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796B1 -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796B1
KR850001796B1 KR1019840006213A KR840006213A KR850001796B1 KR 850001796 B1 KR850001796 B1 KR 850001796B1 KR 1019840006213 A KR1019840006213 A KR 1019840006213A KR 840006213 A KR840006213 A KR 840006213A KR 850001796 B1 KR850001796 B1 KR 850001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hydrocarbostyryl
melting point
piperazinyl
group
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304A (ko
Inventor
가즈오 반노
다까후미 후지오까
마사아끼 오사끼
가즈유끼 나까가와
Original Assignee
오오쓰까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오오쓰까 아끼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쓰까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오오쓰까 아끼히꼬 filed Critical 오오쓰까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40006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796B1/ko
Publication of KR850003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Quinolin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I)로 표시되는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일반식에서,
R1은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페닐-저급알킬기, 저급알케닐기, 저급알키닐기를 나타내고, A는 식
Figure kpo00002
또는
Figure kpo00003
로 표시되는 기, 또는 식
Figure kpo00004
또는
Figure kpo00005
(여기서, R2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기임)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며, B는 저급알킬렌기를 나타내며,
ℓ은 A가 식
Figure kpo00006
또는
Figure kpo00007
일 경우 1이거나 또는
A가 식
Figure kpo00008
또는
Figure kpo00009
일 경우 2이며,
Z는 식
Figure kpo00010
또는
Figure kpo00011
(여기서, R3는 페닐기상에 할로겐원자, 저급알킬기, 저급알콕시기, 저급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저급알킬티오기, 저급알카노일기, 수산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및 시아노기 중에서 선택된 치환체를 1내지 3개 갖는 치환-페닐기이며, 또는 R3는 페닐기상에 치환체로서 저급알킬렌디옥시기를 갖는 치환페닐기, 페닐-저급알킬기 또는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틸기와 같은 테트라리닐기이고 ; R4는 페닐기상에 할로겐원자, 저급알킬기 또는 저급알콕시기 중에서 선택된 치환체를 1내지 3개 갖는 치환-페닐기이며, 또는 R4는 페닐기상에 치환체로서 저급알킬렌디옥시기를 갖는 치환-페닐기, 페닐-저급알킬기, 1,2,3,4-데트라히드로나프틸기 또는 식
Figure kpo00012
로 표시되는 기이며, R5는 수소원자, 수산기 또는 저급알카노일기이며, R5가 수소원자인 경우에는 피페리딘환상의 제3위와 4위 사이의 탄소-탄소결합은 피페리딘환상의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결합된 수소원자들인 탄수소된 2중 결합임)로 표시되는 기이며, 카르보스티릴 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탄소 결합은 단일 또는 2중 결합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보스티릴 유도체는 항히스타민 효과 및 중추신경계 조절효과가 있기 때문에 항히스타민제 및 중추신경조절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보스티릴 유도체는 장기간 다른 위들과 격리시킨 쥐들에 있어서의 도전 운동에 대한 강한 조절작용이 있기 때문에 강한 항도전 작용을 갖는 화합물로서 공지되어 왔던 다이아제팜(Diazepam)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는 쥐의 도전운동에 대한 조절작용이 현저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특히 진정제, 항우울제, 항조울증제로서 아주 유용한 것이다. 상기 효과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마취제와 최면제와 병용할 경우에는 마취 및 최면을 증가시켜주는데 강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상기 쥐의 도전작용을 강하게 조절해주는 효과 이외에도 전마취제 및 유발최면제로서도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중추신경 조절작용에 대하여 근육이완작용, 눈썹탈수작용, 저체온작용, 자발운동 조절작용, 후신경색구를 적출시킨 쥐(OB-쥐)에 대한 자발운동 과잉조절작용, 항메타페타민작용, 메타테타민기 독성 저하작용, 진통작용 및 항에피네프린작용 등과 같은 여러가지의 약리작용을 가질뿐만 아니라, 항콜린작용, 심장기능억지작용 및 카탈렙시 유발작용은 약하게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종래의 중추신경계 조절제에 의해 나타나는 갈증, 변비, 빈박, 진전마비증 및 운동곤란지체증 등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나는 일이 없이 중추신경이완제, 최면유발제, 수술전약제, 정신분열증 치료제, 진정제, 항우울제, 해열제, 진통제 및 감압신경제 등의 중추신경계 조절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또한 다음의 특성을 갖는 항히스타민 작용이 있기 때문에 항히스타민제로서도 유용하다.
여러가지의 의학 및 약학지 예를들면 굳맨-길맨(Goodman-Gilman's) "약학지(Pharmacology)(제1권", "약물치료의 기초와 임상(Fundamental and clinic of Pharmacotherapy)", 제781 내지 835페이지 [Hirokawa Shoten Co. 발간(1974)] ; 히사시우노(Hisashi Uno)의 "신응용 약리학(New Applied Pharmacology)", 제307 내지 319페이지[Nagai Shoten Co. 발간(1970)]; "신약과 임상(Journal of New Remedies & Clinic) 제20권, No11, 제 129 내지 133페이지(1971) ; 및 "기초와 임상(Laboratory and Clinic)", 제10권, No 10, 제17 내지 27페이지(1976)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반으로 항히스타민제는 알레르기에 있어서의 항원-항체반응으로 생성되는 결합형 히스타민의 단리를 억제하지 않으나, 활성형 히스타민과 히스타민 수용체와의 결합을 억제하여 항히스타민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과 히스타민 수용체와의 결합으로 생기는 여러가지의 알레르기성 질병 및 증상, 이를테면 재채기, 코감기, 눈 코 및 목 등의 자상과 같은 호흡기기도의 알레르기증상, 고초열, 화분증, 급성두드러기(가려움, 습진, 발적확장 등), 혈관부종, 소양종, 아토피성 피부염, 곤충자상, 접촉성 피부염, 이를테면 "우루시 가브레"(ivy poisoning), 혈청병의 두드러기 및 부종장애, 알레르기성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또는 각막염 등의 치료제 및 예방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과는 다른 오오타코이드류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조직과민증을 치료하는데 있어서의 보조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보스티릴 유도체는 위액 분비의 활성을 측정하는데 있어서의 진단시약으로서도 사용할 수가 있다.
카르보스티릴 유도체류 몇가지는 항염증 효과, 혈소판응집 억제효과, 중추신경계 조절효과 및 β-부신신경 차단효과 등의 유용한 약리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 공지된 문헌, 이를테면 미합중국 특허 공고번호 제3994900호와 4147869호, 독일연방공화국 공개 특허 공고번호 제2302027호와 2711719호, 및 일본국 공개특허 공고번호 제106977호/1975와 제142576호/1975에 기술되어 있으나, 이들 카르보스티릴 유도체가 항히스타민 효과를 갖는다는 것에 대해서 전술한 공지의 문헌상에는 기술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항히스타민 효과를 갖는 다른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에 대해서는 다른 공지의 문헌, 이를테면 독일연반공화국 공개특허 공고번호 제2912105호, 일본국 공개특허 공고번호 제16478호/1979, 2693호/1980, 89221호/1980 및 89222호/1980에 기술되어 있으나, 이들 공지의 문헌상의 항히스타민 효과를 갖고 있는 이들 카르보스티릴 유도체는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와는 치환기의 종류 및 치환위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것이다.
또한 유럽 특허출원번호 제5828호에는 정신작용제와 심장혈관제로서 유용한 페닐피페라지노-프로폭시-인들린 또는 퀴놀린 유도체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으며, 유럽 특허출원번호 제6506호에는 항알레르기약으로서 유용한 피페라지닐-알콕시퀴놀린 유도체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공지의 유도체는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와 치환되는 측쇄기의 종류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는 이들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에 있어서의 측쇄로 주로 산소결합(-O-)을 통하여 카르보스티릴 골격의 벤젠환상에 결합되는 것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 따른 화합물에 있어서의 측쇄는 구조식
Figure kpo00013
로 표시되는 기를 통하여 카르보스티릴골격의 제5위 내지 제8위에 결합된다.
또한 유용한 약리효과를 갖는 카르보스티릴류 몇가지가 기타 공지의 문헌, 이를테면 일본국 공개특허 공고번호 제118771호/1976, 제118772호/1976, 제9777호/1978 및 일본국 특허 공고번호 제12515호/1978, 제12516호/1978 및 제16478호/1979상에 기술되어 있는데, 상기 공지의 문헌상의 카르보스티릴 유도체류에 있어서의 측쇄와 카르보스티릴골격 사이의 결합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서와 유사하다. 그러나, 상기 공지의 유도체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과 치환되는 측쇄기의 종류에 있어서 다르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A"로 정의되는 구조식
Figure kpo00014
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은 간장에 대한 부작용이 상당히 적으며, 생체내에서 용이하게 동화될 수 있고, 단시간 활성형 중추신경계 조절제 및 항히스타민제로서 작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류 중에서도 "Z"로 정의되는 구조식
Figure kpo00015
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은 최면 유발제 및 수술전약제로서 유용하다.
일반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A"가 구조식
Figure kpo00016
로 표시되는 기를 가지며, "Z"가 구조식
Figure kpo00017
으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은 상당히 지독성이며, 장시간동안 강한 중추신경계 조절 활성을 나타낸다. 또 전술한 화합물은 항에피네프린 효과 및 항도파민 효과가 있기 때문에 정신분열증 치료제 및 진통제로서 특히 유용하다.
일반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Z"가 구조식
Figure kpo00018
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은 중추신경계 조절활성은 약하나, 선택적인 항히스타민작용이 있기 때문에 항히스타민제로서 유용하다.
본 명세서상에 있어서 각각의 부호 A, B, R1, R2, R4및 R5로 정의되는 특징예를 기술하면 하기와 같다.
"저급알콕시 카르보닐기"의 용어는 알킬기가 탄소원자 1 내지 6개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의 알콕시 카르보닐기를 의미하며, 이들의 예로서는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부톡시카르보닐, 제 3 부톡시카르보닐, 펜틸옥시카르보닐 및 헥실옥시카르보닐기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저급알킬기"의 용어는 탄소원자를 1내지 6개 갖는 직쇄 또는 측쇄의 기인 알킬티오기를 의미하며, 이들의 예로서는 메틸티오, 에틸티오, 프로필티오, 이소-프로필티오, 부틸티오, 제3부틸티오, 펜틸티오 및 헥실티오기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저급알킬기"의 용어는 탄소원자를 1 내지 6개 갖는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기를 의미하며, 이들의 예로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제3부틸, 펜틸 및 헥실기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페닐-저급알킬기"의 용어는 알킬렌기가 탄소원자 1 내지 6을 갖는 직쇄 또는 측쇄의 페닐-알킬기를 의미하며, 이들을 예시하면 벤질, 2-페닐에틸, 1-페닐에틸, 3-페닐프로필, 4-페닐부틸, 1,1-디메틸-2-페닐에틸, 5-페닐펜틸, 6-페닐헥실 2-메틸-3-페닐프로필기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저급알케닐기"의 용어는 탄소원자 2 내지 6개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키닐기를 의미하며, 이들의 예로서는 비닐, 알틸, 2-부테닐, 3-부테닐, 1-메틸알틸, 2-펜테닐 및 2-헥세닐기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저급알키닐기"의 용어는 탄소원자 2내지 6개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의 알케닐기를 의미하며, 이들의 예로서는 에티닐, 2-프로피닐, 2-부티닐, 3-부티닐, 1-메틸-2-프로피닐, 2-펜티닐 및 2-헥시닐기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할로겐원자"의 용어는 플루오르, 염소, 브롬 및 요오드원자를 의미한다.
"저급알콕시기"의 용어는 알킬기가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의 알콕시기를 의미하며, 이들의 예로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제3부톡시, 펜틸옥시 및 헥실옥시기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저급알카노일기"의 용어는 탄소원자 1 내지 6개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의 알카노일기를 의미하며, 이들의 예로서는 포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펜타노일, 제3부틸카르보닐 및 헥사노일기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저급알킬렌기"의 용어는 탄소원자 1 내지 6개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렌기를 의미하며, 이들의 예로서는 메틸렌, 에틸렌, 트리메틸렌, 2-메틸트리메틸렌, 2,2-디메틸브티메틸렌, 1-메틸트리메틸렌, 메틸메틸렌, 에틸메틸렌, 테트라메틸렌, 펜타메틸렌 및 헥사메틸렌기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페닐환상에 할로겐원자, 저급알킬기, 저급알콕시기로 구성되어 있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치환체를 1 내지 3개 갖는 치환-페닐기, 또는 치환체로서 저급알킬렌디옥시기를 갖는 치환-페닐기"의 용어는 페닐환상에 할로겐원자, 탄소원자 1 내지 6개를 갖는 알킬기, 탄소원자 1 내지 6개를 갖는 알콕시기로 구성되어 있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치환체를 1 내지 3개 갖는 치환-페닐기 또는 페닐환상에 1 내지 4개의 알킬렌디옥시기를 갖는 치환-페닐기를 의미하며, 이들의 예로서는 페닐, 2-클로로페닐, 3-클로로페닐, 4-클로로페닐, 2-플루오로페닐, 3-플루오로페닐, 4-플루오로페닐, 2-브로모페닐, 3-브로모페닐, 4-브로모페닐, 2-요오도페닐, 4-요오드페닐, 3,4-메틸렌디옥시페닐, 3,4-에틸렌디옥시페닐, 3,4-트리메틸렌디옥시페닐, 2,3-메틸렌디옥시페닐, 3,5-디클로로페닐, 2,6-디클로로페닐, 3,4-디클로로페닐, 3,4-디플루오로페닐, 3,5-디브로모페닐, 3,4,5-트리클로로페닐, 2-메틸페닐, 3-메틸페닐, 4-메틸페닐, 2-에틸페닐, 3-에틸페닐, 4-에틸페닐, 3-이소프로필페닐, 4-헥실페닐, 4-에틸페닐, 3-이소프로필페닐, 4-헥실페닐, 3,4-디메틸페닐, 2,5-디메틸페닐, 3,4,5-트리메틸페닐, 2-메톡시페닐, 3-메톡시페닐, 4-메톡시페닐, 2-에톡시페닐, 3-에톡시페닐, 4-에톡시페닐, 4-이소프로폭시페닐, 4-헥실옥시페닐, 3,4-디메톡시페닐, 3,4-디에톡시페닐, 3,4,5-트리메톡시페닐 및 2,5-디메톡시페닐기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페닐환상에 할로겐원자, 저급알킬기, 저급알콕시기, 저급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저급알킬티오기, 저급알카노일기, 수산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및 시아노기 중에서 선택되는 치환체 1 내지 3개를 갖는 치환 페닐기, 또는 페닐환상에 치환체로서 저급알킬렌디옥시기를 갖는 치환-페닐기"의 용어는 페닐환상에 할로겐원자, 탄소원자 1 내지 6개를 갖는 저급알킬기, 탄소원자 1 내지 6개를 갖는 저급알콕시기, 탄소원자 1 내지 6개를 갖는 저급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탄소원자 1 내지 6개를 갖는 저급알킬티오기, 탄소원자 1 내지 6개를 갖는 저급알카노일기, 수산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및 시아노기 중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치환체를 갖는 치환-페닐기 또는 페닐환상에 치환나체로서 탄소원자 1 내지 4개를 갖는 저급알킬렌디옥시기를 갖는 치환-페닐기를 의미하며, 이들의 예로서는 페닐, 2-클로로페닐, 3-클로로페닐, 4-클로로페닐, 2-플루오로페닐, 3-플루오로페닐, 2-브로모페닐, 3-브로모페닐, 4-브로모페닐, 2-요오드페닐 4-요오드페닐, 3,5-디클로로페닐, 2,6-디클로로페닐, 3,4-디클로로페닐, 3,4-디플루오로페닐, 3,5-디브로모페닐, 3,4,5-트리클로로페닐, 2-메틸페닐, 3-메틸페닐, 4-메틸페닐, 2-에틸페닐, 3-에틸페닐, 4-에틸페닐, 3-이소프로필페닐, 4-헥실페닐, 3,4-디메틸페닐, 2,5-디메틸페닐, 3,4,5-트리메틸페닐, 2-메톡시페닐, 3-메톡시페닐, 4-메톡시페닐, 2-에톡시페닐, 3-에톡시페닐, 4-에톡시페닐, 4-이소프로폭시페닐, 4-헥실옥시페닐, 3,4-디메톡시페닐, 3,4-디에톡시페닐, 3,4,5-트리메톡시페닐, 2,5-디메톡시페닐, 2-카르복시페닐, 3-카르복시페닐, 4-카르복시페닐, 3,4-디카르복시페닐, 2-메톡시카르보닐페닐, 3-메톡시카르보닐페닐, 4-메톡시카르보닐페닐, 2-에톡시카르보닐페닐, 3-에톡시카르보닐페닐, 4-에톡시카르보닐페닐, 4-이소프시카르보폭로닐페닐, 4-헥실카르보닐페닐, 3,4-디에톡시카르보닐페닐, 2-메톡시티오페닐, 3-메틸티오페닐, 4-에틸티오페닐, 2-에틸티오페닐, 3-에틸티오페닐, 4-에틸티오페닐, 4-이소프로필티오페닐, 4-헥실티오페닐, 3,4-디메틸티오페닐, 2-아세틸페닐, 3-아세틸페닐, 4-아세틸페닐, 4-포르밀페닐, 2-프로피오닐페닐, 3-부티릴페닐, 4-헥사노일페닐, 3,4-디아세틸페닐, 2-니트로페닐, 3-니트로페닐, 4-니트로페닐, 2,4-디니트로페닐, 2-아미노페닐, 3-아미노페닐, 4-아미노페닐, 2,4-디아미노페닐, 2-시아노페닐, 3-시아노페닐, 4-시아노페닐, 2,4-디시아노페닐, 3,4-메틸렌디옥시페닐, 3,4-에틸렌디옥시페닐, 2,3-메틸렌디옥시페닐, 3-메틸-4-클로로페닐, 2-클로로-6-메틸페닐, 2-메톡시-3-클로로페닐, 2-히드록시페닐, 3-히드록시페닐, 4-히드록시페닐, 3,4-디히드록시페닐 및 3,4,5-트리히드록시페닐기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여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데, 바람직한 제조예를 하기 반응 공정식-1에 의해 서술하겠다.
출발물질로서 사용되는 화합물은 공지의 화합물이거나 또는 신규의 화합물을 모두 사용할 수가 있는데, 이들 화합물은 하기의 반응공정식 1 내지 9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반응공정식-1에 있어서 또 하나의 출발물질로서 사용되는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공지의 화합물이며, 일본국 공개특허 공고번호 제2693호/1980, 제160389호/1979 또는 독일연방공화국 공개특허 공고번호 제2912105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또는 이들 공지의 문헌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반응공정식-1]
Figure kpo00019
(상기식에서, X'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R7는 저급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르알킬기를 나타내며, R', B, X, 및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탄소이중결합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반응공정식-1에 있어서 일반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도 A가 구조식
Figure kpo00020
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일반식(2a)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일반식(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5)로 표시되는 표시되는 공지의 화합물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일반식(4)로 표시되는 공지의 화합물을 일반식(7)로 표시되는 공지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얻어지는 일반식(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다음에 일반식(9)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제조한다. 일반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도 A가 구조식
Figure kpo00021
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일반식(2b)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일반식(2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소화붕소나트륨과 반응시켜 제조한다.
일반식(4)로 표시되는 화합물(4)과 일반식(5)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은 소위 프리델-크래프트반응으로서, 이 반응은 루이스산 존재하의 용매중에서 수행하며, 이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이와같은 형식의 반응에 사용되는 통상의 용매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가 있는데, 이들 용매를 예시하면, 이황화탄소, 니트로벤젠,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에탄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루이스산으로서는 이 종류의 반응에 사용되는 산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가 있는데, 이들의 예로서는 염화알루미늄, 염화아연, 염화제이철, 염화제이주석, 삼브롬화붕소, 삼플루오르화붕소, 다염기산, 농황산을 열거할 수가 있다. 일반식(4)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한 루이스산의 사용 비율은 임의로 선정할 수 있으나, 통상 2 내지 6배몰양,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배 몰양이다. 일반식(4)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한 일반식(5) 또는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양의 비율은 후자에 대하여 전자를 통상 등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배 몰양으로 사용한다. 반응온도는 임의로 선정할 수 있으나, 통상 20°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40°내지 70℃하에서 수행한다. 반응 시간은 출발물질, 촉매 및 반응온도에 따라 변화되나 일반으로 0.5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6시간 동안 수행한다.
일반식(4)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7)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은 일반식(4)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5) 또는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에서 채용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수행한다.
일반식(8)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9)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은 탈산제 존재하의 적당한 불활성 용매 중에서 일반으로 -30°내지 5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실온하에 1 내지 12시간 수행한다. 일반식(9)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한 일반식(8)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비율은 광범위하게 선정되나, 일반으로 전자에 대하여 후자를 등몰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배몰양으로 사용한다.
불활성용매로서는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등과 같은 할로겐화탄화수소, 벤젠, 톨루엔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피리딘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일반식(9)에 있어서 기호 R7로 정의되는 아틸기의 예로서는 페닐, 4-메틸페닐, 2-메틸페닐, 4-니트로페닐, 4-메톡시페닐, 3-클로로페닐, 나프틸기 등과 같은 치환 또는 비치환 아틸기와 벤질, 2-페닐에틸, 4-페닐부틸, 4-메틸벤질, 2-메틸벤질, 4-니트로벤질, 4-메톡시벤질, 4-클로로벤질, α-나프틸메틸기 등의 치환 또는 비치환 아르알킬기를 예시할 수가 있다.
일반식(8)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할로겐화제와의 반응은 적당한 불활성 용매중에서 수행한다. 본 반응에 사용되는 할로겐화제로서는 N,N-디에틸-1,2,2-트리클로로비닐아미드, 오염화인, 오브롬화인, 옥시염화인, 염화티오닐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불활성용매로서는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탄 등과 같은 에테르, 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등과 같은 염소화탄화수소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할로겐화제에 대한 일반식(8)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비율은 전자에 대하여 후자를 2배몰 이상, 통상 과잉량으로 사용한다. 본 반응은 통상 실온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실온 내지 70℃에서 1 내지 24시간동안 수행한다.
일반식(2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수소화붕소나트륨과의 반응은 -6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실온하의 적당한 용매중에서 10분 내지 약 3시간동안 수행한다. 불활성 용매로서는 물, 저급알콜(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 에테르(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탄)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일반식(2a)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한 수소화붕소나트륨량의 비율은 전자에 대하여 후자를 동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배 몰량으로 사용한다.
[반응공정식-1a]
Figure kpo00022
(상기식에서, R1, R7, B, X, X' 및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결합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일반식(41)에 있어서 구조식
Figure kpo00023
로 표시되는 기의 치환 위치는 수산기에 대하여 오르토 또는 파라위에 위치한다.
일반식(39)로 표시되는 공지의 화합물과 일반식(5)로 표시되는 공지의 화합물과의 반응은 촉매로서 통상 루이스산, 예를들면 염화알루미늄, 염화아연, 염화제 2철, 염화제 2주석 등의 존재하에 수행한다. 본 반응의 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수행할 수 있으며, 용매로서는 이황화탄소, 니트로벤질, 에테르, 디옥산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본 반응에 있어서 히드록시카르보스티릴 양에 대한 할로게노아세틸 할로겐화물 양의 비율은 전자에 대한 후자를 등몰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배 몰양으로 사용한다. 본 반응에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60℃ 온도에서 수행한다.
일반식(4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전위 반응은 일반으로 프리스 전위로 알려지고 있는데, 이 반응은 촉매로서 통상 루이스산, 예를들면 염화알루미늄, 염화아연, 염화 제2철, 염화제 2주석 등의 존재하에서 수행한다. 본 반응은 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수행할 수가 있으며, 용매로서는 이황화탄소, 니트로벤질,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본 반응은 실온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50°내지 100℃에서 수행하며, 본 반응은 할로게노아세틸 할로겐화물의 존재하에 수행할 수도 있다.
일반식(4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9)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은 일반식(4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 등과 같은 알카리금속수소화물, 나트륨아미드, 칼륨아미드 등의 알카리금속아미드, 칼륨금속, 나트륨금속 등의 알카리금속,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칼륨에톡시드 등의 알카리금속알콕시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등의 알카리금속수산화물 또는 n-부티릴튬과 같은 금속알킬과 반응시켜 카르보스티릴환의 수산기를 상응하는 알카리금속염에 도입시킴으로서 수행한다. 알카리금속염을 얻기 위한 반응은 적당한 용매, 예를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n-헥산, 시클로헥산, 에테르게 용매(디에틸에테르, 1,2-디메톡시에탄,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탄). 비양성자성용매(디메틸포름아미드, 헥산메틸포스포릴트리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등)중에서 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실온하에 30분 내지 5시간 동안 수행한다. 다음에 이와 같이하여 얻어지는 히드록시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알카리금속염은 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실온하에서 일반식(9)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1 내지 5시간동안 반응을 수행하는 일반식(4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얻어진다. 일반식(4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양에 대한 알카리금속수산화물 또는 알카리금속수산화물의 양의 비율은 전자에 대하여 후자를 일반으로 1.0 내지 5배 몰량으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배 몰량으로 사용한다. 일반식(4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양에 대한 일반식(9)로 표시되는 화합물 양의 비율은 전자에 대하여 후자를 일반으로 1.0 내지 5.0배 몰량으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배 몰량으로 사용한다.
일반식(42)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한 할로겐화반응은 물, 10% 금속수산화물 수용액,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등의 용매 중에서 수행한다. 본 수소첨가 반응은 팔라듐흑, 팔라튬탄소, 라니-닉켈 등의 존재하에서 수행하며, 상압 내지 10기압, 바람직하게는 수소가스 기류하의 상압하의 0℃ 내지 40℃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5 내지 20시간동안 진탕 또는 교반하면서 수소 첨가 촉매로서 20%팔라듐탄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반응은 일반식(42)로 표시되는 화합물 양에 대한 팔라튬탄소를 0.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또는 10 내지 20%양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공정식-1b]
Figure kpo00024
(상기식에서, R1, R7, ℓ, X, X' 및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탄소결합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일반식(44)에 있어서 구조식
Figure kpo00025
로 표시되는 기의 치환위치는 O R8에 대하여 오르토 또는 파라 위에 위치하며, R8는 저급알킬기를 나타낸다.)
일반식(4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5) 또는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은 반응공정식 -1에 있어서 일반식(4)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5) 또는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에서 사용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가 있다.
일반식(4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탈알킬화 반응은 이 화합물을 할로겐화수소와 반응시킴으로서 수행한다.
이 반응에서 사용하는 할로겐화수소로서는 브롬화수소, 염화수소, 요오드화수소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할로겐화수소는 일반으로 적당한 용매중에서 사용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하며는 용매로서 할로겐화 수소산 수용액형으로 사용한다. 바람직한 할로겐화수소로서는 브롬화수소를 열거할 수가 있으며, 통상 10 내지 50%(바람직하게는 47%)의 브롬화수소 수용액을 사용한다. 화합물(44)량에 대한 할로겐화 수소량의 비율은 전자에 대하여 후자를 통상 등몰 또는 과잉량으로, 바람직하게는 과잉량의 할로겐화 수소를 사용한다. 이 반응은 가열조건하에 통상 100℃ 내지 150℃(바람직하게는 가열환류 조건하에)온도에서 5 내지 20시간 동안 바람직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일반식(45)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9)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 및 일반식(4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환원반응은 일반식(4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9)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 및 일반식(4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환원반응에서 사용한 조건과 유사한 조건하에서 수행할 수가 있다.
[반응공정식-2]
Figure kpo00026
[상기식중, B'는 구조식
Figure kpo00027
(단, R2, B 및 ℓ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R1, R2, B, X 및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4위의 탄소-탄소결합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일반식(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탈수반응은 용매중에서 이 화합물을 산 또는 염기성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서 수행한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통상 탈수반응에서 사용되는 용매를 사용할 수가 있으며, 이들 용매를 예시하면 피리딘, 디아세톤알콜, 콜리딘, 디메틸포름아미드, 테트라히드로푸탄, 벤젠술폰산, 벤젠, 크실렌, 무수초산, 초산, 메탄올, 에탄올, 디메틸술폭시드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산으로서는 염산, 황산, 붕산, N-브로모아세트아미드-이산화황, Florisil (분상의 마그네시아-실리카 상품명), 브롬화수소산, 요오드, 염화메시틸-이산화항, 메틸클로로술피드, 나프탈렌-β-술폰산, 수산, 염화포스포릴, 무수푸탈산, 염화티오닐, p-톨루엔술폰산, 염화파라-톨루엔술포닐, 황산수소칼륨, 오산화인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염기성 화합물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을 예시할 수가 있으며, 일반식(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양에 대한 산 또는 염기성 화합물 양의 비율은 전자에 대하여 후자를 통상 등몰 내지 10배몰량으로, 바람직하게는 등몰 내지 8배 몰량으로 사용한다. 이 반응은 일반으로 2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하에서 10분 내지 16시간동안 수행한다.
일반식(2c)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환원조작은 수소첨가환원제를 사용한 환원방법 또는 접촉환원 방법에 의해 수행한다. 수소 첨가 환원제에 의한 환원 방법에 있어서는 수소 첨가 환원제로서 수소화 붕소나트륨, 수소화알루미늄리튬 등, 바람직하게는 수소화붕소나트륨을 사용한다. 일반식(2c)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하여 수소 첨가 환원제는 적어도 등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배 몰량으로 사용한다. 수소 첨가 환원제를 사용하는 환원조작은 적어도 등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배 몰량으로 사용한다. 수소 첨가 환원제를 사용하는 환원조작은 적당한 용매, 예를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과 같은 저급알콜,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 중에서 -60℃ 내지 5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실온하에 10분 내지 3시간동안 수행한다. 환원제로서 수소화알루미늄리튬을 사용하는 환원조작에 있어서의 무수용매의 예로서는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접촉환원의 경우에 있어서의 환원 촉매로서는 산화백금, 팔라듐, 팔라듐탄소, 백금흑, 라니-닉켈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일반식(2c)로 표시되는 화합물량에 대한 촉매량의 비율은 전자에 대하여 후자를 통상 0.2 내지 0.5배 중량을 사용한다.
접촉 환원 조작은 적당한 용매, 예를들면 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에틸에테르 중에서 1 내지 10기압하, 바람직하게는 수소가스 1 내지 3기압하에 잘 진탕하면서 수행한다. 접촉환원 조작은 일반으로 -30℃ 내지 용매의 비점, 바람직하게는 0℃ 내지 실온하에서 수행한다.
상술한 환원 조작에 있어서 약 0℃ 내지 실온의 보다 낮은 온도하에서의 접촉 환원의 경우와 수소 첨가환원제를 사용하는 환원의 경우에는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2중 결합은 실질적으로 환원되지는 않으나,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의 제5내지 8위에 결합된 카르보닐기가 환원되는 화합물이 생성된다. 기호 R3로 정의되는 치환-페닐기의 페닐환상에 치환체로서 할로겐원자, 저급알콕시카르보닐기, 저급알킬티오기, 저급알카노일기, 니트로기 또는 시아노기를 갖는 화합물과 기호 R1로 정의되는 치환체로서 저급알케닐기 또는 저급알키닐기를 갖는 화합물의 환원에 있어서 상술한 기들의 치환체는 동시에 환원되는 몇가지 경우가 있다.
[반응공정식-3]
Figure kpo00028
(상기식에서, R1, R2, B, B', ℓ, X 및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탄소결합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일반식(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환원시켜 일반식(2c)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기 위한 반응은 벤포드-스티븐(Bamford-Stevens)반응이라고 불려지는데, 염기성화합물의 존재하의 적당한 용매 중에서 p-톨루엔술포닐히드라지드와 반응시켜 수행한다. 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코올, 디에틸렌글리코올,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헥산 등을 예시할 수가 있으며, 염기성 화합물로서는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나트륨글리코시드, 수소화알루미늄리튬, 수소화붕소나트륨, n-부틸리튬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일반식(11)로 표시되는 화합물량에 대한 염기성 화합물량의 비율은 전자에 대하여 후자를 일반으로 2배몰 내지 과잉으로 사용한다. 이 반응은 일반으로 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25℃내지 165℃에서 통상 0.5 내지 6시간동안 수행한다.
[반응공정식-4]
Figure kpo00029
(상기식에서, R1, R2, B, B', ℓ, R7, X, X' 및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탄소결합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일반식(1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탈수반응은 일반식(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탈수반응에서 사용한 것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가 있다.
일반식(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9)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은 일반식(8)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9)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에 사용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가 있다. 또 일반식(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할로겐화제와의 반응은 일반식(8)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할로겐화제와의 반응에 사용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가 있다.
[반응공정식-5]
Figure kpo00030
(상기식에서, R1, R2, B, ℓ, X 및 카르보스티골격에 있어서의 탄소-탄소결합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일반식(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환원하여 일반식(2b)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기 위한 환원조작은 하기의 2가지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가 있다.
제1의 방법으로서는 일반식(1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의 카르보닐기를 아연 또는 수은과 농염산에 의해 메틸렌기로 환원시키는 클레멘슨 환원(Clemmensen Reduction)이라고 불려지는 방법이다. 이 반응은 톨루엔 또는 에탄올과 같은 적당한 용매중에서 수행할 수가 있다. 일반식(11)로 표시되는 화합물양에 대한 아연이나 수은양의 비율은 일반으로 전자에 대하여 후자를 통상 10 내지 30배몰,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23배 몰량으로 사용한다. 이 반응은 일반으로 5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230℃에서 약 8 내지 30시간동안 수행한다.
제2의 방법으로서는 일반식(1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의 카르보닐기를 적당한 염기성 화합물 존재하의 적당한 용매중에서 히드라진 수화물에 의해 메틸렌기로 환원시키는 올프-키시너 환원이라고 불려지는 방법이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n-부탄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톨루엔 등을 예시할 수가 있으며, 염기성 화합물의 예로서는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디에틸렌글리코시드, 수산화칼륨, 칼륨 제3-부톡시드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일반식(11)로 표시되는 화합물 양에 대한 염기성 화합물 양의 비율은 전자에 대하여 후자를 2 내지 25배 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2배 몰량으로 사용한다. 또 일반식(11)로 표시되는 화합물량에 대한 히드라진 수화물량의 비율은 전자에 대하여 후자를 2 내지 80배 몰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4배 몰량으로 사용한다. 본 반응은 통상 10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210℃에서 4 내지 60시간동안 수행한다.
[반응공정식-6]
Figure kpo00031
Figure kpo00032
(상기식에서, R1, R2, R7, B, ℓ, X, X' 및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탄소 결합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일반식(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기 위한 일반식(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환원 조작은 반응 공정식-2에서와 같이 일반식(2d)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기 위한 일반식(2c)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환원조작에서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가 있다.
일반식(14)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a)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할로겐화제와의 반응은 반응공정식-1에서와 같이 일반식(2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기 위하여 일반식(8)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9)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할로겐화제와의 반응에 사용되는 유사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할 수가 있다.
[반응공정식-7]
Figure kpo00033
(상기식에서, R1, R2, R7, B, B', ℓ, X, X' 및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탄소결합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일반식(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기 위한 일반식(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환원조작은 환원성 촉매 존재하의 적당한 용매, 예를들면 물, 저급알콜(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에테르(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에틸에테르 등)등 중에서, 일반으로 -30℃ 내지 용매의 비점(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과 수소가스기류의 1 내지 10기압(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기압)하에서 수행할 수가 있다. 이 환원조작에 사용하는 용매로서는 백금산화물, 팔라듐흑, 팔라듐탄소, 라니-닉켈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일반식(15)로 표시되는 화합물양에 대한 촉매량의 비율은 일반으로 전자에 대하여 10 내지 50중량%이다. 본 환원조작은 반응계에 농염산과 같은 산을 첨가시킴으로서 촉진시킬 수가 있다.
일반식(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9)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할로겐화제와의 반응은 반응공정식-1에서와 같이 일반식(2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기 위하여 일반식(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9)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할로겐화제와의 반응에서 사용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가 있다.
[반응공정식-8]
Figure kpo00034
(상기식에서, R1'는 저급알킬기, 페닐-저급알킬기, 저급알케닐기 또는 저급알키닐기를 나타내며,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일반식(17)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아세틸화는 적당한 촉매 존재하의 적당한 용매중에서 이 화합물을 아세틸화제와 반응시킴으로서 수행할 수가 있다. 촉매의 예로서는 황산, 염산, 삼플루오르화붕소, 피리딘, 초산나트륨 등을 열거할 수가 있으며, 용매로서는 초산, 피리딘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또 아세틸화제로서는 초산무수물, 염화아세틸, 2,3-아세톡시피리딘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일반식(17)로 표시되는 화합물양에 대한 아세틸화제양의 비율은 전자에 대하여 후자를 일반으로 1 내지 10배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배몰양으로 사용한다. 본 반응은 통상 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10℃에서 0.5 내지 6시간동안 수행한다.
일반식(18)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19)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은 염기성 화합물 존재하의 적당한 용매중에서 수행할 수가 있다. 염기성 화합물의 예로서는 수소화나트륨, 칼륨금속, 나트륨금속, 나트륨아미드, 칼륨아미드 등을 열거할 수가 있으며, 용매의 예로서는 디옥산, 디에틸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레류 ; 톨루엔, 크실렌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헥사메틸포스포릴트리아미드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일반식(19)로 표시되는 화합물양에 대한 일반식(18)로 표시되는 화합물양의 비율은 후자에 대하여 전자를 일반으로 등몰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배몰 이상으로 사용한다. 반응은 일반으로 -5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실온하에서 통상 0.5 내지 12시간 수행한다.
일반식(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가수분해는 이 화합물을 적당한 용매중에서 산 또는 염기성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서 수행할 수가 있다. 용매로서는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을 열거할 수가 있으며, 산으로서는 염산, 황산 등을 열거할 수가 있고, 염기성 화합물 예로서는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일반식(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양에 대한 산 또는 염기성 화합물 양의 비율은 전자에 대하여 후자를 동물 이상으로, 일반으로 과잉량 사용한다. 반응은 통상 실온 내지 100℃의 온도에서 0.5 내지 5시간 수행한다.
일반식(2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9) 표시되는 화합물(9) 또는 할로겐화제와의 반응은 반응공정식 -1에 있어서와 같이 일반식(2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기 위하여 일반식(8)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9)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할로겐화제의 반응에 사용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하여 제조한 일반식(2e)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의 반응공정식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간에 전환이 가능한데, 즉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 제3위와 제4위 사이에 단일 결합을 갖는 일반식(2f)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 제3위와 제4위 사이에 2중 결합을 갖는 일반식(2g)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전환할 수가 있으며, 이의 역도 성립한다.
[반응공정식-9]
Figure kpo00035
(상기식에서, R1, A, B 및 ℓ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의 반응공정식 -10에 기재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반응공정식-10]
Figure kpo00036
(상기식에서, R1, R3, A, B, ℓ, X 및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탄소 2중 결합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일반식(2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26)으로 표시되는 공지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서 제조할 수가 있다. 일반식(25)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일반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24)로 표시되는 공지의 화합물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일반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22)로 표시되는 공지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생성되는 화합물로부터 벤질기를 탈리시킴으로서 제조한다.
일반식(25)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2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은 염기성 축합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의 적당한 불황성 용매중에서 수행한다. 본 반응의 용매의 예로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3-메톡시-1-부탄올, 에틸셀로솔브, 메탄셀로솔브 등의 알콜류 ; 피리딘, 아세톤,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헥사메틸포스포릴트리아미 등을 열거할 수가 있으며, 염기성 축합제의 예로서는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수산 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 트리에틸아민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본 반응은 촉매로서 구리분말을 첨가시킴으로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일반식(2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양에 대한 일반식(25)로 표시되는 화합물양의 비율은 후자에 대하여 전자를 통상 동물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배물량으로 사용한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실온 내지 180℃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에서 통상 약 3 내지 30시간동안 수행한다.
일반식(2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탈벤질화는 N-벤질기를 제거시키는 통상의 반응 조건하에 수행할 수가 있다. 즉 본 반응은 팔라듐탄소, 팔라듐흑, 백금흑 등과 같은 접촉환원용 촉매의 존재하의 적당한 용매중에서 0℃ 내지 실온하에 0.5 내지 5시간동안 수행할 수가 있다. 본 반응의 용매로서는 물, 저급알콜(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에테르(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 초산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일반식(2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한 접촉환원용 촉매는 통상 10 내지 50중량% 양으로 사용한다. 본 반응은 또 반응계에 촉매로서 농염산과 같은 산을 첨가시킴으로서 촉진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또 하기 반응공정식 -11의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가 있다.
[반응공정식-11]
Figure kpo00037
(상기식에서, X1및 X2는 각각 할로겐원자, 저급알칸술포닐옥시기, 아릴술포닐옥시기, 아르알킬술포닐옥시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며, R1, R3, A, B, ℓ 및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즉, 본 발명의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일반식(2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28)로 표시되는 공지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서 제조한다.
일반식(27)에 있어서 X1및 X2가 할로겐원자, 저급알칸술포닐옥시기, 아릴술포닐옥시기 또는 아르알킬술포닐 옥시기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식(27)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28)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은 일반으로 염기성 축합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의 적당한 불활성 용매중에서 수행한다. 불활성 용매의 예로서는 벤젠, 톨루엔크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저급알콜, 초산, 초산에틸,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헥사메틸포스포릴트리아미드 등을 열거할 수가 있으며, 염기성 축합제의 예로서는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등의 탄산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금속수산화물, 나트륨메틸레이타, 나트륨에틸레이트 등의 금속 알콜레이트, 피리딘과 같은 제3급아민, 트리에틸아민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일반식(28)로 표시되는 화합물양에 대한 일반식(27)로 표시되는 화합물양의 비율은 일반으로 후자에 대하여 전자를 등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배몰 양으로 사용한다. 본 반응은 4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에서 5 내지 30시간동안 수행한다.
일반식(27)에 있어서 X1및 X2가 수산기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식(27)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28)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은 적당한 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탄의 탈수축합제 존재하에서 수행한다. 탈수축합제의 예로서는 폴리인산과 축합인산, 오르토인산, 피로인산, 메타인산 등의 인산, 오산화인과 같은 인산무수물, 염산, 황산, 붕산, 등의 무기산, 인산나트륨, 인산붕소, 인산제 2철, 인산알루미늄, 활성알루미나, 중황산나트륨 등의 금속인산염, 라니-닉켈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또 본 반응의 용매의 예로서는 디메틸포름아미드, 테트랄린 등의 고비점 용매를 들 수가 있다. 일반식(28)로 표시되는 화합물양에 대한 일반식(27)로 표시되는 화합물양의 비율은 후자에 대하여 전자 등몰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배몰양으로 사용한다.
일반식(27)로 표시되는 화합물양에 대해서 탈수 축합제는 일반으로 접촉량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0.5내지 5배 몰량으로 사용한다.
상술한 반응은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 또는 질소가스와 같은 불활성가스의 기류하에서 바람직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본 반응은 상압 또는 상압 이하의 압력에서, 바람직하게는 상압하에서 수행할 수가 있다. 본 반응은 일반으로 100℃ 내지 350℃,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225℃의 온도하에서 약 3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한다. 상기 반응에 있어서 일반식(28)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가 있다.
[반응공정식-12]
Figure kpo00038
(상기식에서, R1, A, B, ℓ, X 및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탄소결합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X1'및 X2'는 각각 할로겐원자, 저급알칸술포닐옥시기, 아릴술포닐옥시기 또는 아르알칸포닐옥시기를 나타낸다.)
[반응공정식-13]
Figure kpo00039
(상기식에서, R1, A, B, ℓ, X, X1, X2및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탄소결합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반응공정식-12에 따르면 일반식(27)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일반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시(3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일반식(3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킨 다음 이 화합물을 할로겐화제 또는 술포에스테르화제와 반응시킴으로서 제조한다.
일반식(3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할로겐화제와의 반응은 반응공정식-4에 있어서 일반식(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할로겐화제와의 반응에 사용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가 있다.
일반식(3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술폰화-에스테르화제와의 반응은 염기성 축합제 존재하의 적당한 불활성용매 중에서 수행한다. 술폰화-에스테르화제의 예로서는 염화메시틸, 브롬화메시틸, 염화토실 등의 할로겐화 알칸술포닐 또는 할로겐화아릴술포닐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또 불활성용매의 예로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탄화수소,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 피리딘,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헥사메틸포스포릴트리아미드 등을 열거할 수가 있으며 염기성 축합체의 예로서는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N, N-디메틸아닐린 등의 제3급아민,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술폰화-에스테르화제에 대한 일반식(31)로 표시되는 화합물양의 비율은 후자에 대하여 전자를 일반으로 2배몰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배 몰양으로 사용하며, 이 반응은 -3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의 온도에서 통상 약 1 내지 15시간동안 수행한다.
반응공정식 -13에 따르면 일반식(27)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일반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32)로 표시되는 공지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서 제조한다. 일반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3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에 사용되는 유사한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의 반응공정식 -14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가 있다.
[반응공정식-14]
Figure kpo00040
R1, R3, A, B, ℓ, X, X1, X2및 카르보스티릴 골격에 있어서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탄소결합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일반식(36)으로 표시되는 카르보스티릴유도체를 일반식(37)로 표시되는 공지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제조한다. 일반식(3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일반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33) 또는 (34)로 표시되는 공지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일반식(3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은 다음에 이 화합물의 탈벤질화 또는 탈아실화를 수행함으로서 제조한다.
일반식(35)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탈벤질화는 N-벤질기의 제거반응에 통상 사용되는 조건하에서 수행할 수가 있다. 이를테면 이 반응은 일반식(35)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탈아실화는 반응공정식-8에서와 같이 일반식(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가수분해에 사용되는 유사한 조건하에서 수행할 수가 있다. 일반식(3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37)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은 반응공정식-11에서와 같이 일반식(27)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28)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에 사용되는 유사한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의 반응공정식-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된다.
[반응공정식-15]
Figure kpo00041
(상기식에서, R1, R3, A, B, ℓ 및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탄소결합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일반식(38)로 표시되는 공지의 카르보스티릴유도체와 일반식(28)로 표시되는 공지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제조한다. 일반식(38)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일반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모르폴린과를 반응시켜 제조한다.
일반식(38)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28)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은 산존재하의 적당한 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중에서 수행한다. 본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고비점 용매를 사용하는데, 이를 예시하면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헥사메틸포스포릴트리아미드 등을 열거할 수가 있으며, 산으로서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등을 예시할 수가 있고, 일반식(28)로 표시되는 화합물양에 대한 일반식(38)로 표시되는 화합물양의 비율은 특정하게 한정되어 있지 않고 광범위한데, 후자에 대하여 전자를 등몰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배 몰양으로 사용한다. 반응은 일반으로 5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할 수가 있다.
이 반응에 있어서의 치환-페닐기상의 치환체로서 저급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시아노기를 갖는 화합물에 있어서는 상기 치환체가 상당하는 카르복실기로 동시에 전환되는 경우가 생기며, 또 치환-페닐기상의 치환체로서 저급알콕시기 또는 저급알킬렌디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에 있어서는 상기 치환체가 상당하는 수산기로 동시에 전환되는 경우가 생긴다.
반응공정식-15에 사용하는 일반식(38)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에서 기호 A로서 구조식
Figure kpo00042
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은 환원에 의하여 구조식
Figure kpo00043
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가 있다. 이 환원 조작은 반응공정식-2에서와 같이 일반식(2c)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환원에 사용되는 조건과 유사한 조건하에서 수행할 수가 있다.
또 반응공정식-15에서 사용하는 일반식(38)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기호 A로서 구조식
Figure kpo00044
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은 환원에 의하여
Figure kpo00045
로 표시되는기를 갖는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가 있다.
본 환원조작은 반응공정식-1에서와 같이 일반식(2a)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환원에 사용되는 유사한 조건하에서 수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또 하기의 반응공정식-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가 있다.
[반응공정식-16]
Figure kpo00046
(상기식에서, R1, R2, B, B1, ℓ, Z 및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탄소결합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일반식(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환원조작은 수소 첨가 환원제를 사용하는 환원 방법 또는 접촉 환원 방법에 의해 수행한다. 수소 첨가 환원제를 사용하는 환원의 경우에 수소첨가 환원제로서는 수소화붕소나트륨 수소화알루미늄리튬, 바람직하게는 수소화붕소나트륨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일반식(1a)로 표시되는 화합물 양에 대한 수소 첨가환원제양의 비율은 전자에 대하여 후자를 등몰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배 몰량으로 사용한다. 수소 첨가환원제를 사용하는 환원은 물, 저급알콜(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에테르(테트라히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등)과 같은 적당한 용매중에서, 일반으로 -6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실온하에 통상 10분 내지 3시간 동안 수행한다. 환원제로서 수소화알루미늄리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무수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 환원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환원 촉매로서 산화백금, 팔라듐흑, 팔라듐탄소, 라니-닉켈 등과 같은 접촉환원용의 통상의 촉매를 사용한다. 일반식(1a)로 표시되는 화합물 양에 대한 촉매량의 비율은 전자에 대하여 후자를 일반으로 0.2 내지 0.5배 중량으로 사용한다. 이 접촉 환원조작은 물, 메탄올, 에탄올, 이스프로판올, 테트라히드로푸란, 에틸에테르 등의 용매와 일반으로 1 내지 10기압,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기압하의 수소가스 기류와의 공존하에 잘 진탕해 주면서 수행한다. 또 이 환원조작은 일반으로 -10℃ 내지 사용하는 용매의 비점하에서 바람직하게는 0℃ 내지 약 실온하에서 수행한다.
이 환원조작을 수소 첨가환원제를 사용하여 0℃ 근처의 저온 내지 실온하에서 수행할 경우에는 일반식(1a)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의 카르보스티릴골격의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은 실질적으로 환원되지 않으며, 촉쇄의 끝에 위치하는 카르보닐기가 환원되는 일반식(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주로 얻을 수가 있다. 상기 환원 반응에 있어서 치환-페닐기상의 치환체 R3가 할로겐원자, 저급알콕시카르보닐기, 저급알킬티오기, 저급알카노일기, 니트로기 또는 시아노기이고, R1이 저급알케닐기 또는 저급알키닐기일 때에는 상기 치환기들이 동시에 환원되는 경우가 생긴다.
일반식(1d)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환원하여 일반식(1c)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기 위한 반응은 반응공정식-2에서와 같이 일반식(2c)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환원하여 일반식(2d)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기 위한 반응에 사용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가 있다.
일반식(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탈수반응은 반응공정식-3에서와 같이 일반식(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탈수반응에 사용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가 있다.
일반식(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환원하여 일반식(1c)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기 위한 반응과 일반식(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환원하여 일반식(1c)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기 위한 반응은 반응공정식-7에서와 같이 일반식(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환원하여 일반식(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기 위한 반응에 사용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기호 R1으로서 저급알킬기, 페닐-저급알킬기, 저급알케닐기 또는 저급알키닐기를 갖는 화합물(즉, 일반식(1f)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의 반응공정식-17에서와 같이 기호 R1이 수소원자인 화합물(즉, 일반식(1e)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공지의 화합물(19)와 반응시킴으로서 제조할 수가 있다.
[반응공정식-17]
Figure kpo00047
(상기식에서, R1는 저급알킬기, 페닐-저급알킬기, 저급알케닐기 또는 저급알키닐기를 나타내며, A, B, ℓ, Z, X 및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탄소결합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일반식(1e)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19)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은 염기성 화합물 존재하의 적당한 용매중에서 수행할 수가 있다. 염기성 화합물의 예로서는 수소화나트륨, 탈륨금속, 나트륨금속, 칼륨아미드 등을 예시할 수가 있으며, 용매의 예로서는 디옥산,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헥사메틸포스포릴트리아미드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일반식(19)로 표시되는 화합물 양에 대한 일반식 로 표시되는 화합물 양의 비율은 특히 한정되어 있지 않으며, 광범위로 사용할 수가 있으나, 일반으로 후자에 대하여 전자를 등몰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배몰량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반응은 일반으로 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약 실온하에서 0.5 내지 12시간동안 수행한다. 본 반응에 있어서 치환-페닐기에 있어서의 페닐환상의 치환체로서 카르복시기 또는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에 있어서 이들 치환체는 상당하는 에스테르기 또는 에테르기로 동시에 전환시킬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가열 조건하에 염산 또는 브롬화수소산과 같은 산으로 가수분해시킴으로서 목적물을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치환-페닐기의 페닐기상의 치환체로서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은 치환-페닐기의 페닐환상에 치환체로서 니트로기를 갖는 화합물을 환원시킴으로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이 환원 조작은 방향족 니트로기를 방향족 아미노기로 환원시키는 통상의 조건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하며는 환원제로서 이산나트륨이나 또는 이산화황을 사용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치환-페닐기의 페닐기상의 치환체로서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은 치환-페닐기의 페닐환상의 치환체로서 저급알콕시카르보닐기를 갖는 화합물을 가수분해 함으로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상기의 가수분해 조작은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의 조건하에서 수행할 수가 있다. 이를테면 이 가수분해 조작은 염산, 황산, 수산화나트륨의 존재하에 수행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카르보스티골격의 제3위와 제4위 사이에 단일 결합 및 탈수소에 불활성인 치환체 또는 측쇄를 갖는 화합물은 탈수소제로 탈수소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3위와 제4위 사이에 이중결합을 갖는 일반식(1)로 표시되는 상당하는 화합물로 전환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카르보스티릴골격의 제3위와 제4위 사이에 이중결합 및 접촉환원제 불활성인 치환체 또는 측쇄를 갖는 화합물은 상기 화합물을 접촉 환원시킴으로서 제3위와 제4위 사이에 단일결합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로 표시되는 상당하는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가 있다.
[반응공정식-18]
Figure kpo00048
(상기식에서, R1, A, B, ℓ 및 Z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일반식(1g)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환원조작은 통상의 접촉 환원조작에 사용되는 조건과 유사한 조건하에서 수행할 수가 있다. 본 환원조건에 사용되는 촉매의 예로서는 팔라듐, 팔라듐탄소, 라니-닉켈 등을 예시할 수가 있으며, 본 환원조작의 용매의 예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헥산, 시클로헥산, 초산에틸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상기 환원조작은 상압 또는 일반으로 상압 내지 10기압, 바람직하게는 상압하에서 수행할 수가 있다. 환원 온도는 일반으로 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실온 내지 70℃이다.
일반식(1h)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탈수소조작은 산화제를 사용하여 적당한 용매중에서 수행한다. 산화제로서는 2,3-디클로로-5,6-디시아노벤조퀴논, 클로라닐(2,3,5,6-테트라클로로벤조퀴논)등과 같은 벤조퀴논을 열거할 수가 있으며, N-브로모숙시닐이미드, N-클로로숙시닐이미드, 브로마이드 등과 같은 할로겐화제를 예시할 수가 있다. 일반식(1h)로 표시되는 화합물 양에 대한 산화제 양의 비율은 특정되어 있지는 않으나, 일반으로 1 내지 5배 몰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배 몰량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매의 예로서는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탄, 메톡시에탄올,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 벤젠, 톨루엔, 크실렌, 테트탈린(상품명,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쿠멘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 메탄올, 아밀알콜, 헥산올 등의 알콜, 초산과 같은 양성자성극성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헥사메틸포스포틸 등의 비양성자성 극성용매를 예시할 수가 있다. 본 반응은 일반으로 실온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실온 내지 200℃하에서 통상 1 내지 40시간 동안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하기 반응공정식-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R1이 수소원자이고,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이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은 하기의 반응공정식-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락탐-락팀형의 호변이성체로 존재할 수가 있다.
[반응공정식-19]
Figure kpo00049
(상기식에서, A, B, ℓ 및 Z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반응공정식-20]
Figure kpo00050
(상기식에서, R1, R2, R7, B, B1, ℓ, Z 및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A'는 구조식
Figure kpo00051
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일반식(47)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48)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은 반응공정식-1에서와 같이 일반식(2b)를 얻기 위한 일반식(2a)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반응에 사용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가 있다. 일반식(5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기 위한 일반식(47)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반응은 반응공정식-5에서와 같이 일반식(2d)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기 위한 일반식(47)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반응은 반응공정식-5에서와 같이 일반식(2d)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기 위한 일반식(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반응에 사용되는 유사한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가 있다. 일반식(4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기 위한 일반식(47), (48) 및 (5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한 각각의 반응은 반응공정식-1에서와 같이 일반식(4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환원조건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가 있다. 일반식(47)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의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전구물질을 반응공정식-1에서와 같이 일반식(45)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9)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술포닐화 반응에 사용되는 유사한 방법에 의해 일반식(9)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술포닐화 시킴으로서 제조할 수도 있다.
Figure kpo00052
(상기식에서, R1, B'와 Z 및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탄소결합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일반식(1R)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의 반응공정식-21에서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반응공정식-21]
Figure kpo00053
(식중, R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고, R1, Z 및 카르보스티릴 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탄소 결합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공지 또는 신규의 화합물의 출발 물질로서 사용되는 일반식(5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반응 공정식-1 [일반식(4)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5) 또는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 -1a ; -1b ; 반응공정식-8 일반식(18)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19)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제조한다. 출발물질 또는 반응물질로서는 기호 X로 표시되는 기 또는 아세틸기 대신에 수소원자를 갖는 화합물이다.
일반식(51)를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은 만니히(Mannich)반응의 반응조건을 채용하여 수행할 수가 있다. 본 반응은 실온 내지 15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50°내지 100℃의 온도하의 적당한 용매 중에서 1 내지 10시간동안 수행한다.
본 반응의 용매의 예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콜,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 초산, 프로피온산 등의 지방족산, 디메틸술폭시드 또는 디메틸 포름아미드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본 반응에 사용되는 포름 알데히드로서는 포르말린, 파포름알데히드, 트리옥산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일반식(51)로 표시되는 화합물 양에 대한 포르말린과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양의 비율은 특정하게 한정되어 있지는 않으나, 전자에 대하여 후자를 일반으로 등몰 이상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배 몰양으로 사용한다.
반응공정식 -2a 또는 -2b에 있어서 일반식(2a') 또는 (2a")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기호 X가 수소원자이고, 구조식
Figure kpo00054
로 표시되는 기의 α위치에 할로겐 원자를 갖는 화합물은 일반식(2a"')로 표시되는 화합물(기호 X는 수소원자임)을 적당한 용매 중에서 할로겐화제와 반응시킴으로서 제조할 수가 있다.
본 반응의 용매의 예로서는 디클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벤젠, 초산 등을 예시할 수가 있으며, 할로겐화제의 예로서는 N-브로모숙시닐이미드, N-클로로숙시닐이미드, 염소, 브롬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일반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양에 대한 할로겐화제양의 비율은 일반으로 등몰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과잉량으로 사용한다.
본 반응은 실온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실온 내지 150℃의 온도하에서 6분 내지 6시간동안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산성기를 갖는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성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이들의 염류로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가 있다. 상기 염기성 화합물의 예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탄산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염기성기를 갖는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류와의 반응에 의해 이들의 산부가염류로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가 있다. 상기 산류의 예로서는 염산, 황산, 인산, 브롬화 수소산 등의 무기 산류와 수산, 말레인산, 푸마린산, 사과산, 주석산, 구연산, 안식향산 등의 유기산류를 열거할 수가 있다.
상기 여러가지의 반응 공정식에 의하여 제조되는 목적물은 통상의 분리조작, 이를테면 용매추출, 희석, 재결정,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등에 의해 용이하게 단리 및 정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류에는 이들의 광학 이성체로 또한 포함한다.
일반식(1)로 표시되는 항히스타민제로서 통상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의 약학 조성물형으로 사용할수가 있다. 담체는 목적하는 약학 조성물 형태에 따라 다르나, 이들을 예시하면 충전제, 희석제, 결합제, 침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항히스타민제 투여 단위 형상에는 특정되어 있지는 않으며, 이들 투여 단위 형상에는 정제, 환제, 분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입제, 캡슐제, 좌제, 주사제(용액제 또는 현탁제) 및 연고제 등을 들 수가 있다. 항히스타민제를 정제 형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당 분야에 사용되는 담체를 사용할 수가 있는데, 이들을 예시하면 락토오스, 슈크로오스, 염화나트륨, 글루코오스 용액, 요소, 전분, 탄산칼슘, 카올린, 결정 셀룰로오스, 규산 등의 부형제 ; 물, 에탄올, 프로판올, 단미시럽, 글루코오스, 전분 용액, 젤라틴 용액,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쉘락, 메틸 셀룰로오스, 인산칼슘,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의 결합제 ; 건조 전분, 알긴산나트륨, 한천-한천분말, 라미날리아분말,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슘, 트윈, 라우릴 황산나트륨, 스테아린산의 모노글리세리드, 전분, 락토오스 등의 붕해제 ; 슈크로오스, 스테아린, 야자 버터, 수소 첨가유 등의 분해억지제 제4금 암모늄염기, 라우릴 황산나트륨 등의 흡수촉진제, 전분의 글리세린과 같은 침윤제 ; 전분, 락토오스, 카올린, 벤토나이트, 콜로이드상 규산 등의 흡수제 ; 정제활석, 스테아린산염, 붕산분말, 마크로골, 고상 폴리에틸렌 글리코올 등의 윤활제를 예시할 수가 있다. 정제의 경우에 있어서는 통상의 당질로 피복시켜 당의정, 젤라틴막코우팅정, 장용정, 박막이나 또는 이겹코우팅정 및 다겹정을 열거할 수가 있다.
또 환제 형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이 분야에 공지 공용된 담체를 또한 사용할 수가 있는데, 이들 담체의 예로서는 글루코오스, 락토오스, 전분, 야자버터, 수소 첨가채소유, 카올린 및 활석 등의 부형제, 아라비아 고무 분말, 트라가칸트 분말, 젤라킨 및 에탄올 등의 결합제 ; 라미나리아와 한천 등의 붕해제를 열거할 수가 있다.
좌제 형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이 분야에 공지 공용된 담체를 또한 사용할 수가 있는데, 이들을 예시하면 폴리에틸렌글리코올, 야자버터, 고급 알콜, 고급 알콜의 에스테르, 젤라틴 및 반합성 글리드류를 열거할 수가 있다.
또, 주사제형으로 하기 위해서는 용액제와 현탁제와를 멸균한 다음, 바람직하게는 혈류와 등장액이 되도록 한다.
주사제의 제제시에는 당 분야에 공지 공용된 담체는 모두 사용할 수가 있는데, 이들을 예시하면 물, 에틸렌 글리코올, 프로필렌글리코올 에톡시화 이소스테아릴알콜, 폴리옥시화 이소스테아릴알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소르비탄 에스테르류를 열거할 수가 있다. 이들 경우에 있어서는 목적으로 하는 제제물에 적당량의 염화나트륨, 글루코오스 또는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등장액이 되도록 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상용되는 용해제, 완충제, 진통제, 방부제 이외에도 착색제, 향료, 조미료, 감미제 및 기타의 의약을 첨가할 수도 있다.
또 페이스트상 또는 크림상으로 제제하는 데에는 당 분야에 공지 공용된 부형제를 사용할 수가 있는데, 이들 부형제의 예로서는 화이트 와셀린, 파라핀, 글리세린,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코올실릴콘 및 벤토나이트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항히스타민제 중에 배합시키는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산부가염류의 배합량은 특정되어 있지 않으나, 일반으로 전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70중량%가 바람직하다.
전술한 항히스타민제 및 중추 신경계 조절제는 여러가지의 형상으로 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데, 이를테면 정제, 환제, 용액제, 현탁제, 유화제, 입제 및 캡슐제는 경구 투여하고, 주사제는 단독으로 또는 글로코오스 용액과 아미노산 용액 등의 주사제 수액과 혼합하여 정맥내 투여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주사제는 근육내, 피내, 피하내 또는 복강내 투여한다. 좌제는 직장내 투여하고, 연고제는 코우팅하여 투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히스타민제의 용량은 용도, 목적 및 증상에 따라 다르나,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산부가염을 40㎍-2mg/kg ; 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1일 3 내지 4회 투여할 수 있다.
[정제 제제예-1]
Figure kpo00055
[정제 제제예-2]
Figure kpo00056
[정제 제제예-3]
Figure kpo00057
[정제 제제예-4]
Figure kpo00058
[정제 제제예-5]
Figure kpo00059
[정제 제제예-6]
Figure kpo00060
[정제 제제예-7]
Figure kpo00061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저독성이기 때문에 약학 조성물의 활성 성분으로서 유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약리활성에 대하여 하기의 시험방법에 의해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에 기재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화합물류는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류(Nos. 1~32)
Figure kpo00062
Figure kpo00063
대조 화합물
대조 화합물로서는 클로로프로마진[2-클로로-N,N-디메틸-10H-페노티아진-10-프로판아민]을 사용하였다.
(A) 활성을 증가시키는 할로탄(halothane)마취법
1군이 10마리로 구성되는 체중이 20g인 ddy-계 수컷 생쥐를 사용하였다. 공시 화합물의 아라비아 고무 현탁수용액(생리 식염수용액 1000㎖에 공시 화합물 80mg과 아라비아 고무 1g)을 체중 1kg당 공시 화합물 16mg의 투여량으로 생쥐들에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 10시간 후에 가스호흡실(13×13×24cm)에 이 생쥐들을 넣고, 할로탄(2-브로모-2-클로로-1,1,1-트리플루오로에탄) 4% 함유하는 산소가스를 2/분의 속도로 3분간 실내에 도입시켰다. 마취된 쥐들을 실내에서 꺼낸 다음, 마취 시작한 시간과 마취로부터 깨어난 시간을 인덱스로서 측정하였다. 대조군에 대해서는 1% 아라비아 고무 생리 수용액을 체중 1kg당 0.1㎖의 투여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참고 : M.J. Turnbull and J.W. Watkins : Br. J. Pharmacol., 58, 27-35 (1976)].
그 결과를 제1표에 기재하였다.
[제1표]
Figure kpo00064
[B) 메탐페타민과 L-DOPA로 유발시킨 생쥐에 있어서의 점프 행동을 억제하기 위한 활성.
1군이 6마리로 구성되는 체중 17 내지 25g인 ddy-계 수컷생쥐를 사용하여 24시간 금식시켰다. 공시화합물을 경구 투여하고, 투여 40분 후에 메탐페타민 d-N-α-디메틸페네틸아민을 1kg당 4mg 복강내 투여하고, 또 투여 15분 후에 L-DOPA를 1kg당 400mg 복강내 투여하였다. L-DOPA[3-(3,4-디히드록시페닐)-알라닌] 투여 60분 후에 용량이 2ℓ인 유리 비이커에 쥐들을 넣고, 쥐의 점프 횟수를 기록하였다. 공시 화합물에 대한 쥐들이 점프 거동 억제활성은 공시 화합물을 투여한 쥐들에 있어서의 점프 횟수가 10미만인 경우를 "플러스"로 하여 판정하고 점프 횟수가 10을 초과한 경우를 "마이너스"로 판정하였다. 1군 6마리중 3마리가 플러스를 나타내는 공시 화합물은 50% 유효량(ED50치 : mg/kg)으로 산정하였다. 대조용으로서 생리식염수 용액을 투여한 쥐들에 있어서의 점프 횟수는 시간당 150 내지 200이었다. [참조 : H. Lal, F.C. Colpaert, P. Laduron: European J.Pharmacol., 30, 113-116(1975)].
그 결과를 하기 제2표에 기재한다.
[제2표]
Figure kpo00065
(C) 생쥐에 있어서의 에피네프린(epinephrine)길항작용 1군이 10마리로 구성되는 체중 17 내지 20g인 ddy계 수컷 생쥐를 사용하여 24시간 금식시켰다. 공시 화합물을 경구 투여하고, 투여 1시간 후에 에피네프린을 kg당 40mg복강내 투여하였다. 에피네프린 투여 24시간 후에 생존수와 사망수를 기록하고, 생쥐가 절반 생존할 수 있는 공시 화합물의 투여량을 측정하였다(ED50치 : mg/kg). 대조군으로서 생리 식염수 용액을 투여한 10마리는 에피네프린 투여한 수분내에 모두 사망하였다[참고 : Loew, E.R, and Micetich, A., J. Pharmacol. Exp. Ther., 93, 434-443 (1948)].
그 결과를 하기 제3표에 기재하였다.
[제3표]
Figure kpo00066
(D) 생쥐의 눈썹 탈수시험
1군이 10마리로 구성되는 체중 18 내지 20g인 ddy계 수컷 생쥐를 사용하여 24시간 금식시켰다. 공시화합물을 체중 1kg당 64mg의 투여량으로 경구 투여하고, 투여 1시간 후에 생쥐에 대한 안검하수 상태를 관찰하고 하기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표준치는 쥐 10마리의 점수로부터 판정하였다[C.J.E. Niemegeers and P.A.J. Janssen: Arzheim. Forsch. Drug Res.), 24, (1), pp. 45-52 (1974)]
Figure kpo00067
그 결과를 제4표에 기재한다.
[제4표]
Figure kpo00068
(E) 항히스타민 활성시험
시험관 내의 화합물에 대한 항히스타민 측정용 공시 방법으로서는 모르모트의 적출시킨 회장(回腸)을 사용한 방법이 일반으로 채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항히스타민 활성을 상기의 방법에 의해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체중 300 내지 500g인 모르모트를 방혈시켜 죽인 다음, 희맹장으로부터 길이가 15cm인 회장을 적출시켜 타로우드 용액(Nacl 8.0g, KCl 0.2g, CaCl20.2g, 글루코오스 1.0g, NaHPO4, 2H2O 0.065g 및 MgCl2, 6H2O 0.2135g으로 구성되는 조성물에 물에 첨가하여 전용적을 1000㎖로 함)에 침지시켰다. 다음에 회장조작을 길이 2.5 내지 3.0cm로 절단한 다음 티로우드 용액을 채운 유기 배쓰 내에 현탁시키고, 이 유기욕을 36℃의 온도로 유지시킨 다음, 이 옥내에 CO25%와 O295%와로 조성되는 혼합가스를 송풍시켰다. 송풍시킨 10분 후에 욕내에 10-6M의 히스타민을 첨가시켜 조직의 민감성을 조사하여 히스타민 투여량에 대한 반응 곡선(대조)을 얻었다. 히스타민 용량-반응 곡선(대조)이 일정하게 전후, 욕내에 공시 화합용을 첨가시키고, 또 5분 후에 히스타민을 첨가시켜 용량-반응곡선을 얻었다. 등장 신축을 등장변환기 일본 고뎅사제품(TD-112S)에 의해 펜 기록기상에 기록하였다. 공시 화합물의 항히스타민 활성을 "Van Rossam"법에 의해 대조곡선에 나타나는 히스타민에 기인되어 대조 곡선상에 나타나는 최대의 회장신축을 100%로 환산하여 PA2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제5표에 기재하였다.
[제5표]
Figure kpo00069
(F) 급독성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로 표시되는 하기의 화합물들을 수컷 쥐들에게 경구 투여하고, 급독성 시험(ED50mg/kg)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제6표에 기재한다.
[제6표]
Figure kpo00070
특히,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서 기술되는데, 초기 물질로 사용되는 화합물의 제조는 참고 실시예에서 나타내고 목적하는 화합물의 제조는 실시예로서 나타낸다.
[참고예 1]
120㎖의 γ-클로로부티릴 클로라이드 및 160g의 미분 무수염화 알루미늄을 300㎖의 이황화탄소에 현탁시킨다. 현탁물을 가열함으로써 환류시키고, 29.4g의 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100㎖의 이황화탄소에 현탁시킨 것을 첫번째 현탁물에 1시간동안 한방울씩 첨가시키고, 반응은 4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환류시키면서 진행시킨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 혼합물을 붓고, 생긴 침전은 여과한 후 물과 에테르로 세척시킨다. 세척된 침전은 아세톤으로 재결정하여 황색 침상 결정의 6-(4-클로로-1-옥소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25.5g을 얻는다. 융점 : 158~160℃.
[참고예 2]
참고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비슷한 방법으로, 무색 침상 결정의 6-클로로아세틸-카르보스티릴을 얻는다. 융점 : 233~234℃(메탄올-클로로포름으로부터)
[참고예 3]
참고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비슷한 방법으로, 무색 침상결정의 1-메틸-6-(β-클로로프로피오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얻는다. 융점 : 121~123℃(이소프로판올로부터)
[참고예 4]
2.0g의 6-(1-옥소-4-클로로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100㎖의 메탄올에 혼합시키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한다. 1.0g의 수소화 붕소나트륨을 천천히 혼합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 후, 감압하에서 증류시킴으로서 메탄올을 제거한다. 잔기를 클로로포름으로 추출시키고, 클로로포름층은 물로 세척시키고 탈수시킨다. 클로로포름은 감압하에서 증류시킴으로서 제거하고, 잔기를 에탄올-물로 재결정하여 무색침상결정의 6-(1-히드록시-4-클로로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2g을 얻는다. 융점 : 120~121℃.
[참고예 5]
4.0g의 6-(4-클로로-1-옥소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200㎖의 메탄올에 현탁시키고, 현탁물을 실온에서 교반한다. 2.0g의 수소화 붕소나트륨을 현탁물에 천천히 첨가시키고, 1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시킨다. 다음, 3㎖의 진한 염산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시키고, 혼합물을 열-환류시키면서 감압 농축하여 잔기를 얻는다. 잔기를 클로로포름으로 추출시키고, 클로로포름층은 물로 세척한 후 탈수시킨다. 클로로포름을 감압하에서 증류시킴으로서 제거한 후 잔기를 얻는다. 잔기를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황색 침상 결정의 6-(4-클로로-1-부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2.4g을 얻는다. 융점 : 153~155℃.
[참고예 6]
14.4g의 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10g의 γ-부티롤락톤을 120g의 다인산에 혼합시키고 80~90℃에서 10시간 교반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300㎖의 얼음물에 붓고 밤새 방치한다. 이와같이 하여 얻은 침전을 여과시키고, 물로 세척한 후, 에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 재결정하여 융점 175~176℃인 무색프리즘상 결정의 6-(4-히드록시-1-옥소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9.5g을 얻는다. 다음, 5g의 6-(4-히드록시-1-옥소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0.5g의 팔라듐 블랙을 160㎖ 에탄올에 혼합하고, 혼합물을 60℃에서 6시간 동안 3kg/cm2의 수소 기체하에서 접촉 환원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1㎖의 진한 염산을 첨가시킨다. 한번 더, 반응 혼합물을 6시간 동안 3kg/cm2의 수소 기체하에서 접촉 환원시킨다. 반응혼합물을 여과하고 모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잔기를 리그로인으로 재결정하여 융점 133~134℃인 6-(4-히드록시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3.2g을 얻는다. 다음, 3.2g의 6-(4-히드록시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5㎖의 염화티오닐을 50㎖의 클로로포름에 혼합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한다. 반응혼합물을 감압농축한다. 잔기를 리그로인으로 재결정하여 융점 119~121℃인 무색 프리즘상 결정의 6-(4-클로로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8g을 얻는다.
[참고예 7]
2.8g의 6-(4-클로로-1-부텐일)-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과 2.1g의 요오드화 나트륨을 40㎖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혼합물을 50℃에서 1시간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에 2.0g의 몰포린 및 2.0㎖의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고 50℃에서 1시간 교반한다. 반응혼합물을 감압 농축하여 잔기를 얻고 5%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한다. 다음, 혼합물에서 불용성 물질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후,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융점 136~139℃인 무색 침상결정의 6-(4-몰폴리노-1-부텐일)-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2.2g을 얻는다. 다음, 2.2g의 6-(4-몰폴리노-1-부텐일)-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1및 0.2g의 플래티늄 블랙을 100㎖의 에탄올에 혼합시키고 실온에서 5시간동안 3kg/cm2의 수소 기체하에서 접촉 환원시킨다. 반응혼합물을 여과하고, 모액을 감압 농축하여 잔기를 얻는다. 잔기를 리그로인-벤젠으로 재결정하여 무색편상 결정의 6-(4-몰폴리노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8g을 얻는다. 융점 : 130~132℃.
[참고예 8]
2.3g의 6-(3-클로로-1-프로펜일)-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2.0g의 4-벤질피페라진 및 2.0㎖의 트리에틸아민을 50㎖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혼합시키고, 혼합물을 5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50㎖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 및 50㎖의 5%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에 붓고, 유기층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시킨다. 클로로포름층을 물로 세척시키고 탈수시킨 후, 클로로포름을 증류시킴으로서 제거하고 잔기를 얻는다. 잔기를 에탄올-물로 재결정하여 융점이 151~153℃인 무색 침상 결정의 6-[3-(4-벤질피페라지닐)-1-프로펜일]-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2.1g을 얻는다. 2.1g의 6-[3-(4-벤질피페라지닐)-1-프로펜일]-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0.2g의 플래디늄 블랙 및 2㎖의 진한염산을 100㎖의 에탄올에 혼합시키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동안 3kg/cm2의 수소 기체하에서 접촉 환원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모액을 농축하여 잔기를 얻는다. 잔기를 메탄올로 재결정하여 무색침상 결정의 6-(3-피페라지노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디히드로클로라이드 1.8%을 얻는다. 융점 : 275~278℃(분해).
[참고예 9]
2.5g의 6-(4-클롤-1-부텐일)-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2.3g의 DDQ (2,3-디클로로-5,6-디시아노벤조퀴논)을 160㎖의 디옥산에 혼합하고, 혼합물을 6시간 가열하면서 환류시킨다. 더욱, 1.1g의 DDQ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시키고, 3시간 가열하면서 환류한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얻은 침전물을 여과시킴으로서 제거하고, 모액을 감압 농축하여 잔기를 얻는다. 잔기를 100㎖ 클로로포름과 5㎖의 메탄올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실리카겔 컬럼으로 전개하여 이 반응 DDQ를 제거하였다. 잔기를 메탄올로 재결정하여 황색침상 결정의 6-(4-클로로-1-부텐일)카르보스티릴 1.6g을 얻는다. 융점 : 215~218℃.
[참고예 10]
20g의 6-(β-클로로프로피오닐옥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60g의 미분 무수 염화 알루미늄, 6g의 염화 나트륨 및 6g의 염화칼륨을 함께 혼합하고, 혼합물을 가열하여 녹이고, 150~170℃에서 한 시간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에 붓고, 밤새 방치하여 결정 형태의 침전을 얻는다. 침전물은 여과시켜 얻고, 물로 세척하여 탈수시킨 후, 메탄올로 재결정하여 백색 결정인 6-히드록시-7-(3-클로로프로피오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얻는다. 융점 : 205~208℃.
원소분석 C12H12O3N Cl (253.69)
계산치 C : 56.82, H : 4.77, N : 5.52
실측치 C : 56.98, H : 4.51, N : 5.44
[참고예 11]
5.06g의 6-히드록시-7-(3-클로로프로피오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과 1.8g의 무수 피리딘을 50㎖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혼합한다. 혼합물을 얼음으로 냉각시키고, 2.5g의 메탄술포닐클로라이드를 혼합물에 첨가시켜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100㎖의 포화 염화 나트륨 수용액에 붓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시킨다. 클로로포름층을 물로 세척하고, 탈수시키고 감압하에서 증류시킴으로서 클로로포름을 제거하여 잔기를 얻는다. 잔기를 80㎖의 헥산을 첨가시킴으로서 결정으로 만들어 조결정을 얻는다. 조물질을 여과시켜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백색결정의 6-메틸술포닐옥시-7-(3-클로로프로피오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4.5g을 얻는다.
원소분석 C13H14O5SNCl(331.78)
계산치 C : 47.06, H : 4.25, N : 4.22
실측치 C : 47.33, H : 4.02, N : 4.19
[참고예 12]
3.0g의 6-메틸술포닐옥시-7-(3-클로로프로피오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과 0.5g의 팔라듐 블랙올 200㎖의 에탄올에 현탁시키고, 현탁물을 실온에서 5시간동안 교반하면서 대기압의 수소 기체 존재하에서 접촉 환원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모액을 감압 농축하여 잔기를 얻는다. 잔기를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무색 분말상인 결정 형태의 7-(3-클로로프로피오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2g을 얻는다.
원소분석 C12H12O2NC1 (237.69)
계산치 C : 60.64, H : 5.09, N : 5.89
실측치 C : 60.59, H : 5.24, N : 5.91
[참고예 13]
3.3g의 6-메틸술포닐옥시-7-(3-클로로프로포오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과 1.5g의 요오드화 나트륨을 30㎖의 아세톤에 현탁시키고, 혼합물을 40~5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다. 30㎖의 디메틸포름아미드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감압증류시켜 아세톤을 제거한다. 다음, 1.8g의 4-페닐피페리딘 및 1.5㎖의 트리에틸아민을 혼합물에 첨가하여 60~70℃로 7시간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150㎖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붓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시키고, 클로로포름층을 물로 세척시키고, 탈수시키고 감압 증류시켜 클로로포름을 제거하여 잔기를 얻는다. 잔기를 헥산으로 재결정하고 에탄올-리그로인으로 재결정하여 백색 결정 형태의 6-메틸술포닐옥시-7-[1-옥소-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2g을 얻는다. 융점 : 159~161℃.
원소분석 C24H28O5N2S
(분자량 456.56)
계산치 C : 63.14, H : 6.18, N : 6.14
실측치 C : 63.07, H : 6.19, N : 6.12
[참고예 14]
a) 2.5g의 6-히드록시-7-(3-클로로프로피오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과 1.8g의 요오드화 나트륨을 30㎖의 아세톤에 혼합시키고 혼합물을 50℃에서 1시간 교반한다. 30㎖의 디메틸포름아미드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아세톤을 감압 증류시켜 제거한다. 다음, 3.0㎖의 트리에틸아민과 2.0g의 4-페닐피페리딘을 혼합물에 첨가시켜 60~70℃에서 5시간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시켜 잔기를 얻는다. 잔기를 5%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재결정하여 조결정을 얻는다. 조결정을 메탄올로 재결정하여 무정형 결정 형태의 6-히드록시-7-[1-옥소-3-(4-페닐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6%을 얻는다. 융점 : 240~245℃.
원소분석 C23H26O3N2(분자량 462.52)
계산치 C : 77.90, H : 5.67, N : 6.06
실측치 C : 77.51, H : 5.81, N : 6.12
b) 2.3g의 6-히드록시-7-[3-(4-페닐피리딜)-1-옥소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0.4g의 수산화칼륨을 80㎖ 메탄올에 현탁시키고, 현탁물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시켜 잔기를 얻는다. 잔기를 40㎖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분산시키고, 0.7g의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를 분산물에 첨가시켜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상기 참고예 13에서 사용한 비슷한 절차로 백색 결정상의 6-메탄술포닐옥시-7-[1-옥소-3-(4-페닐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얻는다.
원소분석 C24H28N2O5(분자량 460.40)
계산치 C : 67.91, H : 6.65, N : 6.60
실측치 C : 67.88, H : 6.99, N : 6.55
[참고예 15]
a) 26.8g의 8-메톡시-5-(3-클로로프로피오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과 16.5g의 요오드화 나트륨을 200㎖의 디메틸프롬아미드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40℃에서 1시간 교반한다. 11.1g의 트리에틸아민과 17.1g의 4-페닐피페라진을 혼합물에 첨가시켜 40℃에서 2시간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시켜 잔기를 얻는다. 5%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과 에테르를 잔기에 첨가시켜 결정상 침전을 얻는다. 침전을 여과시키고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담황색 침상 결정의 8-메톡시-5-[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얻는다. 융점 : 133~134℃, 수율 : 27.5%.
원소분석 C23H27O3N3(분자량 393.48)
계산치 C : 70.21, H : 6.92, N : 10.68
실측치 C : 70.00, H : 6.99, N : 10.48
b) 19.7g의 메톡시-5-[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30㎖의 47%브롬산에 첨가시키고,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여 탈수시킨다. 이와같이 얻은 잔기에 물을 첨가하고, 다시 감압 농축하여 탈수시킨다. 아세톤을 결정상의 잔기에 첨가하고 여과시켜 메탄올로 재결정한다. 결정을 500㎖의 물에 현탁시키고, 현탁물을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시켜 얻은 침전을 여과하여 물로 세척한다. 무정형 결정상의 8-히드록시-5-[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7.1g을 얻는다. 융점 : 287~291℃.
원소분석 C22H25O3N3(분자량 379.46)
계산치 C : 69.64, H : 6.64, N : 11.07
실측치 C : 69.54, H : 6.45, N : 11.01
[참고예 16]
37.9g의 8-히드록시-5-[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과 5.9g의 수산화칼륨을 400㎖의 물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감압 농축시켜 잔기를 얻는다. 잔기를 400㎖의 디메틸 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12.0g의 용액을 냉각시킨다. 첨가후, 한 시간 동안 반응 혼합물에 첨가시켜 결정을 얻는다. 얻은 결정을 여과하고, 아세톤으로 세척시킨후 이소프로판올로 재결정하여 담갈색 침상결정의 8-메탄술포닐-5-[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35.9g을 얻는다. 융점 : 165~167℃.
원소분석 C23H27O5N3S (분자량 457.55)
계산치 C : 60.38, H : 5.95, N : 9.1
실측치 C : 60.19, H : 6.01, N : 9.15
[참고예 17]
초기 물질로 6-아세틸옥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사용하여 실시예 10에서 기술한 비슷한 방법으로 담황록색 침상결정의 6-히드록시-7-아세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얻는다. 융점 : 252~253℃.
[참고예 18]
초기물질로 6-히드록시-7-아세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사용하여 실시예 11에서 기술한 비슷한 방법으로 무색 침상 결정의 6-메틸술포닐옥시-7-아세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얻는다. 융점 : 177~179℃.
[참고예 19]
초기 물질로 6-메틸술포닐옥시-7-아세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사용하여 실시예 12에서 기술한 비슷한 방법으로 무색침상결정의 7-아세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얻는다. 융점 : 177~179℃.
[참고예 20]
9.45g의 7-아세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20℃에서 교반하면서 30㎖ 아세트산에 용해시키고, 2.6㎖의 브롬과 10㎖의 초산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면서 1방울씩 첨가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빙냉시켜 결정상의 침전으로 만들고, 50% 에탄올 수용액으로 재결정하여 무색침상결정의 7α-브로모아세틸-3,4-디히드로카보르스티릴을 얻는다. 융점 : 202~203℃.
원소분석 C11H10NO2Br (분자량 268.11)
계산치 C : 49.28, H : 3.76, N : 5.22
실측치 C : 49124, H : 3.79, N : 5.18
[실시예 1]
6-[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8g과 소디움 히드리드(광유 중 50%) 0.24g을 디메틸포름아미드 50㎖에서 혼합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다음에 p-톨루엔술폰산 0.9g을 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식염수 150㎖에 쏟아 붓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클로로포름층을 물로 세척하고, 탈수시킨 후, 감압하에 증류시켜서 클로로포름을 제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잔류물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하고, 원하는 혼합물을 분리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아세톤에 용해시키고, 수산염으로 전환시키고, 에타놀-물로 재결정시켜서 무색 플레이크상 결정으로 1-메틸-6-[1-옥소-1-(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1.5g을 얻었다. 융점 : 164~165℃.
Figure kpo00071
실시예 1과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다음의 실시예 2~5의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
1-벤질-6-[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 침상 결정(에타놀-물) 융점 : 171~172℃.
[실시예 3]
1-알릴-6-[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 플레이크상 결정(에타놀-물)
융점 : 169~170℃
[실시예 4]
1-메틸-6-[1-히드록시-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 플레이크상 결정(에타놀-물)
융점 : 155~156℃
[실시예 5]
1-벤질-6-[1-히드록시-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 침상 결정(에타놀-물)
융점 : 161~162℃
[실시예 6]
6-[1-옥소-4-(4-페닐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2.0g과 팔라듐흑 0.5g을 물 80㎖에 분산시키고 실온에서 2기압하의 수소로 5시간 교반 1수소화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여 팔라듐흑을 제거하고, 모액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잔류물을 아세톤과 소량의 에타놀로 결정화시킨 조결정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이소프로파놀로 재결정시켜서 무색 침상 결정으로 6-[1-히드록시-4-(4-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5g을 얻었다.
융점 : 167~168℃
Figure kpo00072
상기 실시예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다음의 실시예 7~8의 화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7]
6-{1-히드록시-3-[4-(2-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 침상결정(이소프로파놀)
융점 : 145~147℃
[실시예 8]
6-{1-히드록시-3-[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 침상결정(에타놀)
융점 : 173~175℃(분해)
[실시예 9]
6-[1-옥소-3-(4-페닐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2.0%과 5%-팔라듐카본 0.6g을 에타놀 80㎖에 분산시키고, 실온에서 2기압하의 수소로 5시간 교반, 수소화시켰다. 반응혼합물을 여과하여 팔라듐 카본을 제거한 모액을 감압하에 농축시킨 잔류물을 이소프로파놀로 재결정시켜서 무색 침상결정으로 6-[1-히드록시-3-(4-페닐-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4g을 얻었다.
융점 : 147~148℃
원소분석 C22H29O2N3
Figure kpo00073
실시예 9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다음의 실시예 10~12의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0]
6-{1-히드록시-3-[4-(2-메톡시페닐)-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 침상결정(이소프로파놀)
융점 : 145~147℃
[실시예 11]
6-{1-히드록시-3-[4-(4-(4-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 침상결정(이소프로파놀)
융점 : 171~172℃
[실시예 12]
6-{1-히드록시-2-[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에틸}카르보스티릴.
무색 침상결정(이소프로파놀-클로로포름)
융점 : 245~246℃ (분해)
[실시예 13]
6-{1-옥소-3-[4-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2.0g과 리치움 알루미늄 히드리드 1.0g을 무수 테트라히드로푸탄 80㎖에 분산시키고, 실온에서 8시간 교반시킨다음, 반응혼합물에 아세톤 10㎖를 천천히 가하고, 1시간 교반하였다. 교반하면서 포화 황산소다 수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천천히 가하였다. 수산화 알루미늄과 수산화 리치움이 침전되며, 경사하여 테트라히드로푸탄 용액을 얻었다.
증류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하고, 이렇게 얻어진 잔류물을 이소프로파놀로 재결정시켜서 무색침상 결정으로 6-{1-히드록시-3-[4-(4-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0.9g을 얻었다.
융점 : 171~172℃
원소분석 C23H29O2N3
Figure kpo00074
[실시예 14]
6-{1-옥소-4-[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3.0g을 메타놀 100㎖에 가하고, 교반하면서 이 용액에 소디움 보로히드리드 1.2g을 천천히 가하고,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다음에 반응 혼합물에 진한 염산 5㎖를 가하고,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 건고시켰다. 이 잔류물에 2%-가성소다 수용액 50㎖를 가하고, 유기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디클로로메탄층을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후 증류시켜서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크로마토그라피하여 정제하고, 증류시켜서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크로마토그라피하여 정제하고, 이소프로파놀로 재결정시켜서 무색 침상결정으로 6-{1-히드록시-4-[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2.2g을 얻었다.
융점 : 156.5~157℃
원소분석 C23H28O2N3Cl
Figure kpo00075
실시예 14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다음의 실시예 15~27의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5]
6-[1-히드록시-4-(4-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이소프로파놀)
융점 : 167~168℃
[실시예 16]
6-{1-히드록시-2-[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 플레이크상 결정(에타놀-클로로포름)
융점 : 215~216℃
[실시예 17]
6-{1-히드록시-2-[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카르보스티릴.
무색 침상결정(이소프로파놀-클로로포름)
융점 : 243~244℃ (분해)
[실시예 18]
6-{1-히드록시-2-[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에틸}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이소프로파놀-클로로포름)
융점 : 245~246℃ (분해)
[실시예 19]
6-{1-히드록시-2-[4-(4-니트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황색 분말상 결정
융점 : 249~251℃
[실시예 20]
6-[1-히드록시-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 침상결정(이소프로파놀)
융점 : 147~148℃
[실시예 21]
6-{1-히드록시-4-[4-(2-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이소프로파놀)
융점 : 163~164℃
[실시예 22]
6-{1-히드록시-3-[4-(2-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이소프로파놀)
융점 : 145~147℃
[실시예 23]
6-{1-히드록시-3-[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타놀)
융점 : 173~175℃ (분해)
[실시예 24]
6-{1-히드록시-3-[4-(4-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이소프로파놀)
융점 : 171~172℃
[실시예 25]
1-메틸-6-[1-히드록시-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플레이크상결정(에타놀-물)
융점 : 155~156℃
[실시예 26]
1-벤질-6-[1-히드록시-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침상결정(에타놀-물)
융점 : 161~162℃
[실시예 27]
6-{1-히드록시-4-[4-(4-아미노페놀)-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갈색분말결정(메타놀)
융점 : 243~245℃
5-[1-히드록시-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타놀)
융점 : 158~160℃
[실시예 28]
(a) 6-(1-옥소-2-브로모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2.0g과 피페라진 3g을 디옥산 80㎖에서 혼합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에 5%-중조 수용액 60㎖를 가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클로로포름층을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후 증류시켜 클로로포름을 제거하여 6-(1-옥소-2-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의 조생성물 1.8g을 얻었다.
(b) 6-(1-옥소-2-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8g, p-브로모니트로벤젠 2.0 탄산가리 1.2g 및 동분말 0.1g을 에틸셀로솔브 80㎖에 분산시키고, 120~150℃로 가열하며,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켜서 얻어진 잔류물을 물에 가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클로로포름층을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후 클로로포름을 증류시켜 제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잔류물을 분리하고, 박층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한 다음, 에타놀로 재결정시켜서 황색 분말상 결정으로 6-{1-옥소-2-[4-(4-트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0.2g을 얻었다.
융점 : 239~242℃
원소분석 C23H26O4N4
Figure kpo00076
실시예 28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다음의 실시예 29~31의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9]
6-{1-옥소-4-[4-(4-니트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보스티릴.
황색침상결정(디메틸포름아미드-물)
융점 : 255~256℃ (분해)
[실시예 30]
6-{1-옥소-3-[4-(4-시아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에타놀)
융점 : 206~207℃
[실시예 31]
6-{1-옥소-4-[4-(4-아세틸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황색침상결정(디메틸포름 아미드-물)
융점 : 218~219℃
6-[1-옥소-3-(4-벤질-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결정(에타놀-물)
융점 : 177~178℃
6-{1-옥소-3-[4-(1-테트라지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타놀-물)
융점 : 187~188℃
[실시예 32]
(a) 6-(1-옥소-2-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2.5g을 메타놀 80㎖에서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소디움보로히드리드 1.6g을 15분에 걸쳐서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더 교반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에 진한 염산 5㎖를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건조 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잔류물을 물 10㎖를 가하여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2N-가성소다를 가하여 pH를 6~7로 조절하고 교반하여 결정을 침전시켰다. 결정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건조시켜서 무색분말상으로 6-(1-히드록시-2-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2g을 얻었다.
(b) 6-(1-히드록시-2-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5.0g, p-브로모니트로아닐린 3.5g, 탄산칼륨 1.8g 및 동분말 0.2g을 3-메톡시부타놀 60㎖중에서 혼합하고 환류하에 5시간 가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모액을 감압하에 증발건조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메타놀-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잔류물을 얻었다.
이 잔류물을 실리카겔 박층크로마토그라피로 분리 및 정제하여 황색 분말상의 6-{1-히드록시-2-[4-니트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0.21g을 얻었다.
융점 : 249~251℃
[실시예 33]
(a) 6-(1-옥소-4-클로로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2.8g과 요드화소디움 2.0g을 디메틸포름아미드 50㎖에서 혼합고, 50℃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다음에 디에타놀아민 5.0g을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70~80℃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키고, 이렇게 얻어진 잔류물에 5% 중조 수용액 50㎖를 가하고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클로로포름층을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다음 클로로포름을 증류하여 제거하여 페이스트상의조 6-(1-옥소-4-디에타놀아미노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닐 2.5g을 얻었다.
(b) 6-(1-옥소-4-디에타놀아미노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2.5g에 염화티오닐 30㎖를 가하고,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다음에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킨 후 잔류물에 벤젠 50㎖를 가하였다.
감압하의 농축공정을 3회 반복하여 6-{1-옥소-4-[디-(2-클로로에틸)아미노]-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얻었다. 이 화합물에 아닐린 1.5g 탄산가리 2.2g 및 에타놀 150㎖를 가하고, 혼합물을 가열하여 24시간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켜서 얻어진 잔류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클로로포름층을 물로 세척하고, 탈수시킨 후 클로로포름을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잔류물을 박층크로마토그라피로 분리 및 정제한다음 진한 염산을 가하고, 농축 건고시켰다.
잔류물을 에타놀-물로 재결정시켜서 황색 분말상 결정으로 6-[1-옥소-4-(-페닐-1-피페타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2.0g을 얻었다.
융점 : 195~196℃
실시예 33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다음 실시예 34~61의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34]
6-{1-옥소-3-[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무색침상결정(에타놀-물)
융점 : 233~234℃ (분해)
[실시예 35]
6-{1-옥소-4-[4-(2-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1수염.
무색침상결정(물)
융점 : 266~268℃ (분해)
[실시예 36]
6-{1-옥소-4-[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무색침상결정(에타놀-물)
융점 : 240~241℃ (분해)
[실시예 37]
6-{1-옥소-3-[4-(4-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 3,4-디히드로카르보티릴 1염산염.
밝은 황색 침상결정(에타놀-물)
융점 : 224~226℃ (분해)
[실시예 38]
6-[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 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플레이크상결정(에타놀-클로로포름)
융점 : 196~197℃
[실시예 39]
6-{1-옥소-3-[4-(2-플루오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로보스티릴.
무색분말결정(디메틸포름아미드-물)
융점 : 200~201℃
[실시예 40]
6-{1-옥소-4-[4-(4-브로모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상결정(에타놀-물)
융점 : 184~185℃
[실시예 41]
6-{1-옥소-4-[4-(4-니트로메틸)-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황색상침상결정(디메틸포름아미드-물)
융점 : 255~256℃ (분해)
[실시예 42]
6-{1-옥소-4-[4-(4-에톡시카르보닐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타놀)
융점 : 191~192℃
[실시예 43]
6-{1-옥소-3-[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무색침상결정(진한염산-에타놀-물)
융점 : 273~274℃ (분해)
[실시예 44]
6-{1-옥소-4-[4-(3,5-디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티릴.
무색침상결정(이소프로파놀)
융점 : 194~195℃
[실시예 45]
6-{1-옥소-2-[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에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밝은 황색의 침상결정(디옥산-물)
융점 : 214~215℃
[실시예 46]
6-{1-옥소-2-[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에틸}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메타놀-클로로포름)
융점 : 199~200℃ (분해)
[실시예 47]
6-{1-옥소-2-[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무색침상결정(이소프로파놀)
융점 : 199~200℃ (분해)
[실시예 48]
6-{1-옥소-2-[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침상결정(이소프로파놀)
융점 : 135~136℃
[실시예 49]
6-{1-옥소-4-[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 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타놀)
융점 : 158~159℃
[실시예 50]
6-{1-옥소-4-[4-(4-메틸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밝은 황색 침상결정(에타놀)
융점 : 200~201℃
[실시예 51]
6-{1-옥소-4-[4-(3,4,5-트리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2염산염.
무색분말상결정(메타놀-물)
융점 : 261~263℃ (분해)
[실시예 52]
6-{1-옥소-3-[4-(4-시아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에타놀)
융점 : 206~207℃
[실시예 53]
6-{1-옥소-4-[4-(4-아세틸페닐)-1-피페라지닐]-부틸} 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황색침상결정(디메틸포름아미드-물)
융점 : 218~219℃
[실시예 54]
6-{1-옥소-4-[4-)4-메틸티오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맑은 황색 침상결정(에타놀)
융점 : 187~188℃
[실시예 55]
6-{1-옥소-3-[4-(2-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밝은 황색 침상결정(디옥산-물)
융점 : 212.5~213℃
[실시예 56]
6-{1-옥소-4-[4-(4-카르복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무색분말상결정(에타놀)
융점 : 264~265℃
[실시예 57]
6-{1-옥소-4-[4-(4-히드록시페놀)-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분말상결정(에타놀)
융점 : 192~194℃
[실시예 58]
1-메틸-6-[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플레이크상 결정(에타놀-물)
융점 : 164~165℃
[실시예 59]
6-{1-옥소-4-[4-(3,4-메틸렌디옥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무색분말상결정(에타놀-물)
융점 : 246~248℃ (분해)
[실시예 60]
1-알릴-6-[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플레이크상결정(에타놀-물)
융점 : 169~170℃
[실시예 61]
1-벤질-6-[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침상결졍(에타놀-물)
융점 : 171~172℃
6-[1-옥소-3-(4-벤질-1-피페라지닐) 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타놀-물)
융점 : 177~178℃
6-{1-옥소-3-[4-(1-테트라지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타놀-물)
융점 : 187~188℃
5-[1-옥소-2-(4-페닐-1-피페라지닐)에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졍(메타놀)
융점 : 195~180℃(분해)
5-[1-옥소-3-(4-페닐-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타놀-메타놀)
융점 : 180~182℃
5-{1-옥소-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백색결정(메타놀-물)
융점 : 223~235℃(분해)
5-{1-옥소-3-[4-(2-히드록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융점 :
5-{1-옥소-3-[4-(4-n-부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무색침상결정(에타놀-물)
융점 : 218~222℃(분해)
5-{1-옥소-3-[4-(2-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융점 :
5-{1-옥소-3-[4-(2,3-디메틸)-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백색결정(메탄올-물)
융점 : 231~234℃
[실시예 62]
(a) 6-{1-옥소-4-[디-(2-클로로에틸)-아미노]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2.5g을 메타놀 80ml에 교반하므로서 실온에서 용해시키고, 소디움보로히드리드 1.6g을 이 혼합물에 15분에 걸쳐서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더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진한염산 5ml를 가한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건고시켜서 얻어진 잔류물을 물 10ml에 용해시킨다음 2N-가성소다 수용액을 가하여 pH를 6~7로 조절하고, 교반하여 결정을 침전시켰다. 결정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물로 세척한다음 건조시켜서 무색분말상의 6-{1-히드록시-4-[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4g을 얻었다.
(b) 6-{1-히드록시-4-[비스-클로로에틸-아미노]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2.5g, 아닐린 1.5g 및 탄산칼륨 2.2g을 에타놀 150ml에서 혼합한 혼합물을 가열하여 24시간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켜서 얻어진 잔류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클로로포름 추출액을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후 증류시켜서 클로로포름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박층크로마토그라피로 분리 및 정제하고, 이소프로파놀로 재결정시켜서 무색침상 결정으로 6-[1-히드록시-4-(4-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0.2g을 얻었다.
융점 : 167~168℃
실시예 62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다음 실시예 63~73의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63]
6-{1-히드록시-4-[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클로로포름-물)
융점 : 156.5~157℃
[실시예 64]
6-{1-히드록시-2-[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 플레이크상 결정(에타놀-클로로포름)
융점 : 215-216℃
[실시예 65]
6-{1-히드록시-2-[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이소프로파놀-클로로포름)
융점 : 243~244℃(분해)
[실시예 66]
6-{1-히드록시-2-[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에틸}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이소프로파놀-클로로포름)
융점 : 245~246℃(분해)
[실시예 67]
6-[1-히드록시-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이소프로파놀)
융점 : 147~148℃
[실시예 68]
6-{1-히드록시-4-[4-(2-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이소프로파놀)
융점 : 163~164℃
[실시예 69]
6-{1-히드록시-3-[4-(2-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이소프로파놀)
융점 : 145~147℃
[실시예 70]
6-{1-히드록시-3-[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타놀)
융점 : 171~175℃(분해)
[실시예 71]
6-{1-히드록시-3-[4-(4-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이소프로파놀)
융점 : 171~172℃
[실시예 72]
1-메틸-6-[1-히드록시-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플레이크상 결정(에탄올-물)
융점 : 155~156℃
[실시예 73]
1-벤질-6-[1-히드록시-3-(0-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침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61~162℃
5-[1-히드록시-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타놀-물)
융점 : 158~160℃
[실시예 74]
(a) 6-(1-옥소-2-클로로에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5.0g과 모르포린 06.0g을 디옥산 120ml에 분산시키고, 60~70℃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서 얻어진 잔류물을 에테르와 함께 교반하고, 불용물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불용물을 메타놀 80ml와 진한 염산 10ml에 가열하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감압하에 놓축건고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메타놀-에테르로 2회 재결정시켜서 무색분말상 결정으로 6-(1-옥소-2-모르포리노에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5.9g을 얻었다.
융점 : 290℃(분해)
(b) 6-(1-옥소-2-모르포리노에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5.0g과 m-클로로아닐린 5.0g을 진한 염산 30ml 중에서 혼합하고, 혼합물을 200~220℃로 6시간 가열하여 물을 제거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에 5N-염산을 가하고, 환류하에 2시간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다음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8N-가성소다 수용액에 쏟아붓고, 유기층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클로로포름을 증류하여 제거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박층크로마토그라피하여 분리 및 정제하고, 디옥산-물로 재결정시켜서 밝은 황색 침상결정으로 6-{1-옥소-2-[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에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0.16g을 얻었다.
융점 : 214~215℃
원소분석 C21H22O2N3Cl
Figure kpo00077
실시예 74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다음의 실시예 75~97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75]
6-{1-옥소-3-[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무색침상결정(에타놀-물)
융점 : 233~234℃(분해)
[실시예 76]
6-{1-옥소-4-[4-(2-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1수산염.
무색침상결정(물)
융점 : 266~268℃(분해)
[실시예 77]
6-[1-옥소-4-(4-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황색분말상결정(에타놀-물)
융점 : 195~196℃(분해)
[실시예 78]
6-{1-옥소-3-[4-(4-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밝은 황색침상결정(에타놀-물)
융점 : 224~226℃(분해)
[실시예 79]
6-[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플레이크상결정(에타놀-클로로포름)
융점 : 196~197℃
[실시예 80]
6-{1-옥소-3-]4-(2-플루오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분말상결정(디메틸포름아미드-물)
융점 : 200~201℃
[실시예 81]
6-{1-옥소-4-[4-(4-브로모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타놀-물)
융점 : 184~185℃
[실시예 82]
6-{1-옥소-4-[4-니트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황색침상결정(디메틸포름아미드-물)
융점 : 255~256℃(분해)
[실시예 83]
6-{1-옥소-3-[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무색침상결정(진한염산-에타놀-물)
융점 : 273~274℃(분해)
[실시예 84]
6-{1-옥소-4-[4-(3,5-디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이소프로파놀)
융점 : 194~195℃
[실시예 85]
6-[1-옥소-4-(4-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황색분말상결정(에타놀-물)
융점 : 195~196℃(분해)
[실시예 86]
6-{1-옥소-2-[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에틸{카르보스티닐.
무색침상결정(메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99~200℃(분해)
[실시예 87]
6-{1-옥소-2-[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무색침상결정(이소프로파놀)
융점 : 209~210℃(분해)
[실시예 88]
6-{1-옥소-2-[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침상결정(이소프로파놀)
융점 : 135~136℃
[실시예 89]
6-{1-옥소-4-[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타놀)
융점 : 158~159℃
[실시예 90]
6-{1-옥소-4-[4-(4-메틸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밝은 황색침상결정(에타놀)
융점 : 200~201℃
[실시예 91]
6-{1-옥소-4-[4-(4-아세틸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황색침상결정(디메틸포름아미드-물)
융점 : 218~219℃
[실시예 92]
6-{1-옥소-4-[4-(4-카르복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무색분말상결정(에타놀)
융점 : 264~265℃
[실시예 93]
6-{1-옥소-4-[4-(4-(4-히드록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분말상결정(에타놀)
융저 : 192~194℃
[실시예 94]
1-메틸-6-[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플레이크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64~165℃
[실시예 95]
1-헥실-6-[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플레이크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42~144℃
[실시예 96]
1-벤질-6-[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침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71~172℃
[실시예 97]
1-알릴-6-[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플레이크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69~170℃
5-[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80~182℃
5-{1-옥소-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백색결정(메탄올-물)
융점 : 223~235℃
5-{1-옥소-3-[4-(2-히드록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융점 :
5-{1-옥소-3-[4-(4-n-부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무색침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218~222℃
5-{1-옥소-3-[4-(2-클로로포네리)-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융점 :
5-{1-옥소-3-[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백색결정(메탄올-물)
융점 : 231~234℃
6-[1-옥소-3-(4-벤질-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77~178℃
6-{1-옥소-3-[4-(1-테트라지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
융점 : 187~188℃
5-[1-옥소-2-(4-페닐-1-피페라지닐)에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메탄올)
융점 : 195~198℃(분해)
[실시예 98]
6-{1-히드록시-3-[4-(2-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2.8g을 디옥산 100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진한 염산 5ml를 가한 다음 혼합물을 15분간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켜서 얻어진 잔류물에 10N-가성소다를 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더 교반하여 결정을 석출시켰다. 결정을 여과하여 수집하고,에테르로 세척하고 에타놀-클로로포름-아세톤으로 재결정시켜서 무색침상결정으로 6-{3-[4-(2-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얻었다. 수율 : 2.3g
융점 : 174~175℃
[실시예 99]
6-{1-히드록시-4-[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2.8g과 p-톨루엔술폰산 0.5g을 디클로로에탄 100ml에 용해시킨다음 혼합물을 20분간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켜서 얻어진 잔류물에 10N-가성소다와 디메틸에테르를 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침전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하여 분리하였다.
에타놀-아세톤-클로로포름에서 재결정시켜서 무색프리즘상의 결정으로 6-{4-(2,3-디메틸페닐)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얻었다. 수율 : 1.9g
융점 : 175 ~176℃
[실시예 100]
6-{1-히드록시-4-[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9g을 초산 50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진한 염산 2ml를 더 가하였다. 용액을 80℃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켜서 얻어진 잔류물에 10N-가성소다와 에테르를 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이렇게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분리하였다.
에타놀-클로로포름으로 재결정시켜서 무색프리즘상 결정으로 6-{4-[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얻었다.
수율 : 1.6g
융점 : 175~176℃
실시예 100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 실시예 101~126의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01]
6-[3-(4-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
융점 : 186~187℃
[실시예 102]
6-[4-(4-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87~188℃
[실시예 103]
6-{3-[4-(2-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실시예 104]
6-{3-[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63~164℃
[실시예 105]
6-{3-[4-(4-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224.5~225.5℃
[실시예 106]
6-{3-[4-(2-플루오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88.5~190℃
[실시예 107]
6-{3-[4-(2-에톡시페닐)-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메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203~204℃
[실시예 108]
6-{4-[4-(2-에톡시페닐)-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메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205~206℃
[실시예 109]
6-{3-[4-(2-메틸페닐)-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
융점 : 167~168℃
[실시예 110]
6-{-[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
융점 : 171.55~172.5℃
[실시예 111]
6-{4-[4-(4-메틸페닐)-1-피페라지닐]-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202~203℃
[실시예 112
6-{3-[4-(2-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아세톤-클로로포름)
융점 : 174~175℃
[실시예 113]
6-{4-[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아세톤-클로로포름)
융점 : 175~176℃
[실시예 114]
6-{4-[4-(2-클로로-6-메틸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아세톤-클로로포름)
융점 : 179~180℃
[실시예 115]
6-{3-[4-(4-에톡시카르보닐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90~192℃
[실시예 116]
6-{4-[4-(4-메틸치오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75.5~177℃
[실시예 117]
6-{4-(4-아세틸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213~215℃
[실시예 118]
6-{3-[4-(4-시아노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96~198℃
[실시예 119]
6-{3-[4-(2-히드록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92~194℃
[실시예 120]
1-메틸-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밝은 황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78~179℃
[실시예 121]
1-벤질-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76~179℃
[실시예 122]
1-알릴-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1수산염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67~168℃
[실시예 123]
1-(2-프로피닐)-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분말상결정(에탄올)
융점 : 158~160°
[실시예 124]
6-{3-4-(3-카르복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무색침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264~266℃
[실시예 125]
6-{4-[4-(3,4-메틸렌디옥시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염산염
무색침상결정(메탄올)
융점 : 226~228℃
[실시예 126]
6-[3-메틸-3-(4-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72~173℃
5-[3-(4-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메탄올)
융점 : 177~180℃
[실시예 127]
6-[1-옥소-3-(3-톨릴)-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5.0g을 메탄올 250ml에 현탁시키고, 이 용액에 얼음으로 냉각시키며, 소디움보로히드리드 2.5g을 천천히 가하고, 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하였다.
다음에 아세톤 10ml를 이 혼합물에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켜서 얻어진 잔류물에 10N-가성소다와 에테르를 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결정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디옥산 250ml에 현탁시킨다음 진한 염산 10m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15분간 환류시키고, 감압하에 농축 건고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하여 분리하고, 에탄올로 재결정시켜서 무색 프리즘상의 6-{3-[4-(3-톨릴)-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얻었다.
수율 : 2.9g
융점 : 167~168℃
실시예 127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의 실시예 128~152의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28]
6-[3-(4-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
융점 : 186~187℃
[실시예 129]
6-[4-(4-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87~188℃
[실시예 130]
6-{4-[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
융점 : 175~176℃
[실시예 131]
6-{4-[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무색침상결정(메탄올)
융점 : 233~235℃
[실시예 132]
6-{4-[4-(2-클로로-메틸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
융점 : 179~180℃
[실시예 133]
6-{4-[4-(4-아세틸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213~215℃
[실시예 134]
6-{3-[4-(4-시아노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96~198℃
[실시예 135]
6-{3-[4-(2-히드록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92~194℃
[실시예 136]
1-메틸-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밝은 황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78~179℃
[실시예 137]
1-벤질-6-{3-[4-(3-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76~179℃
[실시예 138]
1-알릴-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67~168℃
[실시예 139]
1-(2-프로피닐)-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분말상결정(에탄올)
융점 : 158~160℃
[실시예 140]
6-{4-[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
융점 : 171.5~172.5℃
[실시예 141]
6-{4-[4-4-메틸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202~203℃
[실시예 142]
6-{3-[4-(2-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아세톤-클로로포름)
융점 : 174~175℃
[실시예 143]
6-{4-[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아세톤-클로로포름)
융점 : 175~176℃
[실시예 144]
6-{4-[4-(2-클로로-6-메틸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메탄올-아세톤-클로로포름)
융점 : 179~180℃
[실시예 145]
6-{3-[4-(4-에톡시카르보닐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90~192℃
[실시예 146]
6-{4-[4-(4-메틸치오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75.5~177℃
[실시예 147]
6-{3-[4-(2-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51.5~152.5℃
[실시예 148]
6-{3-[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63~164℃
[실시예 149]
6-{3-[4-(4-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224.5~225.5℃
[실시예 150]
6-{3-[4-(2-플루오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88.5~190℃
[실시예 151]
6-{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메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203~204℃
[실시예 152]
6-{4-[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메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205~206℃
5-[3-(4-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메탄올)
융점 : 177~180℃
[실시예 153]
6-[1-히드록시-4-(4-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57g과 팔라듐-흑 0.2g을 디옥산 100ml에 현탁시키고, 여기에 진한 염산 10ml를 가한 다음, 혼합물을 80~90℃에서 1.5~3.0kg/cm2의 수소가스압으로 접촉 환원시켰다.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한 후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시켜서 얻어진 잔류물에 10N-가성소다와 에테르를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실리카겔크로마토그라피하여 분리한 다음, 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재결정시켜서 무색프리즘상 결정으로 6-[4-(4-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얻었다.
수율 : 0.60g(40%)
융점 : 151~152℃
실시예 153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의 실시예 154~170의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54]
6-{4-[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플레이트상결정(이소프로필 알콜-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융점 : 138.5~139.5℃
[실시예 155]
6-{4-[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무색플레이트상결정(메탄올)
융점 : 234~235℃
[실시예 156]
6-[4-(4-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필 알콜-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50.5~151.5℃
[실시예 157]
6-{4-[4-(2-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필 알콜-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28.5~129.5℃
[실시예 158]
6-{4-[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이소프로필 알콜-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융점 : 149~150℃
[실시예 159]
6-{3-[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이소프로필 알콜-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41.5~142.5℃
[실시예 160]
6-{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릴]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디에틸에테르)
융점 : 122~123℃
[실시예 161]
6-{4-[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필 알콜-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융점 : 131.5~132.5℃
[실시예 162]
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
융점 : 116~117℃
[실시예 163]
6-{4-[4-(4-메틸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필 알콜-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융점 : 160~161℃
[실시예 164]
6-{3-[4-(2-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필 알콜-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융점 : 145~146℃
[실시예 165]
1-(3-페닐프로필)-6-{3-[4-(2-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판상결정(아세톤-물)
융점 : 117~118℃
[실시예 166]
1-이소펜틸-6-{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수산염
무색판상결정(아세톤-물)
융점 : 150~151℃
[실시예 167]
6-{4-[4-(2-히드록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67~169℃
[실시예 168]
6-[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이소프로필 알콜-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융점 : 136.5~137.5℃
[실시예 169]
6-{3-[4-(4-니트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황색침상결정(이소프로필 알콜)
융점 : 189~192℃
[실시예 170]
6-[4-(4-페닐-1-피페라지닐)부틸]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무색침상결정(메탄올)
융점 : 233~235℃
5-[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무색침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230~233℃
[실시예 171]
6-{4-[4-(4-메틸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0g과 팔라듐 흑 0.2g을 디옥산 100ml에 현탁시키고, 혼합물을 상온, 상압하에서 접촉 수소화시켰다.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한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시켜서 얻어진 잔류물을 이소프로파놀-디이소프로필에테르에서 재결정시켜서 무색프리즘상 결정으로 6-{4-[4-(4-메틸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얻었다.
수율 : 0.7g
융점 : 160~161℃
[실시예 172]
6-{3-[4-(2-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2.3g과 백금 흑 0.2g을 메타놀 100ml에 현탁시킨 현탁액을 상온에서 2~4기압의 수소압하에 접촉 환원시켰다.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한 후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시켜서 얻어진 잔류물을 이소프로파놀-디이소프로필 알콜로 재결정시켜서 무색 프리즘상의 결정으로 6-{3-[4-(2-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얻었다.
수율 : 1.3g
융점 : 145~146℃
[실시예 173]
6-{4-[4-(2-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0.37g과 10%-팔라듐 흑 0.1g을 물 40ml에 현탁시킨 다음 '진한 염산 0.2ml를 이 현탁액에 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5기압의 수소압하에 접촉 환원시켰다.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한 후, 여액에 10N-가성소다와 에테르를 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이소프로필 알콜 재결정시켜서 무색프리즘상의 6-{4-[4-(2-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얻었다.
수율 : 0.27g
융점 : 129~13℃
실시예 173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 실시예 174~190의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74]
6-[4-(4-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독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필알콜-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51~152℃
[실시예 175]
6-{4-[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플레이크상결정(이소프로필 알콜-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융점 : 138.5~139.5℃
[실시예 176]
6-{3-[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염산염
무색판상결정(메탄올)
융점 : 234~235℃
[실시예 177]
6-[4-(4-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필알콜-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융점 : 150.5~151.5℃
[실시예 178]
6-{4-[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이소프로필 알콜-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융점 : 149~150℃.
[실시예 179]
6-{3-[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디이소프로필 알콜-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융점 : 141.5~142.5℃.
[실시예 180]
6-{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디에틸에테르)
융점 : 122~123℃.
[실시예 181]
6-{4-[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필 알콜-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융점 : 131.5~132.5℃.
[실시예 182]
6-{3-[4-(3-메틸페일)-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
융점 : 116~117℃.
[실시예 183]
6-{4-[4-(4-메틸페닐)-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필알콜-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60~161℃
[실시예 184]
6-{3-[4-(2-메톡시페닐)-1-피페닐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45~146℃.
[실시예 185]
1-(3-페닐프로필)-6-{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옥살레이트
무색판상결정(아세톤-물)
융점 : 117~118℃.
[실시예 186]
1-이소펜틸-6-{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모노옥살레이트
무색판상결정(아세톤-물)
융점 : 150~151℃.
[실시예 187]
6-{4-[4-(2-히드록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67~169℃.
[실시예 188]
6-[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36.5~137.5℃.
[실시예 189]
6-{3-[4-(4-니트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황색침상결정(이소프로판올)
융점 : 189~192℃.
[실시예 190]
6-[4-(4-페닐-1-피페라지닐)부틸]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무색침상결정(메탄올)
융점 : 233~235℃.
5-[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무색침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230~233℃.
[실시예 191]
2.0g의 6-{1-옥소-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와 0.4g의 팔라듐 블랙을 100ml의 물에 현탁시키고, 이 현탁액을 3atm의 수소압하 80℃에서 촉매적으로 수첨시킨다. 그런 후 5ml의 농염산을 반응혼합물에 가하고 다시 촉매적으로 수첨시킨다. 이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수득된 여액에 10N-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증화시킨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다. 이 클로로포름을 유거하고 수득된 잔류물을 컬럼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한다. 에테르로 재결정하여 무색프리즘 결정의 6-{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얻었다.
수율 : 0.8g, 융점 : 122~213℃.
실시예 191에서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아래와 같이 실시예 192~207의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92]
6-[4-(4-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51~152℃.
[실시예 193]
6-{-4-[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조각의 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38.5~139.5℃.
[실시예 194]
6-{4-[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무색판상결정(메탄올)
융점 : 234~235°.
[실시예 195]
6-[4-(4-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판올 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50.5~151.5℃.
[실시예 196]
6-{4-[4-(2-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28.5~129.5℃.
[실시예 197]
6-{4-[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49~150℃.
[실시예 198]
6-{3-[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41.5~142.5℃.
[실시예 199]
6-{4-[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31.5~132.5℃.
[실시예 200]
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
융점 : 116~117℃.
[실시예 201]
6-{4-[4-(4-메틸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60~161℃.
[실시예 202]
6-{3-[4-(2-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45~146℃.
[실시예 203]
1-(3-페닐프로필)-6-{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모노옥살레이트
무색판상결정(아세톤-물)
융점 : 117~118℃.
[실시예 204]
1-이소펜틸-6-{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모노옥살레이트
무색판상결정
융점 : 150~151℃.
[실시예 205]
6-{4-[4-(2-히드록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67~169℃.
[실시예 206]
6-[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36.5~137.5℃.
[실시예 207]
6-{3-[4-(4-니트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황색침상결정(이소프로판올)
융점 : 189~192℃.
5-[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
무색침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230~233℃.
[실시예 208]
2.88g의 6-(4-모르폴리노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10ml의 아닐린을 밀봉 튜브에 넣고 170~200℃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한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 농축시켜 아닐린을 제거하고 수득된 잔류물을 분리한 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다. 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재결정하면 0.36g의 6-[4-(4-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무색 침상으로 수득한다.
융점 : 151~152℃.
실시예 208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 실시예 209~255의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09]
6-{3-[4-(2-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
융점 : 174~175℃.
[실시예 210]
6-{4-[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
융점 : 175~176℃.
[실시예 211]
6-[3-(4-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
융점 : 186~187℃.
[실시예 212]
6-[4-(4-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87~188℃
[실시예 213]
6-{3-[4-(2-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51.5~152.5℃.
[실시예 214]
6-{3-[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63~164℃.
[실시예 215]
6-{3-[4-(4-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클로로포름)
융점 : 224.5~225.5℃.
[실시예 216]
6-{3-[4-(2-플루오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클로로포름)
융점 : 188.5~190℃.
[실시예 217]
6-{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메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203~204℃.
[실시예 218]
6-{4-[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205~206℃.
[실시예 219]
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
융점 : 167~168℃.
[실시예 220]
6-[4-(4-페닐-1-피페라지닐)부틸]카르보스티릴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
무색침상결정(메탄올)
융점 : 233~235℃.
[실시예 221]
6-{4-[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결정(에탄올)
융점 : 171.5~172.5℃.
[실시예 222]
6-{4-[4-(4-메틸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202~203℃.
[실시예 223]
6-{3-[4-(2-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아세톤-클로로포름)
융점 : 174~175℃.
[실시예 224]
6-{4-[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아세톤-클로로포름)
융점 : 175~176℃.
[실시예 225]
6-{4-[4-(2-클로로-6-메틸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아세톤-클로로포름)
융점 : 179~180℃.
[실시예 226]
6-{3-[4-(4-에톡시카르보닐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90~192℃.
[실시예 227]
6-{4-[4-(4-메틸티오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75.5~177℃.
[실시예 228]
6-{4-[4-(4-아세틸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213~215℃.
[실시예 229]
6-{3-[4-(4-시아노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96~198℃.
[실시예 230]
6-{3-[4-(2-히드록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92~194℃.
[실시예 231]
1-메틸-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모노옥살레이트
담황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78~179℃.
[실시예 232]
1-벤질-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모노옥살레이트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76~179℃.
[실시예 233]
1-알릴-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모노옥살레이트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67~168℃.
[실시예 234]
1-(2-프로피닐)-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모노옥살레이트
무색분말상결정(에탄올)
융점 : 158~160℃.
[실시예 235]
6-{3-[4-(3-카르복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
무색침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264~266℃.
[실시예 236]
6-{4-[4-(3,4-메틸메틸렌디옥시페닐)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226~228℃.
[실시예 237]
6-[3-메틸-3-(4-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72~173℃.
[실시예 238]
6-{4-[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눈송이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38.5~139.5℃
[실시예 239]
6-{4-[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무색판상결정(메탄올)
융점 : 234~235℃.
[실시예 240]
6-[4-(4-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50.5~151.5℃.
[실시예 241]
6-{4-[4-(2-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28.5~129.5℃.
[실시예 242]
6-{4-[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49~150℃.
[실시예 243]
6-{3-[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41.5~142.5℃.
[실시예 244]
6-{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디에틸에테르)
융점 : 122~123℃.
[실시예 245]
6-{4-[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31.5~132.5℃.
[실시예 246]
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
융점 : 116~117℃.
[실시예 247]
6-{4-[4-(4-메틸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60~161℃.
[실시예 248]
6-{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45~146℃.
[실시예 249]
1-(3-페닐프로필)-6-{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모노옥살레이트
무색판상결정(아세톤-물)
융점 : 117~118℃.
[실시예 250]
1-이소펜틸-6-{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모노옥살레이트
무색판상결정(아세톤-물)
융점 : 150~151℃.
[실시예 251]
6-{4-[4-(2-히드록시페닐)-1-피페라지닐]부틸} 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67~169℃.
[실시예 252]
6-[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융점 : 136.5~137.5℃.
[실시예 253]
6-{3-[4-(4-니트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황색침상결정(이소프로판올)
융점 : 189~192℃.
[실시예 254]
6-{4-[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225~228℃.
[실시예 255]
6-[4-(4-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카르보스티릴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
무색침상결정(메탄올)
융점 : 233~235℃.
5-[3-(4-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
융점 : 177~180℃.
5-[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
무색침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230~233℃.
[실시예 256]
2.87g의 6-(3-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2.0g의 p-니트로아닐린, 0.8g의 탄산칼슘 및 0.2g의 구리분말을 80ml의 3-메톡시부탄올에 혼합하고 5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그런후 3g의 활성탄을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모액을 감압하 농축하여 잔류물을 얻었다. 이 잔류물을 실리카겔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이소프로판올로 재결정하여 0.55g의 6-{3-[4-(4-니트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황색 침상 결정으로 수득한다. 융점 189~192℃.
실시예 256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다음 실시예 257~302의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57]
6-[4-(4-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로프필 에테르)
융점 : 151~152℃.
[실시예 258]
6-{4-[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눈송이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38.5~139.5℃.
[실시예 259]
6-{4-[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
무색판상결정(메탄올)
융점 : 234~235℃.
[실시예 260]
6-[4-(4-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50.5~151.5℃.
[실시예 261]
6-{4-[4-(2-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융점 : 128.5~129.5℃.
[실시예 262]
6-{4-[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49~150℃.
[실시예 263]
6-{3-[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41.5~142.5℃.
[실시예 264]
6-{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디에틸 에테르)
융점 : 122~123℃.
[실시예 265]
6-{4-[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융점 : 131.5~132.5℃.
[실시예 266]
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
융점 : 116~117℃.
[실시예 267]
6-{4-[4-(4-메틸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60~161℃.
[실시예 268]
6-{3-[4-(2-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융점 : 145~146℃.
[실시예 269]
1-(3-페닐프로필)-6-{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모노옥살레이트
무색판상결정(아세톤-물)
융점 : 117~118℃.
[실시예 270]
6-{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옥살레이트
무색판상결정(아세톤-물)
융점 : 150~151℃.
[실시예 271]
6-{4-[4-(2-히드록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67~169℃.
[실시예 272]
6-[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융점 : 136.5~137.5℃
[실시예 273]
6-{4-[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메탄올)
융점 : 225~228℃.
[실시예 274]
6-[4-(4-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카르보스티릴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
무색침상결정(메탄올)
융점 : 233~235℃.
[실시예 275]
6-{3-[4-(2-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
융점 : 174~175℃.
[실시예 276]
6-{4-[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
융점 : 175~176℃.
[실시예 277]
6-[3-(4-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
융점 : 186~187℃.
[실시예 278]
6-[4-(4-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87~188℃.
[실시예 279]
6-{3-[4-(2-클로로페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51.1~152.5℃.
[실시예 280]
6-{3-[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63~164℃.
[실시예 281]
6-{3-[4-(4-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224.5~225.5℃.
[실시예 282]
6-{3-[4-(2-플루오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88.5~190℃.
[실시예 283]
6-{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메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203~204℃.
[실시예284]
6-{4-[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실시예 285]
6-{3-[4-(3-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67~168℃.
[실시예 286]
6-{4-[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
융점 : 171.5~172.5℃.
[실시예 287]
6-{4-[4-(4-메틸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202~203℃.
[실시예 288]
6-{3-[4-(2-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아세톤-클로로포름)
융점 : 174~175℃.
[실시예 289]
6-{4-[4-(2,3-디메릴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아세톤-클로로포름)
융점 : 175~176℃.
[실시예 290]
6-{4-[4-(2-클로로-6-메틸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아세톤-클로로포름)
융점 : 179~180℃.
[실시예 291]
6-{3-[4-(4-에톡시카르보스티릴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90~192℃.
[실시예 292]
6-{4-[4-(4-메틸티오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75.5~177℃.
[실시예 293]
6-{4-[4-(4-아세틸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213~215℃.
[실시예 294]
6-{3-[4-(4-시아노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96~198℃.
[실시예 295]
6-{3-[4-(2-히드록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92~194℃.
[실시예 296]
1-메틸-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옥살레이트
황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78~179℃.
[실시예 297]
1-벤질-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옥살레이트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76~179℃.
[실시예 298]
1-알릴-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옥살레이트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67~168℃.
[실시예 299]
1-(2-프로페닐)-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옥살레이트
무색분말상결정(에탄올)
융점 : 158~160℃.
[실시예 300]
6-{3-[4-(3-카르복시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
무색침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264~266℃.
[실시예 301]
6-{4-[4-(3,4-메틸렌디옥시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
무색침상결정(메탄올)
융점 : 226~228℃.
[실시예 302]
6-[3-메틸-3-(4-페닐-1-피페라지닐)-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172~173℃.
[실시예 303]
1.8g의 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2-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0.25g의 수소화나트륨(광유중 50%)를 6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0.7g의 벤질클로라이드를 반응 혼합물에 가한 다음 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150ml의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붓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 다음 클로로포름층을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클로로포름을 유거한다. 득된 잔류물을 실리카겔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수득된 유상 잔류물을 20ml의 아세톤에 용해하고 교반하 이 용액에 5% 옥살산 아세톤 용액을 가해 pH3-4로 조정하여 침전물을 얻는다. 이 침전물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아세톤으로 세척한 후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2.2g의 1-벤질-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2-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옥살산레이트를 무색 침상으로 수득했다. 융점 : 176~178℃.
실시예 303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실시에 304~306의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304]
1-메틸-6-{3-[4-(3-메틸페닐)-3,4-1-피페라지닐]-2-프로폐닐-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옥살레이트
담홍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78~179℃.
[실시예 305]
1-알릴-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2-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옥살레이트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67~168℃.
[실시예 306]
1-(2-프로피닐)-6-{3-[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2-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옥살레이트
무색분말상결정(에탄올)
융점 : 158~160℃.
[실시예 307]
0.94g의 6-{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과 0.12g의 수산화나트륨(광유중 50%)을 4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현탁시키고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다. 그런후 0.37g의 이소아밀브로마이드를 이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한다. 이 반응혼합물을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에 붓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다. 클로로포름 추출액을 감압하 건고시켜 수득된 잔류물을 분리한 후 실리카겔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다. 정제된 생성물을 옥살레이트염으로 전환한 후 아세톤-물로 재결정하여 무색판상의 1-이소펜틸-6-{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옥살레이트를 0.51g을 얻었다.
융점 : 150~151℃.
실시예 307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하기의 실시예 308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308]
1-(3-페닐프로필)-6-{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모노옥살레이트
무색판상결정(아세톤-물)
융점 : 117~118℃.
[실시예 309]
1.5g의 6-[4-(4-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카르보스티릴과 0.3g의 10%팔라듐-탄소를 120ml의 에탄올에 분산시킨 후 6시간 동안 촉매적으로 환원시킨다. 이 반응혼합물을 여과하고 모액을 감압하 농축시키고 얻어진 잔류물의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0.8g의 6-[4-(4-페닐-1-피페라지닐)부틸]카르보스티릴을 무색침상으로 얻었다.
융점 : 159~162℃.
[실시예 310]
2.0g의 6-{4-[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3.5g의 DDQ를 20ml의 벤젠에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5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이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 농축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다. 클로로포름층을 5%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3회 세척한후 물로 2회 세척하고 탈수한다. 클로로포름층을 유거하고 수득된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러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메탄올로 재결정하여 0.12g의 6-{4-[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1-부테닐}카르보스티릴을 무색침상 결정으로 얻었다.
융점 : 225~225℃.
[실시예 311]
1.8g의 6-[1-옥소-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과 0.24g의 수산화나트륨(광유중 50%)를 5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다 그런후 0.8g의 요오드화 메틸을 여기에 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150ml의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에 넣고 유기층은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다. 클로로포름층을 물로 세척한 후 탈수하고 클로로포름층을 유거한다. 이렇게 얻어진 잔류물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목적하는 생성물을 염산염으로 전환시킨후 에탄올-물로 재결정하면 1.5g 의 1-메틸-6-[1-옥소-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담황색 판상 결정으로 얻었다.
융점 : 213~214℃(분해).
실시예 311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하기 실시예 312~315의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312]
1-이소페닐-6-[1-옥소-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
무색운모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205~206℃. )분해)
[실시예 313]
1-알릴-6-[1-옥소-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
무색판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98~199℃. (분해)
[실시예 314]
1-(2-프로피닐)-6-[1-옥소-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
무색판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203~204℃. (분해)
[실시예 315]
1-(3-페닐프로필)-6-[1-옥소-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
무색분말상결정(이소프로판올)
융점 : 164~165℃.
[실시예 316]
1.9g의 6-[1-옥소-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0.5g이 팔라듐 블랙을 80ml의 물에 분산시키고, 분산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수소기체의 그 압력하에서 교반한다. 반응혼합물을 여과하여 팔라듐 블랙을 제거하고, 모액을 감압 농축하여 얻은 잔기를 소량의 에탄올을 첨가함으로써 결정화시키고, 얻은 조결정을 여과하여 모우고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무색판상의 6-[1-히드록시-3-(4-페닐-1-피페리딜)메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4g을 얻는다.
융점 : 155.5~156℃.
적당한 초기물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438에서 기술한 비슷한 방법으로 하기 실시예 317~319에 따른 화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317]
6-[1-히드록시-3-(4-페닐-4-히드록시-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02~103℃.
[실시예 318]
6-[1-히드록시-3-(4-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메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에탄올)
융점 : 144~145℃.
[실시예 319]
6-{1-히드록시-3-[4-(4-클로로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에탄올)
융점 : 169~170℃.
[실시예 320]
2.2g의 6-[1-옥소-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0.6g의 5%팔라듐 블랙을 80ml의 에탄올에 분산시키고, 실온에서 5시간동안 기압의 수소 기체하에서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여 팔라듐 블랙을 제거하고 모액을 감압 농축한다. 이와같이 얻은 잔기를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무색판상결정의 6-[1-히드록시-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1.5g을 얻는다.
융점 : 155.5~156℃.
실시예 320에서 기술한 비슷한 방법으로 하기실시예 321~323에 따른 화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321]
6-[1-히드록시-3-(4-페닐-4-히드록시-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02~103℃.
[실시예 322]
6-[1-히드록시-3-(4-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에탄올)
융점 : 144~145℃.
[실시예 323]
6-{1-히드록시-3-[4-(4-클로로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에탄올)
융점 : 169~170℃.
[실시예 324]
1.9g의 6-[1-옥소-3-(4-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1.0g의 수소화 알루미늄 리튬을 80ml의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에 분산시키고, 실온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한다. 10ml의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천천히 첨가시키고,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을 경사 분리시킨다.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증류로 제거하고, 이와같이 얻은 잔기를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무색판상결정의 6-[1-히드록시-3-(4-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0.8g을 얻는다.
융점 : 144~145℃.
실시예 324에서 기술한 비슷한 방법으로, 실시예 325~328에 따른 화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325]
6-[1-히드록시-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에탄올)
융점 : 155.5~156.5℃.
[실시예 326]
6-[1-히드록시-3-(4-벤질-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메탄올)
융점 : 168~169℃.
[실시예 327]
6-[1-히드록시-3-(4-페닐-4-히드록시-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02~103℃.
[실시예 328]
6-{1-히드록시-3-[4-(4-클로로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에탄올)
융점 : 102~103℃.
[실시예 329]
2.9g의 6-{1-옥소-3-[4-(4-클로로페닐)-1,2,5,6-테트라히드리-1-피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에 100ml의 메탄올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에 1.2g의 수소화 붕소 나트륨을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하고, 실온에서 5시간 동안 더욱 교반한다.
5ml의 농축염산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감압 농축시커 탈수시킨다. 이와같이 얻은 잔기에 50ml의 2%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시킨다. 디클로로메탄층을 물로 세척시키고 탈수시킨후, 디클로로메탄을 증류로 제거한다.
이와같이 얻은 잔기를 실리카-겔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무색판상의 6-{1-히드록시-3-[4-(4-클로로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얻는다.
융점 : 169~170℃.
실시예 329에서 기술한 비슷한 방법으로, 하기 실시예 330~333에 따른 화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330]
6-[1-히드록시-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에탄올)
융점 : 155.5~156℃.
[실시예 331]
6-[1-히드록시-3-(4-벤질-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메탄올)
융점 : 168~169℃.
[실시예 332]
6-[1-히드록시-3-(4-페닐-4-히드록시-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02~103℃.
[실시예 333]
6-[1-히드록시-3-(4-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에탄올)
융점 : 144~145℃
6-{1-히드록시-3-[4-(4-클로로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에탄올)
융점 : 169~170℃.
6-{1-히드록시-3-[4-(3-메틸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에탄올)
융점 : 142~143℃.
6-{1-히드록시-3-[4-(4-메틸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운모상결정(에탄올)
융점 : 159~160℃.
7-[1-히드록시-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
융점 : 146~149℃.
[실시예 334]
2.5g의 6-[1-히드록시-3-클로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3.0g의 4-페닐-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을 50ml의 톨루엔에 혼합시키고, 혼합물을 5시간 가열함으로써 환류시키고, 톨루엔을 증류로 제거한다. 이와같이 얻은 잔기에 50ml의 5%-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시킨다. 클로로포름을 물로 세척하고 탈수시키고, 클로로포름을 증류로 제거한다.
이와같이 얻은 잔기를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담황색판상 결정의 6-[3-(4-페닐-1,2,5,6-테트라히드로피라닐)-1-프로펜일]-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2.1g을 얻는다.
융점 : 182~183℃.(분해)
실시예 334에서 기술한 비슷한 방법으로 하기실시예 335-341에 따른 화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335]
6-[3-(4-페닐-1-피페리딜)-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메탄올)
융점 : 163~164℃.
[실시예 336]
6-[3-(4-벤질-1-피페리딜)-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60~161℃.
[실시예 337]
6-[4-(4-페닐-4-아세틸-1-피페리딜)-1-부텐일]-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에탄올)
융점 : 169~170℃.
[실시예 338]
6-{3-[4-(4-메틸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1-프로펜일}-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담황색판상결정(에탄올)
융점 : 214~215℃.
[실시예 339]
6-[3-(4-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담황색판상결정(에탄올)
융점 : 182~183℃.
[실시예 340]
7-[3-(4-페닐-1-피페리딜)-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메탄올)
융점 : 165~168℃.
[실시예 341]
6-{3-[4-(2-메톡시페닐)-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딜]-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옥살레이트
무색판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201~205℃.
[실시예 342]
1.0g 6-[1-히드록시-3-(4-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30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2ml의 농축염산을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2분 가열함으로서 환류시킨다. 반응혼합물을 감압농축하고, 이와같이 얻은 잔기를 50ml의 0.5%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시킨다. 클로로포름층을 물로 세척하고 탈수시킨 다음, 클로로포름을 실온에서 증류로 제거하고, 얻은 잔기를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담황색 판상결정의 6-[3-(4-페닐-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딜)-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0.6g을 얻는다.
융점 : 182~183℃.(분해)
실시예 342에서 기술한 비슷한 방법으로, 하기실시예 343~349에 따른 화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343]
6-[3-(4-페닐-1-피페리딜)-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메탄올)
융점 : 163~164℃.
[실시예 344]
6-[3-(4-벤질-1-피페리딜)-1-프로페닐]-3,4-디히드로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60~161℃.
[실시예 345]
6-[4-(4-페닐-4-아세틸-1-피페리딜)-1-부텐일]-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에탄올)
융점 : 169~170℃
[실시예 346]
6-{3-[4-(4-메틸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침상결정
융점 :
[실시예 347]
6-[3-(4-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담황색판상결정(에탄올)
융점 : 182~183℃.(분해)
[실시예 348]
7-[3-(4-페닐-1-피페리딜)-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메탄올)
융점 : 165~165℃.
[실시예 349]
6-{3-[4-(2-메톡시페닐)-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딜]-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옥살레이트
무색판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201~205℃.
[실시예 350]
2.0g의 6-[3-(4-페닐-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딜)-1-프로페닐]-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0.2g의 팔라듐 블랙을 50ml의 디옥산에 분산시키고 분산물을 5시간 동안 2기압의 수소 기체하에서 교반한다. 반응혼합물을 여과하고, 모액에 3ml의 농축 염산을 첨가하고 감압농축하여 탈수시킨다.
이와같이 얻은 잔기를 소량의 에탄올 및 아세톤으로 재결정하고 형성된 조결정을 여과하여 모우고, 메탄올로 재결정하여 무색판상의 6-[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1.6g을 얻는다.
융점 : 232~233℃.(분해)
실시예 350에서 기술한 비슷한 방법으로, 하기실시예 351~356에 따른 화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351]
6-[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무색판상결정(메탄올)
융점 : 232~233℃.
[실시예 352]
6-[3-(4-벤질-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에탄올)
융점 : 99~100℃.
[실시예 353]
6-{3-[4-(4-메틸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이소프로판올-n-헥산)
응점 : 125~126℃.
[실시예 354]
7-[3-(4-페닐-4-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14~118℃.
[실시예 355]
5-[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결정
융점 :
[실시예 356]
6-{3-[4-(2-메톡시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옥살레이트
[실시예 357]
45.8g의 8-메탄술폭시-5-[1-옥소-3-(4-페닐-1-피페라지노)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5.9g의 수산화칼륨을 에탄올에 용해시킨다. 이 용액에 1.0g의 5%팔라듐 탄소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상압 및 상온하에서 8시간 접촉 수소 첨가시키고, 촉매를 여과로 제거하고 모액을 감압농축하여 탈수시킨다. 이와같이 얻은 잔기를 물로 세척하고, 에탄올-클로로포름으로 재결정하여 5-[1-옥소-3-(4-페닐-1-피페라지노)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얻는다. 수율 : 26.4
원소분석 C22H25O2N3
Figure kpo00078
[실시예 358]
2.0g의 6-메틸술포닐옥시-7-[1-옥소-3-(4-페닐-1-피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0.5g의 팔라듐 블랙을 50ml의 에탄올에 분산시키고, 혼합물을 5시간 동안 3기압의 수소 기체하에서 접촉 환원시킨다. 반응혼합물을 여과하고 모액을 감압 농축하여 잔기를 얻는다. 잔기를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무색침상결정의 7-[1-옥소-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1g을 얻는다.
융점 : 171~173℃.
원소분석 C22H26O2N2(분지량 362.45)
Figure kpo00079
실시예 358에서 기술한 비슷한 방법으로, 하기실시예 359~402에 따른 화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359]
5-[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메탄올)
융점 : 180~182℃.
[실시예 360]
5-{1-옥소-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백색결정(메탄올-물)
융점 : 223~235℃.(분해)
[실시예 361]
5-{1-옥소-3-[4-(2-히드록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결정
[실시예 362]
5-{1-옥소-3-[4-(4-n-부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218~222℃.(분해)
[실시예 363]
5-{1-옥소-3-[4-(2-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결정
[실시예 364]
5-{1-옥소-3-[4-(2,3-디메틸)-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백색결정(메탄올-물)
융점 : 231~234℃.
[실시예 365]
7-[1-옥소-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메탄올)
융점 : 171~173℃.
[실시예 366]
7-{1-옥소-3-[4-(4-메틸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백색결정(에탄올-물)
융점 : 212~216℃.(분해)
[실시예 367]
7-{1-옥소-3-[4-(4-플루오로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결정
[실시예 368]
7-{1-옥소-3-[4-(2,4-디메틸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백색결정(메탄올-물)
융점 : 226~229℃.
5-[1-옥소-2-(4-페닐-1-피페라지닐)에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95~198℃.
[실시예 369]
5-[1-히드록시-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58~160℃.
[실시예 370]
7-[1-히드록시-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
융점 : 146~149℃.
[실시예 371]
5-[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무색침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230~232℃.
[실시예 372]
7-[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14~118℃.
[실시예 373]
6-{1-옥소-4-[4-(4-아세틸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황색침상결정(디메틸포름아미드-물)
융점 : 218~219℃.
[실시예 374]
6-{1-옥소-4-[4-(4-메틸페닐)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담황색 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87~188℃.
[실시예 375]
6-{1-옥소-4-[4-(4-카르복시페닐)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무색분말상결정(에탄올)
융점 : 264~265℃.
[실시예 376]
6-{1-옥소-4-[4-(4-히드록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분말상결정(에탄올)
융점 : 192~194℃.
[실시예 377]
6-{1-옥소-2-[4-(4-니트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황색분말상결정(에탄올)
융점 : 239~241℃.
[실시예 378]
1-벤질-6-[1-히드록시-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옥살레이트
무색침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61~162℃.
[실시예 379]
6-{1-옥소-4-(-4-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황색분말상결정
융점 : 195~196℃.
[실시예 380]
6-{1-히드록시-3-[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73~175℃.(분해)
[실시예 381]
6-{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디에틸 에테르)
융점 : 122~123℃.
[실시예 382]
6-{4-[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31.5~132.5℃.
[실시예 383]
6-{1-옥소-4-[4-(3,4,5-트리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디히드로클로라이드
무색분말상결정(메탄올-물)
융점 : 261~263℃. (분해)
[실시예 384]
6-{1-옥소-3-[4-(4-시아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에탄올)
융점 : 206~207℃.
[실시예 385]
6-[1-옥소-3-(4-벤질-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77~178℃.
[실시예 386]
6-{1-옥소-3-[4-(1-테트라리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87~188℃.
[실시예 387]
6-{1-히드록시-3-[4-(2-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이소프로판올)
융점 : 145~147℃.
[실시예 388]
6-{1-히드록시-4-[4-(4-아미노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갈색분말상결정(메탄올)
융점 : 243~245℃.
[실시예 389]
1-메틸-6-[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옥살레이트
무색판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64~165℃.
[실시예 390]
1-알릴-6-[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옥살레이트
무색판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69~170℃.
[실시예391]
6-{4-[4(3-메틸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이소프로판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융점 : 138.5~139.5℃.
[실시예 392]
6-{1-옥소-4-[4-(3,4-메틸렌디옥시페닐)-1-피페라지닐]부틸} 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무색분말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246~248℃.(분해)
[실시예 393]
1-(1-프로핀일)-6-[1-옥소-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무색판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203~204℃.(분해)
[실시예 394]
6-[1-옥소-3-(4-벤질-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담황색판상결정(에탄올)
융점 : 170~171℃.
[실시예 395]
6-[1-옥소(4-페닐-4-아세틸-1-피페리딜)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담황색판상결정(에탄올)
융점 : 166~167℃.
[실시예 396]
6-{1-옥소-3-[4-(2-벤즈이미다졸리논-1-일)-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무색판상결정(메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242~243℃.(분해)
[실시예 397]
6-{1-히드록시-3-[4-(4-페닐-4-히드록시)-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02~103℃.
[실시예 398]
6-[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무색판상결정(메탄올)
융점 : 232~233℃.
[실시예 399]
6-[3-(4-벤질-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에탄올)
융점 : 99~100℃.
[실시예 400]
6-{3-[4-(4-메틸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이소프로판올-n-헥산)
융점 : 125~126℃.
[실시예 401]
5-[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융점 :
[실시예 402]
6-{3-[4-(2-메톡시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옥살레이트
무색편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78~181℃.
[실시예 403]
4-(2,3-디메틸페닐)피페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0.2몰) 및 37% 포르말린 수용액(0.2몰)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80~90℃에서 무수초산(중량의 10배)을 첨가한다. 반응혼합물을 50~90℃에서 1시간 방치한 후 5-아세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0.1몰)을 첨가하고, 80~90℃에서 1시간 교반한다. 반응이 완결된 후, 과량의 아세톤을 반응혼합물에 첨가하고,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여 모운다. 결정을 메탄올에 녹이고 1N-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중화시키고 방치한다.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여 모으고, 농축 염산 및 메탄올로 처리하여 모노히드로 클로라이드를 만들고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5-{1-옥소-3-[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라이드를 얻는다.
수율 : 35%의 백색결정, 융점 : 231~234℃.
[실시예 404]
실시예 403에서 사용한 비슷한 방법으로, 37%-포르말린 수용액 대신 파라포름알데히드(0.2몰)를 사용하여, 5-{1-옥소-3-[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를 얻는다. 수율 : 34%의 백색결정, 융점 : 231~234℃
[실시예 405]
실시예 403에서 사용한 비슷한 방법으로, 37%-포르말린 수용액대신 트리옥산(0.2몰)을 사용하여, 5-{1-옥소-3-[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를 얻는다. 수율 : 39%의 백색결정, 융점 : 231~234℃.
실시예 403에서 사용한 비슷한 방법으로, 하기실시예 406~442에 따른 화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406]
5-{1-옥소-3-[4-(2-에톡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백색결정(메탄올-물)
융점 : 223~235℃.
[실시예 407]
5-{1-옥소-3-[4-(2-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결정
[실시예 408]
5-{1-옥소-3-[4-(2-히드록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결정
[실시예 409]
7-{1-옥소-3-[4-(4-메틸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백색결정(에탄올-물)
융점 : 212~216℃ (분해)
[실시예 410]
7-{1-옥소-3-[4-(4-플루오로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결정
[실시예 411]
7-{1-옥소-3-[4-(2,4-디메틸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백색결정
융점 : 226~229℃.
[실시예 412]
6-[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편상결정
융점 : 196~197℃.
[실시예 413]
6-{1-옥소-3-[4-(2,3-디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무색침상결정
융점 : 273~274℃ (분해)
[실시예 414]
5-[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80~182℃.
[실시예 415]
6-[1-옥소-3-벤질-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
융점 : 177~178℃.
[실시예 416]
6-{1-옥소-3-[4-(1-테트라리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프리즘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87~188℃.
[실시예 417]
1-메틸-6-[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옥살레이트
무색편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64~165℃.
[실시예 418]
6-{1-옥소-3-[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모노히드레이트(에탄올-물), 무색침상결정
융점 : 233~234℃ (분해)
[실시예 419]
6-{1-옥소-3-[4-(4-메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담황색침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224~226℃.
[실시예 420]
6-{1-옥소-3-[4-(2-플루오로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분말상결정(디메틸프롬아미드-물)
융점 : 200~201℃.
[실시예 421]
6-{1-옥소-2-[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무색침상결정(이소프로판올)
융점 : 209~210℃(분해)
[실시예 422]
6-{1-옥소-2-[4-(3-클로로페닐)-1-피페라지닐]-부틸}-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옥살레이트
무색침상결정(이소프로판올)
융점 : 135~136℃.
[실시예 423]
6-{1-옥소-3-[4-(4-시아노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판상결정(에탄올)
융점 : 206~207℃.
[실시예 424]
6-{1-옥소-3-[4-(2-메톡시페닐)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담황색침상결정(디옥산-물)
융점 : 212.5~213℃.
[실시예 425]
1-알릴-6-[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옥살레이트
무색편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69~170℃.
[실시예 426]
1-벤질-6-[1-옥소-3-(4-페닐-1-피페라지닐)-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옥살레이트
무색침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71~172℃.
[실시예 427]
6-[1-옥소-3-(4-벤질-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담황색판상결정(에탄올)
융점 : 170~171℃.
[실시예 428]
6-[1-옥소-3-(4-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담황색판상결정(에탄올)
융점 : 167~168℃.
[실시예 429]
6-[1-옥소-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
융점 : 183~184℃.
[실시예 430
6-[1-옥소-3-(4-페닐-4-히드록시-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무색침상결정(에탄올-초산에틸)
융점 : 205~206℃.
[실시예 431]
6-{1-옥소-3-[4-(2-벤즈이미다졸리는-1-일)-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무색판상결정(에탄올-클로로포름)
융점 : 242~243℃ (분해)
[실시예 432]
1-이소펜틸-6-[1-옥소-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무색판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205~206℃ (분해)
[실시예 433]
1-알릴-6-[1-옥소-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무색판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98~199℃
[실시예 434]
1-(2-프로페닐)-6-[1-옥소-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무색판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203~204℃ (분해)
[실시예 435]
1-(3-페닐프로필)-6-[1-옥소-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무색분말상결정(이소프로판올)
융점 : 164~165℃.
[실시예 436]
1-메틸-6-[1-옥소-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담황색판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213~214℃ (분해)
[실시예 437]
6-{1-옥소-3-[4-(4-클로로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4 히드레이트
담황색편상결정(에탄올)
융점 : 170~171℃.
[실시예 438]
6-{1-옥소-3-[4-(4-메틸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담황색운모상결정(메탄올-물)
융점 : 189~190℃.
[실시예 439]
6-{1-옥소-3-[4-(4-플루오로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담황색판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81~182℃.
[실시예 440]
6-{1-옥소-3-[4-(3-메틸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담황색판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52~153℃.
[실시예 441]
6-{1-옥소-3-[4-(3,5-디메톡시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융점 :
[실시예 442]
6-{1-옥소-3-[4-(3-메톡시페닐)-1,2,5,6-테트라히드로-1-피리딜]프로필}-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담황색침상결정(에탄올-물)
융점 : 155~156℃.

Claims (1)

  1. 다음 일반식(2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다음 일반식(2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 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일반식(1)로 표시되는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80
    상기식에서, R1은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페닐-저급알킬기, 저급알케닐기, 저급알키닐기를 나타내고; A는 식
    Figure kpo00081
    로 표시되는 기, 또는 식
    Figure kpo00082
    (식중, R2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임)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B는 저급알킬렌기를 나타내고; l은 A가 식
    Figure kpo00083
    의 기일때는 1이며, A가 식
    Figure kpo00084
    의 기일때는 0 또는 1이고; R3는 페닐기상에 할로겐원자, 저급알킬기, 저급알콕시기, 저급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저급알킬티오기, 저급알카노일기, 수산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및 시아노기 중에서 선택된 치환체를 1 내지 3개 갖는 치환-페닐기 또는 비치환-페닐기이거나, 또는 R3는 페닐기상에 치환체로서 메틸렌디옥시기를 갖는 치환페닐기, 벤질기 또는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틸기이고; 카르보스티릴 골격에 있어서 3위와 4위 사이의 탄소-탄소결합은 단일 또는 2중 결합이고; 단, R1이 수소원자이고, 식
    Figure kpo00085
    [여기서, A는 식
    Figure kpo00086
    의 기이고; B는 식
    Figure kpo00087
    (식중 R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기임)의 기이고; l은 1이고; R'은 비치환페닐기 또는 페닐-저급알킬기임]의 측쇄의 치환위치가 카르보스티릴 골격에서 6-위 일때, 카르보스티릴 골격에 있어서 3-위와 4-위 사이의 탄소-탄소결합은 단일 결합이 아니다.
    Figure kpo00088
    상기식에서, R1, A, B, l 및 카르보스티릴 골격에 있어서 3-위와 4-위 사이의 탄소-탄소결합은 상기에 정의한 바와 같고; R4는 1-피페라지닐기, 1-모르폴리노기, 아모니기 또는 식
    Figure kpo00089
    (식중, X1및 X2는 각각 할로겐원자, 또는 수산기임)의 기이다.
    Z-R3(26)
    상기식에서, R3는 상기에 정의한 바와 같고; Z는 할로겐원자, 아미노기의 기이고, 단, R4가 1-피페라지닐기일때, Z는 할로겐이고; R4가 1-모르폴리노기 또는 식
    Figure kpo00090
    의 기일때, Z는 아미노기이다.
KR1019840006213A 1980-08-20 1984-10-06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50001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6213A KR850001796B1 (ko) 1980-08-20 1984-10-06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5022/80 1980-08-20
JP11502280A JPS5738772A (en) 1980-08-20 1980-08-20 Carbostyril derivative
KR1019810000730A KR850000024B1 (ko) 1980-08-20 1981-03-06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40006213A KR850001796B1 (ko) 1980-08-20 1984-10-06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730A Division KR850000024B1 (ko) 1980-08-20 1981-03-06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304A KR850003304A (ko) 1985-06-13
KR850001796B1 true KR850001796B1 (ko) 1985-12-21

Family

ID=146522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730A KR850000024B1 (ko) 1980-08-20 1981-03-06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40006213A KR850001796B1 (ko) 1980-08-20 1984-10-06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730A KR850000024B1 (ko) 1980-08-20 1981-03-06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738772A (ko)
KR (2) KR8500000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62868B1 (en) * 1983-11-02 1989-05-31 MITCHELL, Matthew P. Stirling cycle engine and heat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205A (ko) 1983-08-03
JPS6320430B2 (ko) 1988-04-27
JPS5738772A (en) 1982-03-03
KR850003304A (ko) 1985-06-13
KR850000024B1 (ko) 198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7187A (en) Carbostyril derivatives and antihistaminic agents containing the carbostyril derivatives
US4734416A (en) Pharmaceutically useful carbostyril derivatives
AU635196B2 (en) Quinoline derivatives as antagonists of leukotriene d4
EP0495484A1 (en) Novel benzo [5,6] cyclohepta [1,2-b] pyridine derivatives and antiallergic agents comprising same
DE2825048A1 (de) Neue carbostyrilderiva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GB2163426A (en) Substituted quinazolinones having functionality at n1
US4482560A (en) Carbostyril derivatives, and antihistaminic agents containing the same
JPH0314308B2 (ko)
EP0257864B1 (en) Antiarrhythmic agents
JPS6320226B2 (ko)
KR850001796B1 (ko)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215537B2 (ko)
JPS6332069B2 (ko)
JPS628117B2 (ko)
JPS6335562A (ja) カルボスチリル誘導体
JPS6331445B2 (ko)
JPS6325585B2 (ko)
JPH0216299B2 (ko)
JPS6346754B2 (ko)
JPH0351687B2 (ko)
KR840001938B1 (ko) 카르보스티릴유도체 및 그의 염의 제조방법
KR820002231B1 (ko) 신규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60001945B1 (ko) 카보스티릴 화합물의 제조방법
KR860001960B1 (ko) 카보스티릴 화합물의 제조방법
KR860001958B1 (ko) 카보스티릴 화합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12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