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802Y1 - 배수구용 마개 - Google Patents

배수구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802Y1
KR850001802Y1 KR2019830010114U KR830010114U KR850001802Y1 KR 850001802 Y1 KR850001802 Y1 KR 850001802Y1 KR 2019830010114 U KR2019830010114 U KR 2019830010114U KR 830010114 U KR830010114 U KR 830010114U KR 850001802 Y1 KR850001802 Y1 KR 8500018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hole
drainage
inner cylind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10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764U (ko
Inventor
박수남
Original Assignee
박수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남 filed Critical 박수남
Priority to KR2019830010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802Y1/ko
Publication of KR8500037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7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8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8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14Stoppers for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수구용 마개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배수구용 마개로서, 구중 일부는 절개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좌측면도로서, 일부는 절개되어 있고,
제3도는 제1도의 a-a선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2 : 내통
3 : 바닥면 5 : 가로살
7 : 마개 8 : 괘공
9 : 활동구멍 9a : 측면
10 : 막대 11 : 스프링받이
12 : 탄성간 13 : 걸림돌기
14 : 경사돌기 14a : 측면
16 : 코일 스프링
본 고안은 세면대, 욕조등의 배수구용 마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마개를 하향으로 누르면 배수구가 막히고 옆으로 비틀었다가 놓으면 저절로 배수구가 열리는 장치를 가진 개량된 배수구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배수구용 마개로서 당초에 출현됐던 것은 상광하협상의 단순구조를 가진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 마개에 끈을 달아 세면라든가 혹은 욕조의 적소에 고정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마개의 결점은 끈으로 붙잡아두지 않으면 사용도중에 잃어버릴 우려가 많다.
그리고 끈으로 묶어두는 경우 세수를 할때 혹은 목욕을 할때 그것이 장애물이 될 수도 있으며, 특히 욕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현상 즉, 마개가 배수구에 너무 꽉 끼는 바람에 배수시 마개를 뽑기가 매우 힘든 불편이 있다.
이같은 점을 고려한 고안 가운데 양식 세면대에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금속성 배수구 마개 및 일련의 쇠막대 구성물로 조합된 것이 있다. 그런데 이런한 배수구 개폐장치는 시중 거래에서 고가로 거래되는 관계로 도난을 당하는 사례가 빈번하였으며, 세면대에 담긴 물의 양이 적어서 수압이 약할 때에는 흔히 배수구 개폐장치의 구조상이며 비롯된 결함과 하방으로 치우친 중량감 때문에 배수구 폐쇄 상태를 지탱하고 못하고 저절로 틈이 생기거나 아예 열려서 물이 새어 귀리는 폐단이 있었다. 물론 시공도 복잡한 감이 없지 않다.
본 고안은 바로 이와 같은 종래의 배수구용 마개 또는 개폐장치가 갖고 있던 문제점을 극복하여 폐쇄상태를 확실하게 하고 개폐가 용이하여 도난의 위험도 없을뿐만 아니라 가볍고 염가 보급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통(1)은 위 아래가 개방된 원통형상이고, 이 한복에는 가로살(5)에 의해 지지된 내통(2)이 있다. 이 내통(2)의 바닥면(3)에는 통공(4)이 뚱려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외통(1)과 내통(2)간에는 환형 배수공간부(6)가 형성되어 있다.
내동(2)에는 또, 주벽 적소에 이후 설명한 마개(7)의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걸림돌기가 걸러질 괴공(8)과 이 아래쪽에 걸림 해제용 경사돌기가 활동할 수 있는 상협하광형 활동구멍(9)이 뚫려있다.
마개(7)의 저면 중앙에는 막대(10)가 현설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내통(2)의 내경과 일치하는 원형 스프링받이(11)가 있으며, 이와 함께 상기 내통(2)의 괘공(8)과 활동구멍(9)을 향하여 상방에 걸림돌기(13)와 하방부에 경사돌기(14)를 가진 탄성간(12)이 상기 막대(10)의 아랫끝에 이어 상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원형 스프링긴이(11)와 내통(2)의 바닥면(3) 사이에 압축코일 스프링(16)이 장재되어 있어서 마개(7) 전체를 탄력적으로 떠받치고 있다.
그리고 경사돌기(14)의 양 측면(14a)은 선단을 향해 점차 좁아지는 경사면으로 되어있고, 그 앞면에 보조안내돌기(1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1도에 보는 봐와 같이, 괘공(8)에 걸림돌기(13)가 걸려 괘정되므로서 마개(7)의 저면(7a)의 외통(1)의 상면(1a)에 맞닿아 배수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마개(7) 상면을 손가락으로 누름과 동시 좌측 혹은 우측으로 틀면 탄성간(12)도 마개(7)를 트는 쪽으로 움직인다.
이때 경사돌기(14)의 측면(14a)은 활동구멍(9)의 경사측면(9a)에 접촉됨에 따라 탄성간(12)은 막대(10)쪽으로 오므라든다.
그리하여 괘동(8)에 걸려있던 걸림돌기(13)도 괘공(8)을 벗어나게 되며, 걸림돌기(13)가 괘공(8)을 벗어나는 순간 코일스프링(16)의 탄력에 의하여 마개(7) 전체가 상승되므로써 외통(1)과 마개(7) 사이에 공간이 트이고 이 공간을 통하여 배수가 개시되는 것이다.
마개(7)가 코일스프링(16)에 의하여 탄발 상승할 때에는 활동구멍(9)의 측면(9a)이 윗쪽으로 내향 경사져 있어서 경사돌기(14)를 괘공(8)과 같은 수직선상에 놓이도록 안내해 주므로 이후 재차 배수구의 폐쇄상태를 유지할 걸림돌기(13)는 정위치 즉, 괘공(8)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상에 정확히 놓이게 된다.
마개(7)를 열고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그대로 마개(7)를 누르면 제1도와 같이 걸림돌기(13)가 괘공(8)에 걸려 지탱되어 배수구 폐쇄상태를 견고하고 확실하게 지탱하게 되는 것이다.
경사돌기(14) 전방에 덧댄 보조 안내돌기(15)는 상기 경사돌기(14)가 활동구멍(9)의 측면(9a)에 지나치게 밀려 들어감으로서 생길 작동 불능상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마련한 것이다.
그리고, 마개(7)의 폐쇄상태를 더욱 안정성 있게 하려면 외통(1)의 상면(1a)에 플랜지를 형성함이 없이 내향 경사지게 하고 마개(7)의 저면(7a)도 이에 상응하는 경사부로 하여 접촉력을 강화할 수도 있고, 한편으로는 마개(7)의 저면 또는 외통(1) 상면에 탄력성 재질 예컨데, 합성고무 상면을 덧댈수도 있다. 또, 시공시에 기존 욕조나 세면대의 배수관 내면 적소에 턱을 만들고 본 고안의 내통 혹은 외통과의 사시에 강력 접착제를 도포하여 붙이면 온전하게 꺼낼 수 없으므로 도난사고 방지에도 효과적이며, 코일스프링(16)을 제외한 모든 요소는 합성수지재로 성형하므로 경량성이며 싼값으로 만들어 제공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최대의 장점은 배수구를 손쉽게 개폐할 수 있다는 것과, 폐쇄상태를 확실하고 견고하게 유지 할 수 있다는 이 두 가지이다.

Claims (1)

  1. 외통(1)의 내부 중앙에 상부가 개방된 내통(1)을 설치하여 가로살(5)에 의해 재탱되게 하고, 상기 내통(2)의 주벽에다가 괘공(8)과 경사 측면(9a)을 갖는 상협 하광형 활동구멍(9)을 상하에 형성하며, 마개(7)의 저면(7a) 중앙에 막대(10)를 현설하고, 이 막대(10)의 하단에 형성된 스프링받이(11)의 상면에다가 상기 괘공(8)과 활동구멍(9)에 상대되는 걸림돌기(13)와 경사돌기(14)를 가진 탄성간(12)을 직립설치하며 스프링 받이(11)와 내통(2)의 바닥면(3)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16)을 장탄하여서 된 배수구용 마개.
KR2019830010114U 1983-11-29 1983-11-29 배수구용 마개 KR8500018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0114U KR850001802Y1 (ko) 1983-11-29 1983-11-29 배수구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0114U KR850001802Y1 (ko) 1983-11-29 1983-11-29 배수구용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764U KR850003764U (ko) 1985-07-08
KR850001802Y1 true KR850001802Y1 (ko) 1985-08-28

Family

ID=7016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10114U KR850001802Y1 (ko) 1983-11-29 1983-11-29 배수구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80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537A (ko) * 2018-02-23 2019-09-02 주식회사 명성 2중팬을 적용한 스마트 선풍기
KR102621413B1 (ko) * 2023-04-05 2024-01-09 이형칠 세면대용 올인원 팝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537A (ko) * 2018-02-23 2019-09-02 주식회사 명성 2중팬을 적용한 스마트 선풍기
KR102621413B1 (ko) * 2023-04-05 2024-01-09 이형칠 세면대용 올인원 팝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764U (ko) 198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59171A (en) Safety appliance for bathtubs
US2829380A (en) Unitary basket strainer and stopper
KR850001802Y1 (ko) 배수구용 마개
KR200463052Y1 (ko) 착탈식 걸름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레버식 배수장치
CN110029707A (zh) 排水器保护器
KR101496285B1 (ko) 배수구의 마개 장치
KR101841703B1 (ko) 세면대용 폽업장치
KR200405339Y1 (ko) 욕조용 배수트랩
KR200148169Y1 (ko) 세면대
KR0137911Y1 (ko) 배수 트랩
CN211582850U (zh) 一种酒店卫生间淋浴房用的皂液器
US1935361A (en) Waste-pipe stopper
JPH0246520Y2 (ko)
KR200341887Y1 (ko) 세면기용 수도꼭지
KR920002371Y1 (ko) 유출량 조절식 양변기 세척액 용기
KR100939693B1 (ko)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
KR200344034Y1 (ko) 수저통
JP3104134U (ja) 洗面器のごみ捕集装置
KR890009096Y1 (ko) 세면기의 배수관에 세면도구 용기의 설치구조
KR200344231Y1 (ko) 배수구구조
KR910009327Y1 (ko) 목용실용 문지방
JP2023005971A (ja) 排水口カバー
KR200155090Y1 (ko) 냉온수기의 생수통 접속시 낙수방지 장치
KR200183418Y1 (ko) 개폐용 고무다라.
KR970005495Y1 (ko) 세면기용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