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678B1 - Pcm신호 기록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Pcm신호 기록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678B1
KR850001678B1 KR1019810002894A KR810002894A KR850001678B1 KR 850001678 B1 KR850001678 B1 KR 850001678B1 KR 1019810002894 A KR1019810002894 A KR 1019810002894A KR 810002894 A KR810002894 A KR 810002894A KR 850001678 B1 KR850001678 B1 KR 850001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ck
address
signal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드 다나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10002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6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Landscapes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PCM신호 기록 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트랙패턴의 일예를 도시한 계략도.
제2도는 제어트랙 및 데이타트랙에 기록된 기록구성을 도시한 계략도.
제3도는 데이타계열, 블록 어드레스 및 섹터 어드레스의 관계 설명에 필요한 계략도.
제4도는 헤드 배치의 일예의 계략도.
제5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PCM기록 재생 장치의 기록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6도는 상기 장치의 재생계를 도시한 블록도.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스플라이스 편집점 검출장치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의 각각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은 고정헤드식의 PCM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스플라이스(splice)편집점을 확실히 검출하기 위한 것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신호를 PCM변조함으로써 얻어지는 PCM신호로 기록재생하는 장치로서는, 회전 헤드식과 고정 헤드식이 있고, 고정헤드식은 아나로그의 테이프 레코더와 동일 모양의 스플라이스 편집을 행하는 잇점을 갖는다. 이러한 스플라이스 편집된 자기 테이프를 재생하는 경우, 편집점에서 재생 오디오 신호가 불연속 되므로 이것을 잘 알아보지 못하도록, 크로스패이드(cross·fade), 뮤팅(muting)등의 접속처리가 행하여진다. 그러므로 스플라이스 편집점을 검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편집점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고정헤드 방식의 PCM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잠조하면서 설명하겠다. 이러한 예에서는, 1채널당 점유트랙수가 상이한 3종류의 기록포맷(fo㎛at)으로서 PCM신호를 기록하게 한 것이다. 기록 테이프에 몇개의 데이타 트랙이 형성되어지는가는 자기 테이프의 폭에 의하여 달라진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1/4인치 폭의 자기테이프(1)에는 8개의 데이타 트랙 TD1내지 TD8가 형성된다. 자기테이프(1)의 상하의 변에 연하여 아나로그 신호가 기록된 트랙 TA1내지 TA2가 형성되며, 아나로그 트랙 TA1및 TA2사이에는 8개의 데이타 트랙 TD1내지 TD8과, 제어트랙 TC와, 타임코드 트랙(Timecode track)TT가 위치되어진다. 이런 경우에, 자기테이프(1)의 중심(1점 점선으로 도시됨)의 윗부분에는 제어트랙 TC가 위치되며, 아나로그트랙 TA1및 트랙 TC의 사이에는 데이타트랙 TD1내지 TD4가 위치되며, 자기테이프(1)의 중심 아랫부분에는 타임코드트랙 TT가 위치되고, 이런 트랙 TT 및 아나로그트랙 TA2사이에는 데이타트랙 TD1내지 TD8이 위치되어진다. 도시된 바와같이 데이타트랙 TD1내지 TD8에 대하여 (트랙간격 : a)(트랙폭 : b))가드폭 : c)이 되고, 아나로그트랙 TA1,TA2에 대하여서는(클리어런스 : d)(트랙폭 : e)가 되어, 테이프폭을 a로 하면 다음과 같은 치수가 정해진다.
a=480[㎛], b=280내지 380[㎛], c=200내지 100[㎛], d=540[㎛], e=445[㎛],
Figure kpo00002
일예로서 1/4인치의 테이프폭의 기록형태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3
상술된 테이프속도는, PCM신호의 샘플링주파수 fs가 50.4[KHz]인 경우의 값이다. 샘플링 주파수 fs 로서는, 이외의 44.1[KHzl, 32.0[KHz]가 가능하며, 이런 경우의 테이프속도는 상기된 값과 제각기 다르게 된다. 또한 PCM신호의 부호구성 및 변조형식은 각각의 포맷으로서 공통으로 되어있다.
제2도는 제어트랙 TC와 데이타트랙 TD(=TD1내지 TD8)의 1단위(1섹터 Sector)를 도시한다. 데이타 기록헤드에 의하여 데이타트랙 TD가 형성되며, 데이타 재생헤드에 의하여 트랙 TD가 재생되고, 제어기록 헤드에 의하여 제어트랙 TC가 형성되며, 제어재생 헤드에 의하여 트랙 TC가 재생된다. 이러한 데이타트랙 TD의 기록 재생과, 제어트랙 TC의 기록재생은 상호간에 동기되도록 된다. 즉, 데이타 기록용 헤드 및 제어기록용 헤드의 자기공극이 자기테이프의 폭방향과 일치하는 헤드배열에 의하여, 소정의 1섹터의 제어신호가 기록되는 트랙 TC의 구값과 소정의 1섹터의 데이타가 기록되는 트랙TD의 구간의 상호 양단이 폭방향으로 일치하게 된다. 재생헤드의 배치도 동일한 관계로 되어 있다.
데이타 트랙의 1섹터에는, 4블록의 데이타가 기록된다. 각 블록의 선두에는, 제2도에 있어서 빗금으로 도시될 데이타 동기신호가 기록된다. 동기신호후에 삽입된 1블록의 데이타는 1워드가 16비트인 PCM워드 W1내지 W12와 1워드가 16비트인 패리티워드 POEEQOQE와, 이런 16워드에 대한 에러검출용 CRC코드에 의하여 구성된다. PCM워드 W1내지 W12는, 동일채널에 속하게되며, 연속하는 PCM워드가 기수번호의 것과 우수번호의 것으로 분리되며, 각각에 있어서 인터리브(interlive)처리 (배열의 바꿈)와 에러 정정 보호화가 행하여진다. 패이티워드 PO,PB는 인터리브전에 있어서 기수 번호와 우수번호의 각 6워드에 기초를 두어 형성되어지므로, 패리티 워드 QO,QE는 인터리브후에 있어서 기수번호와 우수번호의 각 6워드에 기초를 두어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1블록내에 있어서는 패리티 워드가 중앙에 위치함과 동시에 인터리브전에는 인접하여 기수번호 또는 우수번호의 워드 예를들어 W1및 W3가 1블록내에서 최대의 거리로 떨어져 위치되어있다. 이에 의하여 에러 정정부호화는 재생된 데이타가 정정 불가능한 에러를 포함하며, 예를들어 전후에 위치한 정정된 데이타의 평균치로 보충하는 보정을 행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본래의 순서에 PCM데이타 계열중에서 민접하는 2워드 이상의 워드가 정정불가능하게 되는 우려를될 수 있는한 작게한다.
데이타블록 TD의 각 블록에 삽입된 데이타 동기신호는 1워드와 같은 16비트의 길이이며, 1블록의 최초를 나타내는 동기패턴과, 3비트의 블록 어드레스[B2B1B0]와, 2비트의 플래그(flag)비트[FB1FB0]로서 형성된다. 데이타동기 신호는 데이키와 동일한 변조 방식에 의하여 기록되어지므로, 동기 패턴은 데이타중에 나타나지 않는 패턴의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예로서 자화반전간격(磁化反轉間隔)의 최소치(Tmin)가 1.5T(단, T는 원래 데이타의 1비트의 타임슬롯)이며, 이러한 것의 최대치(Tmax)가 4.5T로 되는 변조 방식을 채용한다. 그러므로 동기 패턴은 1.5T,4.5T,0.5T의 반전간격을 순차적으로 갖게된다. 블록 어드레스의 3비트내에서 최상의 비트 B2는 섹터어드레스의 최하위비트 S0와 일치하게 되어 있다. S0는 "0" 또는 "1"이 되므로, 동기 패턴의 극성으로서는 2종류가 있다. 따라서 블록어드레스[B2B1B0]는 [000][001]…[111]까지 8개가 존재한다. 또한 플래그비트 FB1,FB0는 PCM데이타가 엠퍼시스 처리되어졌나 아닌가를 나타내며, 즉 엠퍼시스되지 않은 경우에, [FB1FB0]가 [00]이 되며, 엠퍼시스된 경우에는[01]이 된다. [000]의 블록어드레스의 후에 존재하는 플래그 비트가 엠퍼시스된 온. 오프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블록어드레스 및 플래그 비트의 양자도 PCM워드 및 패리티 데이타의 값이 각 블록의 CRC코드에 의한 에러검사의 대상이 된다.
제어트랙 TC의 1섹터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4비트의 동기신호와, 16비트의 제어워드와, 28비트의 섹터어드레스와, 16비트의 CRC코드가 순차적으로 위치하고 있다. 이런 제어트랙 TC의 구성은 포맷 A, 포맷 B, 포맷 C에 대하여 동일하게 된다. 제어워드, 섹터어드레스, 코드의 변조 방식은 FM방식과같다. FM방식의 1비트셀(cell)을 T'라 하면, 동기신호는 4비트(47')가 되며, 0.5T'의 프리엠블(preamble)기간이 설치되어지며 앞 섹터의 CRC코드의 최하위 비트간 "0" 또는 "1"의 어느 것이라도 도시된 소정의 극성을 갖는 동기패턴이 된다. 동기 신호에 연속하여 16비트의 제어워드 C0내지 C15가 설치된다. C15내지C12의 4비트가 샘플링 주파수 fs를 판별하므로서, C11내지 C9의 3비트가 포맷을 판별하게 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는 C0내지 C8의 비트를 모두 0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데이타의 부호구성, 데이타의 변조방식 등이 다른 경우에는, 이러한 판별용으로 C0내지 C8의 비트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제어워드후에 28비트(S0내지 S27)의 섹터 어드레스가 삽입된다. 섹터 어드레스는 전비트가 "0"의 상태에서 1섹터마다 증가방향으로 보진하게 되어, 각 섹터의 절대 번지를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워드 및 섹터 어드레스에 대하여 에러 검출용의 CRC코드(16비트)가 부가된다. 제어워드중의 포맷 판별코드(C11C10C9)는 각 포맷에 의하여다른 것으로 되어진다. 이러한 예에서, 3종류의 포맷밖에 없을때는, 2비트의 판별코드로서 좋으나, 보다 많은 종류가 있을 때를 고려하여 3비트가 이용되어 진다.
제3도는 데이타계열, 블록어드레스, 섹터 어드레스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으며 제3a도는 포맷 A의 경우을 나타내고, 제3b도는 포맷 B의 경우를, 그리고 제3c도는 포맷 C의 경우를 도시한다. 제3도는 1채널에 있어서의 관계도시하며, n 및 m은 0 및 정의 정수를 의미한다. 포맷 A의 경우에서는, 1채널의 1개의 데이타 트랙으로서 기록되며, 포캣 B의 경우에서는 1채널이 2개의 데이타트랙 4,5로서 기록되고,포맷의 경우에는 1채널이 4개의 데이타블록 A,B,C,D로서 기록된다.
본 발령의 일실시예에서는, 기록포맷에 따라서 제어워드내의 판별비트C11내지 C9을 소정의 것으로 하고, 재생시에는 이런한 판별비트로 부터 기록포맷을 식벌하는 것에 의해서, 3종류의 것 중 어느 것의 기록포맷이라도 지장없에 재생할 수 있다.
자기테이프(1)가 1/4인치폭으로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트랙패턴이 형성될때의 기록계 및 재생계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각 포맷에 따라서 하기와 같이 각 채널(CH)의 PCM데이타가 기록된다.
Figure kpo00004
이와같은 트랙 할당은, 포맷이 다른 경우에도, 데이타의 배분 혹은 합성처리의 구성이 간단하도록 고려한 것이다.
제4도는 이러한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헤드배치를 도시한 것이며, 도시된 자기 테이프(1)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최초로 기록헤드 HR이 위치하고, 다음에 재생 헤드 HP가 위치하며, 최후에 기록헤드 HR'가 위치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기록헤드 HR은 8개의 데이타 트랙에 대응하는 기록헤드 HR1내지 HR8과 제어트랙에 대응하는 기록제어헤드 HRC가 폭방향으로 인라인 배치되어진것이다. 동일하게 기록헤드 HR'는, 데이타트랙과 제어트랙 각각에 대응하는 기록헤드가 인라인으로 배치되어질 것이다. 새로운 기록을 행할 때에는 기록헤드 HR이 이용되며, 데이타트랙 및 제어트랙의 양자가 형성된다. 또한 기록완료 채널을 재생하면서 별도의 채널을 기록싱크(sink)녹음, 기록완료 채널의 일부를 수정하여 다시 기록하는 펀치인, 펀치 아웃 편집을 행할때에는, 기록헤드 HR'가 사웅된다. 데이타트랙이 서환될때라도, 일단 형성된 제어트랙은 서환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계 및 재생계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제5도에 도시된 기록계에 있어서(2a)내지 (2h)는 CH1내지 CH8의 각 채널의 디지탈 신호가 공급되는 입력단자에 있고, 이 디지탈 입력이 엔코더(3a)내지(3h)에 공급된다. 또한, 입력단자(4a)(4b)(4c)의 각각으로 부터 포맷지정신호, 샘플링 주파수(fs)지정신호, 타임신호가 제어엔코더(5)에 공급된다. 엔코더(3a)내지(3h) 각각은, 데이타 동기 신호 발생기, 인터리브 에러정정 부호화 회로, 블록어드레스 및 플레그비트부가회로, CRC발생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2도에 도시된 신호 구성의 데이타를 발생한다. 동일하게 제어인코더(5)는, 동기신호발생기, 어드레스발생기, CRC발생기를 구비하고 있으더, 제2도에 도시된 신호 구성의 신호를 발생한단.
제어엔코더(5)내의 어드레스 발생기는, 블록어드레스[B1B1B0] 및 섹터어드레스(27-S0)의 양자를 발생하며, 이러한 블록어드레스가 엔코더(3a)내지(3h)에 공급되고, 각 블록에 대하여 부가된다. 어드레스 발생되는, 도시되지 않는 30비트의 2진 계수기에 의하여 실현된다. 이러한 계수기의 클럭 입력으로서, 입력단자(2a)내지 (2h)에 인가되는 디지탈 입력과 동기된 블록주기의 펄스를 공급하고, 상위의 28비트를 섹터 어드레스로 하고 하위의 3비트(여기에서 상위의 1비트가 섹터 어드레스의 최하의 비트와 공통이 됨)를 블록 어드레스로 하게 된다.
또한 엔코더(3a)내지(3h)의 출력이 디멀티플렉서(6)에 공급된다. 터멀티플렉서(6)은 상기된 바와같이 각 채널의 데이타를 8개의 데이타트랙 TD1내지 TD8에 배분하기 위한 것이며, 제어기(7)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어기(7)에는 포맷 지정신호가 공급되며, A,B,C의 각 포맷에 따라서 데이타가 8개의 트랙에 배분된다. 더멀티플렉서(6)의 8개 출력계열이 변조기(8a)내지(8h)와 기록증폭기(9a)내지(9h)를 각각 통하여 기록헤드 HR1내지 HR8에 인가된다. 또한 제어엔코더(5)의 출력계열이 FM방식의 변조기(10)와기록증폭기(11)을 통하여 기록제어헤드 HR에 인가된다.
이러한 헤드 HR1내지 HR8, HRC에 의하여 제1도에 도시된 트랙패턴의 기록이 행해진다. 제5도에서는,아나로그 트랙 TA1,TA2와 타임코드트랙 TT에 관한 기록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포맷 지정신호를 엔코더(3a)내지 (3h)에 인가하는 것은, 포맷에 따라서 엔코더(3a)내지(3h)가 데이타를 출력하는 타이밍관계를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제6도에 있어서, HP1내지 HP8은 데이타트랙 TD1내지 TD8을 재생하는 재생헤드이며, HPC는 제어트랙 TC를 재생하는 재생헤어 헤드를 나타낸 것이고, 각 헤드의 재생출력이 재생증폭기(12a)내지 (12h)(13)를통하여 클럭유출회로(14a)내지 (14h)(15)에 공급된다. 이러한 클럭유출회로(14a)내지(14h)(15)는 재생신호로부터 비트클럭을 유출하는 것으로, PLL회로의 구성과 같게된다. 클럭유출회로(14a)내지(14h)에서 나타나는 데이타계열이 각각의 복조기(16a)내지(16h)에 공급되며, 클럭유출회로(15)에서 나타나는 제어트랙의 재생신호가 FM방식의 복조기(17)에 공급된다.
복조기(17)의 출력이 CRC검사기(18)에 있어서 에러 검출되어져서, 제어디코더(19)에 공급된다. 제어디코더(19)는 제어코드에서 샘플링 주파수 판별코드 C12내지C15, 포맷 판럴코드 C9내지 C11을 분리하여 추출함과 동시에, 동시신호 및 섹터 어드레스의 각각을 출력한다. 이러한 동기신호는 캠스턴 서보 회로에 비교용 신호로서 공급된다. 제어워드 및 섹터 어드레스는 CRC검사기(18)에 의하여 에러가 없다고 판정된 것만을 정규의 데이타로 한다. 제어디코더(19)에서의 포맷 판별코드가 제어기(19)에 공급되며, 제어기(20)에 의하여 멀티플렉서(21)가 포맷에 따른 동작을 행하도록 제어된다. 멀티플렉서(21)는 기록계에 설치되어진 디멀티플렉서(6)의 입출력관계를 역으로 구성한 것으로, 복조기(16a)내지(16h)의 출력에 나타나는 각 데이트랙에서의 재생데이타를 소정수의 채널의 데이타 계열로 변환한다. 복조기(16a)내지(16h)의 출력이 TBC(시간측 보정장치)(22a)내지(22h)에 각각 공급된다.
TBC(22a)내지(22h)의 각각은 1섹터(4블록)분의 용량에 대하여 제거하려고 하는 시간축 변동분의 양과 관련하는 용량을 가한 용량메모리(RAM)을 갖고 있으며, 각 채널의 재생데이타를 유출한 클럭펄스에 의하며 서입되고, 단자(23)에서 인가된 기준 클럭펄스에 의하여 이러한 데이타를 독출하며 시간측 변동분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서입동작시의 블록어드레스가 각 블록에 부가되어 있는 블록 어드레스에 의하여 지정된다. 다트랙으로서 기록하여두고, 펀치인, 펀치아우트 편집을 행하여 특정채널의 데이타만을 서환하는 경우등에서는 제어트랙 TC와 데이타 트랙의 동기관계가 문란해진다.
이와같은 트랙간의 스퓨(skew)는 TBC(22a)내지(22h)에 의하여 제거된다. PCM데이타를 서입하는 경우의 블록어드레스(0내지 3번지)는 섹터마다 공통이므로, 이 블록 어드레스의 판별은 섹터 어드레스의 최하위 비트(S0)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디코더(19)로부터 발생한 재생 섹터어드레스의 최하위 비트 S0는 1섹터주기로 반전한다. 또한 트랙 간의 스큐가 전혀 없는 경우에는, 데이타트랙으로부터 재생된 블록어드레스의 최상위 비트 B2도 S0과 동일위상으로 반전한다. 그러므로 데이타트랙이 제어트랙에 대하여 앞서 있으면 블록어드레스의 최상위비트 B2의 위상이 섹터어드레스의 최하위 비트 S0의 위상에 대하여 앞서게 된다. 반대로 제어트랙에 대하여 데이타트럭이 지연된 경우에는, 비트 B2의 위상이 비트 S0위상에 대하여 지연된다. n번지의 섹터어드레스의 기준을 비트 S0의 입하(立下)연에 있으면, 비트 B2의 위상이 1섹타 미만의 앞섬인 경우에도 n번지의 블록어드레스를 판별할 수 있고, 비트 B2의 위상이 1섹타 미만의 지연인 경우에도 n번지의 블록 어드레스를 판별할 수 있다. 이러한 판별에 의하여 재생데이타가 TBC(22a) 내지 (22h) 메모리에 대응하는 블록 어드레스에 착오없이 서자되고, 시간축 변동분이 없이, 트랙간의 스큐도 제거하게 된다.
멀티플렉서(21)의 출력이 디코더(24a) 내지 (24h)에 공급된다. 디코더(24a) 내지 (24h)는 CRC검사기, 인터리브, 에러정정 및 보정회로, 동기분리회로를 갖고 있다. 이러한 디코더(24a) 내지 (24h) 각각에서부터 각 채널의 재생 PCM 데이타가 출력단자(25a) 내지 (25h)에서 취출된다. 오디오 출력을 얻는 경우에는, D/A 변환기, 저역통과필터를 출력단자(25a) 내지 (25h)에 접속하면 좋다.
제6도의 재생계의 제어디코더(19)내에 편집점 검출장치가 설치된다. 제7도는, 이러한 점출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며, 제7도에서 (26)은 제어트랙 TC의 재생출력에서 섹터 어드레스 S0내지 S27을 분리하기 위한 섹터 어드레스 분리회로를 표시한다. 분리된 섹터어드레스가 비교회로(27)에 공급됨과 동시에 프리셋트 입력으로서 계수기(28)에 공급된다. 제어트랙 TC의 동기신호에 의하여 형성된 섹터주기의 클럭펄스가 단자(29)에서 계수기(28)에 클럭입력으로서 인가된다. 계수기(28)의 28비트출력이 비교회로(27)에 공급됨과 동시에, 지연회로(30)에 공급된다. 지연회로(30)에서 나타나는 섹터어드레스가 기록스위치(31) 및 기록증폭기(32)를 통하여 기록제어헤드 HRc'에 공급된다.
기록제어헤드 HRc'는 제4도에 있어서의 기록헤드 HR'에 포함되어져 있는 TD으로서 어샘플 편집할때의 기록시에 기록스위치(31)가 온되어지므로써, 미리 기록되어진 섹터 어드레스와 열속하는 섹터 어드레스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기록제어헤드 HRc'에 대하여서는 동기신호, 제어워드 등도 공급되어지나, 제7도에서는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다.
또한 (33)으로 표시됩 단자이 CRC 검사기(18)의 검출출력이 공급된다. CRC 검사기(15)의 검출출력 , 에러가 있는 경우에 "1"로 되고, 에러가 없는 경우에 "0"으로 되므로, 반전기(34)를 통하여 AND 게이트(35)에 공급된다. 이런 AND 게이트(35)에는 비교회로(27)의 비교출력이 공급되며, AND게이트(35)의 출력이 1섹터 지연회로(36) 및 AND 게이트(37)에 공급된다. 비교회로(27)의 비교출력은 재생섹터 어드레스와 계수기(28)의 출력(예측 섹터 어드레스)이 일치할때 0으로 되고, 불일치할때 "1"로 된다. 그러므로 검사기에 의하여 에러가 없다고 판별될 때이며, 또한 비교회로(27)에서 불일치 출력이 발생될때 AND 게이트(35)의 출력이 "1"로 된다. 이것은 스플라이스 편집점으로서 검출된다.
또한, 검출의 확실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AND게이트(35)의 출력과 이것의 지연회로(36)에 의해 1섹터 지연된 것을 AND 게이트(37)에 공급하도록 한다. 따라서, AND 게이트(35)의 출력이 2회 연속하여 "1"이 되는 경우에는 AND게이트(37)의 출력이 "1"이 되고, 이러한 스플라이스 편집점의 검출 출력으로서 출력단자(38)에서 취출된다. 이것과 동시에, 검출출력이 계수기(25)의 부하단자에 인가되며, 검출출력이 "1"로 입상(立上)할 때에, 재생섹터가 계수기(28)에서 리셋트되어지도록 된다.
상술된 일실시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자기테이프(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어트랙 TC에 섹터마다 보진하는 섹터어드레스를 기록하는 포맷으로 하고, 재생시에는 스플라이스 편집점에 있어서 섹터 어드레스가 불연속으로 되는 것을 검출하므로, 확실한 검출을 행할 수 있다.
결국, 섹터어드레스를 28비트 하면, 상이한 자기테이프를 연결할때, 이음매의 전후에서 섹터어드레스가 연속하는 확률은 2-28되어 전무하다. 따라서 실제로는 섹터어드레스의 모든 비트가 아니고 어드레스가 연속될 수 있는 염려가 무시할 정도로 작은 것이 될 정도의 비트수의 하위비트를 감시하면 좋다. 스플라이스 편집점이 검출방법으로서, 먼저 제어트랙에 기록될 서보용의 제어신호의 위상이 스플라이스 편집점 에서 정규의 것이 아닌 것을 이용한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제어신호의 위상인 아나로그적인 양의 검출은, 검출시의 기준을 너무 엄격하게 할 수 없으므로 검출정밀도가 본 발명과 비교하여 낮다. 이외의 스플라이스 편집점의 검출방법으로서는, 편집점의 근방에서 데이타 트랙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의 에러가 많이 발생하는 것을 검출하거나 또는 편집점의 근방에서 인터리브에러(인터리브 관계가 문란한것)가 생기는것을 검출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테이타 트랙의 기록파장은, 제어트랙의 기록파장보다도 약간 짧으므로 공간손실, 지문등에 의하여 드롭아웃(drop out)이 생기기 쉽고 편집점에 기인하는 에러와, 맞지 않을 우려가 있어서 오검출을 행할 우려가 있다.
또, 상술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와 같이 섹터 어드레스에 대해서 CRC 코드와 같온 에러검출 코드가 부가되어 있으면, 재생된 어드레스가 에러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될 때에만 그 연속성을 검사할 수 있으므로 오검출의 우려를 경감할 수 있다. 더우기, 2회이상 연속된 예측어드레스의 불일치를 검출했을때에 이것을 편집점으로 하므로써 더욱 확실한 검출을 행할 수 있다.
제8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편집점 검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어드레스 분리회로(26)에서의 재생어드레스와 계수기(28)에서의 예측 어드레스를 비교회로(27)에서 비교하는 것, CRC 검사결과로부터 에러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점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같다. 이 실시예 에서는 재생된 섹터 어드레스를 1섹터 지연회로(39)를 통하여 가산회로(40)에 공급하고, 가산회로(40)에 의하여 1을 가산한 어드레스와 현재의 재생 어드레스를 비교회로(41)에서 비교하고 그 비교출력을 반전기(42)에서 반전시켜 AND 게이트(35)에 공급한다. 재생어드레스가 2개 연속된 경우, 반전기(42)의 출력은 "1"로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비교회로(27)의 비교출력에 의해서 재생어드레스(CRC 검사의 결과 다르다고 된 것)의 불연속을 검출한 후 재생 어드레스가 (n),(n+1)로 연속되었을때, 스플라이스 편집점으로서 검출하는 것에 의해 오검출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어셈블 편집시에 있어서, 제어트랙에 이어서 기록되는 어드레스가 연속한 것으로 되도록 되며, 스플라이스 편집점과 어셈블편집점(전자편집점)이 구별되도록 되어있다.

Claims (1)

  1. 자기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데이타 트랙에 PCM 신호를 기록함과 동시에, 상기 데이타 트렉과 평행하는 제어트랙에 보진하여 변화하는 어드레스 신호를 기억하며, 상기 데이타 트랙에서 PCM 신호를 재생하도록 한 고정헤드식의 PCM 신호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재생된 어드레스 신호에 대응하여 다음에 재생된 어드레스 신호를 변화하면 예상되는 예상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28)과, 재생된 어드레스 신호가 상기 예상 어드레스 신호와 상이할때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수단(27)을 구비하며, 상기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의해 편집점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M 신호 기록 재생장치.
KR1019810002894A 1980-08-08 1981-08-08 Pcm신호 기록 재생장치 KR850001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2894A KR850001678B1 (ko) 1980-08-08 1981-08-08 Pcm신호 기록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109664 1980-08-08
KR1019810002894A KR850001678B1 (ko) 1980-08-08 1981-08-08 Pcm신호 기록 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678B1 true KR850001678B1 (ko) 1985-11-13

Family

ID=19221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894A KR850001678B1 (ko) 1980-08-08 1981-08-08 Pcm신호 기록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67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677B1 (ko) Pcm신호 기록방법
CA11619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igitized information on a record medium
US44660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edit point on a record medium
US4211997A (en) Method and apparatus employing an improved format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igital audio
CA1203019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 digital signal
US4145683A (en) Single track audio-digital recorder and circuit for use therein having error correction
SE451775B (sv) Tidbaskorrigeringsanordning for korrigering av tidbasfel
EP0130091A1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igital information signals
EP0124770A1 (en) Dat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4292684A (en) Format for digital tape recorder
JPH0377589B2 (ko)
KR850001678B1 (ko) Pcm신호 기록 재생장치
US4740845A (en) Data recording apparatus
KR910003378B1 (ko) 디지탈 신호 복조 및 재생장치
KR100221103B1 (ko) 디지탈 신호기록장치 및 방법
JPS6135620B2 (ko)
EP0504429A1 (en) Disk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S649678B2 (ko)
JPH0230081B2 (ja) Maruchitoratsukuteepurekooda
JP3046041B2 (ja) 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
JPH0793905A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フォーマット
CA1113602A (en) Single track audio-digital recorder and circuit for use therein having error correction
KR830000671B1 (ko) 오차교정회로를 내재한 단일트랙 디지탈 녹음기
JPS60167165A (ja) マルチトラツク方式pcmレコ−ダ
JPS59110012A (ja) Pcm信号記録方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