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895B1 - 흑연질 무연탄을 이용한 연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흑연질 무연탄을 이용한 연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895B1
KR850000895B1 KR1019830002484A KR830002484A KR850000895B1 KR 850000895 B1 KR850000895 B1 KR 850000895B1 KR 1019830002484 A KR1019830002484 A KR 1019830002484A KR 830002484 A KR830002484 A KR 830002484A KR 850000895 B1 KR850000895 B1 KR 850000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quettes
present
anthracite
co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0512A (ko
Inventor
박형철
Original Assignee
대진연료공업 주식회사
박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연료공업 주식회사, 박형철 filed Critical 대진연료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30002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895B1/ko
Publication of KR850000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06Methods of shaping, e.g. pelletizing or briquetting
    • C10L5/10Methods of shaping, e.g. pelletizing or briquetting with the aid of binders, e.g. pretreated binders
    • C10L5/14Methods of shaping, e.g. pelletizing or briquetting with the aid of binders, e.g. pretreated binders with organic bin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흑연질 무연탄을 이용한 연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고질의 흑연질 무연탄을 이용하여 열량이 높고 유해가스가 현저히 감소되는 연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일반 연탄은 열량이 대략 4500-4600kcal/kg 정도이고 연소시간이 짧으며 많은 유해가스가 발생하고 잘 깨지는 등의 단점이 있었으나, 이러한 일반 연탄의 단점을 제거하고 다량 매장되어 있는 흑연질 무연탄을 활용하여 보다 경제적인 연탄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흑연질 무연탄은 착화온도가 높아서 착화가 어렵고 열전도율이 커서 착화온도 이하로 온도가 내려가 불이꺼지기 쉽고 또한 점토성분이 없어 성형이 어렵다는 문제 때문에 연탄으로서 잘 활용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흑연질 무연탄을 활용하여 보다 경제적인 연탄을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일반 연탄에 비하여 많은 이점들을 가지는 연을 얻는데 성공하였다.
본 발명은 고질 흑연질 무연탄과 콘스타치(전분), 석회석, 규조토를 고질 무연탄에 배합하여 200°-250℃의 증기통에서 5분가량 찐 다음, 통상의 방식으로 성형하여 고열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방법을 일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질 흑연질 무연탄 약 47중량%와 고질 무연탄 약 47중량%에, 성형을 위한 접착제로서 콘스타치(전분) 약 2중량%와, 상기 전분외의 성형보조제로서 작용하고 또한 약간의 유해가스를 흡착 중화시키기 위한 석회석 약 2중량%와, 연탄재(회재)에 강도를 부여하기 위한 규조토 약 2중량%를 혼합하여 뒤섞은 후, 전분의 접착작용을 증진시키고 석회석의 유해가스 흡착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해 200°-250℃의 증기통에서 5분가량 찐 다음, 통상의 연탄 윤전기로 성형하여 연탄을 제조하였다.
이와같은 방법에 따라, 다량 매장되어 있으나 점토 성분이 없어 성형이 어려워 잘 활용되지 못하였던 흑연질 무연탄 및 고질 무연탄을 이용하여 발열량이 높고 매우경제적인 다공연탄이 얻어진다.
이 예에서 사용하는 고질 흑연질 무연탄과 고질 무연탄의 성분 분석표는 하기표 1과 같으며, 본 발명의 일예에 따라 얻어진 연탄의 시간별 연소 가스중의 CO 함량 및 연소온도에 관한 시험 성적표는 표 2와 같다.
[표 1]
Figure kpo00001
비고) 본 시험분석은 KSE 3705-79, 3706-79, 3707-79에 의함.
[표 2]
Figure kpo00002
비고) 1. 시험방법 : KSE 3707-82, 3733-82
2. 시험구멍탄은 구멍이 16개이며, 한개구멍의 지름은 15.5mm임.
비교 를 위해 통상의 일반 연탄에 사용되는 무연탄의 성분 분석표를 표 3에 나타내고 일반 연탄의 시험성적표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kpo00003
비고) 본 시험분석은 KSE 3705-79, 3706-79 3707-79에 의함.
[표 4]
Figure kpo00004
비고) 본 시험은 KSE 3707-82, 3733-82에 의함.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연탄과 일반연탄의 주요 성분, CO 함량, 지속시간 및 발열량을 비교하면 하기 표 5와 같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제품은 일반 연탄에 비하여 하기와 같은 이점들을 가진다.
1. 연소 시간의 장단과 관련된 고정탄소의 함량이 본 발명 제품에서는 75.875%인데 비하여 일반연탄에서는 53.9%이미로 본 발명제품이 일반연탄에 비하여 40.76% 더 많은 고정탄소를 가지며, 이에 따라 연소 지
[표 5]
Figure kpo00005
속시간이 일반연탄의 10시간에서 본 발명제품에서는 14시간으로 4시간 더 연소가 지속됨을 볼 수 있다.
2. 본 발명의 제품의 발열량이 6000kcal/kg으로 일반 연탄의 4460kcal/kg보다 34.5% 더 열량이 높으며, 본 발명의 제품에서는 CO가스, 아황산가스의 발생이 현저히 감소됨을 볼 수 있다.
3. 철제류 부식의 요인인 유황분의 함량이 일반연탄에 비하여 본 발명제품에서는 대략 절반 밖에 되지 않아서 보일러, 철제기구, 주방기구 등의 부식이 상당히 방지될 수 있다.
4. 본 발명제품에서 접착제로 사용되는 전분 때문에 일반연탄에 비해 강도가 강하여 대략 1m정도의 높이에서 떨어뜨려도 잘 깨지지 않는다.
5. 본 발명제품의 전분성분이 연소시 착화후 약 1시간 가량 약간의 유색 유취의 연기를 발생하여 실내에의 연탄가스 유입을 감지할 수 있어 연탄가스 중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6. 흑연질 무연탄을 연료화 할 수 있으므로 대체 에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고질수입탄에 의한 외화 낭비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

  1. 고질 흑연질 무연탄 약 47중량%, 고질 무연탄 약 47중량%, 콘스타치(전분) 약 2중량%, 석회석 약 2중량%, 규조토 약 2중량%를 혼합하여 뒤섞은 뒤 200°~250℃의 증기통에서 5분 가장 찐 다음, 통상의 방식으로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질 무연탄을 이용한 연탄의 제조방법.
KR1019830002484A 1983-06-03 1983-06-03 흑연질 무연탄을 이용한 연탄의 제조방법 KR850000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2484A KR850000895B1 (ko) 1983-06-03 1983-06-03 흑연질 무연탄을 이용한 연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2484A KR850000895B1 (ko) 1983-06-03 1983-06-03 흑연질 무연탄을 이용한 연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512A KR850000512A (ko) 1985-02-27
KR850000895B1 true KR850000895B1 (ko) 1985-06-26

Family

ID=19229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484A KR850000895B1 (ko) 1983-06-03 1983-06-03 흑연질 무연탄을 이용한 연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631A1 (ko) * 2012-12-27 2014-07-03 주식회사 포스코 성형탄 제조 방법 및 성형탄 제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631A1 (ko) * 2012-12-27 2014-07-03 주식회사 포스코 성형탄 제조 방법 및 성형탄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512A (ko) 1985-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nchieku et al. Optimum parameters for the formulation of charcoal briquettes using bagasse and clay as binder
Sunardi et al. Characteristics of charcoal briquettes from agricultural waste with compaction pressure and particle size variation as alternative fuel
Adekunle et al. Proximate and ultimate analyses of biocoal briquettes of Nigerian’s Ogboyaga and Okaba sub-bituminous coal
Mitchell et al. The use of agricultural residues, wood briquettes and logs for small-scale domestic heating
Suryaningsih et al. Combustion quality analysis of briquettes from variety of agricultural waste as source of alternative fuels
CN103113948B (zh) 含滤泥的洁净型煤及其制备方法
US20040045215A1 (en) Combustible fuel
CN101812343A (zh) 一种型煤粘结剂及基于该粘结剂的型煤制备方法
Ikelle et al. Study on the combustion properties of bio-coal briquette blends of cassava stalk
Ismail et al. Conversion of rice husks into an energy source through gasification technology
Elinge et al. Studies on the combustion profile of briquettes produced from carbonized rice husk using different binders at moderate temperature and die pressure
KR850000895B1 (ko) 흑연질 무연탄을 이용한 연탄의 제조방법
CN104946337A (zh) 生产生物质成型碳的方法
CN101747979A (zh) 用于型煤的复合助剂
Oyelaran Evaluating the bio-energy potential of groundnut shell and sugarcane bagasse waste composite
Aliah et al. Physical properties of briquettes composite from coffee husks (Coffea Arabica L) and Corncob (Zea Mays) for alternative fuel
Ikelle et al. Comparative thermal analysis of the properties of coal and corn cob briquettes
US1839987A (en) Manufacture of ash free solid fuel
Ryemshak et al. Production of smokeless briquetted fuel by co-carbonization of local coals and bitumen
Gushit et al. Energy properties and fuel potentials of selected indigenously processed bio-resources used as sources of sustainable fuel in north central Nigeria
KR100423850B1 (ko) 저질탄을 원료로 하는 저공해 고온탄 및 그 제조방법
KR100278791B1 (ko) 고형연료
Pramana et al. Improving The Heat Value of Biobriquettes Made From Rice Husk and Cabbage with The Addition of Palm Oil
CN1011419B (zh) 一种火锅燃料
Widjaya et al. Utilization of several agricultural wastes into briquette as renewable energy 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06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