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842Y1 - 마그네틱 스위치를 이용한 양말 편직기의 트립레버 및 래칫작동레버의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마그네틱 스위치를 이용한 양말 편직기의 트립레버 및 래칫작동레버의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842Y1
KR850000842Y1 KR2019840004425U KR840004425U KR850000842Y1 KR 850000842 Y1 KR850000842 Y1 KR 850000842Y1 KR 2019840004425 U KR2019840004425 U KR 2019840004425U KR 840004425 U KR840004425 U KR 840004425U KR 850000842 Y1 KR850000842 Y1 KR 8500008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ratchet
knitting machine
gear
magnetic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44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병래
Original Assignee
라병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병래 filed Critical 라병래
Priority to KR20198400044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8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8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8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15/99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ally controll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10B2501/021Hosiery; Panti-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그네틱 스위치를 이용한 양말 편직기의 트립레버 및 래칫작동레버의 작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중 트립레버에 마그네틱 스위치를 부착시킨 상태의 부분 확대도.
제2도는 핀드럼을 회전시키는 래칫을 제어하여 주는 래칫작동레버에 마그네틱스위치를 부착시킨 상태의 부분 확대도.
제3도는 트립레버에 연결된 마그네틱 스위치의 작동상태도.
제4도는 트립레버에 연결된 마그네칙 스위치중 한개만이 작동할때의 예시도.
제5도는 양말편직기의 고속기어와 그 인접부위에 감지소자와 자석을 부착시킨 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제6도는 본 고안 장치의 전체적인 블럭 다이어그램.
제7(a)도,제7(b)도는 체인랙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체인에 형성된 체인돌기에 의하여 트랩레버를 작동시키는 종래의 장치를 표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20 : 마그네틱 스위치 2' 3' : 작동철심
4,5 : 연결레버 6 : 수평레버
7 : 메인레버 8 : 트립레버(TRIP LEVER)
24 : 레칫작동레버 25 : 연결레버
26 : 고속기어 28 : 자석
29 : 감지소자
본 고안은 양말편직기에 있어서 뒷드럼을 조금씩 회전시켜 주는 동작과 핀드럼의 회전을 제어하여 주는 동작을 마그네틱 스위치를 사용하여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양말편직기의 부품을 간소화시켜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고, 조립작업이 쉽고 빠르며 기계의 마모율도 낮출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양말편직기에 있어서 뒷드럼을 조금씩 회전시켜 주는 장치는 제7도에 표시한 것과 같은 것으로서 세그멘트 기어가 왕복 회전운동을 함에 따라 세그멘트기어의 회전축에 부착되어 있는 큰 밀대홀더가 전후진 운동을 하고 이에 착설된 큰 밀대가 래칫기어를 밀어주어 뒷드럼이 회전되도록 하였는데 뒷드럼은 양말을 편직중 필요시마다 조금씩 회전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큰 밀대는 항시 트립레버에 걸려있는 상태로 전후진 운동을 하다가 트립레버의 트립레버캠이 체인랙기어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체인의 체인돌기에 의하여 상측으로 들려지면 트립레버의 큰 밀대가 재치된 부분이 하강하므로 큰 밀대는 래칫기어의 치에 걸린 상태로 전후진 동작을 하게 되어 래칫기어가 회전되고 따라서 뒷드럼도 회전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편직사를 교환 공급하여 주는 동작을 하는 핀드럼의 회전도 종전에는 핀드럼에 일체로 부착된 래칫기어를 왕복 회전운동을 하는 래칫을 래칫작동레버를 승하강시켜 래칫을 제어하도록 하였는데 래칫 작동레버도 별도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체인의 체인돌기에 의해 별도의 승하강 동작시켜서 와이어를 당기거나 놓는 동작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었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든 양만편직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하기 위하여 체인랙기어와 체인이 꼭 필요하고 체인에는 트립레버를 승하강시켜 주기 위한 체인돌기 및 이와같은 부품들은 기틀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별도의 부품 고정장치들이 필요하였으며 이러한 부품들은 마모율 또한 심하여 오동작이 많이 발생하며 자주 부품들을 교환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트랩레버와 래칫작동레버의 승하강 동작을 마그네틱 스위치를 사용하여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양말편직기에서 체인랙기어와 체인 그리고 이러한 부품들을 기틀에 고정시켜주기 위한 기타 부품들이 불필요하여 양말편직기가 간단하여지며 수품의 수효가 줄어들어 제작 단가도 낮아지며, 오동작이 없고 기계의 고장율도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인 양말편직기에 있어서, 큰 밀대(12)를 받쳐주고 있는 트립레버(8)의 상측으로 두개의 마그네틱 스위치(2)(3)를 착설하여 각각 기억장치(가)와 연결하며 마그네틱 스위치(2)(3)의 작동철심(2')(3')에는 각각 연결레버(4)(5)를 부착하여 수평레버(6)로 연결하며 수평레버(6)의 중간지점(A)과 트립레버(8)의 끝단을 메인레버(7)로 연결하였다.
핀드럼(21)의 래칫(23)을 제어하여 주는 래칫작동레버(24), 상측으로는 마그네틱 스위치(20)를 부착하여 기억장치(가)와 연결하였으며 마그네틱 스위치(20)의 작동철심(20')과 래칫작동레버(24)를 연결레버(25)로 연결하였으며 양말편직기의 측면에 있는 고속기어(26)와 이에 인접한 기틀(27)에는 각각 자석(28)과 감지소자(29)를 부착하여 기억장치(가)와 연결하여서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2는 핀드럼의 레칫기어 8'는 트립레버 캠, 30은 체인랙기어, 31은 체인, 32는 체인돌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는 제6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데 대략적인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고속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자석(28)과 감지소자(29)가 마주칠때마다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감지소자(29)가 검출하여, 기억장치(가)로 보내면 기억장치(가)는 감지소자(29)로부터 보내오는 전기적인 신호의 숫자를 판독하여 미리 셋팅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마그네틱 스위치(2)(3)중 필요한 스위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철심을 당기므로서 이에 연결되어 있는 트랩레버(8)나 연결레버(25)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양말편직기는 침통이 4 바뀌 회전함에 따라 고속기어는 1바뀌 회전하고, 뒷드럼이 완전히 1바뀌 회전할 때마다 양말이 1개가 편직되는 것인데 뒷드럼에 무수히 부착되어 있는 캠에 의하여 보든 편직동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뒷드럼의 캠동작을 변화시켜주기 위하여 세그멘트기어(10)에 의하여 전후된 동작을 하는 큰 밀대로 래칫기어(13)를 조금씩 회전시켜 뒷드럼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은 계속적으로 고속기어(26)가 회전하면 감지소자(29)와 자석(28)이 마주칠 때마다 감지소자(29)에서 발생되는 전체적인 신호를 기억장치(가)에 보내는데 기억장치(가)에서는 이렇게 보내지는 전기적인 신허를 계속받아 분석하면서 래칫기어(13)를 회전시켜야 하는 신호가 검출되면 즉시 마그네틱 스위치(2)(3)에 동시에 전류를 공급하게 되어 작동철심(2')(3')이 동시에 작동되어 연결레버(8)가 상승하고 반대로 큰 밀대(12)를 받치고 있든 부분은 하강하여 큰 밀대(12)의 끝단이 래칫기어(14)에 맞물리므로, 세그멘트기어(10)가 왕복 회전운동을 함에 따라 큰 밀대 홀더(11)가 전후진하여 래칫기어(13)는 회전된다.
이와같이 래칫기어(13)가 큰 밀대(12)가 밀어주는 만큼 회전하고 나면 기억당치(가)는 자동적으로 전원을 차단하므로, 마그네틱 스위치(2)(3)는 원상복귀되고 트립레버(8)는 다시 큰 밀대(12)를 받치게 되므로 큰 밀대(12)는 계속적으로 전후진 동작을 하여도 래칫기어(13)와 맞닿지 않으므로 래칫기어(13)는 회전되지 않는다.
특히 본원에서는 작동철심(2')(3')에 연결된 연결레버(4)(5)를 서로 수평레버(6)로 연결하고 수평레버(6)의 중앙(A)과 트립레버(8)를 메인레버(7)로 연결하므로서 래칫기어(13)가 회전을 많이하게 할 때는 제3도와 같이 마그네틱 스위치(2)(3)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면 메인레버(7)가 a+b 거리만큼 들려지고, 큰 밀대(12)는 래칫기어(13)의 앞쪽으로 위치하므로 앞쪽에서부터 래칫기어(13)를 밀게되어 래칫기어(13)가 많이 회전되고 반대로 래칫기어(13)의 회전을 적게 하려면 마그네틱 스위치(2)(3)중 어느 한쪽에만 전원을 공급하면 메인레버(7)는 제4도와 같이 b거리만큼 만들려지므로 큰 밀대(12)는 결과적으로 래칫기어(13)의 중심쪽에서부터 밀게되어 래칫기어(13)의 회전이 적어지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양말을 편직하는 과정에서 핀드럼을 회전시켜야 하는 신호가 검출되면 기억장치(가)는 마그네틱 스위치(20)에 전원을 공급하여 래칫(23)을 받치고 있든 래칫작동레버(24)를 상측으로 당겨주므로 래칫(23)은 뒤로 이동하였다. 앞으로 전진하며 래칫기어(22)를 회전시키므로 핀드럼(21)이 회전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마그네틱 스위치(2)(3)(20)를 설치하고 고속기어(26)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기억장치(가)에서 비교 분석하여 미리 메모리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미그네틱 스위치(2)(3×)(20)에 적절히 전류를 공급하여 트립레버(8)와 래칫작동레버(24)를 작동시키므로서 뒷드럼과 핀드럼(2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종전 양말편직기에서 사용하든 체인랙기어(30)와 체인돌기(32)가 돌설된 체인(31)과 이와같은 부품들을 양말편직기에 고정시키기 위한 주변장치들이 모두 필요없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종전 양말편직기에 비하여 부품의 수효가 줄어들므로 해서 양말편직기 자체가 간단하여지고 또, 가격도 저렴하여 지면서 마모율이 저하되고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통상적인 양말편직기의 트립레버 상측으로 두개의 마그네틱 스위치(2)(3)를 착설한 후 작동철심(2')(3')에는 연결레버(4)(5)를 부착하여 수평레버(6)로 연결하며 수평레버(6)의 중앙지점(A)과 트립레버(8)의 끝단을 메인레버(7)로 연결하고 래칫작동레버(24)의 상단에는 마그네틱 스위치(20)을 착설하여 연결레버(25)로 래칫작동레버(24)와 연결하여서 고속기어(26)에 착설된 자석(28)과 이에 설치된 감지소자(29)가 마주칠때마다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기억장치(가)에서 판독하여 마그네틱 스위치(2)(3)(20)에 적절히 전류를 공급하여 트립레버(8)와 래칫작동레버(24)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마그네틱 스위치를 이용한 양말편직기의 트립레버 및 래칫작동레버의 작동장치.
KR2019840004425U 1984-05-14 1984-05-14 마그네틱 스위치를 이용한 양말 편직기의 트립레버 및 래칫작동레버의 작동장치 KR8500008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4425U KR850000842Y1 (ko) 1984-05-14 1984-05-14 마그네틱 스위치를 이용한 양말 편직기의 트립레버 및 래칫작동레버의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4425U KR850000842Y1 (ko) 1984-05-14 1984-05-14 마그네틱 스위치를 이용한 양말 편직기의 트립레버 및 래칫작동레버의 작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842Y1 true KR850000842Y1 (ko) 1985-05-11

Family

ID=19234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4425U KR850000842Y1 (ko) 1984-05-14 1984-05-14 마그네틱 스위치를 이용한 양말 편직기의 트립레버 및 래칫작동레버의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8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23916B1 (en) Apparatus for driving yarn feeders built in a flat knitting machine
KR101170352B1 (ko)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장치의 얀 피더
EP0597548B1 (en) Knitted fabric presser of flat knitting machine
KR0122597B1 (ko) 환편기에서의 전자선침장치
KR850000842Y1 (ko) 마그네틱 스위치를 이용한 양말 편직기의 트립레버 및 래칫작동레버의 작동장치
US3427829A (en) Control means for pile fabric knitting machines
EP0636725B1 (en) Needle selection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for manufacturing socks, stockings or the like
US4386508A (en) Apparatus for selective positive feeding of a plurality of yarns to a striping knitting machine
CS209516B2 (en) Round knitting machine for making the tubular knitwork
US4570463A (en) Needle selection device for a knitting machine
US2015106A (en) Safety stop mechanism for knitting machines
US6422044B1 (en) Needle actuation device for knitting machines for hosiery or other articles
US3089321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US11225736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for moving the needles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US3292395A (en) Straight bar knitting machines
JPS63256754A (ja) ヤーン交換の選択駆動装置
EP0328976B1 (en) Needle selection device for knitting machine
GB120442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electrical or/and electronic patterning systems
US2933909A (en) Stop motion device for knitting machines
US2748583A (en) Safety mechanism for knitting machines
US3089320A (en) Method of knitting
SU69905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средником замка плоскофанговой машины
EP0962568A2 (en) Needle actuation device for knitting machines for hosiery or the like
JPS6336065Y2 (ko)
KR810002144Y1 (ko) "환편기에 있어서 칼라파일 무늬사의 공급 절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5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