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594B1 - 충전관을 구비한 배압 충전기용 충전부재 - Google Patents

충전관을 구비한 배압 충전기용 충전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594B1
KR850000594B1 KR1019810001227A KR810001227A KR850000594B1 KR 850000594 B1 KR850000594 B1 KR 850000594B1 KR 1019810001227 A KR1019810001227 A KR 1019810001227A KR 810001227 A KR810001227 A KR 810001227A KR 850000594 B1 KR850000594 B1 KR 850000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valve
tube
filling tube
compresse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1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5051A (ko
Inventor
아알레르스 에곤
Original Assignee
사이쯔 베르케 게엠베하
헬무트 게. 람, 한스-게오르그 루돌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쯔 베르케 게엠베하, 헬무트 게. 람, 한스-게오르그 루돌프 filed Critical 사이쯔 베르케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19810001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594B1/ko
Publication of KR830005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5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8Flow-control devices, e.g. using valves

Landscapes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충전관을 구비한 배압 충전기용 충전부재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실구조 충전부재(Fill element)의 정지 위치에 있어서 축방향의 단면.
제2도는 제1도의 선2-2에 의한 단면.
제3도는 제1도에 의한 압축가스실의 하우징의 범위의 접촉핀을 나합시킨 경우의 확대도.
제4도는 제1도에 의한 압축가스실의 하우징의 범위의 접촉핀을 인입시킨 경우의 확대도.
제5도는 개폐기구의 단체도.
본 발명은 단실구조 및 다실구조의 배압충전기(背壓充塡機)용의 충전부재에 관한 것이다.
DE-OS 1927821 로 부터 공지된 전제기술의 충전부재의 경우에는 충전부재(充塡部材)본체가 1개의 부재하우징 및 1개 관속(Bundle)의 충전관(充塡管)을 보지한다. 충전관은 상방으로 부터 밀접하여 이 관속에 삽입되며, 관속은 부재하우징의 하면에 간격을 두고 프랜지를 붙인다.
충전부재의 내측에 배치한 유체밸브를 폐쇄상태로 조작하기 위한 개폐기구가 1본의 핀의 형식으로 충전부재 집합체의 내측을 통해 축방향으로 조작되며, 충전관 자체의 내측에도 돌출한다. 이 구조는 비용이 많이들고, 특히 충전관을 세척, 보수 또는 교환을 위해서 충전부재 본체로 부터 발취하는 것이 귀찮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 개폐기구의 전기적 전달은 이 구조의 경우에는 충전부재 집합체를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는 1본의 축에 의해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DE-OS 1607996으로부터 공지된 충전관을 필요로 하지 않는 1개의 충전부재의 경우에는 1개의 전기적 개폐기구가 충전하여야 할 탱크내에 신장하고 있는 1개의 압축 가스관 및 배압가스관에 취부되며, 이 관은 1개의 관속으로 되어 충전부재 본체의 하측에 삽입된다.
이 구조의 경우에는 개폐장치 까지의 전기 리이드선을 충전 부재 본체의 벽을 관통하여 관속까지, 그리고 관속을 통과하여 개폐장치까지, 압축가스관 및 배압 가스관까지 유도하는 것이 특히 귀찮다. 이 공지된 장치의 경우에는 귀찮은 장치 외에 개폐기구까지의 리이드선의 전기절연에 관련하는 특별한 문제가 일어난다.
특히 이 전기 리이드선 방식은 기능의 확실성을 보증하기 위해서 충전부재 본체의 해체 및 재조립, 갑입 및 개폐장치를 압축가스관 및 배압 가스관에 취부하는 경우에 특별히 용의 주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상기의 방식의 충전관을 구비한 충전부재는, 한편에서는 충전관을 충전부재 본체로 부터 쉽게 문제없이 발취할 수 있게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충전관에 배치한 개폐장치에 확실하고 쉽게 떼어낼 수 있고 다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전기결선을 조달할 수 있게하여 근본적으로 개량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단실구조 및 다실구조의 배압 충전기의 충전부재는 충전탱크를 향하도록 한 하나의 충전관과 이것에 부착시켜 유체가 충전탱크 속에 원하는 높이로 충전되면 유체 밸브를 조작하도록 한 개폐기구로 구성하는 것으로서, 노우즈에 의해서 쇼울더를 갖춘 충전관을 충전부재 본체 하방으로 삽입시킴과 아울러 그 충전관 외측에 대하여 도전용 개폐기구를 전기절연상태로 부착시키는 한편, 충전부재 본체 속에서 밀폐되어 측방으로 이동하여 그 노우즈의 쇼울더를 지지하여 개폐기구에 대해서 정면에서만 전기접속하도록 절연시킨 접촉핀을 설치한다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
이 방법으로 기술적으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것은 한편에서는 충전관의 충전부재 본체 내에서의 확실한 감합 및 지지를 보증하고, 그 경우에 충전관을 충전부재 본체로 부터 떼어내고, 발취하기 위한 특별히 용이한 가능성을 나타낸다. 다른편에서는 이 용이한 조립에 의해 확실한 전기접점도 도달된다. 이 접점이 충전관에 취부한 개폐장치를 충전부재의 전기결선 부분의 지선과 연결한다.
본 발명에 한해서 첨부한 도면을 예로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예는 다실구조의 배압 병충전기용 충전부재(20)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와같은 회전충전기의 충전부재가 1개의 링형상 유체실(21)에 취부되며, 이 유체실은 하면에 압축가스의 링형상의 홈(22) 및 항시 개방하여 무제한으로 나르는 배출구(24)를 구비한 링형상의 환기홈(23)을 지지한다.
충전부재(20)는 밸브하우징(26) 및 전기절연성 합성재료로 되는 압축가스실 하우징(27)을 구비한 충전부재 본체(25)를 보지한다. 밸브 하우징(26)의 내측에는 개방스프링(29)에 의해 작용하는 종방향의 유체밸브(28)를 구비한다. 하우징(26)의 밸브시이트상에 지지되어 있는 유체밸브(28)의 밸브체에 전자 작동장치(31)가 태핏(30)을 통해 작용한다. 이 장치는 개구 스프링(29)에 역으로 밸브체를 밸브시이트에 압부하여 폐쇄하므로, 유체밸브(28)의 폐쇄상태가 확립된다.
밸브 하우징의 하측에는 충전관(32)이 충전관 노우즈(33)와 함께 삽입된다. 충전관(32)는 압축가스실하우징(27)을 통해 신장하고 있는 그 하우징내에 링형상의 압축가스실(34)를 구성한다. 밸브 하우징(26)의 1편측에 압축 가스밸브 시스템(35)이 취부되며, 그 시스템의 하우징(36)의 속에 밸브 원판(37)이 제어원판의 형식으로 지지부(38)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다.
지지부(38)는 하우징(36)으로부터 돌출하고, 고정하지 않는 말단에 작동레버(39)를 보지하여 충전기의 가대와 간격을 두고 다른 평면내에 취부된 제어부재, 예를들어 제어만곡부 또는 제어캠과 함께 기계가 회전하는 경우에 밸브 원판(37)이 그 소망하는 작동위치로 회전하도록 작용한다. 스프링이 밸브원판(37)을 지지판(40)에 대해 기밀하게 압부하고, 밸브원판(37)에 소속하는 면의 지지판에 압축가스의 링형상 홈(22)으로 부터 나와 링형상 유체실(21)의 하복판 및 밸브 하우징(26)을 통해 도입된 압축가스공급홈(41)이 연결된다. 또한, 밸브판(37)에 소속하는 지지판(40)의 면에 평형 홈(42)이 연결되고, 이 홈이 유체밸브(28) 및 충전관(32)의 사이에 구성한 평형실에 도입되고, 마찬가지로 압축가스도입홈(43)이 압축가스실하우징(27)내의 링형상 압축가스실(34)에 도입되어, 이것에 접속하고 있다.
압축가스의 밸브 시스템(35)의 하우징(36)에 전기 조작 스위치(45)가 취부되며, 이 스위치는 조작캠으로서 형성한 밸브원판(37) 또는 밸브원판 지지부(38)의 주위의 면으로 주사자(46)를 삽입한다. 이 조작스위치(45)는 유체밸브(28) 및 다음에 설명하는 밸브원판(37)의 작동상태에 관련하는 가스 배기밸브(67)의 조작에 역할을 한다.
유체밸브(28)을 조작하기 위해서 개폐기구(55)가 도전성재료, 특히 금속제 충전관(32)의 외측에 전기 절연성 라이닝(53)을 취부하도록 구성된다. 이 라이닝은 고유의 충전관 부분의 중앙부로 부터 상방을 향해서 밸브하우징(26)에 삽입한 충전관 두부(33)까지 신장한다.
전기 절연성 라이닝(53)은 고유의 충전관 부분 및 충전관 노우즈(33)의 사이에 구성되어 하방향의 쇼울더(54)의 상방 근처까지 신장하는 이 쇼울더에도 마찬가지로 라이닝이 취부된다. 쇼울더(54)의 하부에는 전기 절연성 라이닝(54)상에 링형상의 도전체(55a)가 특히 얇게 피복한 귀금속박판, 예를들면 금의 연신판 또는 금도금 금속박판의 형식으로 재치된다.
도전체(55a)는 쇼울더(54)로 부터 충전관(32)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을 향해 탱크의 소망하는 충전높이에 합치하는 높이의 하방까지 신장한다(제3도및 제4도).
접촉자로서 역할을 하는 개폐기구(55)의 전기적 접속은 전기 절연실 하우징(27)에 삽입한 접촉핀(56)에 의해 생기며, 이 핀은 스프링(57)에 의해 내부의 핀 말단의 전면을 도전체(55a)에 압부되며, 그때 동시에 전기 절연하여 있는 쇼울더(54)의 하방의 핀 말단과 감합하고, 그것으로 충전관(32)이 밸브 하우징(26)의 내부에 삽입한 위치에 보지된다.
접촉핀(56)을 도전체(55a)로 부터 떼어내기 위해서, 쇼울더의 범위로 부터 인입하기 위해서 외측을 향해 고정되어 있는 접촉핀(56)의 말단에 회전레버(59)를 구비한 회전키이(58)가 취부된다. 이 키이는 압축가스실 하우징(27)에 취부되어 있는 역회전 키이에 분기하여 있다(제4도).
밸브 하우징(26)은 또한 환기홈(61)을 구비하고, 이 홈은 링형상의 유체실(21)의 하면에 있는 링형상의 환기홈(23)까지 통한다. 환기홈(61)에는 압축가스실(34)이 압축가스실 하우징(27)의 속에서 링 형상의 압축가스실(34)의 하부로 부터 갈라진 배출홈(62)의 상방에서 접속한다.
배출홈(62)의 출구로 부터 압축 가스실(34)의 주위의 면까지 상향하여 앞이 가늘게 되어 있는 압축가스안내홈(63)이 신장한다. 배출홈(62)은 좁은 노즐(65)를 경유하여 환기홈(61)과 항상 개방하여 연결되고 있다.
노즐(65)의 하방에서 배출홈(62)에 접속하여 있는 분기홈(64)은 환기홈(61)과 연결되고, 가스배기 밸브(67)의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의 어느 한편과 연결되어 있는 밸브실에 노즐(66)을 경유하여 조작하는 이 가스배기 밸브는 전자 작동장치(68)을 구비한다. 밸브실의 입구의 노즐(66)은 노즐(65)과 비교하여 큰 개구부 단면을 가지고, 그러나 가스배기밸브(67)을 개방한 경우에도 충전중에 유체밸브(28)가 개방스프링(29)의 작용에 의해 충분한 확실도로 개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또 충분한 압축 가스압력이 충전하여야 할 병의 내부에 견지되도록 조정한다.
상기 전기 부재의 경우에는 조작기구(55) 및 유체밸브(28)의 전자 작동장치(31)가 전기적 조작장치(70)의 중간결선하에 1개의 회로를 경유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조작기구(55) 및 그것과 연결되어 있는 접촉핀(56)에 기인하여 접촉핀(56)에 접속하여 중간결선한 조작장치(70) 및 전자작동장치(31)에 대한 접속전원(a)를 도입하는 도선(b), 유체탱크(21), 충전부재 본체(25)의 밸브 하우징(26) 및 충전관(32)이 유체접촉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 이 회로를 구성한다. 이 회로에서는 조작스위치(45)가 주사자(46)에 의해 분기한 전기결선(52)과 함께 도선(b)에 병렬로 접속한다.
밸브원판 지지(38), 밸브원판(37) 및 지지판(40)에 대해서는 마찬가지로 그 때문에 충전부재 본체(25)의 밸브 하우징(26)과의 도전결선이 성립한다.
전류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a)에 접속한 조작장치(70)가 유체밸브(28)용의 작동장치(31)을 조작하기 위한 전기적 개폐수단을 가지고, 또 링형상의 유체실(21)의 내주의 상면 또는 내측의 공간에 윤곽만을 나타내게 배열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장치(70)에 취부한 조작수단에는 가스 배기밸브(67)의 작동장치(68)가 도선(c)를 경유하여 접속한다.
제4도와 같이, 접족핀(56) 및 개폐기구(55)의 도전체(55a)의 사이의 전기결선은 회전레버(59)를 회전하여 해제할 수 있다. 회전키이(58) 및 역회전키이의 상반하는 경과에 의해 접속핀(56)은 스프링(57)의 작용에 대해 그 경우에 고유한 충전관 단면 및 충전관 노우즈(33)의 사이의 쇼울더(54)의 범위로 부터도 인입한다. 그리고, 충전관(32)은 충전부재 본체(25)의 밸브 하우징(26)중의 충전관 노우즈(33)의 감합으로부터 하향하여 발취할 수 있다. 다른편에서 밸브핀(56)은 충전관(32)이 정연하고 완전하게 충전관 노우즈(33)와 함께 그것에 상응한 밸브 하우징(26)의 수입부에 삽입한 경우에만 스프링(57)의 작용으로 쇼울더(54)의 하방의 운전제어 위치에 들어가서 개폐기구(55)의 도전체(55a)와 접촉할 수 있다.
충전관(32)에 대한 접촉핀(56) 및 그것에 따라서 개폐기구(55)의 도전체(55a)의 전기절연은, 전기절연라이닝(53)이 충전관(32)의 쇼울더(54)를 경유하고, 밸브하우징(26)의 수입부에 삽입하여야 할 그 충전관의 노우즈(33)에 까지도 신장함으로써 보증한다.
밸브하우징(26)에 대한 접촉핀(56)의 전기절연은 도시한 예에 있어서, 접촉핀(56)이 전기절연재료, 특히 합성재료로 부터 되는 압축 가스실하우징(27)내에서 축수 지지되어 취부됨으로써 보증한다.
압축 가스실하우징(27)이 도전재료로 제조되는 경우에, 접촉핀(56)의 전기절연은 접촉핀(56)을 전기절연 라이닝으로 장비하여 핀이 도전체(55a)와 접촉하여야 할 접촉면만을 내측의 핀 말만에서 자유롭게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접촉핀(56)의 내측의 말단에서 개폐기구(55)의 도전체(55a)와 접촉하고 있는 전면에 대하여, 제5도로 부터 알수 있는 바와같이, 쇼울더(54)의 하방으로 잡고 있는 핀 말단의 주위의 면도, 충전관(32)에 대한 접촉핀(56)의 접촉기능을 손상하지 않으며, 접촉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 실시형식에 관해 충전관(32)도 동일하게 충전관 단면의 중앙부로 부터 상향하여 쇼울더(54)를 경유하여 밸브 하우징(26)에 삽입하여야 할 충전관의 노우즈부분(33)까지 신장하고 있는 절연라이닝(53)을 장비하고 있다. 도전체(55a)자체가 쇼울더의 외연으로 부터 쇼울더(54)의 넓은 부분을 경유하여 충전관(32)의 외주면에 따라서 하향하여 탱크의 충전높이에 합치하는 높이의 하방까지 신장한다.
도전재료로 되는 압축 가스실하우징(27)의 경우에는 전기 절연라이닝을 장비한 접촉핀(56)이 필요로 하는 전기절연으로 부터 내측의 핀 말단의 정면 및 주위의 면이 제외된다.
접촉핀(56)의 정면이 정연하게 도전체(55a)에 접하지 않는 경우, 예를들면 완전히 말단 위치로 되돌아가지 않는 회전키이(58)의 경우에도 도전체(55a)에 부착된 쇼울더(54)가 핀의 말단에서 주위의 면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실시 형식이 개폐기구(55)와의 전기적 접촉을 보증한다.

Claims (1)

  1. 충전탱크를 향하도록한 하나의 충전관과 이것에 부착시켜 유체가 충전탱크속에 원하는 높이로 충전되면 유체밸브를 조작하도록 한 개폐기구로 구성한 것에 있어서, 노우즈(33)에 의해서 쇼울더(54)를 갖춘 충전관(32)을 충전부재 본체(25)하방으로 삽입시킴과 아울러 그 충전관(32)외측에 대하여 도전용 개폐기구(55)를 전기절연상태로 부착시키는 한편, 충전부재본체(25)속에서 밀폐되어 측방으로 이동하여 그 노우즈(33)의 쇼울더(54)를 지지하여 개폐기구(55)에 대해서 정면에서만 전기접속하도록 절연시킨 접촉핀(56)을 설치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단실구조 및 다실구조의 배압충전기의 충전부재.
KR1019810001227A 1981-04-10 1981-04-10 충전관을 구비한 배압 충전기용 충전부재 KR850000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1227A KR850000594B1 (ko) 1981-04-10 1981-04-10 충전관을 구비한 배압 충전기용 충전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1227A KR850000594B1 (ko) 1981-04-10 1981-04-10 충전관을 구비한 배압 충전기용 충전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051A KR830005051A (ko) 1983-07-23
KR850000594B1 true KR850000594B1 (ko) 1985-04-30

Family

ID=1922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1227A KR850000594B1 (ko) 1981-04-10 1981-04-10 충전관을 구비한 배압 충전기용 충전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59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051A (ko) 198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69090A (ko) 가스 차단기
EP0410596B1 (en) Electron beam gun
WO2012164764A1 (ja) タンク型真空遮断器
EP0601826A1 (en) Generator rotor collector terminal stud hydrogen seal
GB2118277A (en) Pneumatic distributing system
KR850000594B1 (ko) 충전관을 구비한 배압 충전기용 충전부재
CN103474306B (zh) 一种油浸式高压熔断器
CN111489944A (zh) 一种高压熔断器结构及其配套使用的绝缘操作杆
JPH0233599B2 (ko)
CN113130150B (zh) Gis及其绝缘子
US1952184A (en) Vacuum switch
US2857491A (en) Pressure responsive switch actuator
CN207664512U (zh) 一种环保气体绝缘开关柜
CN2322291Y (zh) 一种迷宫形组装式全封闭套管
CN210326439U (zh) 一种接线装置
US2288472A (en) Circuit interrupter
CN204391042U (zh) 用于液相色谱-质谱仪的离子源组件
CN108173159A (zh) 电气化机车高压开关设备
CN109066341A (zh) 一种开关柜连接装置及安装方法
CN213452191U (zh) 一种适用于多种取气盒型号的过渡接头及气体继电器
US4296289A (en) Electric gas-blast switch
CN211683283U (zh) 一种监控热流道漏胶的报警装置
CN203774674U (zh) 一种充气式组合电器柜
CN220358822U (zh) 一种带熔断器及电动隔离开关的中压智能并网保护装置
CN112177676B (zh) 压缩机/膨胀机机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