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524Y1 - 베어링 풀러 용 맞물림 잇발 - Google Patents

베어링 풀러 용 맞물림 잇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524Y1
KR850000524Y1 KR2019830007909U KR830007909U KR850000524Y1 KR 850000524 Y1 KR850000524 Y1 KR 850000524Y1 KR 2019830007909 U KR2019830007909 U KR 2019830007909U KR 830007909 U KR830007909 U KR 830007909U KR 850000524 Y1 KR850000524 Y1 KR 850000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arc
snap ring
blade
r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79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동식
Original Assignee
안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식 filed Critical 안동식
Priority to KR20198300079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5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5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06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inserting or withdrawing sleeves or bearing r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베어링 풀러 용 맞물림 잇발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예시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과 공지의 풀러 부분품을 조합한 사용예시 사시도.
본 고안은 공지의 축받이용 스냅링 홈붙이 베어링(이하 스냅링홈 베어링 이라 칭한다)을 그 사용 장소에서 탈거할때 사용하는 공구인 베어링 풀러의 맞물림 잇발에 관한 고안으로서, 스냅링홈 베어링은 외륜 또는 내륜의 일측에 스냅링을 탄삽하는 홈을 가지고 있으며 이 홈은 베어링이 요동치 않도록 고정하거나 베어링 탈거시 공구의 잇발을 삽입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다음의 발췌한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섯종류의 스냅링 홈 규격으로 모든 공지 공용의 스냅링 홈베어링 호칭 번호를 수용하고 있다.
[도표 1]
스냅링 홈의 폭 적용되는 베어링들의 내경 및 외경규격
종래에는 스냅링 홈붙이 베어링을 탈거하려면 다용도 맞물림 잇발을 사용하거나 한가지 규격의 베어링에만 사용될 수 있는 맞물림 잇발 다수를 비치하여 풀러세트와 함게 사용하여 왔었던바, 다목적 맞물림 잇발의 날 부분은 단면이 쐐기형이며 대개의 경우 스냅링 홈 부분의 직경과는 일치되지 않아 불과 4개소의 점접촉 파지 밖에 되지 않으므로 탈거력을 가하면 공구의 날부분과 베어링의 홈 부분이 파손되는 경우가 많았었다.
또 한가지 규격에만 적용되는 맞물림 잇발은 다수의 규격별로 준비하여야 함은 물론 모양이 둔중하고 풀러 장치도 사용이 불편한 결점이 있었었다.
본 고안은 맞물림 잇발의 날 부분 단면을 스냅링 홈의 단면에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타원형의 원호를 가지게하여 스냅링 홈의 규격이 동일한 최소 및 최대 규격의 스냅링 홈 베어링들을 한조의 맞물림 잇발로서 모두 정확하고 폭넓게 삽입 파지하여 탈거할 수 있게 하였으며, 유사한 외경을 가진 통상의 기어, 캠, 풀리, 베어링들에도 적용될 수 있음으로서 불과 수개조의 맞물림 잇발로서 모든 규격의 스냅링 홈 베어링들을 탈거할 수 있음은 물론 다목적 사용을 겸할 수 있으므로서 공구의 부품수를 줄이고 사용상 간편하고 탈거력을 훨씬 강하게 가할 수 있는 잇점등을 갖게 한 것으로서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한조의 전혀 동일한 맞물림 잇발(1)(1')은 그 하단 원호의 내측에 첫 계단의 날(2)과 둘째 계단의 걸림턱(3)이 원호에 걸쳐 연설되어 있고 그 원호는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제1도의 부분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날(2)과 걸림턱(3)은 두 개의 계단 형상을 하고 있다. 하단 원호의 외측 중앙에는 중심 안내구멍(4)이 있고 그 양단부에는 체인 안내고리(5)가 있다.
상단에는 공지의 풀러 아암(17)이 나삽되는 암 나사(6)가 있고 그 외측 양단에는 체인 안내고리(7)가 돌설되어 있으며 중앙부분에는 중심 안내구멍(8)이 있다. 날(2)부분과 상단의 암나사(6)사이에는 몸체(9)가 있다. 체인클램프(10)에는 클램프 볼트(11)를 나삽한 너트(12)의 양단에 걸고리(13)를 가지고 있으며 일단의 걸고리(13)는 체인의 일단을 괘삽 고정하였으며 타단의 걸고리(13)는 체인의 링크중 임의의 부분을 괘삽하거나 발탈할 수 있다.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로서 날(2)과 걸림턱(3)이 원호에 걸쳐 타원형으로 연설된 형상을 보인 것으로 원호의 중앙부분은 소직경(14)부분이고 양단은 중간 직경(15)부분이며 안쪽에 있는 걸림턱(3)의 원호는 대직경(16)의 타원이다.
중앙의 소직경(14)부분은 스냅링 홈의 규격이 동일한 베어링호칭 번호중 최소의 것의 스냅링 홈 부분의 직경과 동일한원호를 가지고 있으며 양단의 중간직경(15) 부분은 호칭 번호 중 최대의 것의 스냅링 홈 부분의 직경과 동일 한 원호를 가지게하여 소직경(14)과 중간직경(15)으로된 이중 원호를 곡선 이음하여서된 타원으로서 이 타원의 곡률과 원호의 길이는 용도에 적합하도록 여러 형태로 만들 수 있다.
대직경(16)의 원호는 큰 치수의 동심 타원형이다. 날(2) 및 걸림턱(3)이 스냅링 홈의 규격이 동일한 최소규격, 중간 및 최대규격 베어링 및 기타 탈거물들을 삽입 파지하는 형태를 제3도의 사용예시 평면도에서 보면 최소 규격의 베어링은(a)와 같이 원호의 중앙 부분에, 중간 규격의 것은(b)와 같이 원호의 중앙과 양단부분사이에 최대 규격의 것은(c)와 같이 원호의 양단부분에, 그리고 걸림턱(3)은 통상의 탈거물을(d)와 같이 원호 전체에 걸쳐 파지함으로서 외경이 큰 것일수록 맞물림 잇발(1)(1')의 삽입 파지 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 외경에 정비례하여 강한 탈거력을 필요하게 되는 사용조건에 가장 합리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맞물림 잇발(1)(1')을 공지의 풀러 부분품에 조합하여 사용하는 예시도로서 상부 암나사(6)에 풀러 아암(17)의 선단을 나삽하고 여기에 간격 조정용 붓싱(18)을 삽입하고 스크류 요오크(19)의 양쪽 홈에 각각 삽입하여 너트(20)를 나착한다.
미설명부호(21)은 풀러스크류이며(22)는 축의 센터 구멍, (23)은 통상의 트란스 밋숀 케이스이며(24)는 스냅링 홈 베어링이다. 스냅링 홈 베어링(24)을 탈거할 경우에는 먼저 스냅링을 제거하고 맞물림 잇발(1)(1')의 날(2)부분이 스냅링 홈에 삽입되도록 하여 체인 안내고리(5) 또는 (7)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체인 클램프(10)의 클램프 볼트(11)의 선단이 중심 안내구멍(4) 또는(8)에 닿도록 하고 체인 링크를 적당히 당겨 걸고리(13)에 걸고 클램프 볼트(11)를 조여 맞물림 잇발(1)(1')을 견고히 파지시킨 후 전술한 설명문과 같이 풀러아암(17)을 위치한 간격 조정용 붓싱(18)스크류요오크(19) 너트(20)를 순차적으로 조립한 다음 풀러스크류(21)의 선단이 축의 센터 구멍(22)에 접촉되도록 하여 탈거력을 가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한조의 맞물림 잇발(1)(1')로서 동일한 스냅링 홈을 가진 베어링 호칭번호 다수와 유사한 외경을 가진 통상의 탈거물을 포함하여 전용 공구와 같이 깊고 넓은 면적의 파지를 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진 것이다.

Claims (2)

  1. 한조의 동일한 맞물림 잇발(1)(1')에 있어서 단면이 계단 형태인 첫 계단의 날(2)과 둘째 계단의 걸림턱(3)은 타원형의 원호를 가지고 있으며 이 원호의 중앙부분은 스냅링 홈의 규격이 동일한 베어링 호칭번호중 최소의 것에 삽입되는 날(2)의 원호를 소직경(14)으로 하고 양단 부분은 베어링 호칭 번호중 최대의 것에 삽입되는 날(2)의 원호를 중간직경(15)으로 하여 이 두원호를 곡선 이음하여서된 타원형 원호를 가지고 있으며 이 보다 큰 동심 타원으로서 대직경(16)의 원호를 가지 걸림턱(3)을 가진 베어링 풀러용 맞물림 잇발.
  2. 제1항에 있어서, 날(2)부분의 규격과 타원형 원호의 곡률 및 원호의 길이등은 공지 공용의 스냅링 홈 베어링(24)의 규격에 준하여 사용 용도에 적합하도록 변경될 수 있게한 베어링 풀러용 맞물림 잇발.
KR2019830007909U 1983-09-07 1983-09-07 베어링 풀러 용 맞물림 잇발 KR850000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7909U KR850000524Y1 (ko) 1983-09-07 1983-09-07 베어링 풀러 용 맞물림 잇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7909U KR850000524Y1 (ko) 1983-09-07 1983-09-07 베어링 풀러 용 맞물림 잇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524Y1 true KR850000524Y1 (ko) 1985-04-03

Family

ID=19231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7909U KR850000524Y1 (ko) 1983-09-07 1983-09-07 베어링 풀러 용 맞물림 잇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5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6286A (zh) * 2020-06-12 2020-08-18 李树艳 钻井泵缸盖拆装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6286A (zh) * 2020-06-12 2020-08-18 李树艳 钻井泵缸盖拆装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495A (ko) 항-만곡 치근관 성형 줄(file)
US4627761A (en) Retainer
US3003793A (en) Longitudinally divided sleeved pipe coupling
US4606562A (en) Junction box connector
JPH06193787A (ja) コレット及び該コレットを備える管継手
US4279597A (en) Chuck assembly for dental handpieces
US3787948A (en) Wire nut wrench
JP2003175474A (ja) ローラチェーンのピンの差し込み/引き抜き用工具
KR20000035239A (ko) 다중 케이블 커넥터 및 그를 이용한 케이블 접속방법
GB9903150D0 (en) Apparatus for swaging an object
KR870010925A (ko) 나사 빼기 장치
US4532834A (en) Two-piece drill chuck wrench
US7124786B1 (en) Linesman pliers with wire splice twister
KR850000524Y1 (ko) 베어링 풀러 용 맞물림 잇발
US4553937A (en) Tooth matrix band
US4870876A (en) Pliers for inserting bushings
US4195401A (en) Conductor unwrapping bit
US4474500A (en) Removal of dental crowns with wire noose
US7104266B2 (en) Flossing tool
US4091483A (en) Hose clamp tool
EP0179599A1 (en) Dental pin and holder
US5718252A (en) Dental floss holder
US1853681A (en) Tip for wire cables and method of applying same
US5765577A (en) Dental floss holder
US4444228A (en) Wire unwrapp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