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931B1 - 유리섬유 드로오잉 가공용 공기 노즐장치 - Google Patents

유리섬유 드로오잉 가공용 공기 노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931B1
KR850001931B1 KR8204383A KR820004383A KR850001931B1 KR 850001931 B1 KR850001931 B1 KR 850001931B1 KR 8204383 A KR8204383 A KR 8204383A KR 820004383 A KR820004383 A KR 820004383A KR 850001931 B1 KR850001931 B1 KR 850001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valve
air
block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526A (ko
Inventor
히로아끼 소노
도시아끼 기꾸찌
Original Assignee
기스가가사지
닛또 보오세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63647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2061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63648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2061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64474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68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64475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206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64476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20617B2/ja
Application filed by 기스가가사지, 닛또 보오세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기스가가사지
Publication of KR840001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03B37/0203Cooling non-optical fibres drawn or extruded from bushings, nozzles or orifices
    • C03B37/0213Cooling non-optical fibres drawn or extruded from bushings, nozzles or orifices by forced gas cooling, i.e. blowing or sucti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리섬유 드로오잉 가공용 공기 노즐장치
제1도는 유리섬유 드로오잉 가공계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노즐장치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을 구성하는 공기 노즐장치의 특정부를 부위별로 표시한 전면도이며.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공기 노즐 장치의 종단면도이고.
제4도는 제2도에 도시한 공기 노즐 장치의 노즐 블럭을확대한 부분도이며.
제5도는 제2도에 도시한 공기 노즐 장치의 노즐 블럭 결속장치의 단면도로서, 특히 크램프판이 그 종단부에 위치한 부위를 도시한 것이고.
제6도는 제2도에도시한 공기 노즐장치의 발브 장치를 확대한 단면도이며.
제7도는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의 태양을 구성하는 공기 노즐장치의 특정부를 부위별로 표시한 전면도이고.
제8도는 제7도에 도시한 공기 노즐 장치의 종단면도이며.
제9도는 제7도에 도시한 공기 노즐 장치의 노즐 블럭의 앞면 종단을 확대한 부분도이고, 또
제10도는 제7도에 도시한 공기 노즐 장치의 노즐 블럭의 종단부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 장치의 크램프판 및 지지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유리섬유 드로오잉 가공용 공기 노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리섬유 드로오잉 가공용로의 오리피스판 하부면에 공기류를 불어주기 위한 공기 노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리섬유드 로오잉 가공용로의 오리피스판 하부면에 공기류를 불어주면서 오리피스판을 통해 유리섬유를 드로오잉 가공하는 방법은 공지된 것으로서, 이의 전형적인 예는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3,905,790호에 기술되어 있다. 여기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은, 오리피스를 통하여 유출된 용융유리가 오리피스 판하부표면에서 용융유리 원추체를 형성하고, 또 이 원추체가 서로 합류할 정도로 다수의 오리피스가 서로 밀접하게 뚫려있는 표면 평탄한 판에 구멍을 뚫은 오리피스판으로부터 유리섬유를 드로오잉 가공하는데 있어서, 안정한 원추체를 형성하고, 그같은 원추체를 냉각하고, 전기 오리피스판에 근접하여 존재하는 정체가스를 배제하며, 드로오잉 가공된 섬유에 의해 하방향으로 흡수 제거되는 가스를 보급하기 위해서, 오리피스판 하부면에 도달하도록 오리피스판 하부면을 향해 기류를 불어주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방법은 또한 소위 팁노즐판(tip nozzle plate)에 의한 유리섬유 제조에도 적용될 수가 있다.
상기 종류의 유리섬유 드로오잉 가공방법에 있어서 오리피스판 하부면에 공기류를 취입시키기 위한 공기 노즐 장치의 예로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3,986,853호에 기술되어 있는 것이 있고, 이는 복수개의 도입관으로부터 동일한 압력으로 도입된 공기를 공기 노즐 본체내로 유입시키고, 연속적으로 연결된 1개의 개구(開口)로부터 취출(吹出)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미합중국 특허에 기술된 공기 노즐 장치에는 몇가지 결점이 있다. 오리피스판의 하부면을 향해 공기류를 취입하는 단일 개구가 대구경이기 때문에 오리피스판 하부면을 향해 취입되는 공기류는 압력이약하게 되며, 냉각 효과는 공기량보다도 오리피스판에서의 압력에 의존하게 되기 때문에 결국 강력한 냉각효과를 얻지 못한다. 한편 냉각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공기량을 증대시키면 필라멘트의 절단 빈도를 증가시키는 등의 결점이 발생된다.
전술한 선행기술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 미합중국 특허 제4,159,200호에 기술된 공기 노즐 장치이며, 이것은 1개 1개가 독립된 복수본의 관상 노즐을 간격을 두어 1열로 병열상태로 고정구에 고정 배치한 것으로, 이와 같이 1개의 큰 취출 개구대신에 독립된 복수본의 관상 노즐을 사용함으로서 오리피스판의 내부면에 대하여 취입되는 공기류의 압력을 높이고, 냉각효과를 증대시키는 데에 성공하였다.또 미합중국 특허 4,159,200호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게, 1개 1개가 독립된 복수본의 관상 노즐을 병열 연결시킨 구조를 갖는 공기 노즐 장치가 미합중국 특허 제 4,149,865호에 기술되어 있고, 이 공기 노즐 장치에 있어서는 각 관상노즐의 각각 찬넬을 통하여 메니포울드로 접속되며, 각 찬넬에는 각 고나상노즐 유량을 독립하여 별개로제어 하기 위한 발브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 공기 노즐 장치에 있어서도 공기류는 독립한 복수본의 관상 노즐로부터 방출되고 있는 점에서 미합중국 특허 제4,159,200호에 기술된 공기 노즐 장치와 같이 미합중국 특허 제 4,159,865호에 기술된 공기 노즐 장치가 미합중국 특허 제 3,986,853호에 기술된 공기 노즐 장치와 비교하여 우수한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각 공기 노즐 장치에 있어서 노즐 요소로서 관상노즐(파이프)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관상 노즐을 고정구 또는 지지블럭에 고정 배치하기 위해서는 이같은 고정구 또는 지지블럭에 대응하는 보어를형성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따라서 보어(bore)와 보어간에는 관상 노즐의 고정, 지지에 필요한 강도를 주기 위한 일정한 두께의 경계벽을 남기지 않으면 아니되고, 또 관상 노즐자체에도 두께가 있는 것등의 이유에 의헤, 인접하는 관상 노즐의 노즐 찬넬간의 간격은 일정거리 이하로 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따랏 각 관상노즐이 취출되는 공기류의 수 밀도를 증가시켜 냉각효과를 보다 높이는데에는 부적합한 구조이다. 또 제조 조립에도 많은 시간을 요한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4,159,200호에는 관상 노즐의 단면형상을 타원형으로 하고, 타원형의 단축이 오리피스판의 길이방향과 평행으로 되게끔 관상 노즐을 병치하며, 타원형의 장축방향에 일치하는 오리피스판의 폭방향에서 보다 넓은 균일한 냉각효과를 얻는다는 사상이 기술되어 있으며, 동일한 사상은 미합중국 특허 제4,149,865호에도 적용될 수가 있다. 이 경우 오리피스판의 길이 방향에서 보면 관상 노즐의 단면 형상이 타원형으로 되었기 때문에 관상 노즐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공기류의 수밀도를 증가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관상노즐(파이프)을 사용하고 있는 것에는 변화가 없고, 관상 노즐로부터 야기되는 상술한 구조상제한에 따른 공기류의 수밀도를 증가시킬 수없다는 문제점은 그대로 존재하게 된다. 또 단면 타원형의 관상 노즐을 제작하는 데에는 미합중국 특허 제4,159,200호에도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통상 원관을 프레스로눌러서 평편하게 하거나, 다이 위에서 버너로 가열하면서 타원관으로 하는 등의 필요가 있으며, 제작이 까다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또 제작 가능하다 하더라도 단면 형상 선택에는 제한이 있으며, 임의의 노즐 단면 형상을 가지고는 사용할 수 없는 구조가 된다. 또 원관을 변형시켜 타원형의 관상 노즐로 한 경우에는 그것을 고정배치하는 고정구 또는 지지블럭에도 동일한 형상의 보어를 파지 않으면 아니되고, 원형 이외 형상의 보어를 판다는 것은 상당히 곤란한 작업이며, 결과적으로 공기 노즐장치의 제조, 조립을 곤란하게 하고 있다. 또 미합중국 특허 제4,149,865호에서, 상기 발브 장치는 개략하여 발브 찬넬을 횡단하는 발브 보어에 길이 방향 운동 및 회전운동 가능하게 원통형의 발브체(valve core)를 삽입하고, 이 발브체에 길이 방향운동 및 회전 방향 운동에 의해 전기 발브 찬넬과 일치할 수 있도록 이발브 찬넬과 거의 동일한 직경의, 해당방브체를 횡단하는 기공구를 뚫고, 외부로 부터 발브체를 길이방향운동 및 회전 운동 조작이 가능하게끔 한 것이며, 이 발브 장치에 의해, 작업원은 원거리 간접 조작이 아닌 오리피스판 근처에서 용융유리의 드로오잉 가공 상태를 직접 관찰해가면서 각 관상 노즐이 노즐 찬넬로부터 취출된 공기류의 유량으로 개별적으로 정밀 조정하여 오리피스판의 최적 냉각효과를 수득할 수 있게끔 되었다.
그러나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4,149,865호에 기재된 발브장치는 거의 원통형인 발브체에 이를 가로지르는 개구공을 팔 필요가 있고, 공기류를 완만하게 노즐 찬넬까지 흘려주기 위해서는 발브찬넬이 노즐 찬넬보다 직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지 않으며, 또 발브체내의 개구공 또한 노즐 찬넬보다 직경이 작지 않아야만 한다. 따라서 발브체의 직경은 이같은 개구공을 파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지 않으면 아니되고, 인접하는 발브 장치간의 공간 간격을 일정거리 이하로 감소시킬 수가 없다. 따라서 인접하는 노즐찬넬, 즉 관상 노즐간의 공간 간격도 일정거리 이하로 낮출 수가 없고, 각 노즐 찬넬로부터 취출되는 공기류의 수밀도를 증가시켜 냉각효과를 높이기에는 부적합한 구조이었다.
미합중국 특허 제4,149,865호의 공기 노즐 장치에 의하여 야기되는 또 다른 문제점은 발브 장치를 외부에서 조작하기 위한 발브 장치의 조작부와 오리피스판의 오리피스를 통해 드로오잉 가공되는 유리필라멘트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서는 공기 노즐장치를 오리피스판의 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어 설치하지 않으면 아니된다는 문제가 있다.
상술하면, 통상공기 노즐 장치는 그 길이 방향을 오리피스판의 길이 방향에 일치시켜 필라멘트군 배후에 그 발브장치의 조작부를 필라멘트 측으로 향하도록 설치하고, 그 발브조작은 필라멘트군을 벗어나서 공기 노즐 장치와 대향하는 작업 통로측으로부터 행하게끔 되어 있다. 이 경우 발브 장치의 조작부는 공기노즐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돌기부로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이 유리 필라멘트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공기 노즐 장치를 오리피스판 면에 대하여 경사를 갖도록 설치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공기 노즐 장치를 이와 같이 경사를 갖도록 설치한다면 균일한 냉각이 달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오리피스판으로부터 유리 필리멘트가 드로오잉 가공되고 있을때에, 유리 필리멘트의 급속 주행에 의해 주위 공기가 빨려들고, 오리피스판 근처에는 유리 필라멘트군으로 향하는 유도 공기류가 발생하나, 이유도 공기류는 공기 노즐로부터 오리피스판의 하부면을 향해 유입되며 충돌과 동시에 방향을 바꿔주변으로 분산된다. 공기 노즐이 크게 경사를 이루면, 공기류의 수평성분이 증대하여 오리피스판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흐르게 되며, 그 공기류가 유도 공기류와 합쳐져서 강한 수평류로 되어 오리피스판 후방의 유리원추체를 과냉각시켜 유리 필라멘트 절단의 원인으로 된다. 따라서 공기 노즐 장치는 유도공기류의 악영향을 최소로 줄이기 위하여, 균일한 냉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오리피스판의 하부면에 대하여 가능한한 수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유리섬유 드로오잉 가공로의 오리피스판 하부면에 공기류를 취입시키기 위한 공기 노즐 장치에 있어서 각 공기 노즐로부터 방출되는 공기류의 수밀도를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고, 각 노즐의 단면 형상을 자유로 선택할 수가 있으며, 또 제조, 조립이 용이한 공기 노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노즐장치의 노즐 찬넬을 통과하는 공기류의 유속을 각각 미세 조정할 수 있는 복수개의 발브 장치를 구비하며, 각 발브 장치가 소형으로서 발브 장치가 오리피스판의 하부면을 향해유입되는 공기류의 수밀도 증가를 방해하지 않는 형태의 공기 노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밖의 다른 목적은, 각 노즐 찬넬로부터 취출되는 공기류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미세조정할 수 있는 복수개의 발브장치를 구비하며, 발브장치 배열을 그 수가 증가되도록 하여 발브장치 배열이 인접 노즐 찬넬간의 공간간격이 감소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노즐 찬넬이 서로 근접 배열되도록 한 공기 노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밖의 목적은 각 노즐 찬넬로부터 취출된 공기류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미세 조정할 수 있는 복수개의 발브장치를 구비하며, 공기 노즐 장치가 발브장치 조작부의 존재가 외부 조정에 있어 어떠한 방해도 받음이 없이 오리피스판의 하부면에 거의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공기 노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유리섬유 드로오잉 가공로의 오리피스판 하부면을 향해 공기류를 취출하기 위한 공기 노즐장치에 있어서, 1개이상의 공기 공급구를 갖는 메니포울드를 구비한 공기 도입부와, 전기 메니포울드와 통하는 복수개의 노즐 찬넬을 구비한 공기 노즐부를 갖고, 전기공기 노즐부는 각각 대립측면과 대립종단모서리부를 갖는 동일 형상의 복수개의 노즐 리브를 포함하며, 이 복수개의 노즐 리브는 측면이 인접하도록 배열하의 노즐 블럭을 형성하고, 전기 각노 즐리브를 병치방향을 향하여 대립한 측면의 적어도 한쪽에 길이 방향으로 연하여 리세스가 형성되고 이 레서스에서 인접한 노즐 리브간에 전기 노즐 찬넬을 형성하고, 또한 전기 노즐 블럭을 제위치에 견고히 결속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노즐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공기 노즐장치의 공기는 노즐부의 노즐 리브 각각은 이들의 단부에 거의 밀접하게 있는 각노즐리브의 상응 대립 측면상에 설치된 직립 단부를 포함하며, 인접노즐 리브의 인접 측면상의 상기 적립단부는 서로 노즐 리브를 합쳐서 노즐 블럭을 형성하는 역활을 한다. 바람직한 경우는 레세스가 각노즐 리브의 각 대립측면상에 형성되는 경우이다. 인접 노즐리브의 레세스에 의해 결정되는 각노즐 찬넬은 바람직하게는 노즐 리브 측면에서과 동일 방향으로 향하는 일그러진 단면 형태를 갖는다.
공기 노즐 장치의 공기 노즐부는 결속장치로서 노즐 블럭 대립측면상에 위치한 한쌍의 지지판, 노즐블럭의 대립 종단 모서리부에 위치하며, 또 지지판에 연결되어 노즐 블럭 주위에 상자를 형성하는 한쌍의 크램프판과 크램프판에 연결되어 노즐 블럭의 종단면을 크램프판에 부착시키기 위해 앞종단에서 나사 구경을 사용한 스크류체를 포함하고 있다.
이밖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공기 노즐장치의 공기 노즐부는 측면이 인접한 위치로 배열된 노즐 리브의 인접 대립 종단 모서리부에 위치한 한쌍의 평행 유도판을 함유하며, 상기 노즐 리브 및 유도판은 상기 각 유도판의 내부 표면상과 상기 각 노즐 리브의 종단 모서리부에 형성된 장방형부 및 장방형 레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장방형부 및 장방형 레세스는 서로 노즐 리브를 결속하여, 유도블럭을 형성하게 된다. 레세스는 바람직하게는 노즐리브 가 각측면상에 형성된다. 인접한 노즐리브의 레세스로서 확정된 각 노즐찬넬은 바람직하게는 노즐 리브의 측면과 동일방향으로 향한 일그러진 단면 형태를 갖게된다.
공기 노즐장치의 결속장치는 노즐 블럭의 대립 측면상에 위치한 한쌍의 크램프판, 노즐 블럭의 대립 종단 모서리부에 위치하며, 또 이 크램프판에 연결 되어 노즐블럭 주위에 상자를 형성하는 한쌍의 지지판과 크램프판과 연결되어 노즐블럭의 종단면을 크램프판에 부착시키기 위해 앞종단에서 나사구경을 사용한 스크류체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구조의 공기 노즐장치는 공기유입부와 공기 노즐부 중간에 위치한 발브부를 포함하며, 이 발브부는 각발브가 1개의 노즐 찬넬과 함께 메니포울드와 통하는 복수개의 발브 찬넬로 구성되는 발브 블럭을 함유하며, 또 복수개의 발브장치 각각은 1개의 발브 찬넬과 연결되고, 발브 장치의 각각은 상응하는 발브 찬넬을 가로질러 발브 블럭에 형성된 발브보어와 각 발브 보어에 삽입된 나사식니들 발브를 함유하며, 각니들 발브는 외부에서 니들 발브작동을 조절할 수 있는 헤드부를 갖게 된다. 발브장치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발브 블럭과 각 니들 발브 헤드부 사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을 함유한다. 각 니들 발브의 헤드부는 바람직하게는 렌치를 사용하여 조절될 수 있는 헤드부를 갖기 위해 개공부를 형성한다. 메니포울드는 바람직하게는 파티숀판을 사용하여 복수개의 부위로 나누고, 이 부위 각각이 공기 공급부에 연결된다.
전술한 구조의 공기 노즐장치에서, 복수개의 발브장치는 엇갈린 상태의 2열로 배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조의 공기 노즐장치는 발브부와 공기 노즐부 중간에 위치하는 유도부를 함유하며, 발브부는 메니포울드와 통하는 복수개의 발브 찬넬로 구성되는 발브 블럭과 각 발브장치가 1개의 발브 찬넬과 결합하고 또 외부로부터 발브장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를 갖는 복수개의 발브장치를 함유하고, 또 유도부는 복수개의 발브 찬넬중 1개가 복수개의 노즐 찬넬중 1개와 통하도록 연결하는 복수개의 유도 찬넬각각으로 형성되는 유도블록을 포함하고, 각 유도찬넬은 발브찬넬쪽에서의 인입부가 노즐 찬넬쪽에서의 방출부보다 발브장치의 조작부로부터 발브찬넬로 향하는 방향으로 더 들어가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과 일치하는 공기 노즐장치의 바람직한 태양은 다음 첨부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유리섬유 드로오잉 가공계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노즐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도에서 숫자 2는 용융유리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춘 유리섬유 드로오잉 가공 예열로(fore hearth)를 나타낸다. 이같은 조건의 용융유리는 내화물 4로 구성된 찬넬 6을 통해백금 합금으로 구성되며 찬넬 8밑에 부착된 부싱 8로 흐른다. 부싱 8은 그 하부면에 복수개의 오리피스 개구공(opening)을 갖는 오리피스판 10과 오리피스판 10으로부터 측벽판 12로 상자 형태를 이루고 있다. 부싱 8은 측벽판 12, 통상적으로는 부싱 8의 폭이되는 면인 측벽판 12의 외벽면 상에 위치한 조정 가능 저압 및 고압 유체흐름용 터미날 한쌍이 부착되어 있다. 터미날에서 주로 오리피스판 12 또 일부는 측벽판 12로 유체를 통해 줌으로서, 쥴열량이 백금합금으로 구성된 측벽판 12내에서 발생되어 부싱전체의 온도를 승온시킬 수 있고, 특히 오리피스판 10의 온도를 승온시킴으로서 용융유리의 온도 강하를 방지하며, 또 이 온도를 유리섬유 드로오잉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 조정은 일반적으로 루우프 장치를 사용하게 되며, 부싱 8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이를 통과하는 기류를 조절하는 입력 시그날로서는 부싱 8의 측벽판 12에 용접된 열전대(熱電對)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전력을 사용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의 태양에서, 오리피스판 10은 미합중국 특허 제3,905,790호에 기술된 형태의 것으로서, 하부면이 평면이며, 또 그곳에 복수개의 오리피스 개구공이 좁은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같은 형태의 오리피스판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또 오리피스판 10은 판의 하부면상에서 하향 방향으로 전개된 복수개의 팁노즐로 구성된 팁노즐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오리피스판 10의 오리피스를 통해 흐르는 용융유리는 권취기 14에 의해 드로오잉 가공되며, 또 오리피스판 10의 하부면 상의 오리피스 출구에서 복수개의 원뿔형을 형성하면서 필라멘트로 연신되고, 이필라멘트에는 결합제도포기 16의 도포기 로울에 의해 1개 또는 복수개의 스트랜드로 수거되며 또 가로 이송장치 20에 의해 가로 이송되며 권취장치 12상에 권취되어 펙케지 22를 수득하게 된다.
숫자 24는 오리피스판 10에 근접한 위치에 정체된 가스를 제거하고, 또 오리피스를 통해 드로오잉 가공되는 섬유에 의해 하방향으로 제거되는 가스를 보충하기 위해 오리피스판 10의 하부면으로 신선한 가스를 공급함은 물론 오리피스 밖으로 흐르는 용융유리가 필라멘트로 연신되는 경우 오리피스판 10의 하부면상의 오리피스 출구에서 생성되는 용융유리 원추형 물질을 냉각하고 또 안정화 시킬 수 있도록 오리피스판 10의 하부면을 냉각하기 위하여 오리피스판 10의 하부면을 향해 공기 흐름을 유도하는 본 발발명에 따른 공기 노즐 장치를 나타낸다.
공기 노즐장치 24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압축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이에 연결된 공급 콘듀트 또는 호스 26을 통해 공기를 공급받게 된다.
제1도 내지 제5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노즐장치 24를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공기 노즐장치 24는 공기 공급 포오트 28을 갖는 메니포울드 30으로 구비된 공기 유입부 32와 메니 포울드 30과 통하는 복수개의 노즐 찬넬 34를 구비한 공기 노즐부 36으로 구성된다. 공기 노즐부 36은 완전히 동일 형태의 복수개의 노즐 리브 38로 구성되며, 이때 각 노즐리브는 제4도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측면 40 및 42를 갖으며, 노즐 리브 38은 이들의 측면 40 및 42가 인접반복해서 배치되도록 함으로서 노즐 블럭 39를 수득하게 된다. 각 노즐리브의 대립 측면 40 및 42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뻗은 레세스 44 및 46과 함께 구성됨으로서, 노즐찬넬 34는 인접한 2개 노즐리브 38중 1개의 레세스 44와 다른 노즐리브의 레세스 46에 의해 결정된다. 인접한 2개 노즐찬넬 34사이에 존재하는 것은 단지 레세스 44와 46의 바닥을 구성하는 파티숀벽 48뿐으로서 노즐찬넬 34간의 공간 간격을 국소화 시킴으로서, 노즐 찬넬 34를 통해 방출되는 공기류의 수밀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각 노즐리브 38은 각각 대립측면 40 및 42상에 연결된 직립단부(perpendicularly stepped portions) 50 및 52를 갖는다. 인접측면 40 및 42의 단부 50 및 52는 바람직하게는 견고하게 중간충진시켜 노즐 리브 38을 결속함으로서 노즐 블럭 39를 형성하게 된다. 직립 단부는 요등단 더 브레일부(tilting stepped dovetail portion)와 같은 기타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이경우, 노즐 리브 38서로간의 분리를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각 노즐리브 38에서 형성된 레세스 44 및 46은 인접한 노즐리브 38의 사이에서 결정되는 노즐찬넬 34가 측면 40 및 42와 동일방향으로 전개되고, 단면이 늘어진 8각형 형태를 갖을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노즐찬넬 34는 이같은 고유단면 형태로 한정된 것은 아니며, 또 직사각형 또는 기타 다각형 형태, 타원 또는 원 형태와 같은 기타 적합한 단면형태를 이룰수도 있다.
노즐 리브 38은 보통 철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경우에, 레세스 44 및 46은 연마 또는 압연과 같은 방법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레레스 44 및 46은 노즐찬넬 34의 가능단면 형태의 필요에 따라 쉽게 어떤 형태로든 선정될 수 있다. 노즐리브 38은 스테인레스강, 알미늄 합금등과 같은 철 이외의 기타 적합한 물질로서 제조할 수도 있다. 이같은 경우 또한, 레세스 44 및 46의 형태는 노즐 찬넬 34의 단면 형태에 따라 쉽게 임의로 선정될 수 있다.
노즐 찬넬 3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 44 및 42와 동일방향으로 전개하는 늘어진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이 함으로서 단면적을 변경시키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노즐 찬넬 34의 밀도를 증대시킴으로서 공기류의 수밀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우기, 공기 노즐부 36을 미합중국특허 제4,159,200호 4페이지의 기술된 바와 같이, 각노즐 찬넬 34의 최소 치수의 단면이 오리피스판 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열시킴으로서, 대부분의 노즐 찬넬 34방향과 일치하는 오리피스판의 10보다 광범위한 범위에 걸쳐 균일 냉각을 행할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오리피스판 10의 배열된 오리피스의 치수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의 태양에서 각 노즐 리브 38의 대립 측면 40 및 42는 각각 레세스로 구성된다. 그러나 측면 40 및 42중 한개만 레세스로 제작하여도 동일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대립 양단에 위치하는 노즐 리브 38은 단지 노즐 연결에 1가 측면만을 사용하며 따라서 제4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 리브 54 및 56은 공기 노즐부 36의 대립 양단에서 노즐 연결이 행해지지 않는 측면상에 평면을 함유하도록 할 수도있다.
전술한 구조의 공기 노즐장치 24의 공기 노즐부 36은 노즐 리브 38을 차례로 배열시켜 이루어진 노즐블럭 39를 한꺼번에 견고히 결속시키는 장치를 갖추고 있다. 이 결속장치는 노즐블럭 39의 양단면에 위치한 한쌍의 지지철판 58 및 60, 노즐블럭 39양단면에 위치한 한쌍의 크램프 철판 62 및 64와 노즐블럭 39둘레에 상자를 형성하는 지지철판 58 및 60과 크램프판 62 및 64를 연결시키는 볼트 66으로 구성된다. 크램프판 62 및 64는 각각 세트스크류 70을 끼울 수 있는 4나사 구경(four threaded apertures) 68과 함께 구성된다. 따라서, 세트 스크류 70을 돌리고 또 이의 진행 단면을 노즐블럭 39의 말단 리브 54 및 56의 단면을 향해 압력을 가해 줌으로서 크램프판 62 및 64를 노즐블럭 39를 향해 고정시킴으로서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전술한 구조의 공기 노즐부 36은 또한 통상 철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된 지지블럭 72를 구비하고 있으며, 나란히 배열된 노즐리브 38의 노즐블럭 39를 지지하고 있다. 지지블럭 72는 상부뿐만 아니라 그 반대 종단 또한 개방된 노즐블럭 38의 하단부를 담기 적합한 레세스 74로 구성된다. 레세스 74는 기계 가공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레세스 74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셔 76이 초과 치수부위에 장치될 수 있도록 노즐블럭 39의 두께보다 더 큰 폭치수를 갖는다. 스페이서 76은 스페이서 76의 직각방향인 지지블럭형 72에 성된 4나사구경 78로 세트스크류 80의 선단부를 조임으로서 노즐블럭 39을 향해힘을 가하여 노즐블럭 39의 하단부를 견고하게 지지시키게 된다. 레세스 74는 이들 대립 단면부에 볼트로 조인 한쌍의 위치판 82 및 84를 갖는다. 지지블럭는 72노 즐블럭 39에 형성된 노즐찬넬 34중 1개와 일직선을 이루는 통로 86과 함께 구성된다. 지지블럭 72는 다음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위치 조절을 행할수 있는 유도 블럭 88에 볼트 연결시킨다.
공기 도입부 32의 메니포울드 30은 철 또는 기타물질의 쉬트를 함게 볼트로 연결하여 상자형태로 제작함으로서 구성되며, 또 호스 26을 연결시키기 위한 공기 공급부 28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볼트 연결시킨 니플 94로 구성된다. 전술한 실시 태양에서의 공기공급부 28 및 니플 94는 각각 4개이며, 또 메니포울드 30은 파티손판 96에 의해 상용하는 4개의 부위로 나뉘어 공기 공급부 28과 니플 94에 3개에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니플 94를 공기 공급원에 연결시키는 호스 26은 각각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각 발브장치를 구비하여 그 내부를 통해흐르는 공기 기류의 유속을 조절한다. 발브 장치를 서로독립적으로 또 서로 분리하여 조절함으로서, 노즐블럭 39의 노즐 찬넬 34를 통해 흐르는 공기류의 유속을 상응하는 4개군으로 분리할 수 있고, 또 이를 독립적으로 서로 분리하여 조절할 수 있다. 숫자 98은 공기류로부터 외부 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을 나타낸다.
공기 노즐장치 24는 이밖에 공기 도입부 32와 공기 노즐부 36사이에 위치한 발브부 89와 발브부 89와 공기 노즐부 36사이에 위치한 유도부 87로 구성된다. 발브부 89는 메니포울드 30과 노즐찬넬 34와 연결시키면서 복수개의 발브 찬넬 100으로 구성되는 발브 블럭 92를 포함하며, 또 복수개의 발브장치 90은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서로 분리되어 발브 찬넬 100중 1개를 통하는 공기 흐름의 유속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통상 철로 바람직하게 제조되는 발브 블럭 92는 메니포울드 30의 상단을 볼트로 사용 견고하게 보호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브 찬넬 100은 노즐 찬넬 34와 같이 동일한 공간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으며 또 발브 찬넬 100의 횡단면은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원으로서 노즐 찬넬 34에서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다. 각 노즐 찬넬 34의 단면 주요 치수는 상응하는 발브 찬넬 100의 단면 주요치수와 일치한다.
각 발브장치 90은 니들형이 바람직하고, 또 제6도에서 확대도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응하는 발브찬넬 100로 가로지르는 방식으로 발브블럭 92에 연결된 발브 보어 102, 발브 보어 102에 나사로 연결된 니들발브 108과 외부로부터 니들발브를 조작하기 위한 헤드부 110으로 구성된다. 발브보어 102는 상응하는 발브 찬넬 100의 최소 치지수에 수직 방향으로 진행하며, 또 발브 찬넬 100의 최소 치수보다 다소 크거나 완나전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발브보어 102는 그 인입부에서 암나사 103을 구비하고 있다. 니들 발브 108은 발브 보어 102와 거의 동일 직경의 니들부 104와 발브 보어 102의 암나사와 함께 숫나사를 구비한 나사부 106으로 구성된다. 니들 발브 108은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 110을 돌려줌으로서, 니들 발브 108의 니들부 104는 발브보어 102를 향해 또는 밖으로 이동함으로서 발브 찬넬 100의 개구공을 변경시키며, 이같이 함으로서 발브 찬넬 100을 통해흐르는 공기 유체 유속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각 니들형 발브장치 90은 니들부 104의 직경을 발브 찬넬 100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다소 크게 함으로서, 발브 장치를 전체 소형크기로 수득할 수 있고 또 모든 발브장치 90을 서로 아주 근접한 거리로 배열시킬 수 있다. 따라서 노즐 찬넬 34는 서로 아주 근접해서 배열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의 태양에서는 발브 장치 90은 엇갈린 상태의 2열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배열형태는 발브장치 90의 배열수를 증대시킬 수 있고, 또 노즐 찬넬 34가 서로 더 근접하게 배열될 수 있게 한다. 코일스프링 112를 발브 블럭 92와 각 니들 발브 108의 헤드 110사이에 걸어줄 수도 있다. 코일스프링 112의 사용은 니들발브 108과 발브 보어 102간의 움직임을 감소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공기류 유속의 미세조정을 매우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게 한다.
각 니들 발브 108의 헤드부 110은 가능한한 크기가 작고 또 헤드부 110이 렌취로 조작할 수 있도록 6각형 형태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이 함으로서 헤드 110과 연장의 상호방해 작용을 제거할 수 있고, 또 발브 장치 90을 서로 근접하게 배치시키는 경우 이와 다른 헤드 110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상호 방해작용을 제거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의 태양에서, 발브 보어 102는 발브 찬넬 100에 대해 약 90도 각도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고유 각도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또 이각은 70내지 110도 범위 일수도 있다.
전술한 바에 따라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호스 26에 연결된 발브장치를 사용함으로서, 공기유속은 노즐찬넬 3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류를 4개 군으로 나누어 조절된다. 발브장치 90을 사용함으로서 노즐 찬넬 3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류는 독립적으로 또 서로 분리하여 미세조정이 가능해 진다. 이같은 조절시스템에 의해 공기노즐 장치 2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류의 유속은 광범위하게 조절할 수 있다. 발브블럭 92는 메니포울드 30의 연장으로서 메니포울드 30과 함께 합쳐서 구성될 수도 있다.
유도부 87은 각 발브찬넬 100를 1개의 노즐찬넬 34와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유도찬넬 114로 이루어진 유도블럭 88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통상 철로 제작되는 유도블럭 88은 볼트를 사용하여 발브블럭 92상에 견고하게 지지 시킬 수 있으며, 또 지지블럭 72는 볼트를 사용 유도블럭 88상에 견고하게 지지 시킨다. 유도찬넬 114는 각각 발브찬넬 100쪽의 인입부가 노즐 찬넬 34의 방출부 보다 공기 노즐 장치 24의 후면으로 또는 발브장치 90의 조작부위 또는 니들발브 108의 헤드부 110으로부터 발브찬넬 100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가도록끔 배열시킨다. 이같이 배열 함으로서 발브찬넬 100은 노즐찬넬 34 및 지지블럭 72의 통로 86의 후면에 위치하고, 따라서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브블럭 92 및 메니포울드 30은 노즐블럭 39및 지지블럭 72의 후면에 배열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니들형 발브장치 90의 헤드부 110는 노즐블럭 39와 지지블럭 72의 전면으로부터 퇴각한 위치에 배열(제3도 좌측참조)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기노즐 장치 24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리피스판 10하부에 배열되고, 또 발브장치 90의 헤드부 110의 오리피스판 10의 오리피스를 통해 드로오잉 가공되는 유리섬유와 접촉하게 될 위험성을 배제한 채로 완전 수직으로 배열시킬 수 있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공기 노즐 장치 24는 통상 발브장치 90의 헤드 110이 필라멘트를 향하게 유리 필라멘트군 후면에 위치하고, 또 장치 24의 길이가 오리피스판 10의 길이와 일치하며, 또 발브조작은 긴 볼트렌치로 행하게 되는데, 예를들어 유리섬유군이 진행하는 사이에 공기노즐 장치 24에 대해 병렬인 필라멘트를 통하여 긴볼트렌치로 조정한다. 이같은 경우, 발브장치 90의 헤드부 110이 노즐블럭 39의 하부전면에 위치하는 조작에 있어 공기 노즐장치 24는 전체가 드로오잉 가공되는 필라멘트와 진행간의 접촉을 잉하기 위해 요동해야만 한다. 공기 노즐장치 24가 요돌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노즐블럭 39로 부터 배출되는 공기류는 오리피스판 10의 하부면 상에 비스듬히 충돌하게 되며, 또 공기류가 충돌하는 부위의 후면에 위치하는 오리피스판 10의 하부면 부위에는 충분한 양의 공기가 공급받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오리피스판 10의 하부면 냉각이 불균일하게 이루어 진다.
전술한 바와같은 구조의 공기노즐 장치 24는 노즐블럭 39의 구조의 장점으로 동일한 하부 위치에 오리피스판 10에 완전 수직으로 걸어둘 수 있다. 이같이 함으로서 노즐 통로 34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류가 오리피스판 10의 하부면에 거의 수직으로 충돌할 수 있으며, 이같이 함으로서 오리피스판 10의 주위에서 인입공기류에 의해 야기되는 악영향을 극소화 할수 있으며, 또 오리피스판 10의 하부면과 용융유리 원뿔형 물질을 균일 냉각시킬 수 있게된다. 이로서 공기 노즐장치가 사각 위치에서만 배열된 수 있었던 선행 기술에서 야기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없다.
본 발명과 일치하는 공기노즐 장치의 이밖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제7도 내지 제10도로서 설명된다.
본 실시 태양의 공기노즐 장치는 일반적으로 참고숫자 124로 표시하는 한편 제1도 내지 제6도에서의 제1의 실시 태양의 것과 거의 유가한 구조를 갖는 부위 또는 부분은 동일한 참고 번호로 표시한다. 특히 공기노즐 장치 124는 제1의 실시태양의 상응부위와 완전 동일 구조인 공기유입부 32, 발브부 89 및 유도부 87로 구성되는 관계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공기노즐 장치 124는 공기 유입부 32의 메니포울드 30과 통하는 복수개의 노즐찬넬 134를 구비한 공기 노즐부 136으로 구성된다. 공기노즐부 136은 완전 동일형태의 복수개의 노즐리브 138로 구성되며, 이때각 노즐 리브는 대립 측면 140 및 142와 대립 종단 모서리부 147 및 149, 인접하여 위치하는 측면 140 및 142를 갖도록 배열된 노즐리브 138을 갖게 된다. 공기 노즐부 136은 이밖에 노즐 리브 138의 대립종단 모서리부 147 및 149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한쌍의 평행하는 유도판 135 및 137을 포함함으로서 복수개의 노즐리브 138과 한쌍의 유도판 135 및 137로서 노즐블럭 139를 구성한다. 각 노즐리브 138의 대립측면 140및 142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뻗은 레세스 144 및 146과 함께 구성됨으로서 찬넬 134는 인접한 2개노즐 리브 138사이로서 정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접한 노즐찬넬 34사이에 존재하는 것은 단지 레세스 144및 146의 바닥을 구성하는 파티숀벽 148뿐으로서 노즐 찬넬 134간의 공간 간격을 극소화시킴으로서 노즐찬넬 34를 통해 방출되는 공기류의 수밀도를 증가시켜게 된다.
각노즐리브 138의 종단 모서리부 147 및 149는 장방형투상형태이다. 유도판 135와 137은 복수개로 상호 평행하게 위치한 보조장방형 레세스 150 및 152로 구성된다. 노즐리브 138과 유도판 135 및 137은 노즐리브 138의 종단 모서리부 147 및 149와 함께 노즐블럭 139를 형성하고, 또 유도판 135 및 137의 레세스 150 및 152는 견고하게 내부 충진된다. 장방형투영 및 장방형레세스는 더브데일투영 및 레세스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같은 형태의 내부 충진방법을 사용함으로서 유도판 135 및 137과 노즐리브 138상호간의 분리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에와는 달리, 노즐리브 138의 종단모서리부 147및 149는 보조 레세스로서 형성되될 수 있음에 반하여, 유도판 135 및 137은 이들 내부 표면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각 노즐리브 138에서 형성된 레세스 144 및 146은 인접한 노즐리브 138사이에서 결정되는 노즐찬넬 134는, 노즐리브 138의 측면 140 및 142와 동일방향으로 전개되고, 유도판 135 및 137과 결합하여 늘어진 8각형 형태를 갖게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고유형태의 노즐찬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노즐찬넬은 각각 횡단면 형태가 찌그러진 정사각형과 같은 일그러진 다각형 형태일 수도 있다. 가능한 경우 이는 횡단면 형태가 타원형 또는 원형 일수도 있다.
노즐리브 138과 유도판 135및 137은 통상의 철과 같은 물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노즐리브 138의 레세스 144 및 146은 연마 또는 압연의 방법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레세스 144 및 146은 노즐찬넬의 필요로하는 횡단면 형태에 따라 쉽게 어떤형태로든 선정될 수 있다. 노즐리브 138과 유도판 135및 137은 스테인레스강, 알미늄 합금 등과 같은 철이외의 기타 적합한 물질로서 제조할 수도 있다. 이같은 경우 또한 노즐리브 138의 레세스 144 및 146의 형태는 노즐찬넬 134의 횡단면 형태에 따라 쉽게 임의로 선정될 수 있다.
노즐찬넬들은 노즐리브 138의 측면 140 및 142와 동일 방향으로 전개하는 늘어진 형태의 횡단면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이 함으로서 횡단면적을 변경시키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노즐찬넬 134의 밀도를 증대시킴으로서, 공기류의 수밀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된다. 더우기, 공기 노즐부 136을 미합중국특허 제4,159,200호 4페이지에서 기술하고 있는 것처럼, 각노즐 찬넬 134의 최소치수 단면이 오리피스판 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열시킴으로서, 대부분의 노즐찬넬 134방향에 해당하는 오리피스탄 10의 보다 광범위한 범위에 걸쳐 균일 냉각을 행할수가 있게된다. 따라서, 오리피스판 10의 배열된 오리피스의 치수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의 태양에서, 각노즐 리브 138의 대립측면 140 및 142는 각각 레세스 144 및 146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측면 140 및 142중 한개만 레세스로 제작하여도 동일효과를 수득 할 수 있다. 대립양단에 위치하는 노즐리브 138은 단지 다른 노즐리브 138과 연결되는 1개 측면만을 사용하여 노즐찬넬 134를 제조하며, 따라서 제10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단리브 154 및 156 (1개만이 도시됨)은 다른 노즐리브와 합쳐서 노즐찬넬을 형성하지 않는 관계로 그 측면에 레세스가 없는 평면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의 태양에서, 공기노즐부 136은 노즐리브 138을 서로 평행인 유도판 135 및 137과 함께 합쳐 구성된 노즐 블럭 139를 한꺼번에 견고히 결속시키는 장치를 갖추고 있다. 이 결속장치는 유도판 135 및 137과 병렬로 노즐블럭 139의 양단면에 위치한 한쌍의 크램프철판 158 및 160과 노즐블럭 139의 양단면에 위치한 한쌍의 지지철판 162 및 164로 구성된다. 크램프판 158 및 160과 지지판 162 및 164은 노즐블럭 139를 둘러싼 상태에서 볼트 166을 가지고 상자 형태로 함께 연결 시킨다. 크램프판 158 및 160은 1열에 5개 나사구경을 갖는 나사구경 168 및 169의 열로 각각 구성되며, 또 세트스크류 170 및 171을 나사구경 168 및 169의 상응열에 끼워 맞춘다. 세트스크류 170 및 171을 돌려줌으로서 노즐블럭 139의 유도판 135 및 137의 각면을 향한 이들 앞면에 압력을 가해 줌으로서 노즐블럭 139를 향해 고정시키고 또 이를 그 위치에서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유도판 135 및 137은 각각 제8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일부가 크램프판 158 및 160에 의해 둘러쌓인 이의 상부 종단면에 평행한 단부 165로 구성되는 한편, 크램프판 158 및 160은 각각 보조단부 167과 함께 그내면에 구성됨으로서 단부 165 및 167은 서로 연합하여 크램프판 158 및 16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세트스크류 170은 단부 165 및 167의 상단면에 설치되며 또 세트스크류 171은 이의 하단면에 설치된다.
전술한 고착 장치를 사용하는 대신에 적합한 위치에서의 노즐리브 138을 레세스를 갖지 않는 블럭으로 교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유도판 136 및 137을 이같은 블럭의 대립 종단 모서리부에 직접 볼트로 고착시킬 수도 있다.
첫번째 실시 태양의 공기노즐부 36에서와 같이 전술한 실시 태양의 공기 노즐부 136은 노즐블럭 139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블럭 72를 필요로 하지만, 이는 첫번째 실시태양의 지지블럭 72에서와 완전동일 구조를 갖는 관계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로 부터 명백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공기노즐 장치에서 공기노즐부는 그 측면이 인접하도록 배열하여 노즐블럭을 구성하는 완전 동일 형태의 복수개의 노즐리브로 구성되며, 이 노즐리브 각각은 1개 이상의 대립측면 상에서 길이로 뻗은 레세스로 구성되어 인접 노즐리브 사이에 1개의 노즐 찬넬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노즐찬넬 간에는 단지 레세스의 바닥을 구성하는 파티숀 벽만이 존재함으로서, 노즐 찬넬간의 공간 간격을 노즐찬넬이 서로 근접하여 배열 할수 있도록 감소시키며, 이에따라 노즐찬넬을 통해 방출되는 공기류의 수밀도가 오리피스판을 냉각하는데 만족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정도로 증대될 수 있다. 더우기, 노즐리브 중의 레세스는 연마, 압연 또는 성형 등으로 필요한 어떤 형태로든 제조할 수 있는 관계로 노즐찬넬의 횡단면 형태는 자유자재로 선정될 수 있다. 또한 레세스를 제작하기 위한 노즐리브의 이같은 처리는 매우 용이하고 또 노즐리브를 메니포울드에 연결하고 또 지지하기 위해 직사각형 레세스만이 지지블럭 내에 제작되는 관계로 공기노즐 장치 제작 및 조립이 촉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노즐 장치에서, 노즐찬넬상호간에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이를 통해 방출되는 공기류의 미세한 조절을 개별적으로 행하기 위한 발브장치는 각각 니들형 발브장치 형태로서, 이 발브장치는 발브보어에 나사로 연결되는 니들발브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발브장치가 조립에 간편하며 또 발브장치를 상호 근접 배열을 할수 있도록 소형인 관계로, 노즐찬넬을 발브부내에 상호근접하게 배열 시킴으로서 노즐찬넬을 통해 방출되는 공기류의 수밀도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노즐장치에서 전술한 구조의 발브장치는 엇갈힌 형태의 2열로 배열된다. 이같이 함으로서 발브장치의 수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 이특징은 또한 노즐 찬넬을 통해 방출되는 공기류의 수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발브부를 형성할 수 있게끔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노즐 장치에서, 유도부는 공기노즐 부와 발브부 중간에 위치하며, 또 이유도부는 유도블럭 중에 구성된 복수개의 유도 찬넬을 포함하며, 이 각개 유도찬넬은 발브 찬넬쪽의 인입부가 노즐찬넬 쪽의 방출부 보다 발브장치 조작부위로 부터 발브찬넬로 향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열시킨다. 이 같은 구조특성은 발브장치가 공기노즐부의 후면에 배열가능하게 함으로서 공기노즐 장치는 오리피스판의 오리피스를 통해 드로오잉 가공되는 필라멘트가 발브장치의 조작부와 접촉하게 될 위험성을 배제한채로 오리피스판 하부에 완전 수직으로 배열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기노즐 장치의 노즐찬넬을 통해 방출되는 공기류는 오리피스 판의 하부면에 완전 수직으로 충돌 할 수 있음으로서 이밖의 다른 방법에서는 오리피스판 주위에서 필라멘트에 야기될 수도 있는 악영향을 도입 공기류에 의해 제거되고, 또 오리피스판의 하부면을 아주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가 있다.

Claims (17)

  1. 유리섬유 드로오잉 가공로의 오리피스판 하부면에 공기류를 취출하기 위한 공기 노즐장치에 있어서, 1개 이상의 공기 공급구를 갖는 메니포울드를 구비한 공기 도입부와, 상기 메니포울드와 통하는 복수개의 노즐찬넬을 구비한 공기 노즐부를 갖고, 상기 공기 노즐부는 각각 대립측면과 대립종단 모서리부를 갖는 동일 형상의 복수개의 노즐리브를 포함하며, 이 복수개의 노즐리브는 측면이 인접하도록 배열하여 노즐블럭을 형성하고, 상기 각 노즐리브는 병치방향을 향하여 대립한 측면의 적어도 한쪽이 길이방향으로 연하여 레세스가 형성되고 이레세스에서 인접한 노즐리브간에 전기 노즐찬넬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노즐블럭을 제위치에 견고히 결속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기 노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노즐부의 노즐리브 각각은 이들의 단부에 거의 밀접하게 있는 각 노즐리브의 상응 대립측면상에 설치된 직립단부를 포함하며, 인접 노즐리브의 인접 측면상의 상기 직립단부는 서로 노즐리브를 합쳐서 노즐블럭을 형성하는 공기 노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노즐부의 노즐리브 각각은 이들의 단부에 거의 밀접하게 있는 각 노즐리브의 상응 대립측면상에 설치된 요동단 더브테일부를 포함하며, 인접 노즐리브의 인접 측면상의 상기 요동단 더브테일부는 서로 노즐리브를 합쳐서 노즐블럭을 형성하는 공기 노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세스가 각 리브의 각 대립 측면상에서 형성되는 공기 노즐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인접노즐 리브의 레세스에 의해 결정된 각노즐찬넬이 노즐리브 측면에서와 동일 방향으로 향하는 일그러진 단면 형태를 갖는 공기 노즐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결속장치가 노즐블럭대립 측면에 위치한 한쌍의 지지판, 노즐블럭의 대립 종단 모서리부에 위치하며, 또한 지지판에 연결되어 노즐블럭 주위에 상하를 형성하는 한쌍의 크램프판과 크램프판에 연결되어 노즐블럭의 종단면을 크램프판에 부착시키기 위해 앞종단에서 나사구경을 사용한 스크류체를 포함하는 공기 노즐장치.
  7. 공기 노즐부는 측면이 인접한 위치로 배열된 노즐리브의 인접 대립종단 모서리부에 위치한 한쌍의 평행 유도판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리브 및 상기 유도판이 상기 각 유도판의 내부 표면상과 상기 각 노즐리브의 종단 모서리부에 형성된 장방형부 및 장방형 레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장방형부 및 장방형 레세스가 서로 노즐리브를 결속하여 유도블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노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세스가 노즐리브의 각 측면상에 형성되는 공기 노즐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인접한 노즐리브의 레세스로서 확정된 상기 각 노즐찬넬이 노즐리브의 측면과 동일방향으로 향한 일그러진 단면을 갖는 공기 노즐장치.
  10. 결속장치는 노즐블럭의 대립 측면상에 위치한 한쌍의 크램프판, 노즐블럭의 대립종단 모서리부에 위치하며, 또한 이 크램프판에 연결되어 노즐블럭 주위에 상자를 형성하는 한쌍의 지지판과 크램프판에 연결되어 노즐블럭의 종단면을 크램프판에 부착시키기 위해 앞종단에서 나사구경을 사용한 스크류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기 노즐장치.
  11. 공기 유입부와 공기 노즐부 중간에 위치한 발브를 포함하며, 이 발브부는 각 발브가 1개의 노즐찬넬과 함께 메니포울드와 통하는 복수개의 발브롤 포함하며, 또한 복수개의 발브장치 각각은 1개의 발브찬넬과 연결되고 그발브장치 각각은 상응 발브찬넬을 가로질러 발브블럭에 형성된 발브보어와 각 발브보어에 삽입된 나사식 니들발브를 포함하며, 각 니들발브는 외부에서 니들발브 작동을 조절할 수 있는 헤드부를 갖고 있는 공기 노즐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발브장치가 상기 발브블럭과 상기 각 니들발브 헤드부 사이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공기 노즐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니들밸브의 헤드부가 렌치를 사용하여 조절될 수 있는 헤드부를 갖기 위해 개공구로 형성된 공기 노즐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메니포울드가 파티숀판을 사용하여 복수개의 부위로 나누고, 이부위 각각이 상기 공기 공급구로 구성된 공기 노즐장치.
  15. 제11항 내지 1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발브장치가 엇갈린 상태의 2열로 배열된 공기 노즐장치.
  16. 공기 유입부와 공기 노즐부 중간에 위치한 발브부를 포함하며, 이 발브부가 각 발브찬넬이 1개의 노즐찬넬과 함께 메니포울드와 통하는 복수개의 발브찬넬로 구성되는 발브블럭을 포함하며, 또한 복수개 발브장치 각각은 1개의 발브찬넬과 결합하고, 발브장치는 엇갈린 형태의 2열로 배열된 공기 노즐장치.
  17. 공기 유입부와 공기 노즐부 중간에 위치한 발브부 및 발브부와 공기 노즐부 중간에 위치한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브부는 메니포울드와 통하는 복수개의 발브찬넬로 형성된 발브블럭과, 상기 발브장치가 1개의 발브찬넬과 결합하고 또한 외부로부터 발브장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를 갖는 복수개의 발브장치를 포함하고, 또한 유도부는 복수개의 발브찬넬중 1개가 복수개의 노즐찬넬중 1개와 통하도록 연결하는 복수개의 유도찬 넬 각각으로 형성되는 유도블럭을 포함하고, 각 유도찬 넬은 발브찬넬쪽에서의 인입부가 노즐찬넬쪽 방출부보다 발브장치의 조작부로부터 발브찬넬로 향하는 방향으로 더 들어가도록 배열이 된 공기 노즐장치.
KR8204383A 1981-10-14 1982-09-29 유리섬유 드로오잉 가공용 공기 노즐장치 KR8500019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3647 1981-10-14
JP163648 1981-10-14
JP16364781A JPS5920614B2 (ja) 1981-10-14 1981-10-14 ガラス繊維紡糸用空気ノズル組立体
JP16364881A JPS5920615B2 (ja) 1981-10-14 1981-10-14 ガラス繊維紡糸用空気ノズル組立体
JP16447481A JPS596823B2 (ja) 1981-10-15 1981-10-15 ガラス繊維紡糸用空気ノズル組立体
JP164475 1981-10-15
JP164476 1981-10-15
JP16447581A JPS5920616B2 (ja) 1981-10-15 1981-10-15 ガラス繊維紡糸用空気ノズル装置
JP164474 1981-10-15
JP16447681A JPS5920617B2 (ja) 1981-10-15 1981-10-15 ガラス繊維紡糸用空気ノズ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526A KR840001526A (ko) 1984-05-07
KR850001931B1 true KR850001931B1 (ko) 1985-12-31

Family

ID=2752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383A KR850001931B1 (ko) 1981-10-14 1982-09-29 유리섬유 드로오잉 가공용 공기 노즐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391619A (ko)
EP (1) EP0077480B1 (ko)
KR (1) KR850001931B1 (ko)
AU (1) AU536494B2 (ko)
CA (1) CA1174470A (ko)
DE (1) DE326196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3216A (en) * 1997-07-09 1999-04-13 Smith; Terry C. Wall-drying system
US9989307B2 (en) * 1999-03-08 2018-06-05 Injectidry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moisture from water laden structures
US20070227163A1 (en) * 1999-03-08 2007-10-04 Storrer Ernest J Universal adapter for moisture removal
US6647639B1 (en) * 1999-03-08 2003-11-18 Injectidry Systems Inc. Moisture removal system
US7694535B2 (en) * 2006-01-10 2010-04-13 Johns Manville Method of fiberizing molten glass
US20080184520A1 (en) * 2006-09-14 2008-08-07 Wolfe Kevin A Self-propelled extraction systems and methods
US7841087B1 (en) 2007-02-23 2010-11-30 Walker Jr Mark S Connector for use with inflatable tubing
US8468716B1 (en) 2007-10-23 2013-06-25 Mary A. Walker Pressurized drying system
US8510902B2 (en) 2007-12-03 2013-08-20 Dri-Eaz Products, Inc. Air induction hard surface cleaning tool with an internal baffle
US8006407B2 (en) * 2007-12-12 2011-08-30 Richard Anderson Dry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USD684737S1 (en) 2011-08-31 2013-06-18 Dri-Eaz Products, Inc. Extractor housing
US9195238B2 (en) 2012-06-15 2015-11-24 Sapphire Scientific, Inc. Waste water vessels with multiple valved chambe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D701661S1 (en) 2012-09-04 2014-03-25 Dri-Eaz Products, Inc. Extractor port housing
US9351622B2 (en) 2012-09-04 2016-05-31 Sapphire Scientific Inc. Fluid extracting device with shaped head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10060641B2 (en) 2015-02-25 2018-08-28 Dri-Eaz Produc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rying roof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20650A1 (de) * 1974-01-14 1975-07-24 Edward Thomas Strickla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glasfaserfaeden
SU533552A1 (ru) * 1974-07-09 1976-10-30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М-5314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хлаждени подфильерной зоны стеклоплавильного сосуда
US3986853A (en) * 1975-08-08 1976-10-19 Kaiser Glass Fiber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the drawing of glass fibers
US4003731A (en) * 1976-04-26 1977-01-18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Nozzle for fluids
JPS53114927A (en) * 1977-03-11 1978-10-06 Nitto Boseki Co Ltd Air nozzles for blowing air flows on the orifice plate of glass fiber spinning furnaces
US4149865A (en) * 1977-12-30 1979-04-17 Nitto Boseki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drawing of glass fiber
US4194895A (en) * 1978-08-03 1980-03-25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Fluid flow method and apparatus used in manufacture of glass fibers
US4202680A (en) * 1978-10-16 1980-05-13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Fluid flow apparatus in combination with glass fiber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36494B2 (en) 1984-05-10
AU8882682A (en) 1983-04-21
EP0077480B1 (en) 1985-01-16
EP0077480A1 (en) 1983-04-27
CA1174470A (en) 1984-09-18
DE3261969D1 (en) 1985-02-28
US4391619A (en) 1983-07-05
KR840001526A (ko) 198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931B1 (ko) 유리섬유 드로오잉 가공용 공기 노즐장치
US4644622A (en) Apparatus for air entangling a plurality of advancing yarns
US3988135A (en) Assembly for the drawing of glass fibers
US3942723A (en) Twin chambered gas distribution system for melt blown microfiber production
KR0186065B1 (ko) 헤드박스 튜브뱅크 장치
GB15630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glass fibres
US11306421B2 (en) Manufacture of spun-bonded nonwoven from continuous filaments
US41689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on of glass fibers
CA1134188A (en) Stock supply system for paper machine
US4471514A (en) Apparatus for imparting visual surface effects to relatively moving materials
GB2157617A (en) Cooling hot spun filaments
JPH0347324B2 (ko)
US4159200A (en) Air nozzle assembly for use in apparatus for producing glass fibers
JP2000511840A (ja) 送風ノズル
JPH0835189A (ja) 抄紙機のフローボックスのための調量装置
JPS596823B2 (ja) ガラス繊維紡糸用空気ノズル組立体
US4765390A (en) Method of and arrangement for cooling a continuously cast strand
JP2002028537A (ja) 液膜生成用スリットノズル
JPS5920614B2 (ja) ガラス繊維紡糸用空気ノズル組立体
JPS5920615B2 (ja) ガラス繊維紡糸用空気ノズル組立体
US4878280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intermingling filament yarns
EP1105354B1 (en) Fin blade cooler assembly
JPS5920617B2 (ja) ガラス繊維紡糸用空気ノズル装置
US20010042815A1 (en) Assembly of a cooling unit and a mold
CN217127617U (zh) 一种纤维喷丝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