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160Y1 - Layered plastic fuse - Google Patents

Layered plastic f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160Y1
KR850001160Y1 KR2019840011346U KR840011346U KR850001160Y1 KR 850001160 Y1 KR850001160 Y1 KR 850001160Y1 KR 2019840011346 U KR2019840011346 U KR 2019840011346U KR 840011346 U KR840011346 U KR 840011346U KR 850001160 Y1 KR850001160 Y1 KR 8500011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conductive
plug
fuses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134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앨리슨 로우즈 존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일렉트릭 컴페니
샘슨 헬프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10000335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5699A/en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일렉트릭 컴페니, 샘슨 헬프고트 filed Critical 제너럴 일렉트릭 컴페니
Priority to KR2019840011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16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1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160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6Fuses formed as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6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fusible material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층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퓨우즈Layered plastic fuses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의 조립된 플러그 외피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ed plug sheath of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외피의 전개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sh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고안에 다른 퓨우즈의 전개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전기 플러그용 퓨우즈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저 전력회로에 사용하기 위해 높고 낮은 과전류의 층으로 형성된 퓨우즈에 관한 것이다. 이 퓨우즈는 입상 도전성 링크가 열변형 기층에 부착되는 층상 구조로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기층은 도전성 링크의 반대편에 기층에 접해 있는 절연층에 의하여 열절연 되어있다. 도전성 링크는 높은 과전류 상태에 응하여 녹거나 분열되고, 기층은 낮은 과전류 상태에 응하여 기층에 부착된 도전성 링크를 변형시키고 끊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uses for electrical plugs, and more particularly to fuses formed of layers of high and low overcurrent for use in low power circuits. This fuse has a layered structure in which the granular conductive link is attached to the heat-strained base layer. In another embodiment, the substrate is thermally insulated by an insulating layer adjacent to the substrate opposite the conductive link. The conductive link melts or splits in response to a high overcurrent state, and the substrate deforms and breaks the conductive link attached to the substrate in response to a low overcurrent state.

고장시에 외부의 퓨우즈를 용단시키기에 충분한 전류가 흐르지 않게하는 전기장치와 함께 퓨우즈 같은 과부하 보호장치를 쓰는 것이바람직하다. 플러그의 각 단자에 하나씩 2개의 퓨우즈가 필요한데, 이것은 대부분의 플러그가 양쪽으로 다 사용할 수 있고 또 어느 단자가주 전류 통로가 되어서 용단되는 가를 결정하는 것은 실용적이 못되기 때문이다.It is advisable to use an overload protection device such as a fuse with an electrical device that does not allow enough current to blow off the external fuse in the event of a failure. Two fuses are required, one for each terminal of the plug, because it is not practical to determine which plugs can be used on both sides and which terminals become the primary current path.

종래의 과부하 보호 퓨우즈는 고가이고 제품생산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저렴하고도 신뢰성 있는 퓨우즈를 생산하기 위해 많은 시도가 되어졌다. 이들 퓨우즈에 있어서 공통적인 것은 퓨우즈 도선이 유리 튜우브안에 들어 있으며 또 유리관을 통해 연장되는 유리 자체를 교체 가능한 퓨우즈이다. 이 퓨우즈 도선의 돌출단부는 추후외부와 접속하기 위해 한쌍의 도전성 단부 캡(cap)에 전기적으로 고정된다. 이같은 구조는 값이 비싸고 부피가 크며 단지 높은 과전류 보호만을 할 수 있다.Conventional overload protection fuses are expensive and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roduction costs.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duce inexpensive and reliable fuses. Common to these fuses is a fuse in which the fuse lead is contained in the glass tube and the glass itself extending through the glass tube is replaceable. The protruding end of the fuse lead is electrically fixed to a pair of conductive end caps for later contact with the outside. Such a structure is expensive, bulky and can only provide high overcurrent protection.

이 같은 유리 외피 구조에 대해 저렴한 대체용으로 층으로 형성된 퓨우즈 구조가 사용되었다. 그 전형적인 구조는 도전성 스트립(strip)이 기층과 금속이면층 위에 겹쳐지는 것이다. 이 구조는 저렴하고 퓨우즈 도체에 직접 접근을 허용하지만 저 전력 장치의 낮은 과전류 보호를 할 수 없다. 이 퓨우즈 기층은 퓨우즈의 보호 작용에 도움을 주지 않고 단지 도전성 스트립을 지지하는 기층으로서의 역할만 한다. 이들 퓨우즈의 보호작용은 단지 도전성스트립을 통해 흐르는 과전류에 의해 스트립이 녹는 것에만 의존한다. 금속 스트립의 적절한 기층으로 테프론 코우팅된 캡톤과 마일러(이이. 아이. 듀퐁회사의 상품명)가 제시되었다. 이들 퓨우즈는 중부하용으로 사용되며, 기층으로 부터 열을 제거하고 열이 축적 되는 것과 도전성 스트립을 미리 녹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견고한 금속 이면층이 필요하였다.A layered fuse structure was used as an inexpensive alternative to this glass skin structure. The typical structure is that the conductive strip overlaps the layer if it is a base and a metal. This structure is inexpensive and allows direct access to the fuse conductors, but does not provide low overcurrent protection of low power devices. This fuse base does not aid the protective action of the fuse but merely serves as a base for supporting the conductive strip. The protective action of these fuses only depends on the melting of the strip by over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nductive strip. Teflon-coated Kapton and Mylar (trade names of E.I. DuPont) were presented with a suitable substrate of metal strips. These fuses are heavy-duty and require a solid metal backing layer to remove heat from the substrate and prevent heat buildup and premelting of the conductive strips.

다르 퓨우즈들은 높고 낮은 과전류 모두에 대해 보호를 하며 팽창 가능한 기층에 고정되는 도전성 스트립을 사용한다. 특수한 예에서는, 도전성 스트립이 도기 기능에 고정된다. 이 기층은 퓨우즈 작용을 하는 부품으로 되며 지속적인 낮은과전류 상태에 대응하여 팽창되고 깨어져서 퓨우즈 보호에 도움이 된다. 기층이 부수어 지면 기층에 고정된 도전성 스트립도 역시 부수어지고 분리된다. 또한 높은 과전류 상태에서는 도전성 스트립을 통과하는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쥬울 열 혹은 I2R 열에 응답하여 도전성 스트립이 녹는다. 기층이 얇아야 하고 또 낮은 과전류 상태에서 팽창파괴 되도록 다공성이 되어야 하며 결국 퓨우즈가 비싸고 깨지기 쉽기 때문에 도기 퓨우즈는 좋지 않다. 도기 퓨우즈는 전기 플러그 등과 같이 험하게 취급하는 용도에는 특히 부적합하다.Dar Fuses use conductive strips that protect against both high and low overcurrents and are fixed to an expandable substrate. In a particular example, the conductive strip is fixed to the ceramic function. The substrate is a fuzzy component and expands and breaks in response to persistent low overcurrent conditions to help protect the fuse. When the substrate is broken, the conductive strips fixed to the substrate are also broken and separated. In high overcurrent conditions, the conductive strip melts in response to joule heat or I 2 R heat generated by the current passing through the conductive strip. Pottery fuses are not good because the substrate must be thin and porous enough to expand and break at low overcurrent conditions, and eventually the fuses are expensive and fragile. Pottery fuses are particularly unsuitable for harsh handling applications such as electrical plugs.

미합중국 특허 제4,208,645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퓨우즈 기층재료로서 배향성 플라스틱 판 재료가 사용되었다. 배향성 플라스틱 기층 퓨우즈는 높고 낮은 과전류에 대해 모두 보호할 수 있지만, 배향성 플라스틱 판은 값이 비싸며 또한 작업하기에 힘이 든다. 또한 도전성 스트립에 대해 판의 방향을 배치하는 것이 좋지만 판의 방향이 쉽게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밖에도 배향의 정도가 퓨우즈의 보정에 관한 변수로서 참작되어야 한다.An oriented plastic sheet material was used as the fuse base material as described in US Pat. No. 4,208,645. Oriented plastic base fuses can protect against both high and low overcurrents, but oriented plastic plates are expensive and difficult to work with. It is also good to position the plate relative to the conductive strip, but the direction of the plate is not easily determined. In addition, the degree of orientat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s a parameter regarding the correction of the fuse.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 플러그의 내부 부품과 함께 및 내부 부품으로 사용하기 위해 층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저렴하며 높고 낮은 과전류 보호작용을 하는 폴리머 기층의 퓨우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러개의 용단 소자를 갖는 퓨우즈는 쉽게 만들어진다. 이플러그는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4,241,387호에 설명되어 있는저 전력 장식 스트링 등 장치 같은 저 전류 장치와 함께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expensive, high and low overcurrent protection fuse having a layered structure for use with and as an internal component of an electrical plug. Fuses with multiple blow elements are easily made. The plug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low current devices such as, for example, low power decorative strings as described in US Pat. No. 4,241,387.

본 고안은 특히 배향성 플라스틱이아 닌열 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진 플라스틱 기층에 도전성 스트립 혹은 링크가 부착되는 저렴하고 높고 낮은 과전류 보호층상 퓨우즈를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서 이 플라스틱 기층 재료는 폴리스티렌 및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다. 도전층은 플라스틱 기층에 접착되는 얇은 금속 스트립으로 구성되어도 되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금속 입자가 들어 있는 도전성 잉크나 페이스트, 예를 들어 듀퐁 4049실버 페이스트 같은 것이 기층에 프린트된다. 도전성 잉크는 플라스틱 기층에 쉽게 부착되며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터 담체에들어 있는 금속입자로 구성되어서, 건조되면 거의 직선 구조로 연결되어 스트립 혹은 링크같은 높은 도전성 형태로 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expensive, high and low overcurrent protective layered fuse in which a conductive strip or link is attached to a plastic substrate made of a non-orientated plastic, not a thermoplastic material. In one embodiment, this plastic base materia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mprising polystyrene and polyester. The conductive layer may consist of a thin metal strip adhered to the plastic base layer, but in a preferred embodiment a conductive ink or paste containing metal particles, such as DuPont 4049 silver paste, is printed on the base layer. Conductive inks are easily adhered to a plastic substrate and are generally composed of metal particles in a polyester carrier, which, when dried, are connected in a nearly straight structure to form a highly conductive form such as a strip or a link.

이 도전성 스트립은 높은 과전류 상태에 응하여 녹는다. 플라스틱 기층은 낮은 과전류 조건에 응하여 녹는다. 플라스틱 기층에 부착된 링크는 또한 기층이 변형되거나 녹을 때에도 부수어 진다.This conductive strip melts in response to a high overcurrent condition. The plastic substrate melts in response to low overcurrent conditions. Links attached to the plastic substrate also break when the substrate is deformed or melted.

비배향성 플라스틱 기층은 저렴하고 쉽게 얻을 수 있으며 도전성 스트립에 대해 특수한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특히좋다. 또한 비배향성 플라스틱은 퓨우즈 보정의 추가변수로서 방향도의 문제가 없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비배향성 플라스틱 기층은 열절연이면층과 함께 사용되는데, 이 열절연 이면층은 플라스틱 기층의 도전성 스트립이 부착되는 쪽의 반대편에 접해지게 배치된다.Non-oriented plastic substrates are particularly good because they are inexpensive and easily obtainable and do not have to be placed in a spec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ductive strip. Non-orientated plastics also have no orientation problem as an additional variable in fuse correc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non-oriented plastic base layer is used in conjunction with a thermally insulating backing layer, which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opposite side to which the conductive strip of the plastic base layer is attached.

여기서, 이면층은 대략 입방피이트당 20파운드의 밀도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기포재료로 된다. 이 기포재료는 일반적으로 가요성이며 플라스틱 기층에 부피를 더해준다. 기포는 저렴하고 가벼우며 취급하기 쉬우므로 이면층으로 바람직하다. 이 열절연 이면층은 기층위에 부어져서 일체로 부착되거나 혹은 적절한 접착제로 부착되거나 혹은 기층과 인접되게 접촉되어 기층내의 도전성 링크에 의하여 발생된 열을 보유하여 기층의 열변형에 의하여 낮은과전류 용단이 빨리 이루어지게 한다.Here, the backing layer is made of a polyurethane foam material having a density of approximately 20 pounds per cubic foot. This foam material is generally flexible and adds volume to the plastic substrate. Bubbles are preferred as backing layers because they are inexpensive, light and easy to handle. The thermally insulating backing layer is poured onto the substrate to be integrally attached or attached to it with a suitable adhesive o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bstrate to retain the heat generated by the conductive links in the substrate, resulting in low overcurrent melting due to thermal deformation of the substrate. Make it happen.

한 실시예에서 퓨우즈는 일반적으로 평면형상으로 되며 그 표면에 한쌍의 도전성 스트립이 부착되고 특히 선과 접촉되고 플러그의 단자 도체를 통해 접촉되는 구조로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퓨우즈가 폴리머로 된, 끼워지거나 초음파 접착되는 플러그 외피내에 넣어지고, 이 플러그 외피는 선로 단자 접점과 퓨우즈 사이에 압축력을 주어 선로 단자를 도전성 퓨우즈 스트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압착 고정한다. 폴리우레탄 기포 같은 탄성 압축 이면층은 압축력을 탄력성 있게 흡수하고 단자가 수년이상 동안 전기 접속을 유지하게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use is generally planar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conductive strips are attached to its surface, in particular in contact with the wire and through the terminal conductor of the plug. In another embodiment, the fuse is encased in a polymer plugged or ultrasonically bonded plug shell that compresses between the wire terminal contacts and the fuse to compress the wire terminal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ductive terminal strips. Fix it. An elastic compression backing layer, such as a polyurethane bubble, elastically absorbs the compressive force and allows the terminal to maintain electrical connection for more than a few years.

본 고안의 목적과 특징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 부터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The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에는 플러그(10)가 조립된 형태로 도시된다. 이 플러그(10)는 짝을 이루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반쪽들로 형성되어 함께 끼워지거나 초음파 접착되어 내부에 배치된 단자와 선 및퓨우즈의 결선을 보호하는 충격방지 외피를 형성한다. 플러그(10)에는 그플러그에서 나오는 코오드선(11)이 있어서 장식 스트링 셋트 같은 저 전력부품에 연결된다. 특히, 본 고안의 퓨우즈가 장치된 플러그는 벽 출구와 부품 사이가 절연되어 있어서 가벼운 규격의 전선이 사용될 수 있게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장식 스트링 셋트에서 코오드 선(11)은 예를 들어 미합중국 전선 규격 24의 전선이다.In FIG. 1, the plug 10 is shown assembled. The plug 10 is formed of halves formed of a pair of plastics to form an impact resistant sheath that is fitted together or ultrasonically bonded to protect the connections of terminals and wires and fuses disposed therein. The plug 10 has a cord wire 11 exiting the plug and is connected to a low power component such as a decorative string set. In particular, the fuse equipped with the plu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ulated between the wall outlet and the components so that a light wire can be used. In the decorative string se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d wire 11 is, for example, a wire of US wire specification 24.

제2도를 보면 본 고안의 플러그(10)가 전개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플러그(10)는 보통 짝이되는 상부와 하부의 반쪽(13과 14)으로 구성되어 이 두쪽이 끼워지거나 초음파 접착되어 퓨우즈(15)와 관통단자 접속부(12a와 12b) 및 코오드 선(11)의 단부(16과 17)를 둘러 싼다.2, the plug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n unfolded form. The plug 10 is usually composed of paired upper and lower halves 13 and 14, the two being fitted or ultrasonically bonded to the fuse 15, the through-terminal connections 12a and 12b and the cord wire 11 Surround the ends 16 and 17).

각 관통 단자(12)는 평면 구조로 되고 적층된 플러그(도시 되지 않음)의 단자 날을 전기적으로 접촉되게 구속하기 위하여 뒷부분(20)으로 부터 내부쪽으로 각이지게 절단된 접촉 플랜지(21)를 가진 뒷부분(20)을 가지고 있다. 관통 단자(12)에는 또한 내부로 돌출된 퓨우즈 접촉 날(23)과 플러그(10)로 부터 돌출된 단부 단자 날(24)을 가진 중간 부분(22)이 있다. 플러그의 반쪽(13과 14)은 함께 한쌍의 채널(26과 27)을 형성하며, 각 채널은 개별적으로 단자(12)의 뒷부분과 중간부분을 수납 고정하여 접촉날(24)이 플러그(10)로 부터 외부로 돌출된다.Each through terminal 12 has a planar structure and has a contact flange 21 cut inwardly from the rear portion 20 to restrain the terminal blades of the stacked plugs (not shown) in electrical contact. It has a back 20. The through terminal 12 also has an intermediate portion 22 having a fuse contact blade 23 protruding therein and an end terminal blade 24 protruding from the plug 10. The halves 13 and 14 of the plug together form a pair of channels 26 and 27, with each channel individually receiving and fixing the rear and middle portions of the terminal 12 so that the contact blades 24 are connected to the plug 10. Protrude from the outside.

플러그의 하부반쪽(14)에는 또한 퓨우즈 부착면(30)과 코오드선 리셉터클(33과 34) 및 적층된 단자를 수납하는 후미 개구부(35와 36)개 있다. 퓨우즈 부착면(30)에는 일반적으로 평면으로 된 상면(37)이 있어서 그외에 거의 평면으로된 퓨우즈(15)가 놓인다. 한 실시예에서 퓨우즈 부착면에는 퓨우즈 부착면(30)의 재료가 퓨우즈 기층으로 혹은 퓨우즈 기층으로 부터 열을 전달하는 것을 방지하여서 열에 의해 가동 되는 퓨우즈의 작동을 방해하기 위해 퓨우즈 소자 밑에 중앙공동(40)이 있다. 이 공동(40)은 퓨우즈 접촉면이 단단한 부착면에 놓이는 퓨우즈소자(55)의 밑 부분에만 마련된다.The lower half 14 of the plug also has a fuse attachment surface 30, cord wire receptacles 33 and 34, and a trailing opening 35 and 36 for receiving the stacked terminals. The fuse attaching surface 30 has a generally planar top surface 37 on which the fuse 15 is substantially planar. In one embodiment, the fuse attachment surface has a fuse to prevent the material from the fuse attachment surface 30 from transferring heat to or from the fuse base to prevent operation of the heat activated fuse. There is a central cavity 40 under the device. The cavity 40 is provided only at the bottom of the fuse element 55 where the fuse contact surface is placed on a rigid attachment surface.

한 실시예에서 퓨우즈(15)는 퓨우즈 설치 핀(38,39) 등의 적절한 보유 장치에 의해 부착면(30)에 고정되며, 이 핀은 퓨우즈 부착면(30)으로 부터 돌출되어 퓨우즈를 관통하여 퓨우즈 부착면(30)에 대해 퓨우즈 기층을 평면관계로 유지시키지 않고도 퓨우즈를 플러그와 고정되게 유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러그(10)의 내벽은 퓨우즈(15)의 외부 모서리를 끼워 접속수납하게 홈이 파질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use 15 is secured to the attachment surface 30 by a suitable retaining device, such as fuse installation pins 38, 39, which protrude from the fuse attachment surface 30 to fuse. The fuse is held fixed with the plug without penetrating through the wood and maintaining the fuse base in a planar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fuse attaching surface 30. In another embodiment, the inner wall of the plug 10 may be grooved to fit and fit the outer edge of the fuse 15.

코오드선 리셉터클(33과 34)은 U-형 단면을 가진 2개의 내부로 돌출되는 채널이며, 그 내부직경은 전선(41과 42)의 외부직경보다 약간 작다. 이 코오드선 리셉터클(33과 34)은 전선(41과 42)의 단부(16과 17)가 제각기 퓨우즈 도전성 스트립(51a와 51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전선(41과 42)을 플러그(10) 내부에 고정된 관계로 유지한다. 한 실시예의 코오드 선단부(16과 17)는 절연코오드선(11) 내부에 둘러싸인 도선과 관통되어 전기 접속이 되도록 외부에 포오크 단자가 붙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선(41과 42)의 단부(16과 17)는 절연이 벗겨져서 퓨우즈(15)의 도전성 스트립(51a 및 51b)과 직접 전기 접속되는 내부 도선이 노출된다. 두 실시예에서 전선(41과 42)의 단부(16과 17)는 예를 들어 땜납등에 의하여 퓨우즈의 도전성 스트립(51a 및 51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혹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술하는 바와 같이 압축 접속되어지기도 한다.The cord wire receptacles 33 and 34 are two inwardly protruding channels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the inner diameter of which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wires 41 and 42. The cord wire receptacles 33 and 34 connect the wires 41 and 42 to the plug 10 because the ends 16 and 17 of the wires 41 and 4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use conductive strips 51a and 51b, respectively. Maintain a fixed relationship inside. The fore end portions 16 and 17 of the embodiment are attached to the fork terminals externally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conductive wires enclosed in the insulated cord wire 11. In other embodiments, ends 16 and 17 of wires 41 and 42 are stripped of insulation to expose internal conductors that are in direct electrical connection with conductive strips 51a and 51b of fuse 15. In both embodiments the ends 16 and 17 of the wires 41 and 4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strips 51a and 51b of the fuse, for example by solder or the like, or in other embodiments a compression connection as described below. It can also be done.

어 떠한 2개의 전선회로에서도 주 전류를 통과시키는 인입도체는 하나만이므로 하나의 퓨우즈만이 필요하지만, 실제적으로는 어느 도체에 전류가 흐르는 가를 결정할 여유가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의 퓨우즈가 내장된 플러그에는 도체를 잘못 선정하게될 불상사가 없도록 각 도체마다 퓨우즈를사용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퓨우즈 구조는 값이 저렴하고 대량 생산 기술에 쉽게 적용되므로, 이와 같이 2개의 퓨우즈를 사용하는데 추가되는 비용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In any two wire circuits, only one fuse is required since only one inductive conductor is allowed to pass the main current, but in practice there is no room for determining which conductor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refore, fuses are used for each conductor so that the f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built-in fuse so that the conductors may be misselected. In addition, since the fus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expensive and easily applied to mass production technology, the cost added to using the two fuses is not a problem.

본 고안의 퓨우즈(15)는 연결되는 회로를 높고 낮은 과전류로 부터 보호한다. 이 퓨우즈(15)는 층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서, 기층(52)에 도전성 스트립(51)이 부착된다. 이 도전성 링크인 스트립(51)은 2개의 퓨우즈 단자 부분(53과 54)를 가지고 있으며, 이 단자들은 보정된 퓨우즈소자 부분(55)에 상호 연결된다. 이 퓨우즈의 외형적인 칫수(길이, 폭 및 두께)는 재료의 고유저항과 함께 퓨우즈 소자의 저항을 결정하며 그것을 통과하는 전류에 응하여 발생되는 주울 열(I2R 열)을 결정한다. 이들 변수는 또한 기층(52)과 퓨우즈 도전성 스트립(51)이 녹거나 혹은 순간적으로 분리되는 용단점 혹은 전류점을 결정한다. 따라서 퓨우즈 소자부분(55)의 정확한 칫수는 그 회로의 표시 용단점에서 용단 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The fuse 15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the circuit to be connected from high and low overcurrent. The fuse 15 has a layered structure, and the conductive strip 51 is attached to the base layer 52. This conductive link strip 51 has two fuse terminal portions 53 and 54 which are interconnected to the corrected fuse element portion 55. The apparent dimensions (length, width and thickness) of this fuse determine the resistance of the fuse element along with the resistivity of the material and the Joule row (I 2 R row)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current passing through it. These variables also determine the melting point or current point at which base layer 52 and fuse conductive strip 51 are melted or momentarily separated. Therefore, the exact dimensions of the fuse element portion 55 should be chosen to melt at the display melting point of the circuit.

도전성 스트립은 도전성 스트립에 의해 지속 적인 낮은 과전류 열에 응하여 부착된 도전성 링크를 변형시키거나(수축 혹은 용단시킴) 끊어서 낮은 과전류에 녹게하는 폴리머 기층에 고착된다. 따라서 기층재료의 적절한 선정이 중요하다. 퓨우즈 기층으로 열가소성 재료가 좋다는 것이 알려졌다. 한 실시예에서 기층 재료는 폴리에스터와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다. 이들 기층은 가요성이며 일반적으로 0.001-0.010인치의 두께를 가진다.The conductive strip is attached to a polymer base that deforms (contracts or melts) the attached conductive link in response to continuous low overcurrent heat by the conductive strip and melts to low overcurrent. Therefore, proper selection of base material is important. It is known that thermoplastic materials are preferred as the fuse base. In one embodiment the base materia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mprising polyester and polystyrene. These substrates are flexible and generally have a thickness of 0.001-0.010 inches.

한 실시예에서 도전성 스트립(51)은 폴리에스터 담체에은 입자가 현탁되어 있는 듀퐁 4049도전성 페이스트(paste)를 스크린프린트(screen print)한 것이다. 건조된 후 이 페이스트는 평방 밀당 0.05-01오옴의 낮은 고유저항을 가진다. 따라서 공칭 정격이 0.35-9.00암페어인 퓨우즈(15)는 다음의 칫수를 가지는 도전성 퓨우즈 소자 부분(55)을 부착하여서 만들어 진다. 즉 두께가 0.0075-0.002인치, 폭이 0.020-0.280인치, 그리고 길이가 대략 0.20인치로 된다. 특히 0.8 암페어 정격의 퓨우즈는 두께가 대략 0.001인치이고 폭이 대략 0.025인치이며 길이가 대략 0.20인치로 되는 퓨우즈 소자 부분(55)과 같은 퓨우즈를 두께가 0.001-0.010인치 범위로 되는 플라스틱 기층에 부착시켜서 만들어진다.In one embodiment, the conductive strip 51 is a screen print of a DuPont 4049 conductive paste in which particles are suspended in a polyester carrier. After drying, the paste has a low resistivity of 0.05-01 ohms per square mill. Thus, a fuse 15 having a nominal rating of 0.35-9.00 amps is made by attaching a conductive fuse element portion 55 having the following dimensions. That is, it will be 0.0075-0.002 inches thick, 0.020-0.280 inches wide, and approximately 0.20 inches long. In particular, a fuse rated at 0.8 amps may be a plastic substrate that has a fuse, such as a fuse element portion 55, approximately 0.001 inches thick, approximately 0.025 inches wide, and approximately 0.20 inches long, ranging from 0.001-0.010 inches thick. Made by attaching to

층으로 형성된 높은 과전류 및 낮은 과전류 퓨우즈가 비배향성 플라스틱 기층에 도전성 스트립을 부착 시켜서 용이하게 만들어 질 수 있음을 알려졌지만, 특히 이 퓨우즈 및 일반적인 다른 층으로 형성된 퓨우즈의 작동은 이들 퓨우즈에 열절연 이면층 을만들어서 개선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퓨우즈의 소기의 작동은 도전성 링크에 의하여 발생되는 쥬울 열에 의하여 중요하게 좌우된다. 만일 이 열이예를 들어 다른 열전도 재료를 통해 기층에서 소비되므로써 방해를 받거나 혹은 플러그 주위온도가 퓨우즈에 영향을 미치도록 허용된다면, 융점이 변하여 퓨우즈에 부정확하 결과가 나타난다.It has been found that high overcurrent and low overcurrent fuses formed in layers can be easily made by attaching a conductive strip to a non-oriented plastic substrate, but in particular the operation of these fuses and fuses formed from other layers in general are not suitable for these fuses. The thermal insulation backing layer is improved by making it. As noted above, the desired operation of the fuse is critically dependent on the joule heat generated by the conductive links. If this heat is disturbed by, for example, being consumed in the substrate through other heat conducting materials, or if the plug ambient temperature is allowed to affect the fuse, the melting point changes and results in inaccurate fuses.

따라서,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의 비배향성 기층을 가진높은 과전류 및 낮은 과전류퓨 우즈에 제3도에 상세히 도시된 절연이면층(60)이 부착된다. 변형된 실시예에서, 이 이면층(60)은 도전성 스트립(51) 반대편의 플라스틱 기층(52)과 분리되어 접착되거나 부어진다. 다양한 열절연 이면층이 사용될 수 있고 또 잘 적용되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사실상 평면 구조로 되며 두께가 0.01-0.1인치의 범위로 되는 폴리우레탄 기포 이면층(60)이 사용되었다.Thus, in another embodiment, the insulating backing layer 60, shown in detail in FIG. 3, is attached to the high overcurrent and low overcurrent fuses with non-oriented substrat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dified embodiment, this backing layer 60 is separated from the plastic base layer 52 opposite the conductive strip 51 and then glued or poured. Various thermally insulating backing layers can be used and are well applied, but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yurethane bubble backing layer 60 has been used that has a substantially planar structure and a thickness in the range of 0.01-0.1 inch.

이면층(60)은 열절연을 하는 이외에도 퓨우즈 기층(52)이 눌려질때 탄력성 있게 압축될 수 있는 이면의 역할도 한다. 실시예에서 코오드선의 접촉단부(16)과 17)는 플러그(10)의 상부 반쪽의 내부에 돌출되게 배치된 압착판(62)에 의하여 도전성 스트립(51a와 51b)에 눌려져서 접촉이 유지된다. 압착판(62)은 특히 코오드 선 접촉단부(16과 17) 상부에 수직으로 놓이며 코오드선 리셉터클(33과 34)의 위에나 퓨우즈 설치핀(38과 39) 위에 놓이지 않는다. 압착판(62)에는 코오드 선 접촉단부(16과 17)를 고정하도록 홈(63과 64)이 마련되기도 한다. 압착판(62)은 플러그의 상부 반쪽(13)이 하부 반쪽(14)과 결합될 때 상부 반쪽(13)으로 부터 안쪽으로 충분한 거리만큼 돌출되어 접촉단부(16과 17)를 퓨우즈 단자부분(53)과 접촉되게 누른다. 플러그 반쪽(13과 14)의 결합으로 압축되는 기포 이면층(60)도 폴리 우레탄 기포가 수년간 단지 10% 밖에 압축되지 않기 때문에 접촉단부(16과 71)를 다년간 퓨우즈 단자부분(53)과 기계적으로 전기적으로 잘 접촉시킨다. 따라서 기포이면층(60)은 보통 15-67%정도 압축된다. 또한 기포 이면층(60)의 탄력성 있는 압축은 부품의 제조 및 조립중에 생기는 정상적인 변화를 보충하는데 유용하다.In addition to thermal insulation, the back layer 60 also serves as a back surface that can be elastically compressed when the fuse base layer 52 is pressed. In the embodiment, the contact ends 16 and 17 of the cord wire are pressed against the conductive strips 51a and 51b by the pressing plates 62 protruding inside the upper half of the plug 10 to maintain contact. The pressing plate 62 is in particular perpendicular to the top of the cord wire contact ends 16 and 17 and does not rest on the cord wire receptacles 33 and 34 or on the fuse mounting pins 38 and 39. The pressing plate 62 may be provided with grooves 63 and 64 to fix the cord wire contact ends 16 and 17. The pressing plate 62 protrudes a sufficient distance inwardly from the upper half 13 when the upper half 13 of the plug is engaged with the lower half 14 so that the contact ends 16 and 17 are connected to the fuse terminal portion ( 53). The foam backing layer 60, which is compressed by the engagement of the plug halves 13 and 14, also has the mechanical contact end portions 16 and 71 with the fuse terminal portion 53 for many years because the polyurethane foam is only compressed by 10% for many years. Make electrical contact with Thus, if the bubble layer 60 is usually compressed by 15-67%. Elastic compression of the bubble backing layer 60 is also useful to compensate for the normal changes that occur during the manufacture and assembly of parts.

본 고안에 의하면 전기 장치, 특히 저 전력 전기 장치용으로 실용적이고 저렴한 퓨우즈를 만들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퓨우즈를 플러그 외피와 함께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퓨우즈는 다른 여러가지 전기장치와도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a practical and inexpensive fuse can be made for an electric device, in particular a low power electric device. Although the fuse is described together with the plug sheath, it can be seen that the fus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 various other electric devices.

본 고안이 어느 정도 특수한 실시형태로 설명되었지만, 이 실시예에 관한 본문은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세한 구조의 변경도 본 고안의 진정한 원리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귀속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some specific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xt of this embodiment is illustrative only and that changes in detailed structure are attribu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rue principles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

비배향성 플라스틱 기층(52)에 상호 부착되는 도전성 스트립(5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층(52)은 낮은 과전류 조건에 응하여 상기 도전성 스트립을 변형 및 파열 시키며, 상기 도전성 스트립(51)은 높은 과전류에 응하여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퓨우즈.Consisting of conductive strips 51 interconnected to a non-oriented plastic base layer 52, wherein the base layer 52 deforms and ruptures the conductive strips in response to low overcurrent conditions, and the conductive strips 51 are subjected to high overcurrents. A plastic fuse formed into a layer, characterized in that it decomposes in response.
KR2019840011346U 1981-02-03 1984-11-10 Layered plastic fuse KR85000116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1346U KR850001160Y1 (en) 1981-02-03 1984-11-10 Layered plastic f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335A KR830005699A (en) 1981-02-03 1981-02-03 Layered plastic fuses
KR2019840011346U KR850001160Y1 (en) 1981-02-03 1984-11-10 Layered plastic fus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335A Division KR830005699A (en) 1981-02-03 1981-02-03 Layered plastic fus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160Y1 true KR850001160Y1 (en) 1985-06-08

Family

ID=2662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1346U KR850001160Y1 (en) 1981-02-03 1984-11-10 Layered plastic f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16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9745B1 (en) Electrical fuse
EP1714334B1 (en) Secondary battery of assemble-type structure
US6808844B2 (en) Battery pack
JP5449085B2 (en) battery pack
US4814946A (en) Fuse assembly for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JP5398334B2 (en) Circuit protection device including resistor and fuse element
US4763228A (en) Fuse assembly for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US5945903A (en) Resettable automotive circuit protection device with female terminals and PTC element
EP0228490A1 (en) Slow blow fuse
EP0507425B1 (en) Electrothermal relay with film heating element
ES2023318A6 (en) Subminiature fu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5663861A (en) Resettable automotive circuit protection device
US4306213A (en) Layered plastic fuse
US5550527A (en) Resistor device for controlling a rotational speed of a motor
KR850001160Y1 (en) Layered plastic fuse
CA1140963A (en) Miniature electric fuse
US4757296A (en) Electrical fuselinks
JP2003036836A (en) Trace fuse
JPH0541486Y2 (en)
JP4536830B2 (en) Resettable automatic circuit protection device
JP4267695B2 (en) PTC conductive polymer device
JPS5823138A (en) Fuse circuit board
JP2585164B2 (en) Thermo protector
JP2568103Y2 (en) Communication security element
JPS6111879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