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516Y1 - 압연기용 로울러베어링 조립체 - Google Patents

압연기용 로울러베어링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516Y1
KR850000516Y1 KR2019840013417U KR840013417U KR850000516Y1 KR 850000516 Y1 KR850000516 Y1 KR 850000516Y1 KR 2019840013417 U KR2019840013417 U KR 2019840013417U KR 840013417 U KR840013417 U KR 840013417U KR 850000516 Y1 KR850000516 Y1 KR 8500005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assembly
ring
nut
roller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34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니어 로웰에스. 살턴
Original Assignee
모간콘스트럭션캄파니
다니엘 엠. 모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078,457 external-priority patent/US4286830A/en
Application filed by 모간콘스트럭션캄파니, 다니엘 엠. 모간 filed Critical 모간콘스트럭션캄파니
Priority to KR20198400134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5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5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5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7Adaptation of roll neck bearings
    • B21B31/074Oil film bearings, e.g. "Morgoil"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28Mounting or dismounting bearing and chock as a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30Quick or bayonet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연기용 로울러베어링 조립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압연기용 로울러베어링 조립체의 하측부 단면도.
제2도는 단부 커버를 제거하고 로울러 경부의 단부를 절개 표시한 제1도의 베어링조립체의 단부측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4-4선 단면도.
제5도는 로울러 단부에 측방향으로 삽입되기 직전의 베어링 조립체를 보인 제1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본 로울러 경부의 단부측 정면도.
제7도는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본 나선형링의 단부측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8-8선 단면도.
제9도는 베어링 조립체가 로울러 경부에 착설되었으나 삽입 연결되기 전의 베어링 조립체를 보인 제2도와 유사한 단부측 정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10-10선 단면도.
본 고안은 압연기의 로울러 경부용 베어링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베어링조립체는 미국특허 제3,080,199호에 기술되어 있는바, 이 베어링 조립체는 베어링 조립체를 로울러 경부에 있는 작동위치에서 전후진시키는 측방향의 힘을 가히는 기계적인 수단으로 되었고, 이 기계적인 수단은 나선 링에 나착되는 너트로 구성되었다. 이 장치에서는 필램프링과 키의 결합체로 구성되는 분리 가능한 부분 조립체가 로울러 경부의 축방향 비회동 제한 위치에 나선형 링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이 너트는 축방향으로 제한된 나선형 링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다른 베어링 부분들과 결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사한 장치가 미국특허 제3,782,796호에도 기술되어 있으나, 여기에서도 클램프 링과 키는 독립된 부품으로 되어 있다.
비록 이러한 형태의 베어링조립체가 압연기 산업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경험에 비추어볼때 클램프링과 키는 가끔 압연기의 보수유지에 문제점을 제거함을 알게 되었다. 특히 클램프 링은 두개의 반원상으로 된 부품으로 구성되었고 키는 로울러 경부에 대하여 나선형 링을 고정토록 나선형 링과 로울러 경부의 키홈에 삽입되어 있다. 이 링 부품은 로울러 경부에 형성된 환상의 요구내에 회동 가능하게 착설되어 나선형 링을 축방향으로 제한하도록 로울러 경부의 견부와 결합되어 있다.
대형 베어링인 경우 이들 클램프 링은 수백 파운드의 무게에 달하므로 이들을 착탈시 크레인 또는 다른 이동장치를 필요로 한다. 더구나 반원상의 클램프링 부품들은 로울러 경부와 베어링 조립체의 방향에 따라 베어링 조립체를 로울러 경부에서 착탈할 때 자신의 중량으로 개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일은 주의하지 않으면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로우러 경부와 베어링 조립체로부터 분리되었을때의 클램프링과 조립체는 취급부주의로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먼지, 압연 스케일등에 의하여 오염될 우려가 있다.
다른 공지된 형태의 압연기 로울러 경부 베어링 조립체가 독일특허공개공보 제2035698호에 기술되어 있는바, 이 장치에서의 힘을 가하는 기계적인 수단은 수동으로 회동 가능한 록너트와 결합하여 작동하는 수압작동형 피스턴-실린더 장치로 구성된다. 이 기계수단은 베이어닛형의 삽입 연결로서 로울러 경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베어링 조립체는 이들이 다수의 정밀부품을 포함하는 복잡한 설계상의 문제로 경비가 많이 소요되는 결점이 있다. 더우기 이러한 베어링 조립체의 착탈은 총원가를 상회하는 분리된 수압펌프/저장조장치를 요구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베어링 조립체의 유도 경비도 수압의 밀폐유지 또는 펌프를 필요로 함으로서 증가되고 만다. 아울러 이러한 베어링 조립체는 착탈시 베이어닛 연결의 정확한 위치 선정과 정렬을 필요로 하게 되어 착탈공정 이복잡하게 되었다.
또 다른 형태의 로울러 경부 베어링 조립체가 독일특허 제401578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베어링 조립체가 링에 나착된 너트로 구성된 기계적 수단으로 부터 분리되어 있고 링은 베이어닛 연결기구에 의하여 로울러 경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장치에 있어서도 역시 많은 결점이 있다. 예를들면 베이어닛 연결기구는 자체 정렬 특성이 결여되어 있으므로 그 구성 부품을 연결하거나 연결한 것을 해체할때에 상당한 시간과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베어링 조립체와 기계적 수단은 상호 로울러 경부에서 독립적으로 착탈한다. 전체적인 구성을 매우 복잡하게 하고 특히 천정용 크레인등과 같은 장비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개선된 베니어닛 연결기구로서 미국특허 제3,080,199호에 기술된 형태의 베어링 조립체에서 독립된 클램프링과 키 조립체를 개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의하면 베어링조립체(10)가 로울러경부(12)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도시되어 있다. 이 로울러경부(12)는 원통형부분(16)에 연결된 절두원추형부분(14)를 포함하고, 원통형부분(16)은 외측환상요구(22)의 내측에 있는 견부(20)을 갖는 소직경원통형부분(18)과 결합되어 있다.
제2도 내지 제6도와 제8도 및 제9도에 의하면 외측환상요구(22)는 측방향으로 연설된 다수의 외측리브(26)에 의하여 로울러단부(24)로 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슬리이브(30)는 로울러 경부의 절두원추형부분(14)에 삽입 밀착되는 테이퍼형 삽입공(31)을 갖고 있고 슬리이브(30)에는 또한 로울러 경부의 원통형부분(16)에 삽착된 키(34)가 삽입되는 키홈(32)가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리이브(30)은 부싱(38)이 내장된 고정초크(36)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이러한 형태의 베어링 조립체에서는 압연기의 작동시에 슬리이브(30)와 부싱(38)사이의 베어링 부하 지역에 고압 유막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슬리이브 링(40)은 소직경 원통형부분(18)을 둘러싸면서 슬리이브(30)에 접촉하고 있으며 제2키(42)에 의하여 상대적인 회동이 방지되도록 되었다. 또한 부호(44)로 표시한 로울러드러스트 베어링 조립체가 원통형 부분(18)을 둘러싸고 있는바, 이 로울러 드러스트 베어링 조립체(44)는 볼트(50)에 의하여 초크단부판체(46)에 고착된 고정링(48)과 비회동 초크단부판체(46)내에 고정되어 있다.
내측 베어링레이스(44a)의 내측단은 축방향으로 형성된 제3의 키(54)에 의하여 접촉면(52)에서 슬리이브링(40)과 결합되어 있다. 내측베어링레이스(44a)의 외측단은 원통형 링(58)에 나착된 너트(56)에 결합되어 있다. 링(58)의 외측단에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환상의 내측요구(60)가 형성되었고 요구(60)의 내측에는 슬로트(66)에 의하여 분리된 다수의 리브(62)가 링의 내촉단부(64)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조립체(10)가 경부(12)상의 작동위치에 착설되어 있을때는, 나선형링(58)의 내측 리브(62)가 환상의 외측요구(22)내에 위치하게 되고 로울러 경부의 외측리브(26)와 접촉하여 외측방향으로의 축방향 운동이 방지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로울러 경부에 대한 나선형 링(58)의 회동은 키부제(68)로 구성된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에 의하여 방지된다. 너트(56)은 베어링조립체(44)의 내측레이스(44a)에 내측방향으로의 힘이 가하여 지도록 링(58)에 나착된다. 이 힘은 슬리이브 링(40)을 통하여 슬리이브(30)에 전달되므로서 베어링 조립체는 그 작동위치에 강제적으로 고정유지되게 된다.
제5도는 베어링 조립체(10)가 로울러 경부(12)상에 축방향으로 삽입되기 직전의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 단계에서 베어링 조립체는 공지의 수단, 예를들어 천정용 크레인(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옮겨진다. 링(58)와 너트(56)이 나착 연결되면 베어링 조립체가 조립되게 된다. 너트(56)의 방사상 견부(70)은 초크단부판체(46)상의 견부(71)에 의하여 축방향 이동이 제한되며, 너트의 견부(70)은 환상요구(72)의 저면에 안치된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나선형 링(58)과 너트(56)이 베어링 조립체(10)의 다른 구성과 동축상으로 정렬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로울러 경부의 외측리브(26)의 외측단에는 경사견부(74)가 형성되어 있으며, 역시 경사견부(76)이 나선형 링(58)의 내측리브(62)의 내측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견부(74)(76)는 베어링 조립체가 로울러 경부측으로 축방향 운동중에 상호 결합되어 다음과 같은 기능을 나타내도록 설계되었다. 즉 베어링 조립체의 다른 부분과 동축상으로 나선형 링(58)과 너트(56)를 방사상으로 이동시킬때 견부(70)가 제1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요구(72)의 기부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로울러 경부의 리브(26)와 외측 슬로트(28)이 나선형 링(58)의 내측 슬로트(66) 및 내측리브(62)에 대하여 일렬로 정렬될수 있도록 나선형 링(58)이 회동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대적인 정렬은 베어링 조립체가 로울러 경부측으로 이동시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베어링 조립체는 제9도 및 제10도에서 보인 바와같은 중간 위치를 향하여 로울러 경부측으로 원활하면서 신속하게 슬라이드되고 내측리브(62)는 로울러 경부의 외측 요구에 내에 자리잡게 된다.
내측리브(62)는 전부 또는 그 일부에 내측요구(60)측으로 축방향 돌출된 정지부재(7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정지부재(78)은 리브(62)를 연장하여 일체로되게 형성할수도 있고 내측리브(62)의 단부에 천설된 핀공에 삽입되는 핀으로 구성할수도 있다. 베어링 조립체가 제9도 및 제10도에서 보인 중간 위치에 있을때 정지부재(78)은 제4도에서 가상선(78')로 보인 위치에 놓이게 된다. 환언하자면 정지부재는 외측리브(26) 사이의 외측슬로트(28)내로 돌출되어 리브측연부(26a)와 접촉한다.
이때에 적당한 블럭체인이나 다른 지지수단(도시하지 않았음)으로 베어링 조립체의 하측을 받치고 천정용 크레인의 연결을 푼다음 제9도 및 제10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크레인 케이블(80)의 양단에 있는 통공으로 핀(82)을 삽입하여 케이블(80)을 너트(56)에 고정시킨다. 그 다음 케이블을 필요한만큼 너트(56)에 감고 케이블(80)을 당겨올려 정지부재(78)가 리브(26)의 측연부(26b)에 있는 요홈(86)에 들어갈때까지 너트(56)와 나선형 링(58)의 결합체를 제9도의 화살표(84)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정지부재(78)이 요입부(86)에 삽입되면 나선형 링은 충분히 결합된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회동이 방지되며 내측리브(62)와 내측슬로트(66)은 각각 로울러 부의 외측리브(26)와 외측슬로트(28)에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크레인케이블(80)을 계속하여 당기면 너트(56)은 화살표(84)방향으로 회동하여 너트와 내측베어링 레이스(44a)사이의 간극(88)이 없어진다(제10도 참조).
간극(88)이 없어졌을때 너트(56)이 계속회동하면 내측리브(62)가 외측리브(26)에 의하여 억제될때까지 외측방향으로 나선형 링(58)의 가벼운 이동이 일어나게 된다. 이후 너트를 계속회동시키면 모든 베어링 조립체를 그 작동 위치로 밀어 넣을 수 있는 측방향의 힘이 발생되어 슬리이브(30)의 테이퍼형 공(31)과 로울러 경부의 테이퍼형 부분(14)이 견실하게 결합된다.
이와같이 한다음 키부재(68)을 착설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같이 나선형 링(58)이 정지부재(78)을 요입부(86)에 안착토록 회동될때 내측 슬로트(66)은 자동적으로 외측 슬로트(28)과 일렬로 정렬되므로 키부재(68)이 원활하게 삽입된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키부재의 기부(68a)는 슬로트(28)(66)사이의 공간을 이어주므로 나선형 링(58)이 로울러 경부에 대하여 회동하지 않도록 기계적으로 고정한다.
제2도 및 제9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너트(56)의 외측 외면에는 다수의 나사공(90)이 천설되어 있고, 키부재(68)에는 너트의 외면에 씨워지는 각부(68b)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부(68b)에는 통공(68c)이 형성되어 있다. 일렬로 정렬된 슬로트(28)(66)에서의 키부재(68)위치는 너트(56)에 천설된 나사공(90)의 하나와 통공(68c)의 상대적인 정렬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상대적인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는 나사공(90)의 수효를 일치 정렬된 슬로트(28)(26)의 수효로 나누었을때 정수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예를들어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서는 정렬된 슬로트(28)(26)의 수효를 4개로하고 나사공(90)을 13개로 하였다. 따라서 나사공(90)에 대한 슬로트(28)(66)의 상대적인 방사상 정렬은 약간의 차이를 가져오므로 일치된 한 세트의 슬로트(28)(66)이 주어진 하나의 나사공(90)과 정확히 일렬로 정렬되는 위치관계가 이루어진다.
만약 이러한 방사상 정렬이 없다면 너트(56)은 탄탄히 조여지거나 느슨히 풀려지게된다. 상기 슬로트(28)(66)과 나사공(90)사이의 위치 관계는 이러한 부가적인 조절의 필요성이 감소되고, 그 결과 베어링 조립체에 가하여진 지지력 이상의 보다 정밀한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통공(68c)이 나사공(90)과 정확히 축방향으로 일치 정렬되는 즉시 키부재(68)가 볼트(92)에 의하여 너트(56)에 연결된다. 이는 너트(56)가 나선형 링(58)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을 기계적으로 방지한다. 그리고 핀(82)과 크레인케이블(80)이 베어링 조립체로부터 해체된후 단부 커어버(94)를 볼트(96)로 초크단부판체(46)에 부착하여 착설 공정을 완료한다.
베어링 조립체를 분해할때에는 조립시의 역순으로 분해한다. 먼저 베어링 조립체를 적당량 블럭체인(도시하지 않았음)으로 지지하고 단부커어버(94)를 제거한 다음 크레인케이블(80)을 제9도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연결한다. 고정볼트(92)를 풀어내어 너트(56)가 나선형 링(58)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게 한다. 너트(56)을 제9도의 화살표(98)방향으로 회동시킬수 있도록 크레인케이블(80)을 당기면 나선형 링(98)은 그 내측단부(64)가 로울러 경부의 견부(20)에 접촉할때까지 내측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후 너트(56)을 화살표(98)방향으로 계속 회동시키면 너트는 그 견부(70)가 초크단부판체(46)의 견부에 닿을때까지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견부(70)가 초크단부판체(46)의 견부에 닿으면 베어링 조립체가 로울러 경부에 부착된 작동위치로부터 벗어나는 힘이 얻어진다.
이때에 키부재(68)을 분리 제거하고 나선형 링(62)는 외측리브(26)의 측부(26a)에 결합된 정지부재(78)와 함께 제9도 화살표(98)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러한 회동은 너트(56)을 계속 회동시키거나 링(58)의 외 측면에 형성된 통공(100)에 결합되는 스패너렌치와 같은 적당한 공구를 사용함으로서 달성될수 있다. 정지부재가 리브의 측부(26a)에 재결합되자마자(제4도에서 부호 78'로 보인 바와같이), 베어링 구성체는 제9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자동적으로 정렬되고 베어링은 로울러 경부로부터 자유롭게 축방향으로 분리되게 된다.
이는 압연기 베어링 조립체를 위한 공지의 베이어닛 연결과 대조를 이루는 바, 베이어닛 연결의 정렬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보다 많은 노력과 주의가 요구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압연기 로울러 베어링 조립체보다 많은 개선점과 잇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들면 수압식과는 반대로 집중적인 기계력 발생장치에 따른 비용과 운전상의 이점이 베이어닛형 연결기구와 마찬가지로 얻어진다. 이는 독립적인 협지링 조립체의 사용에 관련된 불리한 점을 제거한다. 이 베이어닛형 연결기구는 결합분해를 간단히 할수 있는 자체 정렬 특성을 가짐으로서 베어링 조립체의 착탈을 매우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Claims (1)

  1. 내단부측에 내향 돌설된 리브(62)와 슬로트(66)가 형성된 환상의 링(58)과 링(58)에 나착된 너트(56)을 갖고 이 링(58)을 리브(62) 및 슬로트(66)가 로울러 경부(12)의 외단부에 형성된 슬로트(28) 및 리브(26)와 직선상으로 정렬될때 로울러 경부(12)의 리브(26) 및 슬로트(28)내측의 환상요구(22)속으로 삽입되게된 베아링 조립체(10)에 있어서, 링(58)과 너트(56)의 외측에 기부(68a)와 각부(68b)를 갖는 키부재(68)를 분리할 수 있게 착설하되 기부(68a)는 슬로트(28)(66)속으로 삽입하고 각부(68b)는 너트(56)에 부착하여 링(58)과 너트(56)가 로울러 경부(12)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을 할 수 없도록 고정시켜서된 압연기용 로울러의 베어링 조립체.
KR2019840013417U 1979-09-24 1984-12-17 압연기용 로울러베어링 조립체 KR8500005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3417U KR850000516Y1 (ko) 1979-09-24 1984-12-17 압연기용 로울러베어링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078,457 US4286830A (en) 1979-09-24 1979-09-24 Combination roll neck and bearing assembly
KR1019800002600A KR830003253A (ko) 1979-09-24 1980-07-01 압연용 로울러베어링 조립체
KR2019840013417U KR850000516Y1 (ko) 1979-09-24 1984-12-17 압연기용 로울러베어링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600A Division KR830003253A (ko) 1979-09-24 1980-07-01 압연용 로울러베어링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516Y1 true KR850000516Y1 (ko) 1985-04-03

Family

ID=2734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3417U KR850000516Y1 (ko) 1979-09-24 1984-12-17 압연기용 로울러베어링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5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6830A (en) Combination roll neck and bearing assembly
AU689993B2 (en) Bearing assembly utilizing improved clamping arrangement
RU2212292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продвижения в осевом направлении подшипников в сборе в установочное положение на шейках валков и из него
US5685650A (en) Bearing assembly utilizing improved clamping arrangement
US4034946A (en) Mounting device for lights
US4382619A (en) Hydraulic coupling device
US5490682A (en) Split mechanical face seal
KR850000516Y1 (ko) 압연기용 로울러베어링 조립체
RU2177382C2 (ru) Узел консольного валка
US2396414A (en) Mounting for pulleys, etc.
US4733458A (en) Bayonet coupling for axially mounting a ring-shaped member on a shaft stub
US3990690A (en) Core chucking assembly
US4182011A (en) Method for installing a bearing in a universal coupling
CA2116991C (en) Conical gripping arrangement
NO169796B (no) Flerveis/toveis sluseventil
KR100441233B1 (ko) 베이어닛 롤 단부 어댑터
EP0481261A3 (en) Pipe connection, especially for drill pipes
EP0947456B1 (en) Cantilever-mounted sliding expanding shaft
US4262405A (en) Method for installing a bearing in a universal coupling
USRE22485E (en) Sheave
KR850000627Y1 (ko) 압연기 로울러용 축선조절장치
CA1063574A (en) Mounting device for lights
MXPA99007337A (es) Ensamble de rodillo volado
SE504032C2 (sv) Axelförband för vridbar lagring av två konstruktions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31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