007179Y1 (ko) 수평편향요크의 크로스아암 결합구조
US4031658A (en) Child's rattle
KR950002551Y1 (ko) 전기기기용 피뢰기 지지장치
JPS5816284Y2 (ja) 公衆電話機におけるハンガ−シヤフトの取付構造
JPS6017705Y2 (ja) 機器の異常検出装置
EP2491835A1 (en) Safety device
US3013761A (en) Garment bagger
KR0134692Y1 (ko) 창문의 록킹장치용 핸들 취부구조
JPH0141746Y2 (ko)
JPS6237844Y2 (ko)
KR200267045Y1 (ko) 다이알 번호 열쇠
KR920001338Y1 (ko) 선풍기의 콘트롤부 보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21 Withdrawal of opposition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