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824B1 - 기체-액체 혼합류 분사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기체-액체 혼합류 분사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824B1
KR850000824B1 KR1019800004715A KR800004715A KR850000824B1 KR 850000824 B1 KR850000824 B1 KR 850000824B1 KR 1019800004715 A KR1019800004715 A KR 1019800004715A KR 800004715 A KR800004715 A KR 800004715A KR 850000824 B1 KR850000824 B1 KR 850000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liquid
nozzle
strip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4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937A (ko
Inventor
히로시 이이다
데쓰야 오오하라
마사가쓰 쓰지
Original Assignee
신닛뽕 세이데쓰 가부시끼 가이샤
사이도오 에이시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3568180A external-priority patent/JPS5760033A/ja
Priority claimed from JP55135680A external-priority patent/JPS5760032A/ja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뽕 세이데쓰 가부시끼 가이샤, 사이도오 에이시로오 filed Critical 신닛뽕 세이데쓰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3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73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with coo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체-액체 혼합류 분사 냉각장치
제1도는 기체-액체 혼합류가 형성되는 쪽에서 본 발명의 기체-액체 혼합류 분사 냉각장치 실시예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III-III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에 표시된 노즐유니트 일부분의 확대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기체-액체 혼합류 분사 냉각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절단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의 VII-VII선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VIII-VIII선 단면도.
제9도는 제7도의 XI-XI선 세로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장치 사용으로 형성된 기액혼합류 형성 양상을 보여주는 개략도.
제11도는 테이퍼진(tapered)전단과 후단을 가진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종전기술장치 사용으로 형성된 기액 혼합류 형성 양상을 보여주는 개략도.
제12도는 여러개의 기액 분사 유니트가 여러층으로 배치된 냉각실의 평면도.
제13도는 일부가 절단된 제12도의 측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물 스프레이 노즐배열의 평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측면도.
본 발명은 띠모양의 물질 특히 연속 열처리공정중에 있는 강플레이트 스트립(plate strip)을 냉각하기에 적합한기액 혼합류 분사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르러 강플레이트 스트립이 연속 열처리 노(爐)안에서 고속으로 이동하는 중에 열처리를 받도록 하는 경향이 두드러져 왔다. 이 동중에 있는 그런 스트립을 냉각시키는 것은 중요한 것이다.
강스트립의 냉각방법으로 기체-액체 혼합물(앞으로 "기액"으로 지침됨)의 분류(噴流)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광범위한 냉각속도를 가지는 이점이 있지만 기액분사 완결후 그 취급이 귀찮기 때문에 냉각을 조절하기 어려우며 여때껏 만족스런 방법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여기서 "기액" 즉 기체-액체혼합물"이란 용어는 고속기체와 소정 압력의 액체가 그들 각각의 노즐로부터 분사류로 분출되어, 액체(예를들면 물)가 안개모양으로 또는 거의 스프레이에 해당되는 모양으로 미세입자가 되어 기체속에 섞이도록 이 두분사류가 서로 교차되어 서로 섞이는 그러한 과정을 통하여 생기는 유체를 지칭한다.
기체분사 슬릿노즐은 필요한 갯수의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된 여러개의 평행간극을 가지고 있고, 액체분사노즐에는 많은 조그만 구멍이 마련되어 있어, 그 구멍으로부터 분출된 액체류가 기체분사노즐에서 분출된 기체류와 예각으로 교차하게 되는 일려로 배치된 일련의 기체분사 슬릿노즐과 일렬로 배치된 일련의 액체분사노즐로 구성되는 기액혼합류 분사냉각장치가 제안되었다.
종래의 기수(氣水)냉각장치에 있어서는, 뜨거운 스트립의 표면에 기수분사를 시키고 그래서 물이 뜨거운 스트립과 충돌한 후 기수분사로부터 분리되어 스트립표면과 그 주위에 분산되는데, 이는 기수분사의 계속을 방해할뿐 아니라 소정의 온도를 가지고 노즐선단으로부터의 소정의 거리에 떨어져 있는 강플레이트(스트립)에 관한 그리고 사용된 기체밀도(N㎥/㎡.min)와 물밀도(ℓ/㎡.min)에 의해 결정되는, 열전달효율(kcal/㎡.hr℃) 또는 냉각속도(℃/sec)에 의해 표시되는 냉각율의 불규칙을 초래한다.
예를 들면, 분산된 물이 수막의 형태로 스트립의 표면에 잔류할 때에는 그 위에 분사된 기수는 이막을 통해 간접적으로 표면을 냉각시키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냉각율이 감소하고 불규칙한 냉각이 일어난다.
이러한 불규칙성은 냉각조절을 곤란하게 만든다. 그 위에 스트립 주위에 분산된 물은 기수분사를 반복하는 동안 스트립쪽으로 몰리기 때문에 이런 물의 분산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으로, 연속 어니일링 공정에서, 가열 및 균열(均熱)부에서 높은 온도까지 가열 유지된 뜨거운 스트립을 원하는 열처리 패턴에 맞도록, 냉각부에서 급냉(quenching)시키고 연달아 과시효부로 옮길때, 이 스트립이 최종적으로 요구되는 온도에 유지되어 있는 동안에 이 스트립을 위에서 말한 과시효부로 옮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우기 스페이서는, 한 직선상에 동간격으로 옆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기체분사 방향에 관하여 평행하게 뻗어 있는 기체분사 통로를 형성한다. 각 스페이서는 테이퍼 앞(바깥)끝과 테이퍼뒤(안)끝을 갖고 있다. 이들 끝은 해당 스페이서의 중심축에 대하여 안쪽으로 경사되어 있다.
그러나, 스페이서의 테이퍼진 앞끝으로 인하여 기액혼합물 합성류는 노즐 열(列)방향으로 수개부분으로 찢어지는 경항이 있으며 (제11도 참조) 노즐 열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스프레이 패턴을 노즐을 형성해 내기는 불가능하다.
상기 현상은 액체노즐들 사이에서 생기는 가스흐름이 전체 혼합물을 찢기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생각되었고, 따라서 액체노즐들 사이에서 생기는 상술의 기체류를 제거할 수 있다면 혼합류의 찢어짐 즉 분리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차적 목적은 냉각체의 표면과 그 주위로부터 기수로부터 분리된 물을 빨리 그리고 적절히 제거시켜서 효과적이고 균일한 냉각을 수행하고 또 그 조절에 알맞은 분위기를 마련해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차적 목적은 기액류에 찢어짐이 생기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해 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받는 물질(스트립)의 냉각 완료후 기체액체로부터 분리된 액체(예컨대 물)는 그 물질과 그 주위로부터 제거된다.
본 발명의 기체 액체 냉각장치는 물체(예컨대 뜨거운 강플레이트 스트립 등속)에 가까이 배치된 기체분사노즐(또는 노즐들)과 액체분사노즐(또는 노즐들)과 기체 공급헤더와 액체 공급헤더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체류가 찢어지지 않은 기체 커어튼 모양으로 냉각되는 물체의 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고속기체분사류를 수평면에 관하여 상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는 소정의 폭을 가진 슬릿이나 여러개의 사각형의 작은 구멍들로 기체분사 노즐이 구성된다.
기체원으로서는 공기를 사용해도 될 것이나 뜨거운 강 스트립등속을 냉각시키기 위해서는 불활성기체(N2기체, CO2기체, 기체등과 같은)가 산화방지를 위해 효과 적이고 모아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불활성기체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기체들을 재사용할 때는 이 기체를 냉각하고 탈습(脫濕)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 액체분사노즐은 기체 분사노즐 바로아래 위치에 수평면에 관해 위로 배치된한 무리의 작은 노즐구멍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 밖에서 형성되는 기액 혼합물을 얻기 위해 그들 각각은 기체 분사노즐로부터 기체 분사류와 교차하는 분사류를 분출한다.
액체원으로서는, 경제적 견지에서 물이 바람직하나 다른 액체도 충분한 냉각용량을 가지고 있고 냉각되는 물질에 해가되지 않는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액체분사노즐은 기체분사노즐 아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그렇게함으로서 액체유속이 변할때에는 물질의 폭방향으로 균일한 분사유속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기액분사각도에 대해서 말하면, 상술한 과정으로 얻어진 기액혼합물을, 수평면에 대하여 상향으로, 예들들면 약 40 내지 100m/sec의 속도로 냉각되는 물질위로 분사시키면 좋다.
이렇게 분사된 대부분의 기체-물은, 입사각과 반사각의 관계에서와 꼭같이, 기액의 분사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물질의 표면에 의해서 위로 반사되어 다음에 기체와 액체로 분리된다.
기액이 수평방향으로 분사되면 앞에 분사된 기액과 뒤의 기액이 상호 간섭하게 되어 그결과 이들은 그 물질의 표면과 그 주위에 분산하게 되어 결국 그 표면에 액체막을 형성하거나 형성하기 쉽게되어 냉각의 불규칙이 일어나거나 일어나기 쉽게되고 그래서 효과적 냉각과 냉각조절을 하기가 어렵게 될 것이다.
위의 설명으로부터 기액을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향으로 분사시키면 기액 냉각을 균일하고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기액의 분사각도에 관해서는, 그 각도로 기액이 수평면에 괸해 위방향으로 행할 수 있다면 어떤 각도이건 괜찮겠지만 실제에 있어선 기액분사 유니트(기체와 액체분사노즐)과 냉각되는 물질 사이의 거리와, 후술하는 액체안내판의 위치와 구조를 고려하여 알맞게 결정해야 할 것이다. 이 안내판은 기액이 물질로부터 반사된 후 그 기액으로부터 분리되는 액체를 받아서 안내한다.
액체안내판은 기액으로부터 분리된 대부분의 액체를 받아서 냉각되는 물질과 그주위로부터 빠르게 몰아낸다. 따라서 이판은 상술한 분리된 액체가 낙하하는 지점에 배치한다.
실제에 있어서, 이 안내판은 그위 또는 기체헤더 상부에 받치는 액체를 냉각시킬 물질로부터 가능한한 완전히 원격한 위치까지 안내할 수 있으면 어떤 경사판 모양이라도 되는데 그 경사각도와 치수는 액체양에 비례하여 적절히 결정하면 좋다. 액체안내판의 생김새는 평평한 판이나 홈통등과 같은 모양이면 될 것이다.
상기 구조로 해서, 대부분의 분사기액이 냉각되는 물질과 그 주위로부터 빨리 그리고 확실히 방출되어 균일한 기액냉각을 성취할 수 있다. 그결과로, 물질의 냉각조절을 쉽게 행할 수 있는 효과를 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액분사유니트는, 여러 유니트에 의한 소정의 냉각율을 얻기 위해서 수직방향으로 계속해서 이동하는 냉각되는 물질의 양면에 여러층으로 마련할 수 있다. 유니트의 다수개을 배치하는 이 경우에는, 냉각되는 물질은 한쪽(앞표면)을 맞보는 유니트의 기액분사위치와 그 다른쪽(뒷표면)을 맞보는 유니트의 기액분사위치가 서로 겹쳐지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또는 좌우방향으로 또는 이들 양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에 있게하여 물질의 양면이 고르게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식으로 기액분사 유니트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니트를 위와 같은 식으로 배치할 경우에는 물질을 그 형상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고 냉각시킬 수 있다. 더우기 이와 같이 배치하면, 좁다란 물질까지도 그 물질바깥에 분사된 기액이 상호 마주치지 않기 때문에 그의 옆부분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고 냉각시킬 수 있다.
위에 서술한 다층 기액분사 유니트 전체를 대기를 격리시키는 차폐판으로 차폐하여 냉각실을 마련하고 이런 냉각실을 하나의 단위 냉각기가 될게할 수 있다. 또한 여러개의 이런 냉각기 유니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구조의 냉각실에서, 온-오프(ON-OFF)조작을 통하여 각 냉각기 유니트를 조절하므로써 냉각율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앞서 설명했던 분사후 기액으로부터 분리된 기체와 액체(물)는, 이를테면 냉각실 양옆면에 마련된 기체 배출구와 이를테면 냉각실의 바닥에 마련된 액체배출구로 각각 통하는 별도의 배출수단에 의해서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된 기체와 액체는 모아서 처리한 다음 재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특히 연속 열처리 노속에서 처리를 받는 과정중의 강스트립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 첨부도면에 따라 이제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있어서, 21은 기체공급원(나타나 있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는 기체공급 헤더를 표시하고, 22는 기체공급헤더(21)의 세로방향으로 이 헤더에 부착되어 있는 노즐형성판을 표시한다.
첫번째 노즐수단을 형성하는 이들 노즐형성판(22)은 소정의 거리만큼 서로 떨어져 있고 그 사이에 슬릿모양의 기체분사노즐구(24)를 마련하도록 볼트(13)로 고정되어 있다.
판(22)에는 노즐구(24)근방에 두번째의 노즐수단을 형성하는 단위관(Unit pipe)(26)이 부착되어있다. 이 단위판(26)은 볼트(13)에 의해서 판(22)에 연결되어 있는 브래킷(나타나 있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관(26)에는, 노즐구(24)의 바로앞에 액체가 분사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여러개의 액체분사노즐이(27)있다.
스페이서(25)는 일단의 평행한 기체분사노즐 또는 노즐구(24)내의 구형분출구(24A)를 형성한다. 액체분사노즐(27)은, 노즐형성판(22) 사이에서 스페이서(25)에 의해 정해지는 기체분사노즐(24A)의 아래에 인접해서 위치하고 있다.
이 노즐(24A)은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α)으로 위로 향하고 있는 노즐(27)은 해당노즐(24A)과 예각으로 교차하도록 위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각 노즐(24A)에서 분출된 기체와 각 노즐(27)에서 분출된 액체가 노즐(24A)의 앞에서, 혼합되어, 상향의 기액분사류를 예컨대 40 내지 100m/초의 속도로 만들어낸다.
기체원으로서는 예컨대 거의 1,500mmAq의 질소가스가 기체공급 헤더를 통해 공급되고 한편으로는 적당량의 액체는 액체공급원(나타나 있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는단위판(26)을 통해 공급된다. 기체공급 헤더(21)의 일부를 이루는 상부의 노즐형성판(22)은, 각 노즐( 24A)의 뒷방향으로 경사되어 있으며, 뜨거운 스트립(100)으로부터 반사되어 기액에서 분리된 액체를 받아서 스트립으로부터 내몬다.
경사된 노즐(24A)과 판(22)을 설치하는 대신, 이들을 수평으로 하여도 좋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장치 자체를 수평면에 대하여 어떤 각도롤 설치해야 한다.
스트립이 어쩌다가 기액분사유니트(40)와 충돌하는 경우 액체노즐(27)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하면 판(22)과 일부분인 카버(28)를 노즐(24A)위에 마련할 수 잇다. 그러나, 카버(28)가 없더라도 유니트의 기능에는 아무변화가 일어나지 않을 것이란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스페이서(25)는 뒤에 설명하게 될 제5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페이서(5)와 동일하다.
제5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기체공급헤더(1)는 기체공급원(나타나 있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노즐형성판(2)은 기체공급헤더(1)에 그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첫번째 노즐수단을 형성하는 이들 노즐형성판(2)은, 그 사이에 슬릿모양의 기체분사노즐(4)를 마련하도록 소정의 거리로 상호 떨어져 볼트(13)로 고정되어 있다.
판(2)에는 구(4)근방에 두번째 노즐수단을 형성하는 단위관(6)이 부착되어 있다. 단위관(6)은, 볼트(13)에 의해 판(2)에 연결되어 있고 판(14)을 보유하고 있는 브래킷(1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제7도 참조).
관(6)은 노즐구(4)바로 앞에 액체가 분사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여러개의 액체분사노즐공(孔)(7)을 가지고 있다. 액체는, 액체공급원(48)(제12도)에 연결되어 있고 브래킷(15)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액체공급판(3)으로부터 연결관(8)을 통해서 공급된다.
제5도 내지 제9도에 표시된 실시예에서, 노즐구(4)는 수평방향으로 뻗쳐 있고, 노즐공(7)은 구(4)의 수평연장선과 예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에 열려 있다.
각 스페이서(5)가 기체 분출방향에 평행하게 뻗쳐 있고 이들 스페이서에 의해서 일단의 평행간격의 기체분출노즐 또는 노즐구(4)내의 사각형 분출구(4A)가 형성되도록 여러개의 스페이서(5)가 노즐판(2)의 세로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두 노즐판(2)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그래서 노즐은 하아모니카형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스페이서(5)는 테이퍼진 안쪽 즉 뒷쪽끝(5B)과 평평한 바깥 즉 앞쪽끝(5A)을 가지고 있다.
슬릿모량의 기체분사 노즐구(4)의 전폭(全幅)에 걸쳐서 소정의 간격으로 평평한 선단을 가진 스페이서(5)를 설치하여, 각 스페이서 양옆에 있는 분출구(4A)로부터 분출된 분사류로 인하여 스페이서(5)의 전방과 근방에 각각 부(負)의 압력 또는 진공영역이 형성되며 따라서 분출구(4A)로부터 분출된 기체와 각 스페이서(5)의 양옆에 위치한 액체분사 노즐공(7)에서 분출된 액체에 의하여 기체분사노즐(4A)의 바로 앞위치에 형성되는 기체액체 혼합류가 상술의 진공영력으로 인하여 서로 이 끌리게 되어 그 결과 전 노즐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퍼진 커어튼 모양의 혼합물 분사흐름(제10도)이 얻어진다.
이 이끌림은 유체역학에서 말하는 소위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기인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강스트립(100)은 수직방향 즉 도면지 평면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운반된다. 종전 기술장치에서는, 스페이서(5')는 평평한 선단을 갖고 있지 않아서 코안다 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제11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혼합물(A')은 수개류로 찢어진다. 다시 말하면 각 스페이서(5')이 전방에 진공영역이 생기지 않는다.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액냉각장치는 액체분사노즐의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스프레이 형상을 얻을 수 있게함을 알 것이다. 더우기, 본 발명에 의하면 커어튼 모양의 기액류제공을 보장하면서 냉각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노즐공의 직경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1도와 제2도에 표시된 여러개의 기액분사 유니트가 여러층으로 높이가 다르게 설치되어있는 한 배치예가 제12도와 제13도에 표시되어 있다. 유니트는 냉각실(30)을 결정해주는 하우징(31)속에 들어가 있다.
뜨거운 스트립(100)은, 소정의 냉각과정을 거치도록, 구동로울러(50)에 의해서 제13도에서 계속해서 위에서 아래로 수직방향으로 이동된다. 기액분사 유니트는, 스트립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스트립(100)의 전후면(양면)을 마주 보도록 여러층으로 배치되고 브래킷(41)에 의해 지지된다. 하우징(31)의 아래부분에는 액체배출구(4)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31)의 양옆에는 기체 배기구(45)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립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스트립(100)의 양쪽에 스트립(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스트립(100)에 잔존하은 물을 불어 없애기 위해, 적당한 개수의 물 스프레이(38)가 마련되어 있다. 스트립(100)은 물 스프레이(38)의 수압을 받게되므로 스트립(100)이 처지는 것을 막기 위해 안내로울러(37)가 설치되어 있다.
스트립(100)의 양쪽에는 물 스프레이(38)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스트립(100)위에 남았을지 모르는 물을 최종적으로 없애기 위해 기체분사수단(36)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조로서, 고속 기액분사가 뜨거운 스트립(100)위에 행해질때 이 분사는 윗방향으로 반사되고 기액분사로부터 분리된 대부분의 액체는 뒷방향 그리고 아래방향으로 경사되어 있는 판(22)에 받치고 동시에 뜨거운 스트립에서 먼 방향으로 흩어져 배출구(44)에 모여서 여기서 배출된다. 42(제13도)는 브래킷(41)을 지지하는 기둥을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기액분사로부터 분리된 기체(예컨대 N2가스)는 배기구(45)를 통해 모아진다. 스트립(100)의 표면에 남아 있거나 붙어있는 물은 물 스프레이(38)에 의해 스트립 표면에서 제거된 다음 역시 배출구(4)를 통해 배출된다. 마찬가지로, 기체분사수단(36)에 의해 제거된 물은 배출구(44')를 통해 배출되며 한편 사용된 기체는 배기구(45)를 통해 배출되어 필요하면 모아진다.
냉각실(30)에는, 스트립(100)에 잔존하는 물이 그 적당한 위치에서 스트립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적당개수의 물 스프레이를 마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물 스프데이(38)의 일 실시예가 제14도와 제15도에 나타나 있는데 각 스프레이는 스프레이 노즐(38A)과 스트립(100)의 폭방향으로 뻗쳐있는 공통되는 주공급관(38B)을 포함하고 있다.
한 노즐로부터의 물스프레이가 인접 노즐로부터의 스프레이와 교차함에 의하여 소위 물칼(water knife)로 작용하는 상태에서, 각 스프레이 노즐(38A)은 스트립 폭방향에서 스트립 표면에 남아있는 물을 제거한다.
노즐(38A)은 도시된 예에서 꾸부러진 선단을 가지고 있지만 물론 이 노즐은 직선적 선단을 가져도 될 것이다. 그위에, 스트립이 다음단계에 옮겨질때에, 스트립(100)위에 잔존하는 물이 기체분사(예컨대 N2)가스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상술한 기체분사 수단(36)이 냉각실(30)안에 스트립(100)의 출구 가까운 위치에 마련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립위에 잔존하는 물을 틀림없이 제거할 수 있고, 그렇게 때문에 이와 같은 물때문에 일어나는 간접냉각이란 문제는 무시될 수 있고 스트립에 원하는 최종온도가 주어질 수 있다.
더구나, 여러 단계로 되어 있는 가수분사 유니트가 스트립 가까이에 배치된 경우 맞보는 두줄의 기액분사 유니트의 사이 틈을 통해 통과하는 스트립은 그 길이에 비례하여 변형되기(deflect) 쉽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안내로울러(37)가 적당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안내로울러(37)는 스트립이 덜컹덜컹 움직이고 비틀어지는 것을 최소로 억제 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 결과로 스트립이 기액분사유니트, 물 스프레이, 또는 기체분사수단에 접촉하게 되는 위험를 감소시켜 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기액분사 유니트 또는유니트들에 의해 냉각에 사용된 대부분의 액체를 빠르고 확실하게 구축되며 따라서 효과적 냉각과 냉각의 조절에 적합한 분위기가 만들어 진다.
본 발명은 주로 경사각(α)으로 경사된 다단(多段) 기액분사 유니트를 병렬시킨 냉각장치에 관해 기술되었지만 본 발며은 거기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그것의 변경과 개량은 본 발명의 목적에 상반되지 않으면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이 명백하다.

Claims (1)

  1. 기체젯트류를 분사하기 위한 첫번째 노즐수단과 첫번째 노즐수단앞에서 기체-액체 혼합류를 형성하도록 기체 젯트류의 방향과 예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에 액체젯트를 분사하기 위한 두번째 노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첫번째 노즐수단은 기체-액체 혼합물로부터 분리되고 냉각되는 물질로부터 반사된 액체를 모아서 이 모인 액체를 그 물질로부터 구축해 내기 위한 액체안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액체안내 수단은 첫번째 노즐수단에 마련되어 있고 냉각되는 물질의 위치에서 보았을때 뒤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경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앞에서 상하방향으로 주행하는 스트립(帶狀)을 냉각시키기 위한 기체-액체 혼합류 분사 냉각장치.
KR1019800004715A 1980-09-29 1980-12-11 기체-액체 혼합류 분사 냉각장치 KR850000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5681 1980-09-29
JP13568180A JPS5760033A (en) 1980-09-29 1980-09-29 Cooling device by injection of mixed gas and water flow
JP55-135680 1980-09-29
JP55-135681 1980-09-29
JP55135680A JPS5760032A (en) 1980-09-29 1980-09-29 Cooling device by injection of mixed gas and water flows
JP135680 1980-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937A KR830003937A (ko) 1983-06-30
KR850000824B1 true KR850000824B1 (ko) 1985-06-15

Family

ID=2646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715A KR850000824B1 (ko) 1980-09-29 1980-12-11 기체-액체 혼합류 분사 냉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850000824B1 (ko)
AU (1) AU523977B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260B1 (ko) * 2008-01-03 2008-07-29 김호천 급냉 분사장치
FR3125066A1 (fr) * 2021-07-12 2023-01-13 Fives Stein Refroidissement liquide d’une bande en defilement dans une ligne continu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260B1 (ko) * 2008-01-03 2008-07-29 김호천 급냉 분사장치
FR3125066A1 (fr) * 2021-07-12 2023-01-13 Fives Stein Refroidissement liquide d’une bande en defilement dans une ligne continue
WO2023285747A1 (fr) * 2021-07-12 2023-01-19 Fives Stein Refroidissement liquide d'une bande en defilement dans une ligne contin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937A (ko) 1983-06-30
AU7021481A (en) 1982-05-13
AU523977B2 (en) 198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5252A (en) Spray mist cooling arrangement
CA2255250C (en) Method and system for cooling strip material
US4419117A (en) Apparatus for production of mineral wool fibers
EP0031517B1 (en) Gas-liquid cooling apparatus
SE434390B (sv) Herdad glasskiva avsedd att anvendas som sido- eller bakruta for motorfordon samt forfarande for dess framstellning
US5697169A (en) Apparatus for cooling strip and associated method
US4533376A (en) Nozzle drawing process and drawing nozzle for the separation of melts
JP3407589B2 (ja) 鋼材の冷却方法
KR850000824B1 (ko) 기체-액체 혼합류 분사 냉각장치
US5186018A (en) Cooling system for cooling a moving metal strip
US28384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ochemical metal scarfing
JPS62259610A (ja) 鋼板下面の冷却装置
US46322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shape-welded workpieces immediately after formation
US4407487A (en) Device for cooling metal articles
US65082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undesirable cooling of the strip edge areas of a cast strand
US3782326A (en) Primary water quench
US4329188A (en) Method for cooling metal articles
JPH0740517Y2 (ja) 鋼板冷却装置
US2948990A (en) Tempering of sheet material
KR880002702B1 (ko) 무기섬유 매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세정 방법 및 장치
EP0101224B1 (en) Water jet nozzle assembly
RU1818139C (ru) Распылительный тепломассообменный аппарат
JPS6235009B2 (ko)
SU1289535A1 (ru) Многолопастной ороситель
JPH10216823A (ja) 高温鋼板の冷却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