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680Y1 - 자동 관수기(灌水器) - Google Patents

자동 관수기(灌水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680Y1
KR850001680Y1 KR2019840000700U KR840000700U KR850001680Y1 KR 850001680 Y1 KR850001680 Y1 KR 850001680Y1 KR 2019840000700 U KR2019840000700 U KR 2019840000700U KR 840000700 U KR840000700 U KR 840000700U KR 850001680 Y1 KR850001680 Y1 KR 850001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urd
water
cylinder
shaf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0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595U (ko
Inventor
윤오근
Original Assignee
윤오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오근 filed Critical 윤오근
Priority to KR2019840000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6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680Y1/ko
Publication of KR8500055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595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관수기(灌水器)
제1도는 외통을 종단한 상태에서 요부를 발췌한 배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발췌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축수만을 발췌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작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체 2 : 관수공
3 : 바가지 4 : 축수
5 : 축공 6 : 막대
7 : 스프링 8 : 축봉
9 : 저지턱체 10 : 스프링
11 : 저지턱 12 : 승강턱
본 고안은 화분ㆍ콩나물시루등에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관수할 수 있는 자동관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일정한 양의 물이 자동으로 관수될 수 있게 각종 타이머를 이용한 시간제어장치와 물의 양을 측정하여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부구밸브.
또는 부구스위치등을 결합하여서 된 장치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장치는 필연적으로 그 기술적 구성이 복잡할뿐 아니라 제조비용이 과다하여 안가로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콩나물시루등에 사용하는 것은 사실상 곤란하였던 것이다. 가정에서의 콩나물재배는 흥미로운 일일뿐 아니라 어린이에게 미치는 교육효과가 크고 또 청정채소를 얻을수 있어 좋은 일이기는 하나 자주 관수하여야 하는 부담으로 인하여 그 재배가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안가의 자동관수기를 제공하므로서 가정에서의 콩나물재배가 용이하게 함은 물론 각종화분이나 기타 식물재배시의 관수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저면에 관수공(2)을 뚫은 통체(1)의 내부에 바가지(3)를 축설한다. 바가지(3)의 양측에 형성시킨 축수(4)에는 축공(5)이 횡방향으로 긴게 형성되어 있으며 축공(5)의 크기를 제어하는 막대(6)가 스프링(7)으로 탄설되어 있다.
따라서 기다란 축공(5)은 막대(6)에 의해 좁혀져 축봉(8)이 정위치 즉 축공(5)의 좌단에 위치하게 한다.
그런데 축공(5)의 좌단은 바가지(3)의 중심선(가)보다 약간 우측에 위치되어 바가지(3)가 편심위치에 축설되게 한다.
이와같이 편심되게 축설된 바가지는 한쪽으로 기울어질 것이므로 평형을 유지시키려면 기울어지는 반대쪽에 스프링(10)이나 중추등의 평형유지구를 장치하여야 한다.
그리고 바가지(3)의 일측에 저지턱(11)을 형성시키고 통체(1)에 상하 승강조절이 가능한 승강턱(12)을 장치하여 저지턱(11)이 승강턱(12)에 재치되도록 한다. 축봉(8)은 어떤 구조로든지 통체(1)에 연설되어야하며 첨부된 도면에는 통체(1)의 바닥에 연결되도록 도시하였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9는 바가지(3)의 저지턱(11)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저지턱이고, 13은 급수원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급수원(13)으로부터 물방울이 똑똑 떨어져 바가지(3)에 고이기 시작하고 바가지(3)에 고인물의 양이 점점 많아져 바가지(3)의 무게중심이 축봉(8)의 위치좌단을 넘어서고 또 스프링(10)의 당기는 힘을 이기게 되면 이제는 바가지(3)가 좌측(도면에 도시한 상태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게 되고 일단 기울기 시작하면 무게중심은 기울어지는 쪽으로 더욱 크게 옮겨져 기울기를 가속화한다. 따라서 물이 거의 일시에 쏟아지게 된다. 이와같이 물이 쏟아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바와같이 축공(5)을 길게 형성시키므로서 바가지(3)가 일단기울기 시작하면 축봉(8)이 축공(5)의 우측으로 이동되어져서 바가지(3)가 급격히 또 완전히 넘어져 물이 쏟아지게 하였다.
이와같이 물이 쏟아진 바가지(3)는 가벼우므로 축수(4)의 스프링(7)으로도 바가지(3)를 움직일수 있으므로 축봉(8)은 다시 축공(5)의 좌단에 위치하게 된다.
그런데 바가지(3)가 기우는 정도에 따라 바가지(3)에 받아지는 물의 양이 결정된다. 다시 말해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가지(3)가 수평으로 장치되었을 경우에 바가지(3)에 받아지는 물의 양은 바가지(3)가 좌측(반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장치된 경우보다 많을 것이며 반대로 바가지(3)가 우측)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장치된 경우 보다는 적을 것이다. 이와같이 바가지(3)의 경사도를 정하므로서 바가지(3)에 받아지는 물의 양을 측정하고 또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 승강턱(12)이다.
즉 승강턱(12)을 승강시키면 이에 재치되는 저지턱(11)이 바가지(3)의 경사도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급수원(13)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므로서 일정한 량의 물이 받아지면 자동적으로 물을 관수할 수 있게 될뿐만 아니라 관수의 양도 조절할 수 있어 관수작업이 극히 용이하므로 화초재배는 물론 콩나물재배도 극히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저면에 관수공(2)을 뚫은 통체(1)내부에 바가지(3)를 편심되게 축설하며 바가지(3)에 평형유지구를 장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관수기.
  2. 실용신안 등록청구범위 제1항의 것에 있어서, 바가지(3)에 저지턱(11)과 스프링(10)을 형성시키고 통체(1)에 승강턱(12)을 장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관수기.
KR2019840000700U 1984-01-28 1984-01-28 자동 관수기(灌水器) KR8500016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0700U KR850001680Y1 (ko) 1984-01-28 1984-01-28 자동 관수기(灌水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0700U KR850001680Y1 (ko) 1984-01-28 1984-01-28 자동 관수기(灌水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680Y1 true KR850001680Y1 (ko) 1985-08-16
KR850005595U KR850005595U (ko) 1985-08-24

Family

ID=19232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0700U KR850001680Y1 (ko) 1984-01-28 1984-01-28 자동 관수기(灌水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6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595U (ko) 198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686631D1 (de) Vorrichtung zum steuern mindestens eines gasstromes.
CN203723140U (zh) 可自动潮汐灌溉的栽培容器给水装置
KR850001680Y1 (ko) 자동 관수기(灌水器)
FR2249606A1 (en) Pot plant container with water reservoir - fits inside flower pot and has upright tube indicating water level
US2499885A (en) Self-watering reservoir type plant holder
JPH0685668B2 (ja) 栽培鉢に対するかん水を行うためのプランター
CN210008358U (zh) 节水环保型地下灌溉装置
KR100526264B1 (ko) 난초 화분용 조립체
TWI577274B (zh) 環保省水之組合式穴井灌溉系統
US3045699A (en) Intermittent misting control apparatus
CN2243173Y (zh) 定时自动浇花装置
CN211020175U (zh) 一种用于园林工程的盆栽井盖一体式结构
JP3076770U (ja) 全自動定量給水装置
CN210143368U (zh) 一种自动浇水陶瓷花盆
CN210168531U (zh) 一种双盆体保湿花盆
CN208191510U (zh) 一种小工艺陶瓷花盆
JPS6261293B2 (ko)
KR960000458Y1 (ko) 토양수분계측 및 제어용 센서
JPH0337852U (ko)
KR200263590Y1 (ko) 수분공급장치
JPH0337394Y2 (ko)
KR930001069Y1 (ko) 물뿌리개
JPS586280Y2 (ja) 吸水性布地を利用した鉢植用潅水器具
KR800001235Y1 (ko) 콩나물 재배기
FR2428754A1 (fr) Bac a reserve pour humidifier ou impregner par intermitt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