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820B1 - 콜크마개 발취장치 - Google Patents

콜크마개 발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820B1
KR850000820B1 KR1019800002720A KR800002720A KR850000820B1 KR 850000820 B1 KR850000820 B1 KR 850000820B1 KR 1019800002720 A KR1019800002720 A KR 1019800002720A KR 800002720 A KR800002720 A KR 800002720A KR 850000820 B1 KR850000820 B1 KR 850000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k
screw
frame
carriers
cork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2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364A (ko
Inventor
알렌 허버트
Original Assignee
알렌 허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렌 허버트 filed Critical 알렌 허버트
Publication of KR830003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2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stoppers
    • B67B7/04Cork-screws
    • B67B7/0417Cork-screws with supporting means for assisting the pulling action
    • B67B7/0441Cork-screws with supporting means for assisting the pulling action whereby the supporting means abut around the whole periphery of the neck of the bott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콜크마개 발취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측면도.
제2도는 캐리어가 최상측으로 상승된 제1도 실시형태의 부분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3-3선 방향에서 본 정면도.
제4도는 제1도의 4-4선 방향에서 본 배면도.
제5도는 제1도의 5-5선 방향에서 본 평면도.
제6도는 병과 결합하여 연속발취작동 과정중의 회동 삽입과정의 시작상태를 보인 제3도의 6-6선 단면도.
제7도는 회동삽입과정이 끝나고 견인과정의 시작상태를 보인 제6도와 유사한 부분단면도.
제8도는 견인과정중의 상태를 보인 제6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9도는 견안과정이 끝나고 재고과정의 시작상태를 보인 제6도와 유사한 부분단면도.
제10도는 재고정과정의 완료상태를 보인 제9도와 유사한 부분단면도.
제11도는 콜크마개로부터 콜크스크류를 분리하는 분리과정중의 상태를 보인 제9도와 유사한 부분단면도.
제12도는 고정되지 않은 상태의 부분을 보인 제8도의 12-12선 단면도.
제13도는 고정상태를 보인 제12도와 유사한 부분단면도.
제14도는 제8도의 14-14선 단면도.
제15도는 제6도의 15-15선 확대단면도.
제16도는 캐리어와 스크류베어링의 수정형태를 보인 단면도.
제17도는 회동삽입과정의 시작상태를 보인 본 발명 제2일실시형태의 것으로 제6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18도는 회동삽입과정이 끝나고 견인과정의 시작을 보인 제17도 실시형태의 부분절개 측면도.
제19도는 제17도의 19-19선 단면도.
제20도는 견인과정의 완료상태를 보인 제18도와 유사한 측면도.
제21도는 재고정과정의 완료상태를 보인 제18도와 유사한 측면도.
제22도는 제20도의 22-22선 단면도.
제23도는 제20도의 23-23선 확대단면도.
제24도는 장간과정을 보인 제26도와 유사한 확대단면도.
제25도는 해제상태를 보이고 파지결합상태를 보인 제24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26도는 해제 상태를 보이고 파지결합상태가 풀린것을 보인 제21도의 26-26선 확대단면도.
본 발명은 병으로부터 콜크마개를 발취하기 위한 콜크마개 발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포도주병등으로부터 콜크마개를 발취하기 위하여 여러가지형태의 장치가 알려진 바 있다. 이들중에 가장 잘 알려진 것은 핸들이 일체로 구성된 간단한 콜크스크류(corkscrew)가 있다. 이 간이 콜크스크류는 그 크기가 작아 휴대가 용이하므로 직업적인 웨이터나 주점접대자에 의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콜크마개에 회동삽입시 정확히 중심을 마추기에는 고도의 숙련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일반인등은 콜크마개를 파손시키지 않고 이러한 콜크스크류를 사용함에 있어 많은 곤란을 느꼈으며 직업적인 숙련된 자라할지라도 곤란을 느끼곤 하였다. 더우기 연회석에서와 같이 많은 병의 콜크마개를 따는데는 직업적인 자라할지라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여러가지 정교한 형태의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장치의 고안에서 찾아볼 수 있었던 다수의 목적들은 조작속도, 사용자에 의하여 콜크스크류를 콜크마개에 회동삽입하거나 병으로부터 콜크마개를 발취하는데드는 힘을 줄이기 위한 수단, 콜크마개에 대하여 스크류를 정확히 마추기 위한 수단, 콜크마개발취중에 병을 견고히 파지하거나 지지하기 위한 수단과 파손없이 콜크마개를 발취할 수 있는 신뢰도를 성취하기 위한 것들이 있었다.
상기 필요성에 따라 개발된 콜크마개발취장치가 미국특허 제 678, 773호, 제664, 088호, 제776, 152호 및 제532, 575호등에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발취장치에서, 콜크스크류는 캐리어(carreir)에 회동가능하게 착설되어 있고, 캐리어는 프레임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왕복가능하게 착설되어 있다. 캐리어와 콜크스크류가 핸들과 같은 적당한 작동기에 의하여 하향될때에 콜크스크류는 조절너트에 형성된 스크류통로를 통하여 삽입회동된다. 이러한 운동중에 조절너트는 프레임에 대하여 종방향 및 회동방향운동에 대하여 억제되므로서 회동운동은 스크류통로를 통하여 하향운동시 콜크스크류에 전달된다.
따라서 콜크스크류는 조절너트하측에 놓이는 병의 콜크마개로 회동삽입하게 되는 것이다. 연속하여 캐리어와 콜크스크류는 작동기의 다음 운동에 따라 상측방향으로 후퇴된다. 이때에 조절너트는 아직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운동이 억제되어 있으나 캐리어와 콜크스크류들 따라 종방향으로의 운동이 허용된다. 따라서 콜크스크류는 병으로부터 결합된 콜크를 발취할때에 회동없이 상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대부분 이러한 장치등에는 스크류로부터 발취된 콜크마개를 벗겨내기 위한 장치가 달려있다. 특히 이작동기는 조절너트가 그 제자리에 도달할때에 다시 캐리어, 콜크스크류 및 조절너트를 하향시키도록 사용되며, 이때 다시 프레임에 대하여 종방향운동이 억제된다. 그리고 캐리어가 다시 상승될때에 이와 함께 상승하는 콜크스크류는 고정된 조절너트의 스크류통로를 통하여 역방향으로 회동하므로서 콜크마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비록 이러한 일반적인 형태의 공지된 장치가 개인적으로 또는 직업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콜크발취장치의 목적이 부분적으로 성취되나 이들의 필요성에 완전히 부합되지 못하며 그 자체에 한번의 완전한 작동을 위하여 캐리어가 동일한 진로를 따라 두번 상하왕복하는 점으로부터 야기된다.
그러나 캐리어의 제1상향운동중에 콜마개가 병으로부터 발취될 수 있도록 자유스럽게 되어야 하는 반면에 캐리어의 제2상향운동중에는 콜크스크류가 콜크마개로부터벗어나도록 프레임에 대하여 조절너트가 종방향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종래기술의 어떤 장치에 있어저는 캐리어의 연속적인 상향운동중에 자동적이고 교호로 조절너트를 고정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캠작동기구가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그 자체에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부피와 무개를 증가시키는 복잡성때문에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더우기 이러한 작동기구와 함께 이 작동장치는 장치가 콜크마개를 분리하는데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도 조절너트를 고정기구상에 고정 또는 해제되게 하므로서 초기사용의 작동 상태에 올바르게 놓이지 않는다.
미국특허 제678, 773호, 제562, 645호 및 제644, 088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른 장치에 있어서는 종방향 운동에 대하여 조절너트를 억제하기 위한 고정구가 병에서 자동적으로 풀릴 수 있도록 결합되는 장치의 일부에 의하여 해제된다. 그러나 이들 각 장치에 있어서 고정구는 추(錐)에 의하여 작동되므로 중력에 따라 좌우된다. 따라서 고정구는 장치의 부정확한 위치선정에 의하여 임으로 결합되거나 풀리게 되어 있다. 또한 이들 장치에 있어서는 비록 병이 사용자의 손 또는 다른 외적인 요인에 의한 추의 접촉등으로 결합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직접 또는 병결합수단을 통하여 고정기구가 용이하게 해정될 수 있다.
미국특허 제620, 949호, 제845, 608호 및 제676, 205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장치에 있어서는, 조절너트는 콜크마개의 발취작동과정의 콜크마개 견인중에 콜크스크류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될뿐만아니라 이러한 연결운동을 위하여 이들과 함께 이동하는 콜크스크류 캐리어 또는 다른 부재에 정상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그 스크류통로에 결합된 콜크스크류와 함게 조절너트가 콜크마개 견인과정중에 캐리어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므로 콜크발취작동과정의 상기 콜크마개견인과정중에 콜크스크류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작용하고 콜크스크류와 역회전에 의한 콜크마개의 파손없이 콜크마개와 결합유지된 상태에서 병으로부터 견인 되도록한다. 그라나 이경우 종래의 많은 장치에 있어서는 프레임에 대한 조절너트의 고정 또는 해제에 관계되므로 캐리어에 대한 조절너트의 고정이나 해제는 병과 콜크마개가 실제로 결합되어 있고 콜크마개가 견인되거나 그렇지 않음에 상관치 않고 완전한 콜크마개발취작동 과정의 적당한 싯점에서 자동적으로 일어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기술의 장치에 있어서 조절너트는 콜크마개가 견인되지 않은 때에 캐리어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고 부품의 일부가 콜크마개의 발취작동과정의 개시를 위한 작동상태가 올바르지 않는 위치에 놓이게 하는 것이다.
상기 서술된 형태의 콜크마개발취장치에 나타난 다른 문제점은 이들의 기계적인 구성이 이들의 부피를 지나치게 크게하거나 이들을 다루기 곤란하게하므로서 간편히 사용할 수 없는 점이다.
반대로 이들은 이들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카운터 또는 테이블등에 고정시켜야 한다. 또 다른 결점은 콜크마개에 콜크스크류를 회동삽입하거나 병으로부터 콜크마개를 뽑아내는데 필요한 힘을 줄일 수 없는데 있다.
본 발명은 조절너트와 프레임사이의 상대적인 종방향운동을 억제하도록 프레임에 너트를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중력에 관계없이 결합된 해제가능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서술된 일반적인 형태의 콜크마개발취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개선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는 병을 프레임에 대하여 조절너트의 스크류통로와 종방향으로 일렬이 되게 놓이도록 프레임에 연결된 병-결합조립체가 결합되며, 병이 이에 결합시 고정수단을 해제토록 결합된 병과 공동으로 작동한다.
본 발명의 구체화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 병-결합 조립체는 병을 파지하고 올바르게 놓일 수 있도록 하는 파지수단을 포함한다.
파지수단은 병을 파지토록 상호상대축을 향하여 이동하고 병을 파지한 상태를 풀도록 상대측으로 부터 멀리 이동할 수 있게된 제1 및 제2파지소자를 포함한다. 병이 이렇게 하여 파지되었을 때에 병-결합조립체와 파지된 병은 고정수단을 해제토록 공동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그리고 고정수단이 중력에 관계없이 작동하므로 고정수단은 우발적으로 해제되거나 조절너트가 이동되지 않는다. 차라리 고정수단의 해제는 사용쪽에서 올바르고 신중한 사용, 즉 파지수단으로 병목등은 파지하는 행동을 요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이 거의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고정구 해제기구는 극히 간단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화된 실시형태에는 콜크마개가 파손됨이 없이 견인될 수 있도록 콜크스크류의 회동을 억제하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콜크스크류의 회동이 상기 언급된 고정수단이 해제되어 콜크스크류 프레임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동시 조절너트와 콜크스크류를 결합하는 수단에 의하여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회동억제수단은 고정수단이 해제될때에만 작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병이 파지수단으로 파지되었을때에만 고정수단이 해제되므로 정상적인 파지작용이 없는한 조절너트는 콜크스크류와 결합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콜크스크류의 회동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은 스크류가 콜크마개와 결합되어 상측방향의 힘이 이에 작용하는 데에 따라 작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화된 어느 실시형태에 있어서나 콜크스크류 회동억제 수단은 우발적으로 작동되거나 콜크마개 발취과정의 불완전한 상태에는 작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치가 이러한 과정의 콜크마개견인 과정에 있을때에 회동억제수단은 자동적으로 작동하게된다. 이러한 특징은 특히 콜크스크류가 금속중심동체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등과 같은 적당한 합성수지의 감마물진 외부층 또는 코팅층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구체화된 실시형태에 상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감마코팅층은 콜크스크류를 콜크마개에 회동삽입시 사용자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힘을 크게 줄어준다. 그러나 콜크마개와 콜크스크류사이의 마찰은 이러한 코팅층에 의하여 줄어드나 더욱 바람직한 것은 상측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질 때에 콜크마개가 간단없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언급된 회동억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편리성을 고조시켜주는 다른 특징은 캐리어를 프레임에 대한 그 종방향진로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수단이 캐리어의 상부에 위치하지 않고 콜크스크류의 일측에 위치하는 점이다. 이는 실제로 본 장치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줄어준다. 더우기 콜크스크류의 일측에 위치하는 안내수단은 조절너트와 프레임의 상태적인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근본 목적은 조절너트를 위한 극히 간단한 고정구해제수단을 가진 개선된 콜크마개발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구를 해제하기 위한 수단이 결함된 병과 공동으로 작용하는 병-결합조립체로 구성되는 이러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중력에 관계없이 고정수단이 고정 및 해제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이 있다면 상측으로 견인시에 콜크스크류가 결합된 콜크마개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서술된 일반적인 형태의 콜크마개 발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당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제15도는 장치의 여러부분을 취부하기 위한 기부(基部)로서 작용하는 프레임(10)으로 구성된 본 발명 콜크마개발취장치의 제1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실제로 장치가 제1도에서 보인 방향으로 향하므로 프레임(10)은 대체로 수직이 되게 연장된다. 본문에 사용된 "수직", "수평", "상향", "하향"등의 용어는 직립된 병에 본 발명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장치에 대한 용어이다. 이러한 용어는 설명을 편리하게 하기위하여 단순히 사용된 것으로 제한적인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장치는 제6도 및 제8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하측콜크마개 결합부(12a)와 상측연결부(12b)를 포함하는 콜크스크류(12)로 구성된다. 콜크마개결합부(12a)는 비교적 나선피치가 크게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상측 연결부(12b)는 콜크스크류가 그 베어링부재(14)에 착설되도록 밀집 또는 작은피치의 나선으로 권취되어 있다. 특히 이러한 베어링부재는 외측나선부를 가진 햐향연장된 지주부(14a)를 포함한다. 지주부(14a)의 나선부는 상기 지주부가 콜크스크류의 밀집권취된 상측연결부(12b)로 나착될 수 있도록한 크기와 구조로 되어있다. 베어링부재에 콜크스크류를 착설하는 이러한 방법은 클러치장치를 구성하는 바, 장치가 이하 기술되는 바와같이 완전히 조립되엇을 때에 베어링부재의 지주부(14a)로부터 상측연결부(12b)가 풀리도록하는 방향으로 시도된 하측콜크마개결합부(12a)의 회동은 콜크스크류의 연결부(12b)가 지주부(14a)에 대하여 탄탄히 조여져 상측연결부(12b)가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두 부재의 우발적인 분리가 배제된다.
또한 콜크스크류(12)를 위한 베어링부재(14)는 지주부(14a)의 상부측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된 환상플랜지(14b)의 상부측 상향으로 연장된 지주핀(14c)으로 구성된다. 콜크스크류(12)는 그베어링부재(14)를 통하여 각각 상하측의 두부분으로 구성된 캐리어(16)(18)에 착설된다. 하측 캐리어(18)는 주동체부(18a)와 이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편(18b)을 포함한다. 본문에 사용된 "측방향""방사상" 및 "종방향"의 용어는 콜크스크류(12)의 축선에 대한 용어이다. 하측 캐리어(18)의 주동체부(18a)는 콜크스크류의 연결부(12b)와 그 베어링부재의 결합된 지주부(14a)가 삽입되기 위한 종방향공(20)을 가진다. 종방향공(20)은 부분적으로 주동체부(18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나선니플(18c)의 내경부로 형성된다.
상측 캐리어(16)는 대체로 컵형태이고 제6도 및 제8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니플(18c)에 나착된다. 이 캐리어(16)는 콜크스크류베어링부재(14)의 지주핀(14c)을 삽입하기 위한 종방향요구(22)를 가진다. 볼베어링(24)이 지주핀과 결합되도록 요구(22)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16)에는 베어링부재의 플랜지(14b)를 삽입하기 위한 확개공(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확개공(26)은 니플(18c)의 상측단부면을 노출되게할 수 있는 크기며, 상기 단부면은 베어링부재의 플랜지(14b) 하측에 놓일 수 잇도록 되어있다. 베어링 와샤(28)가 니플(18c)의 상측단부면과 플랜지(14b)의 하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베어링부재(14)와 콜크스크류(12)는 캐리어(16)(18)에 대하여 회등이 자유롭게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니플(18c)의 상측단부면과, 캐리어(16)의 종방향요구(22) 및 확개공(26) 사이에 형성된 견부(肩部)는 콜크스크류와 그 베어링사이의 상대적인 종방향운동을 제한하도록 플랜지(14b)와 공동작용하는 대향된 종방향 정지면을 형성하는 한편, 다른 한편으로는 일반적으로 캐리어가 이들이 상하측으로 일치되게 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그러나 니플(18c)의 상측단부면과 캐리어(16)의 종방향요구(22) 및 확개공(26)사이에 형성된 견부사이의 거리는 베어링부재(14)의 지주부(14a), 플랜지(14b)와 지주핀(14c), 캐리어(16)(18) 사이의 종방향 유동이 약간은 허용되도록 되어 있다.
캐리어(16)(18)을 프레임(10)에 대한 종방향진로에서 안내할 수 있도록 원주형봉체의 형태로된 안내봉(30)이 제공된다. 안내봉(30)의 상측단부는 고정스크류(34)에 의하여 하측캐리어의 연장핀(18b)에 형성된 통공(32)에 고정되어 있다. 안내봉(30)은 캐리어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고 프레임(10)에 형성된 원통형 안내공(36)에 습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안내봉(30)과 안내공(36)은 모두 캐리어(16)(18)를 위한 안내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제1도, 제3도, 제5도, 제6도 및 제12도에서 볼 수 있듯이 프레임(10)은 원통형안내공(36)이 형성되고 상향접촉견부(10b)에서 끝나는 수직의 체장한 원통형(10a)로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10)은 원통체(10a)의 상측단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고 기부(10c) 및 콜크스크류(12)의 축선을 향하여 기부(10c)이 각 단부로부터 연장된 한쌍의 평행한 각부(脚部)(10b)를 포함하는 "U"자형 립(rim)을 포함한다.
끝으로 프레임(10)은 각 각부(10b)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부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연장핀(10e)를 포함한다.
또한 본 장치는 각각 외측부재로 구성된 조절너트(38)(40)로 구성된다. 외측조절너트(40)는 주동체부(41)와 이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된 취부플랜지(42)리 가진다.플랜지(42)는 프레임(10)의 기부(10c)와 각부(10b)로 형성된 "U"자형림측으로 연장되고 프레임 원통체(10a)의 상측면에 의하여 형성된 견부(10b)상에 안치된다. 플랜지(42)는 안내봉(30)의 습동가능한 삽입을 위하여 프레임원통체(10a)의 안내공(36)과 일렬로 정렬되는 공(44)을 가진다. 이후보다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공(44)는 인접한 안내봉(30)과 각각 해제 또는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한쌍의 환상해제부분(44a)(44b)를 가진다. 해제부분(44a)는 스크류(12)의 축선에 근접된 공(44)의 측부에 공의 최상측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해제부분(44b)는 콜크스크류측의 단부측공의 측부에 공의 최하측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내측 조절너트(38)는 정교한 나선에 의하여 외측조절너트의 주동체(41)내에 착설되어 있다. 또한 내측(38)는 고정스크류(48)로 외측조절너트(40)내에 고정된다. 또한 내측조절너트(38)의 외측면은 콜크스크류(12)의 콜크마개결합부(12a)와 교합되도록 형성된 깊은 나선을 이루는 스크류통로(46)는 조절너트(38)(40)를 통한 나선 스크류통로를 형성하고, 조절너트의 플랜지(42)가 프레임(10)의 "U"자형 림을 구성하는 기부(10c) 및 각부(10d)내에 삽입될 때에 스크류통로(46)은 콜크스크류(12)와 동측상으로 정렬되어 콜크마개결합부(12a)가 나삽된다.
조절너트의 스크류통로(46)내에 콜크스크류(12)가 삽입되므로서 조절너트의 중심선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둔한 점에서 안내봉(30)에 연결된 플랜지(42)는 프레임(1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동이 방지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콜크스크류(12)의 길이기 조절너트의 스크류통로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어 비록 스크류가 제6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그 최상측의 위치에 있다하여도 조절너트의 회동을 공동으로 방지한다. 제6도에서 보인 바와같은 적어도 그 최하측위치에서도 안내봉(30)에 대한 가벼운 회동에 대하여 조절너트(38)(40)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프레임(10)의 "U"자형 림의 각부(10d)는 플랜지(42)의 양측에 아주 근접되게 삽입된다(제13도 참조).
또한 콜크스크류(12)가 항시 적어도 일부분이 스크류통로(46)에 항상 삽입되어 있고 그 캐리어(16)(18)가 안내봉(30)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으므로 안내봉은 콜크스크류의 축선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둔위치에서 프레임(10)에 착설되고 프레임(10)에 대한 캐리어(16)(18)의 회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콜크스크류(12)는 베어링부재(14)를 통하여 캐리어(16)(18)내에 회동가능하게 착설되어 있으므로, 만약 캐리어(16)(18)가 프레임(10)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왕복되는 반면에 너트(38)(40)가 고정위치에 있을때에 회동은 스크류통로(46)내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하여 콜크스크류(12)에 전달될 것이다.
이러한 캐리어의 종방향 왕복운동을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작동핸들(50)이 제공되고 연결장치에 의하여 캐리어(16)(18) 및 프레임(10)에 연결된다. 대체로 핸들(50)은 체장하고 그 일측단에 한쌍의 분기된 분지부(52)를 가진다. 각 분지부(52)에는 연장편(54)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연장편은 제1도, 제2도 제3도 및 제5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상호평행하고 상기 언급된 연결장치의 일부를 구성한다. 프레임(10)의 평행한 연장편(10e)에는 프레임(10)에 연결장치의 연결을 위한 좌부(座部)가 형성되어 있다.
제1도에서 가장 잘 보인 바와같이 연장편(54)는 핸들(50)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이다. 핸들(50)은 분지부(52)의 단부에 형성된 연장편(54)의 단부를 통하여 캐리어(16)(18)에 회동핀(56)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회동핀(56)은 콜크스크류(12)의 축선에 대하여 수직인 하측캐리어(18)을 통하여 연장한 공통측선을 따라 놓여있다. 각 연장편(54)는 각 분지부(52)와 연결되는 연장편의 단부가까이에 위치하여 제2회동핀(58)을 가진다. 회동핀(58)은 핀(56)에 평행한 공통축선을 따라 놓여 있고 각각 두 평행연결구(60)의 일측단에 각 연장편(10e)의 하나에 각 핀(62)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핀(62)는 회동핀(56)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둔 공통축선상에 놓여있다. 3개의 핀(56)(58)(62)의 각 축선은 평행하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핸들(50)이 핀(56)에 대하여 회동될 때에 종방향운동이 연장편(54)와 연결구(60)으로 형성된 연결부를 통하여 캐리어(16)(18)에 전달된다. 캐리어(16)(18)의 햐향운동은 조절너트(38)(40)과 결합하여 제한된다. 캐리어의 상향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한쌍의 정지핀(64)이 회동핀(58)가까이의 연장편(54)의 각 일측에 착설된다. 정지핀(64)는 각 연결구(60)의 변부를 가로질러 상대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연결구(60)는 제1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핸들(50)이 그 최하측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핀(64)이 삽입되기 위하여 그 주연변부에 제1요구(6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연결구(60)는 제2도에서 보인 바요같이 캐리어(16)(18)의 상향운동을 제한하도록 요구(66)의 종방향외측에 배설되고 각 핀(64)과 결합토록 된 그 주연부에제2요구(68)를 가진다. 각 연결구(60)의 요구(66)(68)는 캐리어가 그 최상측위치와 최하측위치사이를 왕복할 때에 각 핀(64)이 습동되는 볼록면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미 연급한 바와같이, 조절너트(38)(40)은 콜크스크류(12)가 종방향으로 왕복운동시에 콜크스크류(12)에 회동운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고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고정수단이 상대적인 종방향운동을 억제하도록 프레임에 조절너트를 해제가능하게 고정토록 제공된다. 제6도, 제12도 및 제13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고정수단은 한쌍의 고정소자(70)로 구성된다. 각 고정소자(70)는 프레임(10)의 각 연장편(10e)과 인접한 림의 각부(10d)에 습동가능하게 착설되는 원주형 동체를 가진다. 각 원주형 동체의 내측단에서 고정소자(70)는 하향접촉견부(70a)와 이 견부(70a)의 자유변부로부터 고정소자(70)의 상향의 측 방향으로 경사진 캠표면(70b)로 형성되는 돌출부로 구성된다.
견부(70a)는 플랜지(42)가 제13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프레임 원통체(10a)의 상향견부(10b)상에 안치될 때에 외측조절너트(40)의 취부플랜지(42)와 중첩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고정소자(70)는 견부(10b)에 대하여 플랜지(42)를 억제하도록 이용하여 프레임(10)에 대한 조절너트(38)(40)의 상대적인 종방향운동을 방지한다.
제6도 및 제13도에서 예시된 상태는 고정소자(70)와 조절너트(38)(40)의 "고정상태"를 보인 것이다.
고정소자(70)는 상대측을 향하여 탄발되어 있으므로 한쌍의 스프링봉(72)에 의하여 취부플랜지(42)를 향하고 이들의 고정위치, 즉 결합위치로 향한다. 프레임 원통체(10a)는 각 스프링봉(72)를 삽입하기 위한 한쌍의 종공(74)을 가진다. 각 종공(74)은 프레임원통부(10a)의 절결부(76)에 의하여 그 연장상태가 단절되어 있다(제1도, 제2도, 제13도 및 제14도 참조). 각 스프링봉(72)는 그 하단에 의하여 견고히 고정되고 스프링봉을 고정하기 위하여 각 종공(74)의 하단에 나착된 나선핀(77)을 가진다. 그러나 스프링봉(72)의 나머지 부분, 즉 실제로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는 부분은 종공(74)내에 느슨히 삽입되어 있으며, 종공(74)은 축방향의 유동이 허용되도록 스프링봉의 스프링부분에 대하여 약간 크게되어 있다. 각 스프링봉(74)의 상측단은 각 고정소자(70)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으며, 스프링봉(72)은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상기 고정소자(70)를 상대측을 향하여 탄발되도록 종공(74) 및 핀(77)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고정소자(70)는 프레임(10)에 대하여 조절너트(38)(40)의 종방향운동을 위하여 조절너트(38)의 플랜지(42)의 플랜지(42)를 해제토록 스프링봉(72)의 탄력에 대하여 상대측으로부터 멀리 탄발된다.
고정소자(70)를 이렇게 해제하기 위한 기구는 대체로 스크류통로(46)에 종방향으로 일렬이 되게 배열되도록 병을 프레임(10)에 대하여 놓이게 작용하는 병-결합조립체와 공동으로 작용한다. 이 병-결합 조립체는 부호(78)로 표시된 한쌍의 파지부재로 구성된다. 각 파지부재(78)는 각각 파지부(78a)를 포함한다. 제14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파지부(78a)는 상대측을 향하여 이동시 병목(80)을 파지하도록 대향되고 횡단면이 호상(弧狀)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파지부재(78)는 각각 파지부(78a)와 일체로 된 취부부(78b)로 구성된다. 각 취부부(78b)는 각 파지부(78a)의 원호의 일측단에 위치한다. 각 취부부(78b)는 프레임원통부(10a)의 한 절결부(76)에 삽입되고 스프링봉(72)에 회동가능하게 착설되어 있다. 따라서 제14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스프링봉(72)은 병목(80)의 외면일측에 위치하는 파지부재(78)를 위한 회동축선을 제공하고, 병목은 파지부(78a)로 파지시 콜크스크류(12)의 축선에 대하여 일렬이 된다.
끝으로 각 파지부재(78)는 각 취부부(78b)로부터 대향축상에서 각 파지부(78a)로 부터 견고히 연장되는 파악부(78c)를 포함한다. 파악부(78c)는 사용자의 손에 쥐어져 파지부재를 이동시키고 스프링봉(72)에 대하여 파지부재를 회동시켜 병을 파지하도록 대향되게 하거나 병을 해제토록 벌어지게 된다.
제6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종방향 단면으로 보인 파지부(78a)는 파지부재(78)에 의하여 파지되었을 때에 병(80)의 환성구부(80a)의 하측에 놓이도록 된 내측 하향경사의 지지부(82)를 포함한다. 이는 병목의 견고한 파지를 이루게 할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 병-결합조립체에 의하여 병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우기 파지부(78a)의 내측 또는 대향면은 병목을 보호할 수 있는 적당한 탄성체의 내장층(84)이 형성되어 있다.
제12도, 제13도 및 제14도에서, 이는 고정소자(70)와 병-결조립체 사이의 연결관계를 보인 것이다. 이미 언급된 바와같이, 나선핀(77)상부의 스프링봉(72)부분, 즉 스프링으로서 실제작용하는 상측부는 축방향 유동을 위하여 프레임원통체(10a)의 종공(74)내에 느슨히 삽입되어 있다. 나선핀(77)이 삽입되는 종공(74)의 나선부는 종공(74)의 상측부로부터 분기된 중심선을 가지므로 나선핀(77)이 종공(74)의 하측부에 나삽시 스프링봉(72)의 스프링작용부분은 제13도에서 보인바와 같이 종공(74)의 측방향 내측단을 향하여 배설된 것이다.
이렇게 하여 스프링봉(72)의 스프링작용 부분은 제13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연결된 고정소자(70)를 상호내측으로 탄발되게한다. 그러나 종공(74)은 스프링봉(72)의 스프링작용부분의 직경보다 그 내경이 큰 반면에 피지부재의 취부부(78b)는 스프링봉(72)에 비교적 근접회동되게 삽입된다.
병이 파지부재(78)의 파지부(78a)사이에 놓여 있을때에 파악부(78c)를 상대방향으로 오무리면 병목(80)은 파지부재(78)가 회동되는 지렛대처럼 작용한다. 이러한 회동은 제14도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같이 취부부(78b)를 병의 접선방향 또는 주면방향으로 서로 멀리 벌어지는 스프링봉(72)과 함께 이동한다. 이러한 운동은 다시 고정소자(70)를 제12도에서 보인 해정위치로 이동되게 함으로서 견부(78a)는 더 이상 조절너트의 플랜지(42)상에 중첩되지 않 으며, 조절너트는 프레임(12)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콜크마개발취장치의 작용은 제6도-제11도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특히 병으로부터 콜크마개(86)를 제거하기 위하여 핸들(50)이 캐리어(16)(18)를 제6도에서 보인 바와같은 그 최상측위치에 올 수 있도록 파지부재의 파악부(78c)로부터 멀리 회동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콜크스크류(12)의 하측단이 스크류통로(46)내에 결합되나 이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점이 중요하다. 그리고 병목(80)의 상측단은 조절너트(38)(40)의 하측에 놓이고 파악부(78c)를 오무리므로서 파지부재(78)로 파지된다. 이는 장치에 대하여 병독을 정확한 위치로 지지할뿐만 아니라 이미 언급된 바와같이 그들의 해정위치로 고정소자(70)를 이동시켜 이를 해제토록 작용한다.
작동핸들(50)은 제7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캐리어(16)(18)를 그 최상측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동삽입과정"의 연속과정으로 파악부(78)를 향하여 반대측으로 회동된다. 회동삽입과정중에 비록 고정소자(70)가 파지부재(78)에 의한 병목(80)의 파지로서 그들의 해정위치에 있다하더라도 회동삽입과정중에 조절너트(38)(40)에 가하여지는 종방향의 힘은 하측방향으로의 힘이며 조절너트(38)(40)는 프레임(10)의 견부(10b)에 그 플랜지(42)가 접하므로 제6도의 위치로부터 프레임(10)에 대하여 하측으로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회동삽입과정시에 콜크스크류(12)의 콜크마개결합부(12a)는 스크류통로(46)을 통하여 종방향으로 압압되어 콜크마개(86)에 회동삽입되는 것이다.
제7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핸들(50)이 콜크마개발취 연속과정중의 "견인과정"에서 파악부(78c)의 뒷쪽으로 회동되는 반면에 병목(80)은 파지부재(78)로 그대로 파지되어 있다.
제8도는 견인과정중의 장치를 보인 것이다. 파지부재(78)로 파지된 병목(80)의 파지상태를 고정소자(70)를 그들의 견인과정 위치에 있도록 하므로서 견인과정중에 조절너트(38)(40)가 결합된 콜크스크류와 그 캐리어(16)(18)를 따라 상측으로 자유롭게 이동토록하므로서 콜크마개(86)와 스크류통로(46)의 회동을 억제하여 콜크스크류의 콜크마개결합부(12a)는 콜크마개(86)에 결합되어 이를 병목(80)으로부터 견인한다.
제9도는 명목(80)으로 부터 콜크마개(86)를 완전히 제거한 견인과정의 완료단계를 보인 것이다. 비록 발취된 콜크마개(86)에 는 콜크스크류(12)로부터 수동으로 제거될 수 있으나, 장치 그 자체는 콜크스크류부터 콜크마개를 벗겨낼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병목(80)이 파지부재(78)로 해제된다. 비록 파악부(78c)는 아직 사용자의 손에 쥐어져 있으나 병목(80)이 파지되어 있지 않으며, 이러한 파지상태를 스프링봉의 탄발상태를 풀어 스프링봉(72)에 대하여 파지부재(78)를 자유롭게 회동되게 한다. 따라서 병목(80)이 해제되었을때에 고정소자(70)는 자동적으로 그들의 내측 고정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핸들(50)이 콜크마개발취연속과정의 "해정과정"에서 파지부의 파악부(78c)를 향하여 다시 회동시킨다. 이 행정중에, 캐리어(16)(18), 콜크스크류(12), 콜크마개(86) 및 조절너트(38)(40)는 모두 햐향된다. 조절너트의 플랜지(42)가 프레임(10)의 "U"자형의 기부(10c) 및 각부(10d)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를 진입되므로 그 하축변부는 고정소자(70)의 캠표면(70b)에 결합함으로서 플랜지(42)가 고정소자의 하측을 통과할 수 있도록 스프링봉(72)의 탄발에 대하여 상호 멀리 떨어지게 고정소자를 이동되게 한다. 이때에 스프링봉(72)은 그 견부(70a)가 플랜지(42)에 중첩되는 그 고정위치로 고정소자(70)을 내측방향으로 이동되며 조절너트(38)(40)는 다시 프레임(10)에 대한 종방향운동이 억제된다. 제10도는 재고정 과정의 완료단계를 보인 것이다.
끝으로 핸들(50)은 "분리과정"에서 캐리어(16)(18)와 콜크스크류(12)를 상승시키도록 파악부(78c)로 부터 뒤쪽으로 다시 회동된다. 조절너트(38)(40)는 다시 상향운동이 억제되므로 캐리어(16)(18)의 상승은 콜크스크류(12)의 콜크마개결합부(12a)를 스크류통로(46)를 통하여 당기므로 콜크스크류(12)는 콜크마개(86)와 조절너트(38)(40)로부터 회동되어 나간다. 따라서 콜크마개(86)가 콜크스크류(12)로부터 벗겨지므로 다시 장치의 모든 부분은 제6도에서 보인 위치, 즉 다음 콜크마개발취연속과정의 시작위치로 준비된다.
상기 언급된 장치의 주요특징은 고정소자(70)가 종래 고정수단과는 달리 중력에 관계없이 작동할 뿐만아니라 고정소자(70)가 해제되지 않은, 즉 파지부재(78)가 병목을 파지토록 사용되는 한 해제위치로 이동하는 파지부재(78)와 공동으로 작용한다. 파지부(78a)사이에 개재된 대상물없이 파악부(78c)의 단순한 파악은 고정소자(70)를 해제할 것이다. 더우기 병목이 고정소자(70)를 해제토록 파지되고 조절너트(38)(40)가 고정소자의 원호부상측으로 상승할 때에 병목해제후 제1하향과정은 조절너트를 그 최하측 위치로 자동복귀되게하며 고정소자(70)는 플랜지(42)에 중첩되는 이들 부분이 발취연속과정의 시작을 위한 위치로 정확히 복귀되는 것이다. 환언하자면, 조절너트가 고정소자(70)에 의하여 프레임상에 고정되면 실제로 이는 사용치 않는 경우 장치의 우발적인 오조작이 일어나지않고 항상 발취연속과정의 시작을 위한 적합한 위치에 남아있게되고 이는 견인과정의 시작을 위한 정확한 위치에서 핸들(50)이 전 장치를 옮겨놓기만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병목파지에 의한 고정소자(70)의 해제는 조절너트를 프레임(10)에 대하여 종방향운동, 특히 상방향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어떤 경우 장치, 병 및 콜크마개의 여러부분 사이의 상대적인 마찰력과 같은 요인에 따라 비록 조절너트가 캐리어와 콜크스크류와 함께 자유롭게 샹향한다하더라도 그렇게 이동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콜크마개발취작동 과정의 견인과정에서 일어난다면 콜크마개는 사실상 병목으로부터 빠지지 않는 반면에 콜크스크류는 조절너트의 스크류통로(46)를 통하여 움직여 역방향으로 일어날 수 있는 콜크마개를 간단히 파손시킬 것이다.
이하 설명되는 바와같은 보호장치없이 일어날 수 있는 이러한 현상의 가능성은 콜크스크류의 콜크마개결합부(12a)의 외측면의 마찰계수가 특히 낮은 것으로 처리된 본 발명의 구체화된 실시형태에서 증가된다. 이는 콜크마개내로 콜크스크류의 콜크마개결합부를 회동삽입시작용되는 힘을 줄어준다. 콜크스크류의 콜크마개결합부를 처리한 것이 제15도에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콜크마개결합부(12a)가 중심동체(90)은 적당한 금속으로 되어 있고 외부층(92)이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이나 다른 적당한 합성수지의 감마물질로 되어있다.
이러한 합성수지코팅을 콜크마개로 콜크스크류가 회동삽입시 작용되는 힘을 줄어준다. 그러나 동시에 이러한 코팅은 상기 언급된 "파손"현상의 가능성을 증가시키게 하는 견인과정중에 콜크스크류와 콜크마개사이의 마찰력을 줄어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언급된 연속과정중의 견인과정중에 콜크스크류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서술된 바와같이, 만약 콜크스크류가 스크류통로(46)을 통하여 종방향으로 이동하고 조절너트(38)(40)이 고정되어 있으면 회동은 콜크스크류에 전달될 것이다. 반대로 만약 조절너트(38)(40)가 캐리어(16)(18) 또는 다른 연결부분과 함께 움직이게되는 경우 결합된 콜크스크류 부분(12a)의 회동은 방지될 것이다. 따라서 콜크스크류의 회동의 억제하기 위한 한 수단은 고정수단이 해제되고 프레임에 대하여 콜크스크류가 상향될 때에 조절너트와 콜크스크류의 결연결을 위하여 제공한다. 이는 고정수단이 해제되고 상향력이 콜크스크류에 전달될 때에 조절너트의 플랜지(42)와 안내봉(30)의 마찰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미 언급한 바와같이 안내봉(30)이 삽입되는 플랜지(42)를 통하여 천설된 공(44)은 한쌍의 환상해제부분(44a)(44b)를 가진다. 공(44)의 나머지 부분은 안내봉(30)에 매우 근접되게 활삽되어 있다. 만약 외측조절너트(40)의 주동체(40)가 안내봉(30)에 대하여 치켜올려져 있거나 하측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면 공(44)의 근접삽입부(즉, 제6도-제8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공의 좌상측 및 우하측에 보인 부분)는 안내봉(30)에 결합하여 종공(44)을 통하여 안내봉(30)의 상향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절너트의 하향운동이 방지된다. 어떤 운동, 즉 안내봉에 대한 너트의 하향운동 또는 너트에 대한 안내봉의 상향운동은 본문에는 이들 두부재의 상대적인 운동으로서 "제1방향형태"로서 일컬어질 것이다. 이미 언급한 바와같이 제1방향형태에서 운동은 만약 조절너트(40)의 주동체(41)가 약간이나마 치켜올려져 있거나 하측으로 경사져 있으면 공(44)의 근접삽입부분에서 안내봉(30)이 마찰결합하여 불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해제부분(44a)(44b)에 위하여 제1형태에 반대인 제2방향형태, 즉 조절너트(38)(30)의 상향운동 또는 안내봉(30)의 하향운동은 허용되며 공(44)내에서 안내봉(30)의 마찰결합은 조절너트(38)(40)의 주요부분이 안내봉(30)에 대하여 약간이나마 치켜올려져있거나 경사져 있다하더라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제6도에서는 연속되는 콜크마개발취과정의 회동삽입과정중에 하향력, 즉 제1방향형태에서 안내봉(30)과 조절너트(38)(40)의 상대적인 운동을 이르키는 힘이 안내봉(30)에 작용할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콜크스크류(12)의 콜크결합부(12a)와의 조절너트(38)(40)의 결합에 의하여, 그리고 캐리어(16)(18)에 대한 콜크스크류와 그 베어링(14)의 허용된 종방향운동이 억제되므로 이러한 운동중에 안내봉(30)에 대하여 상측으로 약간 경사지게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바와같이 안내봉(30)은 해제부분(44a)(44b)에 의하여 공 (44)을 통하여 하측으로 이동될 것이다. 그러나 제8도에서 보인 바와같은 견인과정중에는 안내봉(30)의 시도된 운동이 제1방향형태, 즉 조절너트(38)(40)에 대하여 상측으로 허용될 것이다. 다시 조절너트와 콜크스크류의 콜크마개 결합부(12a)의 결합과 캐리어(16)(18)내에서 콜크스크류 및 그 베어링부재(14)의 종방향운동이 억제되며, 고정소자(70)이 병목(80)의 파지에 의해 해제되므로 안내봉(30)에 대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될 것이다. 차례로 이는 안내봉(30)과 연결된 캐리어 및 콜크스크류와 함께 상향운동케한다. 따라서 견인과정중에 조절너트는 콜크스크류(12)의 회동이 방지되고 콜크마개(86)의 발취가 확실시된다.
제9도에서 보인 위치로부터 시작되는 재고정과정중에 안내봉(30)은 다시 제2방향형태로 운동한다. 따라서 조절너트(38)(40)는 하측 캐리어(18)과 접히는 상측위치에 놓이게 되며 비록 공(44)의 해제부분(44a)(44b)이 안내봉 및 조절너트가 상기 형태로 상대적인 운동이 허용된다하더라도 안내봉(30)과 캐리어(16)(18)를 하향이동하게 할 것이다. 끝으로 안내봉(30)과 취부된 캐리어 및 콜크스크류는 다시 이미 언급된 바와같이 콜크스크류로부터 콜크마개(86)를 벗기도록 상승된다. 그러나 이 과정중에 제1방향형태의 안내봉과 조절너트의 상대적인 운동은 플랜지(42)가 프레임(10)의 견부(10b)와 고정소자(70)의 견부(76a)사이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으므로 허용되어 안내봉(30)에 대하여 조절너트의 경사를 방지하여 공(44)의 근접삽입부분에서 안내봉의 마찰결합을 방지한다.
공(44)의 형태는 안내봉(30)의 상향시 조절너트(38)(40)가 역시 상향이동하여 고정소자(70)가 해제되거나 또는 그 해제위치에 있거나 간에 콜크스크류(12)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고정소자(70)가 상승되었을 때에 조절너트(30)(40)가 안내봉(30)과 캐리어(16)(18)를 상향하도록 하는 구조를 콜크스크류(12)단부에서 하측 캐리어(18)의 연장편(18d)에 고정된 판스프링(35)이다. 이 스프링(35)은 연장편(18d)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안내봉(30)을 향해 내측으로 탄발되어 있다. 캐리어(16)(18)가 제7도에서 보인바와 같이 하측으로 이동시 스프링(35)이 결합되고 조절너트(38)(40)의 플랜지(42)에 의하여 외측으로 탄발된다.
따라서 상향중에 스프링은 공과 안내봉(30)의 견부사이에 견고한 마찰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공(44)의 상기 언급된 경향을 고조시킨다.
결합된 콜크마개부터 콜크스크류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상기 언급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징과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 함께 사용된다. 예를들어 조절너트의 취부플랜지의 공(44)과 안내봉(30)사이의 요구된 마찰결합이 파지부재의 호상 파지부분(78a)의 중심선으로부터 콜크스크류(12)의 축선을 가볍게 벗겨나가게 함으로서 해제부분(44a)(44b)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파지부의 중심선은 장치에 대하여 병목(80)과 콜크마개(86)의 중심선에 위치한다.
장치의 견인과정중에 콜크스크류(12)의 회종을 직접 억제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콜크마개결합부(12a)의 상측 접촉면을 따라 노출된 콜크스크류의 중심동체(90)을 벗어난 콜크스크류의 콜크마개결합부(12a)의한 향접촉면에만 상기 언급된 마찰감소코팅층을 제공함으로서 성취된다. 콜크마개결합부(12a)의 하측접촉면이 회동삽입행정중에 콜크마개와 결합되므로, 견인과정중 콜크마개에 상측면이 접촉하는 반면에 콜크마개와 콜크스크류의 실제결합면사이의 마찰계수는 견인 과정중의 마찰계수보다 크게된다. 이는 감마물질을 콜크스크류의 콜크마개결합부의 하향접촉면에 주로 코팅하거나 콜크스크류의 콜크마개결합부에 먼저 감마물질을 코팅한 다음 상측접촉면의 코팅된 감마물질을 갈아내는 방법이 있다.
견인과정중에 콜크스크류가 콜크마개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은 콜크스크류의 콜크마개결합부의 하단에만 상기 감마물질을 도포하는 방법이 있다. 콜크마개를 통한 콜크스크류의 삽입회동저항은 회동삽입과정의 초기에 가장 크므로, 콜크스크류의 콜크마개결합부의 최하측단의 이러한 코팅은 삽입회동과정을 시작하는데 필요한 힘을 충분히 줄어준다. 삽입회동과정의 완료시에 콜크스크류의 콜크마개결합부의 코팅된 단부는 완전히 콜크마개를 통하여 회동삽입된다. 그리고 견인과정중에는 단지 콜크스크류의 코팅되지 않은 면이 콜크마개 결합되어 이들 사이의 마찰은 콜크스크류 빠져나오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기술된 장치는 여러가지 다른 이점을 가진다. 특히 안내수단인 안내봉(30)과 안내공(36)을 콜크스크류(12)의 측부에 설치함으로서 종래 기술의 장치와 같이 캐리어의 최하측위치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프레임상의 안내로의 필요성이 배제된다. 따라서 장치의 수직크기가 현저히 줄어든다. 더우기 안내수단의 이러한 위치는 조절너트와 캐리어를 회동하지 않기 위한 구조의 일부분으로서 이러한 안내수단의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위치선정에 의하여 안내수단은 파지수단의 파지부재(78c)와 함께 콜크스크류(12)의 에리한 단부가 테이블등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제2도에서, 콜크스크류(12)가 그 최상측의 위치에 있을 때에 그 하단부는 파지부재(78)의 아래로 돌출되지 아니하고 조절너트내에 위치하게 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콜크스크류가 하향되므로 안내봉(30)이 이와함께 이동한다. 항상 안내봉(30)의 하단부는 콜크스크류(12)의 하단부보다 하측에 배설되어 있다. 또한 제14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파지부재의 취부부(78b)의 단부는 데체로 둥글게 되어 있다. 취부부(78b)가 삽입되는 프레임(10)의 요구는 대체로 사각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취부부(78b)의 표면(78d)과 점결부(76)의 평단부면(76a)의 접촉은 가상선(78c)으로 보인 바와같은 위치를 넘어서 파악부(78c)가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파악부(78c)는 항상 안내수단인 안내봉(30)과 안내공(36)으로부터 그 대향측부에 콜크스크류의 진도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봉(30)의 길이를 정확히 선택함으로서, 장치는 콜크스크류(12)의 하단이 항시 파지부재의 파악부(78c)의 단부와 안내수단인 안내봉(30)과 안내공(36)의 하측단을 지나는 횡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도에서 그 최하측 위치만 보였으나 콜크스크류(12)는 상기 횡편면상에 부호(A)로 표시한 평면상에 위치한다.
제17도-제26도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 제2실시형태의 콜크마개발취장치는 수직부분(110a)과 이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10b)를 포함하는 프레임(10)을 포함한다. 또한 이 장치는 제1실시형태의 콜크스크류(12)와 같이 비교적 나선피치가 큰 하측 콜크결합부(116a)와 콜크스크류의 베어링부재(118)의 지주부(118a)상에 나착된 나선피치가 밀집한 상측연결부(116b)를 포함하는 콜크스크류(116)로 구성된다. 또한 베어링부재(118)는 방사성연장플랜지(118b)와 상측연장지주핀(118c)을 포함한다.
콜크스크류(116)은 베어링부재(118)를 통하여 각 상하측부재로 각각 구성된 캐리어(120)(122)에 착설되어 있다. 하측캐리어(122)는 베어링부재(118)의 지주부(118a)와 콜크스크류(116)의 위요연장부(116b)가 느슨히 삽입되는 삽입공(124)을 가진다. 베어링부재(118)의 플랜지부분(118b)은 삽이공(124)에서 하측 캐리어(122)의 상측면에 중첩된다. 상측 캐리어(120)에는 플랜지부분(118b)이 수용되는 절결부(126)가 형성되어 있고 지주핀(118c)을 삽입하기 위한 요구(128)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봉(130)은 비교적 큰 직경의 하측부와 큰 직경의 부분과의 사이에 상향접촉견부(130a)를 형성하는 비교적 작은 직경의 상측단부를 가진다. 안내봉(130)의 소경상단부는 하측캐리어(122)의 수직공(132)을 통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측 캐리어(120)의 정렬된 소켓트(134)에 나착된다. 따라서 안내봉(130)은 상하측 캐리어(120)(122)를 연결토록 작용한다. 안내봉(130)은 콜크스크류(116)의 축선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측방향으로 배설되어 있다.
베어링부재(118)와 콜크스크류(116)는 캐리어(120)(122)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하고 절결부(126)와 요구(128)는 베어링부재(118)와 캐리어(120)(122) 사이의 어느정도 제한된 종방향 유동을 허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캐리어(120)(122)를 프레임(110)에 대한 종방향진로를 안내하기 위하여 안내봉(130)은 프레임(110)의 수직부분(110a)을 통한 원통형 공(136)에 신축자재하게 착설되어 안내봉(130)과 원통형 안내봉(136) 모두가 캐리어(120)(122)를 위한 안내수단으로 작용한다. 프레임(112)의 측방향 돌출부(110b)에는 내외측부재로 구성된 조절너트(140)(142)의 동체를 삽입하기 위한 개방부(138)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조절너트(142)는 주동체(143)와 이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프레임(110)의 수직부분(110a)에 형성된 요입부(146)측으로 연장된 플랜지(144)를 가진다. 플랜지(144)는 안내봉(130)을 습동자재하게 삽입하기 위한 통공(148)을 가진다. 제1실시형태의 조절너트와 같이, 조절너트(140)(142)에는 콜크스크류(116)의 콜크마개결합부(116a)를 삽입하기 위한 나선형 스크류통로를 가진다.
조절너트(140)(142)가 개방부(138)에 착설되고 콜크스크류(116)의 콜크마개결합부(116a)와 결합되므로서 콜크스크류(116)의 축선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둔 점에서 안내봉(130)에 대한 그 플랜지(114)의 연결을 프레임(110)에 대한 조절너트의 회동을 방지한다. 또한 콜크스크류(116)의 콜크마개결합부(116a)가 조절너트(140)(142)에 결합되어 있어, 안내봉(130)과 원통형 안내공(136)은 프레임(110)에 대한 캐리어(120)(122)의 회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만약 캐리어(120)(122)가 프레임(110)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경우 회동은 조절너트의 스크류동로내에서 그 종방향운동에 의하여 콜크스크류(116)에 전달된다.
이러한 종방향운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작동핸들(152)이 제공되고 연결장치에 의하여 캐리어(120)(122)와 프레임(110)에 연결된다. 이 연결장치는 제1실시형태의 장치와 동일하므로 그 구조와 작용은 상세히 기술치 않는다. 간단히 설명하면, 핸들(152)은 그 일측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평행연장편(156)을 가진 한쌍의 분지부(154)를 가진다. 그 하나를 부호(158)로 도시한 프레임(110)과 일체로 된 한쌍의 평행연장편은 프레임에 연결장치의 연결을 위한 좌부를 제공토록 그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있다.
연장편(156)은 콜크스크류(116) 축선에 대하여 수직인 축선상의 부호(160)에서 하측캐리어(122)에 축설된다. 또한 부호(164)로 그 하나를 보인 한쌍의 평행연결구는 프레임연장편(158)에 부호(160)에서 축설되어 있다. 핸들(152)이 연결장치를 통하여 제17도에서 보인 위치에 캐리어(120)(122)를 상성시키도록 작용시 분지부(154)는 평행연결구(164)에 접하여 더이상의 상향운동이 방지된다. 물론 캐리어의 하향운동은 프레임(110b)과 조절너트(140)(142)와 함께 접촉함을서 제한된다.
프레임(110)은 수직부(110a)를 통하여 그 너트삽입을 위한 개방부(138)로 연통된 돌출부(110b) 축으로 연장된 슬로트(168)를 가진다. 고정구(170)는 슬로트(168)에 삽입된다. 제24도-제2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170)는 스프링금속으로 형성된 "U"자형 부재로 되어있고, 특히 고정구(170)는 "U"자형 기부와 상대측을 향한 단발각부(170a)와 (170b)를 형성하는 얇은 스프링부분(170c)으로 연결된 인접단부를 가진 한쌍의 평행각부(170a)(170b)를 포함한다. 고정구(170)는 프레임(110)의 수직부분(110a)에서 스프링부분(170c)이 슬로트(168)내에 위치하고 각부(170)(170b)는 너트(140)(142)에 접선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 부분(110b)축으로 연장되어 있다. 조절너트의 외측부재(142)의 주동체(143)는 방사상방향으로 연장된 화상의 요구(172)를 가진다. 조절너트(140)(142)가 제18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그 최하측 위치에 있을때에 요구(172)는 일렬로 정렬되고 고정구의 각부(170a)(170b)의 최내측부가 삽입된다(제26도 참조).
따라서 고정구(170)는 조절너트(140)(142)를 프레임(110)에 이들사이의 상대적인 종방향 운동을 억제하도록 고정한다. 그러나 제25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각부(170a)(170b)는 고정구를 해제토록 반대측으로 압압되어 너트(140)(142)와 프레임(110)사이의 상대적인 종방향운동을 허용케한다.
콜크마개발취장치의 제1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고정구(170)을 해제하기 위한 장치는 제1실시형태의 파지부재(78)와 동일한 파지부재(174)를 포함하는 병-결합조립체와 공동으로 작용한다. 특히 파지부재(174)는 일측단에 일체로 취부부분(174b)과 타측단에 일체로 파악부(174c)를 가진 각 호상의 파지부(174a)를 포함한다.
파지부재(174)는 회동핀(176)상에 착설되고 회동핀은 파지부재의 취부부가 삽입되는 프레임의 각 절결부(110c)를 통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프레임(110)의 부분(110a)에 착설된다.
제17도, 제24도-제26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후보다 설명될 오우버라이드 스프링(178)이 고정구(170)직하의 프레임(112)에 형성된 요구에 착설되어 있다. 간단히 설명하면 오우버라이드스프링(178)은 하측으로 평행각부(179a)(178b)를 가졌으나 고정구(170)의 각부(170a)(180b)보다 짧은 "U"자 형태이다. 프레임의 수직부분(110a)내에 위치하는 각부(178a)(178b)의 단부는 고정구(170)의 기부(170c)의 하측에 이돠 동일하고 상대측을 향하여 각부(170a)(170b)를 탄발토록하는 스프링금속기부(178c)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각 회동핀(176)은 프레임부분(110a), 고정구(170)와 오우버라이드 스프링(178)에 형성된 일련의 통공을 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특히 각 핀(176)은 각 절결부(110a)의 상하측에 위치하는 프레임부분(110a)에 형성된 한쌍의 확장공(180)(182)내로 연장되어 있다. 고정각부(170a)(170b)는 상대측을 향해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각 쌍의 공(180)(182)과 일렬이 되는 각공(184)을 형성하여 각 회동핀(176)이 삽입되는 원형부(170d)(170e)를 가진다. 제23도 및 제2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공(184)은 핀(176)의 직경보다 크나 프레임(110a)의 공(180)(182)보다는 크지 않다.
또한 오우버라이드 스프링(178)의 각부(178a)(178b)는 각 원형부(170d)(170e)의 하측에 위치하고 통공(184)와 일렬이 되어 각 회동핀(176)이 삽입되는 공(186)을 형성하는 각 원형부(178d)(178e)를 포함한다.
파지부재(174)의 취부부(174b)는 역시 각 회동핀(176)이 삽입되는 수직공(188)(제17도 참조)를 가진다.
병이 파지부재(174)의 파지부(174a)의 사이에 놓이고 파악부(174c)가 오무러들때에 병목(190)은 파지부재(174)가 회동하는 지점으로서 작용한다.
이 회동은 취부부(174b)가 그들의 회동핀(176)을 따라 병의 접선 또는 주연방향으로 상호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핀(176)의 이러한 운동은 프레임부분(112)의 확개된 공(180)(182)에 의하여 허용된다.
이러한 운동이 시작되면 삽입공(186)에 의하여 핀(176)에 취부된 오우버라이드 스프링(178)의 각부(178a)(178b)는 기부(178c)의 탄력에 대하여 상호 측방향으로 멀리 이동할 것이다. 핀(176)은 실제로 공(184)의 측방향 최외측부와 접하게되고 핀(176)의 병주연에 대한 운동은 고정각부(170a)(170b)가 상대방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제26도는 그들의 각 각부(170a)(170b)(178a)(178b)가 축방향 최내측위치에 있을때에 그들의 정상위치에 있는 고정구(170)와 오우버라이드(178)를 보인 것으로 고정구(170)의 각부(170a)(170b)는 조절너트(140)(142)의 요구에 결합된다. 제24도는 파악부(174c)가 1차로 오무러들므로서 회동핀(176)이 오우버라이드 스프링(178)의 각부(178a)(178b)가 상호 충분히 벌어지도록 멀어지게 되는 장치를 보인 것으로, 핀은 공(184)의 축방향 최외측단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들이 고정각부(170a)(170b)가 상호 측방향으로 멀어져 너트(140)(140)가 프레임에 대하여 상측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장치를 보인 것이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연결수단은 고정각부(170a)(170b)가 제25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요구(172)로부터 풀러나고 캐리어(120)(122)가 핸들을 통하여 그 최하측위치로 이동되었을때에 조절너트(140)(142)가 실제로 캐리어의 상측운동시 상향되도록 함으로서 콜크스크류가 콜크마개로부터 회동하여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공된다. 이 연결수단은 적당한 방법으로 하측캐리어(122)에 착설되고 제17도, 제18도, 제19도, 제20도, 제21도 및 제22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부재(122)를 통하여 하향연장된 파지소자(192)를 포함한다.
파지소자(192)는 공(124)(132) 사이의 캐리어(122)상에 위치함으로서 캐리어(122)가 하강시 파지부재(192)가 플랜지와 외측조절너트(142)의 주동체의 교자부분에 인접한 조절너트의 플랜지부분(144)를 통한 개방부(194)를 통하여 관통한다. 파지소자(192)는 스프링금속으로 되어 있으며 외측조절너트(142)의 주동체를 향하여 탄발되어 있다. 그러나 캐리어(122)는 파지소자(192)가 조절너트(142)의 주동체로부터 멀어지고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 플랜지(144)를 따라 외측으로 압압되게 하는 절결부(196)를 가진다.
파지소자(192)는 조절너트(142)의 주동체에 인접한 측부상에서 그 하측단에 일체로 형성된 톱니(198)를 가진다. 제19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톱니(198)는 그 하측부(198a)가 비교적 넓고 그 상측부(198b)가 좁게 되어 있다. 또한 조절너트(142)의 주동체를 향하여 접하고 있는 톱니(198)의 외측면(198c)은 그 최하측단으로부터 상향내측으로 경사져 있고 상측접촉견부(198d)로 끝나 있다.
파지소자(192)의 길이는 캐리어(122)가 그 최하측위치로 하강되었을때에 견부(198d)가 조절너트(142)의 주동체(143)에 형성된 요구(172)의 상측면 하측에 놓이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파지부재(174)는 병목을 파지하는데 사용되며 오우버라이드 스프링(178)은 주요동체(143)로부터 파지소자(192)를 외측방향으로 압압되게 하므로서 견부(198d)가 요구 (172)로부터 외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특히 기부(178c) 단부측 오우버라이드 스프링(178)의 각부(178a)(178b)는 각각 상대측을 향하여 측방향으로 연장된 탭(178f)(178g)을 가진다. 따라서 각부(178a)(178b)가 그들의 최내측위치에 있을 때에 탭(178f)(178g)은 파지소자(192)가 제21도 및 제26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요구(172)로부터 벌어지도록 파지소자(192)와 톱니(198)의 넓은 부분과 결합한다. 그러나 병이 파지부재(174)로 파지되고, 제25도에 보인 바와같이 각부(178a)(178b)가 벌어지면 파지소자(192)와 이에 일체로 된 톱니(198)의 가장 넓은 부분은 탭(178f)(178g) 사이를 지나 톱니(198)와 요구(172)의 결합은 조절너트(140)(142)를 캐리어와 함께 상향토록 할 것이다.
본 장치의 전형적인 연속된 콜크마개발취장치작동은 다음과 같다. 제17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핸들(152)은 콜크스크류와 그 베어링부재(118)이 그들의 최상측 위치로 상승토록 캐리어(120)(122)를 상승시킬 수 있게 작동한다. 본 장치는 병의 병목(190)상에 놓이며 파악부(174c)를 오무리므로서 파지부재(174)의 파지부분으로 파지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이는 먼저 제2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오우버라이드 스프링(178)의 각부(178a)(178b)가 벌어지도록 작용하고 제25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고정각부(170a)(170b)가 요구(172)로부터 벌어지도록 작용한다. 그리고 캐리어(120)(122)는 제18도에서 보인 위치도 회동삽입행정에서 핸들(152)을 통하여 하강된다. 이러한 행정중에 조절너트(140)(142)는 콜크스크류(116)에 회동을 전달하고 이 콜크스크류가 병목(190)의 콜크마개(200)로 회동삽입되게 한다. 또한 탭(178f)(178g)은 파지부재(174)에 의하여 병목(190)의 상기 언급된 파지로서 상호 벌어지므로 고정부재(192)의 톱니(198)의 상측변부는 회동삽입행정중에 요구(172)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특히 파지소자(192)가 하향함으로서 조절너트(142)의 주동체부의 상측변부의 개방부(194)는 톱니(198)에 의하여 형성된 경사표면(198c)과 결합시켜 일시적으로 파지소자(192)가 조절너트를 톱니의 상측변부가 요구(172)와 정립되도록 외측으로 떨어지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톱니(198)의 상측변부는 제18도 및 제25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요구의 상측면에 놓인 견부(198)와 스냅식으로 삽입된다.
다음으로, 제26도에서 보인 해제위치로 고정구(170)가 이동되도록 파지부재(174)의 파악부(174c)를 계속 오무리면, 캐리어(120)(122)는 견인과정에서 핸들(152)의 작동에 의한 그 상측위치로 복귀된다.
고정각부(170a)(170b)가 요구(172)로부터 해제되므로 너트(140)(142)는 캐리어(120)(122)와 함께 상측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며, 고정소자(192)의 톱니(198)의 견부(198d)와 결합된 요구(172)의 상측면도 상측으로 이동이 확실시된다. 그리고 콜크스크류(116)의 회동은 방지되고 콜크마개(200)가 제20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병목으로부터 견인된다. 다음, 병목(190)이 파지부재(174)로부터 풀려난다. 이는 오우버라이드 스프링(178)의 탭(178f)(178g)과 고정구(170)의 고정각부(170a)(170b)가 제23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그들의 최내측 위치로 보귀토록 허용한다. 그리고 재고정과정에서 캐리어(120)(122)는 다시 너트(140)(142)를 하향토록 이와 함께 하향된다. 주동체(143)는 고정구(170)와 일렬로 이동이 시작되므로 제20도 및 제21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하향내측으로 경사진 그 측부면의 최하측부(143a)는 일시적으로 고정각부(170a)(170b)를 외향시켜 조절너트의 하향운동이 허용되도록 고정각부의 측방향내측부와 결합한다. 조절너트가 그 최하측위치에 이르렀을때에 고정각부(170a)(170b)는 일렬로 정렬되고 조절너트를 다시 병목을 파지함으로서 해제될 때까지 그 최하측위치에 남아있도록 요구(172)에 스냅식으로 삽입된다.
동시에 파지소자(192)는 조절너트내의 개방부(194)를 통하여 이동한다. 그러나 오우버라이드 수단의 탭(178f)(178g)이 그들의 최내측위치에 복귀하면 이들은 파지소자(192)의 넓은 부분에 결합하여 그 톱니(198)이 이들은 제21도 및 제26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요구(172)로부터 벌어지게 할 것이다. 따라서 톱니(198)이 이들은 제21도 및 제26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요구(172)로부터 벌어지게 할 것이다. 따라서 톱니(198)는 분리과정에서 취부된 캐리어(120)(122)의 연속상향운동에 영향을 주지 않게된다. 이러한 과정중에, 조절너트는 고정구(170)에 의하여 최하측의 위치에 고정되므로 콜크스크류(116)에 따른 캐리어(120)(122)의 상향운동은 조절너트의 나선통로를 통하여 콜크스크류에 회동운동을 전달하여 줌으로서 콜크마개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장치는 다음의 콜크마개발취과정을 시작하는 위치에 오게 된다.
제16도는 상향과정중에 콜크스크류 베어링부재와 캐리어 사이의 증가된 접촉면적에 의한 콜크스크류의 "후퇴"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다른 이점을 보인 것이다. 콜크스크류(152)를 위한 베어링부재(150)은 재두원추형 하측부(150b)를 가진 플랜지(150a)를 가진다. 하측 캐리어(156)내에 형성된 공(154)의 상측단은 이에 부합되는 재두원형부분(154a)을 가진다. 캐리어(156)(158)에 대하여 허용된 부재(150)의 수직유동에 따라서 표면(150b)(154a)은 상향과정중에 비교적 넓은 접촉면적으로 결합된다. 하향과정중에 베어링부재의 지주핀(150c)의 상측단은 상부캐리어부재(158)내의 요구(160)의 저면과 결합하여 졉촉면적이 적어져 회동에 대한 마찰저항이 작게된다. 유사한 결과를 그 하측이 평평한 베어링부재의 플랜지를 이용함으로서도 얻을 수 있으나 상향행정시 하부 캐리어부재의 상측면과 접촉하는데 요구되는 면적이 충분히 넓게 확보된다.
상기 언급된 상시형태에서 여러가지 수정형태를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구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형태의 여러 특징을 교환하거나 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수정은 본 발명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에게는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음 청구범위로만 제한된다.

Claims (1)

  1. 프레임(10), 이 프레임(10)에 대한 종방향 왕복운동을 위하여 프레임(10)에 착설된 캐리어(16)(18), 프레임(10)에 대하여 종방향 진로에서 캐리어(16)(18)를 안내하기 위한 프레임(10)과 캐리어(16)(18) 사이에서 작동하는 안내봉(30)과 안내공(36), 종방향운동을 위하여 캐리어(16)(18)에 회동가능하게 착설되고 그 회동축선이 중심선에 일치하며 캐리어(16)(18)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된 콜크스크류(12), 스크류통로(46)를 가지며 이 스크류통로(46)에 콜크스크류(12)가 삽입되게 위치하고 콜크스크류(12)의 형태와 부합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서 콜크스크류(12)가 스크류통로(46)에서 종방향운동시 회동운동이 콜크스크류(12)에 전달되게 한 조절너트(38)(40)와, 종방향 진로에서 캐리어(16)(18)를 선택적으로 종방향왕복시키기 위해 캐리어(16)(18)에 연결된 작동 핸들(5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대적인 종방향 운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조절너트(38)(40)를 프레임(10)에 결합분리 가능하게 한 고정소자(70)와, 프레임(10)에 대하여 스크류통로(46)와 종방향으로 일렬이 되게 병의 위치를 정하기 위하여 프레임(10)에 연결되고 고정소자(70)와 결합하여 병의 결합시에는 고정소자(70)를 해제하도록 결합된 파지부재(7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마개 발취장치.
KR1019800002720A 1979-07-09 1980-07-09 콜크마개 발취장치 KR850000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056,281 US4253351A (en) 1979-07-09 1979-07-09 Cork extractor
US56281 1993-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364A KR830003364A (ko) 1983-06-20
KR850000820B1 true KR850000820B1 (ko) 1985-06-15

Family

ID=22003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720A KR850000820B1 (ko) 1979-07-09 1980-07-09 콜크마개 발취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253351A (ko)
JP (1) JPS5623488A (ko)
KR (1) KR850000820B1 (ko)
BR (1) BR8004239A (ko)
CA (1) CA1133268A (ko)
CH (2) CH636827A5 (ko)
DE (1) DE3026051A1 (ko)
ES (1) ES8102535A1 (ko)
FR (1) FR2460886B1 (ko)
GB (1) GB2053867B (ko)
IT (1) IT1207126B (ko)
MX (1) MX15045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9267A (en) * 1985-08-26 1988-03-08 Giebeler Ben F Champagne bottle opener
DE3938707C1 (en) * 1989-11-17 1991-04-04 Georg 1000 Berlin De Schlueter Champagne and wine bottle opener - has insert ring fitting over bottle neck shoulder, and spindle bore in head
GB2304703A (en) * 1995-08-31 1997-03-26 Julian Claude Peck Cork extractor
US5934160A (en) * 1998-01-20 1999-08-10 Faye Fong Chen Cork extractor
ES1040657Y (es) * 1998-07-03 1999-10-01 El Sacacorchos Perfecto S L Espiral perfeccionada para sacacorchos.
USD415667S (en) * 1998-11-04 1999-10-26 LeCreuset, S.A. Lever-type cork extractor
US6240808B1 (en) 1999-01-04 2001-06-05 Martin K. Gelbard Cork extractor
USD430994S (en) * 1999-12-22 2000-09-19 Metrokane, Inc. Cork extractor
EP1265808A1 (en) * 2000-03-22 2002-12-18 Stephen Kane A corkscrew
USD466772S1 (en) 2000-04-11 2002-12-10 Trudeau Corporation 1889 Inc. Corkscrew
US6357322B1 (en) 2000-08-08 2002-03-19 Williams-Sonoma, Inc. Inclined rack and spiral radius pinion corkscrew machine
USD463235S1 (en) 2000-10-11 2002-09-24 Trudeau Corporation 1889 Inc. Corkscrew
US6308592B1 (en) * 2001-06-20 2001-10-30 Hans A. Turnwald Corkscrew
AU151240S (en) 2002-06-28 2003-03-25 Le Creuset Sa Corkscrew
US7159488B2 (en) * 2004-03-11 2007-01-09 Boen Jan Soen Cork bottle opener
US7069813B2 (en) * 2004-11-26 2006-07-04 Technical Development (Hk) Limited Corkscrew
ITUD20050132A1 (it) * 2005-08-10 2007-02-11 Alberto Fabbro Levatappi automatico conferma verme
US7963020B2 (en) * 2007-08-28 2011-06-21 Sealed Air Corporation (Us)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oam parts
US7775140B2 (en) 2008-03-28 2010-08-17 C.C. & L Company Limited Cork extractor
US20100087831A1 (en) * 2008-10-07 2010-04-08 Donald Marx Knee replacement nail remover
US9181072B2 (en) 2010-12-20 2015-11-10 True Fabrications, Inc. Foil cutting cork extractor
US8915167B2 (en) 2011-02-10 2014-12-23 Aleksandar Ratajac Cork screw
US9010588B2 (en) * 2012-05-02 2015-04-21 Coravi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gaging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with a container
US10080456B2 (en) 2016-01-14 2018-09-25 Urban Trend Llc Food compression apparatus
USD803013S1 (en) 2016-01-14 2017-11-21 Urban Trend Llc Potato ricer
USD817733S1 (en) * 2016-05-18 2018-05-15 Shenzhen Piskay Technology Co., LTD. Bottle opener
USD887804S1 (en) * 2018-02-10 2020-06-23 True Fabrications, Inc. Bottle opener
US11345579B2 (en) 2020-08-15 2022-05-31 Byron Kahrs Varme Automatic wine bottle open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949A (en) * 1899-03-14 morgan
DE130318C (ko) *
US562645A (en) * 1896-06-23 Cork-extractor
US532575A (en) * 1895-01-15 Cork-extractor
US593698A (en) * 1897-11-16 Corkscrew
US644088A (en) * 1899-07-29 1900-02-27 Charles Morgan Cork-puller.
US678773A (en) * 1900-05-19 1901-07-16 Andreas Krieg Cork-extractor.
US676205A (en) * 1900-09-13 1901-06-11 John Callahan Cork-extractor.
US776152A (en) * 1904-07-02 1904-11-29 Louis Strohacker Cork-extractor.
US845608A (en) * 1905-01-20 1907-02-26 Arcade Mfg Co Cork-puller.
FR537989A (fr) * 1921-07-06 1922-06-01 Tire-bouchon
FR2318103A1 (fr) * 1975-07-16 1977-02-11 Zerbinato Leonardo Dispositif tire-bouchons
FR2340898A1 (fr) * 1976-02-16 1977-09-09 Lefebvre Philippe Tire-bouch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026051A1 (de) 1981-04-16
GB2053867B (en) 1984-10-03
CA1133268A (en) 1982-10-12
ES493174A0 (es) 1981-02-16
CH639920A5 (fr) 1983-12-15
GB2053867A (en) 1981-02-11
JPH0156991B2 (ko) 1989-12-04
IT1207126B (it) 1989-05-17
KR830003364A (ko) 1983-06-20
JPS5623488A (en) 1981-03-05
FR2460886A1 (fr) 1981-01-30
IT8049192A0 (it) 1980-07-08
US4253351A (en) 1981-03-03
CH636827A5 (fr) 1983-06-30
MX150457A (es) 1984-05-09
DE3026051C2 (ko) 1991-01-17
BR8004239A (pt) 1981-01-21
ES8102535A1 (es) 1981-02-16
FR2460886B1 (fr) 1985-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0820B1 (ko) 콜크마개 발취장치
US4703673A (en) Cork-extracting apparatus
KR860002067B1 (ko) 코르크 마개발취장치
US7069813B2 (en) Corkscrew
HU223059B1 (hu) Fülcímke-betűző fogó
NO861680L (no) Implanteringsholder for hjerteventilprotese.
EA010196B1 (ru) Инъе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FR2640518B1 (fr) Jouet volant se mouvant par battements d'ailes, et procede permettant le blocage automatique des ailes, en fin de vol
CA2276976A1 (en) Grass-cutting head with reloading of the line without removal of the spool
US2823675A (en) Hypodermic syringe assembly
GB2127795A (en) Cork extractor
US4454675A (en) Locking quick-detachable sling swivel
JPH0661307B2 (ja) 圧力調理用締付装置
US4044429A (en) Locking safety pin and key carrier
US20060185477A1 (en) Corkscrew
US4813111A (en) Central belt lock for safety belts
US2637931A (en) Latching and releasing means
US20110061497A1 (en) Jar opener
US4193327A (en) Wrench for a dental handpiece
CN1021215C (zh) 防止孩童开启用的瓶体容器盖
US2057006A (en) Safetypin
US11826922B2 (en) Coupling assembly for use in a personal care appliance
US4461225A (en) Multiple seed planter with seed discharge mechanism
RU2530379C2 (ru) Держатель гайки для инструмента для пирсинга
US2176333A (en) To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