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762Y1 - 관이음매의 유량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관이음매의 유량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762Y1
KR850000762Y1 KR2019840012888U KR840012888U KR850000762Y1 KR 850000762 Y1 KR850000762 Y1 KR 850000762Y1 KR 2019840012888 U KR2019840012888 U KR 2019840012888U KR 840012888 U KR840012888 U KR 840012888U KR 850000762 Y1 KR850000762 Y1 KR 850000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adjustment
socket
front memb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28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찌 마끼시마
Original Assignee
닛도 고오기 가부시끼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도 고오기 가부시끼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filed Critical 닛도 고오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8400128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7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7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이음매의 유량조정장치
제1a도는 소케트와 플러그를 분리하여 표시한 종단 측면도.
제1b도는 같은 결합걸쇠 상태를 표시한 종단측면도.
제2도는 제1a도, 제4a도 A-A선 상에서 절단하여 표시한 조정원판 부착부의 종단 정면도.
제3도는 제1a도, 제4a도 B-B선 상에서 절단하여 표시한 유통구멍 및 발공의 정면도.
제4a도는 회전통에 위치 결정기구를 설치한 다른 실시예를 소케트와 플러그를 분리하여 표시한 종단측면도.
제4b도는 같은 결합걸쇠상태를 표시한 종단 측면도.
본 고안은 관이음매의 유량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끼워맞추었을 때 소케트에 형성된 통공(通孔)과 플러그에 형성한 통공 등이 서로 연통하고, 또한 소케트에 설치한 걸쇠부재와 플러그의 주방향(周方向)으로 형성한 걸쇠홈을 걸어 맞추도록 한 관이음매는 기체, 액체용등, 용도에 따라 혹은 이와 같은 유체의 압력에 따라 구조가 다종 다양하며 저압력용의 관이음매에 있어서도 반드시 구조가 간단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그리고 상기 걸쇠부재에는 대개 강구(鋼球)가 사용되고 걸쇠 관련기구의 복잡성은 원가를 높이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 유량의 조절이 자유로운 관이음매도 알려져 있으나 관지름이 작은 배관에 쓰이는 관이음매에서는 구조상 조립이 어렵게 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상기 사항을 감안하여 소케트와 플러그로 구성된 관이음매, 특히 저압용 유체의 배관에 쓰이는 관이음매의 유량조정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히 할 수 있는 동시에 원가의 인하, 배관의 간략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다음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a도에 있어서, 10은 소케트, 20은 플러그로, 우선 소케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소케트(10)의 주동부재에는 웅부편(雄部片)(22) 삽입축의 단부(端部)에 축방향을 향하여 가요성설편(舌片)(11)을 설치 하고 상기 설편(11)에 현수 지지된 압편(12) 부착의 걸쇠고리(13)가 주통부재에 축방향으로 직교시켜서 형성된 미끄럼홈(14) 내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걸쇠고리(13)의 결합편(15)이 웅부편(22)의 주방향으로 형성된 걸쇠홈(21)에 결합하여 소케트(10)와 플러그(20)가 서로 접속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16은 웅부편(22)의 삽입공, 17은 밸브압부, 18은 유통구멍(18a)을 가지는 호오스 접속부, 19는 소케트(10)의 주통부재의 상기 웅부편(22) 삽입단부측을 덮는 외투체, (19')는 상기 압편(12)을 외투체(19)의 외주상에 돌출시키는 뚫린 장이다.
플러그(20)는 웅부편(22)을 가지는 전부재(23)와 호오스 접속부(24)를 가지는 후부재(25)로 이루어지고 전부재(23)에 고정시켜 회전통(26)을 후부재(25)에 의하여 별개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끼워맞추어서 회전통(26)의 내향악(內向鍔)(27)을 후부재(25) 상에 형성한 외향단(28)에 결합시켜 조립부착시키며, 회전통(26)은 전부재(23)와 일체로 되어 있으나 후부재(25)에 대하여는 좌, 우 어느 방향에도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전부재(23)는 유통구멍(24a, 18a)을 개폐하는 미끄럼밸브(29)의 밀봉환(30)이 맞닿는 밸브시이트(31)를 가지고 이 미끄럼밸브의 통공(32)을 갖는 환상의 각부(脚部)(33)의 선단(33a)은 웅부편(22)의 전단(22a) 가까운 곳까지 뻗어있다. 후부재(25)에는 호오스 접속부(24)의 유통구멍(24a)으로 통하는 부채형의 발공(34)과 같은 부채형의 안내홈(35)이 형성되고 또한 조정원판(36)이 맞닿게 되는 편평면(3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정원판(36)은 전부재(23)의 직경방향에 대향하여 설치된 1쌍의 절결(23a, 23b)에 걸어서 고정하는 1쌍의 돌기(38a, 38b)를 갖추고 절결(23a,23b)은 돌기(38a, 38b)에 걸어서 고정하여 회전통(26)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조정원판(36)에는 상기 후부재(25)의 발공(34)과 거의 동형의 부채형의 발공(39)과 상기 후부재(25)의 안내홈(35)에 끼워져서 이 조정원판의 회전운동을 일정범위내에 제한하는 돌기(4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조정원판(36)은 후부재(25)의 편평면(37)에 면접촉하며, 이 조정원판(39)과 상기 미끄럼밸브(29)의 사이에 설치한 스프링(41)에 의하여 편평면(37)에 가압되어 있다. 또한 조정원판(36)의 중심에 설치한 스프링 안내(42)의 선단부는 미끄럼밸브(29)가 열려서 스프링(41)에 의하여 편평면(37)에 가압되어 있다. 또한 조정원판(36)의 중심에 설치한 스프링안내(42)의 선단부는 미끄럼밸브(29)가 열려서 스프링(41)의 탄발력에 버티면서 후퇴하였을 때 정지체가 되도록 되어 있고 유체압에 의하여 이 미끄럼밸브가 필요이상으로 움직이는 것을 저지하도록 되어있다.
또 43,44는 밀봉환이다. 다음에 본 고안의 관이음매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웅부편(22)을 소케트(10)의 삽입공(16) 내에 삽입하면 주통부재의 설편(11)에 의하여 현수지지된 걸쇠고리(13)는 이 설편(11)이 가요성을 가지기 때문에 제1b도 하방으로 움직일 수가 있고 걸쇠고리(13)의 결합편(15)은 웅부편(22)의 외주에 형성한 걸쇠홈(21)과 결합되어 제1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20)와 소케트(10)가 일체로 결합하여 채워진다.
이 때 소케트(10)의 밸브압부(17)에 플러그(20)의 미끄럼밸브(29)의 선단(33 a)이 맞닿아서 이 미끄럼밸브(29)가 스프링(41)의 탄발력에 버티면서 밸브시이트(31)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소케트(10)와 플러그(20)의 유통구멍(24a, 18a)은 서로 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소케트(10)와 플러그(20)가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20) 측의 회전통(26)을 회전시키면 이 회전통(26)과 일체로 결합된 전부재(23) 및 이 전부재의 절결(23a, 23b)에 걸어서 고정되어 있는 조정원판(36)도 같이 회전하여 이 조정원판(36)의 돌기(40)가 안내홈(35) 내를 이동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이러한 회전운동을 허용하므로 후부재(25)의 부채형의 발공(34)과 조정원판(36)과 동형의 발공(39) 등이 합치한 위치에 있어서 유통구멍의 열린 정도는 최대로 되고 이 후부재(25)의 편평면(37)에 의해 이 조정원판(36)의 발공(39)이 폐쇄된 때에의 유량은 0이 된다.
따라서 회전통(26)을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회전하면 유량은 0에서부터 완전 열림의 범위내에서 가변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걸쇠고리(13)의 압편(12)을 가압하여 걸쇠고리(13)의 결합편(15)을 밀어내리면 걸쇠고리(13)의 꼭대기에 현수지지되어 있는 가요성 설편(11)은 제1b도 하방으로 휘어지고 이 때 결합편(15)의 걸쇠홈(21)과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하므로 그 상태 그대로 플러그(20)를 제1b도 우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소케트(10)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가 있다. 이 때 미끄럼밸브(29)는 스프링(41)에 의하여 가압되어 밸브시이이트(31)에 밀봉하는 위치까지 복귀하여 유체의 유동을 차단한다.
또한 소케트와 플러그를 접속한 상태로 회전통(26)을 회전하여 조정원판(36)에 의하여 유통구멍의 열린 크기를 조정하든가 소케트와 플러그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회전통(26)을 회전하여 유통구멍의 열린 크기를 조정하는 가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유로 조정수단을 플러그측에 배치하였으나 이것을 소케트측에 옮겨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4a도, 제4b도는 플러그(20)의 전부재(23)와 후부재(25)와의 사이에, 바꾸어 말하면 회전통(26)과 후부재(25)의 사이에 회전통(26)의 임의의 운동을 규제하는 위치 결정수단을 장비한 예로 후부재(25)의 전단 면에는 대체적인 톱날상의 각홈(50)이 설치되어 있는 한편 전부재(23)의 악부(52)에 뚫려 있는 유저공(有底孔)(53)에는 스프링(54)이 탄발되는 계지구(55)가 삽입되어 이 계지구(55)를 각홈(50)에 단계적으로 걸어서 고정시키므로서 회전통(26)이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규제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 본고안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관이음매는 가묘성을 가지는 설편을 플러그 삽입측의 단부에 축방향을 향하여 설치한 주통부재와 이 주통부재의 상기 단부측을 덮는 외투체와 상기 가요성 설편을 가압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당해 설편에 의하여 원심방향으로 올리워지는 상태를 유지하여 일부가 플러그 외주방향으로 형성한 걸쇠홈과 걸어서 고정되는 상태이며 이 설편을 그의 탄성에 버티면서 걸쇠홈과의 상기 걸어서 고정하는 상태를 푸는 결합편과, 이 결합판과의 일체의 압편과, 압편을 외투체 외주에 돌출시킨 뚫린창을 구비한 소케트와 상기 결합편과 걸거나 벗기는 걸쇠홈을 외주부에 구비한 플러그로 이루어지는 관이음매에 있어서, 관이음매의 축심부에 있는 유통구멍에는 같은 구멍의 벽면을 따라서 축선방향으로 움직이는 관상체를 소케트와 플러그의 접속시에 열리는 미끄럼밸브에 대향시켜서 설치하고 또 관 이음매의 외주에는 소케트의 주통부재와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회전통을 유통구멍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조정원판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소케트와 플러그의 접속시에 등회전통의 조작에 의하여 회동하는 이 조정원판의 움직임으로 상기 유통구멍의 열린 크기를 0에서 부터 완전열림위치까지 변화시키도록 한 것이므로 관이음매의 외주부에 설치한 회전통을 우회전 또는 좌회전하므로써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가변 조정하는 것으로도 유통구멍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관이음매 본체 즉 소케트 또는 플러그를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의 효과가 얻어지므로 사용중 소케트나 플러그에 접속한 호오스가 비틀리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또 회전통을 회전시켜 이 회전통을 통하여 유로의 열린 크기를 조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예컨대 소케트나 플러그의 통벽에 구멍을 뚫고 돌기를 이 구멍에 면하게 하여 조정을 행하는 구조의 관이음매에 비하면 구조가 간결해지고 소케트와 플러그를 분리하였을 때에도 유체밀봉이 용이하게 되며 또 유량조정기구를 배관로중에 설치한 경우에 비하여 밸브조작이 쉽고 배관도 간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관이음매의 유량조정장치는 극히 구조가 간단하며 생산이 용이하고 원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Claims (1)

  1. 유체로를 각각 내장한 전부재(23)와 후부재(25)가 회전통(26)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회전통과 전부재는 일체로 회전되도록 조립되어 있고, 상기 전부재와 후부재의 대향면부에는 한편에 톱날상의 각홈(50)이 다른편에는 스프링(54)에 의하여 탄발된계지구(55)가 설치되어서 각홈(50)과 같은 홈에 걸렸다 떨어졌다 하는 계지구(55)에 의해서 위치 결정수단을 형성하고 있으며, 전부재의 후단에 형성된 절결(notch)에는 발공(39)을 가진 조정원판(36)의 외주돌기(38a,38b)가 걸려져서 이것에 의해 이 조정원판이 전부재와 연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조정원판은 이것을 향한 후부재의 발공(34)을 가진 편평면(37)에 스프링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서, 상기 발공(34)과 조정원판의 발공(39)이 포개져 있고, 회전통의 회전운동에 의해 조정원판(36)도 회전운동하여 동 조정원판의 발공(39)과 후부재(25)의 발공(34) 및 편평면(37)과의 중합도(重合度)가 대소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관이음매의 유량조정장치.
KR2019840012888U 1980-04-30 1984-12-08 관이음매의 유량조정장치 KR8500007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2888U KR850000762Y1 (ko) 1980-04-30 1984-12-08 관이음매의 유량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738 1980-04-30
KR2019840012888U KR850000762Y1 (ko) 1980-04-30 1984-12-08 관이음매의 유량조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738 Division 1980-04-30 1980-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762Y1 true KR850000762Y1 (ko) 1985-04-29

Family

ID=26626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2888U KR850000762Y1 (ko) 1980-04-30 1984-12-08 관이음매의 유량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7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7226A1 (en) * 2002-12-21 2004-07-08 Young Chul Choi Piping coup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7226A1 (en) * 2002-12-21 2004-07-08 Young Chul Choi Piping coup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91653C1 (ru) Смесительный клапан
EP0452045B1 (en) Normally closed duckbill valve assembly
US4015816A (en) Rotary plug valve
US3426797A (en) Multiple orifice valve
US4337795A (en) Single lever mixing faucet
JPH01283481A (ja) 流量調整バルブ
US3464449A (en) Ball valve with drain passage
US2929406A (en) Ball type valve
JPS6078193A (ja) ユニオン継手
DE3785677D1 (de) Steckverbindungsvorrichtung mit verdrehsicherung.
US4552336A (en) Liquid flow regulator
US3477689A (en) Pipe coupling containing a valve
KR830002827B1 (ko) 혼합밸브
KR840002180B1 (ko) 밸 브
US4449694A (en) Blocked ball valve
KR850000762Y1 (ko) 관이음매의 유량조정장치
US3709256A (en) Mean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flow of a liquid or fluid through a selected outlet and for sealing said outlets
US4056124A (en) Fluid mixing valve for supplying controllable proportions of two inlet fluids from a single outlet
US4927116A (en) Plug valve
US4183500A (en) Control valves
US4750707A (en) Angle valve
JPS6119871B2 (ko)
NO811373L (no) Fluidumstroemstyreventil.
US4560144A (en) Fluid coupling device
CA2449372C (en) Cylindrical plug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