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311B1 - 주축 정위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주축 정위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311B1
KR850000311B1 KR1019810000578A KR810000578A KR850000311B1 KR 850000311 B1 KR850000311 B1 KR 850000311B1 KR 1019810000578 A KR1019810000578 A KR 1019810000578A KR 810000578 A KR810000578 A KR 810000578A KR 850000311 B1 KR850000311 B1 KR 850000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speed
main shaft
comma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0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5590A (ko
Inventor
요시노리 고오자이
요시끼 후지오까
나오도 오다
Original Assignee
후지쓰 후아낙크 가부시끼 가이샤
이나바 세이우에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후아낙크 가부시끼 가이샤, 이나바 세이우에몽 filed Critical 후지쓰 후아낙크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10000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311B1/ko
Publication of KR830005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5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1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or contouring control systems, e.g. to control position from one programmed point to another or to control movement along a programmed continuous path
    • G05B19/3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or contouring control systems, e.g. to control position from one programmed point to another or to control movement along a programmed continuous path using a combination of the means covered by at least two of the preceding groups G05B19/21, G05B19/27 and G05B19/3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AREA)
  • Automatic Control Of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축 정위치 제어장치
제1도는 나사구멍과 키이홈 등을 가공한 선삭가공물을 보인 예시도.
제2도는 주축을 임의의 위치에 정지시키는 종래의 회로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축 정위치 제어장치의 회로 블럭도.
제4도는 원점, 일회전 신호 발생위치, 정지위치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5도와 제6도는 주축이 회전 내지 정지하고 있을 때 정위치 지령이 발생하는 때와 관련된 제4도의 회로의 파형도.
제7(a)도 및 제7(b)도는 주축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의 설명도.
제8(a)도 및 제8(b)도는 주축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의 설명도.
본 발명은 주축 정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축을 임의의 회전위치에 정지할 수 있는 주축 정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치 제어 공작기계상에 장착된 주축은 임의의 속도로 회전할 수 있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공작기계에 대해 최근에 요하는 것은 주축이 높은 정확도로 임의의 회전위치에 정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가공센터의 경우에 그러한데 예를들면, 자동공구 교환을 행할 때나 선반 또는 선삭센터에 의해 소정각 위치에서 공작물을 선삭 또는 드릴 가공을 행하거나 탭가공을 할때 주축이 소정 회전 위치에서 정지하지 않으면 안된다. 종래의 실시예에서는 주축이 정지되는 회전위치가 미리 결정되어 미리 회전위치와 다른 임의의 회전위치에 정확히 주축이 정지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스템은 Kerney와 Trecker의 공동출원으로 1974년 12월 14일 일본출원공보 49-47355에 발표되었는데, 어시스템은 주축구동용속도 및 위치제어 전동기뿐만 아니라 클러치와 같은 전동기 절환기구 및 위치 및 속도제어 루우프가 서로 별도로 구비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시스템의 가격이 높고 규모가 커지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규모이며 가격이 저렴한 주축 정위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축이 임의의 속도로 회전하며 임의의 회전위치에 정지할 수 있는 주축 정위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축 정위치 제어를 행할 때 주축이 일단 원점에 복귀하여 일시 정지한 다음 최종 정위치에 정지함에 있어 고도의 정확도로 정위치에 계속하여 정지할 수 있는 주축 정위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점을 감지하는 감지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주축 정위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점과 주축이 정지되어야 할 회전위치 사이의 각도가 일단 주어진 신호로 되는 주축 정위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과 이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취해진 하기 설명에 의해 명백하게 될 것이다.
제1도에서 이미 선삭 가공된 가공물(1)이 소정의 회전위치에 있는 나사구멍(2a)(2b)(2c)(2d)과, 키이홈(3)과, 구멍(4a)(4b)을 내포하고 있음을 보인다. 공작물(1)은 하기와 같이 처리될 가공 공작을 통해 키이홈과 여러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되지 않은 척내에 보지된 공작물(1)은 주축구동 모터를 작동하므로써 소정 회전위치에 보낸후 공작물의 가공위치를 회전공구에 반대편점에 보내면, 공구가 회전하여 공작물에 나사구멍 등을 가공한다. 주축이 어떤 소정위치에 정지될 수 있는 이러한 형태의 가변위치 주축정위치 동작이 수치 제어 공작기계에서 필수요건이 된다.
주축을 임의의 회전위치에 정지하도록 하는 종래의 회로도가 제2도에서 블럭도로 예시하고 있다. 종래의 회로를 설명하기 전에 선삭 센터등에서 주축(공작물)이 선삭 가공중 지령 회전속도로 회전해야하며 선삭가공 후 나사구멍, 키이홈 및 다른 구멍이 가공되도록 소정 회전위치에 정확히 정지 위치되어야 한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2도에 보인 종래의 시스템은 주축에 대해 두 개의 전동기를 구비하고 있는데, 한 개는 임의의 회전위치에 주축을 정지하는 전동기(21)이고, 다른 한 개는 지령속도로 주축을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31)이다.
상기 전동기(21)는 위치 제어 루우프(22)에 의해 구동되고, 전동기(31)는 위치 제어 루우프(22)와 완전히 별개인 속도제어 루우프(32)로 구동된다. 상기 전동기(21) 또는 전동기(31)는 지정점에 주축이 정지되어 있는가 또는 지령속도로 주축이 회전되는가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선삭가공인 경우에 지령속도로 주축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속도 제어회로(32c)는 회전속도 지령회로(32a)의 입력인 지령속도 VOMD와 속도계 발전기(32b)의 입력인 실제속도 VA 사이의 편차 또는 오차속도 ERV를 출력한다. 전동기(31)는 이 오차속도 ERV를 “0”으로 감소하도록 오차속도 ERV에 비례하는 전압에 의해 구동된다.
주축(41)을 소정 회전위치에 정지하기 위해 위치제어 회로(22c)는 위치 지령회로(22a)의 출력인 위치지령 PCMD와 전동기(21)의 축에 접속된 레졸버(22b)에 의해 발생될 실제 위치 신호 AP 사이의 편차 또는 위치 오차 ERP를 인출하면,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22d)는 이 위치오차 ERP를 위치 제어회로(22e)에 입력하도록 아나로그 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위치 제어회로(22e)는 상기 아나로그 형태의 위치오차 ERP와 속도계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전동기(21)의 실제속도 AVP 사이의 차 ER을 출력한다. 전동기(21)는 위치오차 ERP가 “0”으로 감소되도록 차 ER에 비례하는 전압에 의해 구동된다.
주출이 전동기(31)에 의해 구동될 때 전동기(21)는 주출(41)과 떨어지기 때문에 클러치 기구(예시하지 않았음)가 종래의 장치에 구비되어야 했었다.
주축이 상기 제어동작에 따라 지령속도로 회전되고 있을 때 직류 전동기(51)는 수치 제어장치(예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작동되며 소정 지령 형태에 따라 선삭공구(52)를 이동시키고 공작물(1)이 지령에 의해 특별히 가공된다. 나사 구멍을 공작물(1)에 뚫기 위해서 주축(41)이 클램프기구(61)에 의해 고정된다. 소망의 회전공구(53)가 선택되어 직류 전동기(51)를 구동함으로써 소정위치에 보내진 후 나사구멍을 공작물에 뚫기 위해 회전된다.
이하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축 정위치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주축(101)은 벨트(106)의 중재를 통해 단 한개의 주축전동기(102)에 의해 구동되며 공작물(103)을 회전하도록 한다. 속도계 발전기(104)는 주축 전동기(102)의 축상에 장착되고 전동기(102)의 실제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전압의 실제 전압신호 AV를 출력한다. 로타리 엔코더(105)는 벨트(106')를 통해 주축(101)에 연결되어 주축(101)이 소정각도로 회전할 때마다 한개의 위치 펄스 FBP와 주축이 완전히 일회전을 할 때 마다 일회전 신호 RTS를 출력한다. 클램프 기구(107)는 주축(101)이 정위치 완료 후 움직이지 않도록 주축(101)을 클램프한다. 로타리 공구(109) 및 절삭공구(110)는 공구 매거진(108)에 장착되고 수치 제어장치 또는 "NC장치"(112)로 제어되는 X축 구동 전동기(111)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전된다. 공구 매거진(108)은 벨트(106")를 통해 구동 전동기(111)에 연결된다. 상기 NC 장치(112)는 정위치 지령 ORCM, 회전속도 지령 VCMD 및 X축 구동전동기(11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 XS와 같은 신호를 출력한다.
공지의 속도 제어회로(121)는 속도 제어동작시 회전속도 지령 VCMD와 실제속도 AV 사이의 편차를 나타내는 속도 오차 전압을 출력하는 가산기(121a)와, 위상 보상회로(121b)와, 다이리스터 변환기(121d)에 다이리스터가 점호되는 시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가산기(121a)의 출력인 속도 오차 전압에 응답하는 위상 제어회로(121c)와, 주축 전동기(102)에 속도 오차에 따른 전압을 공급하는 다이리스터 변환기(121d)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속도제어 회로(121), 속도계 발전기(104) 및 속도궤환선(FL)이 속도 제어 루우프를 구성한다.
오점 쇄선으로 둘러싸인 본 발명에 따른 주축 정위치 제어회로(131)는 정위치 제어 동작시에 주축 지령 속도신호 OVCMD 를 출력하는 속도 제어회로(131a)와, 주축을 임의의 회전위치에 정지하기 위한 위치 제어회로(131b)와, 상기 속도제어회로(131a)의 출력인 주축 지령속도 신호 OVCMD 와 또는 정위치 제어 동작시 위치 제어회로(131b)의 출력인 위치 오차신호 PER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절환스위치(131c)와, 클러치 절환신호(CLC)에 응답하여 속도 이득을 조정하기 위한 이득절환 제어장치(131d)와, 12비트의 디지탈값의 형태로 주축 정지위치를 외부에서 설정하기 위한 외부 스위치(131e)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 스위치(131e)는 제4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원점 MRP에서 주축 정지위치 CP 까지 측정된 N도의 각도에 대응하는 n개의 펄스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 제4도에서 RTSP 는 일회전 신호 RTS 가 발생되는 각 위치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3도의 로타를 엔코더(105)가 주축(101)의 일회전마다 212(=4096)개의 펄스를 출력하면 주축 정지위치 CP에서 주축을 정지하기 위해 상기 외부스위치(131e)는 12비트의 형태로 디지탈화된
Figure kpo00001
과 같은 n개의 펄스를 입력한다.
속도 제어회로(131a)는 정위치 동작시 주축(101)이 소정속도 VOR에 도달했음을 감지하여 정위치 속도 도달신호 ORV를 출력하는 정위치 속도 검출회로(141)와, 주축(101)이 회전하고 있는 방향을 감지하여 회전방향신호 RDS를 출력하는 회전방향 감지회로(142)와, 정위치 동작시 주축 지령속도 신호 OVCMD를 출력하는 정위치 속도 지령회로(143)로 구성되어 있다.
위치 제어회로(131b)는 제4도에 있는 일회전신호 발생위치 RTSP에서 원점 MRP까지의 각도 M도에 대응하는 펄스수 m(=
Figure kpo00002
)를 12비트의 디지탈로 설정하는 내부 스위치(151)와. 12비트의 디지탈수치 a(본 실시예에서는 1000…01=2049)가 세트된 레지스터(152)와, 주축(101)이 일회전하는 동안 로타라엔코더(105)에서 발생하는 궤환펄스 FPB의 수 4069와 같은 용량이 있는 12 비트의 업·다운 계수기(153)와, 상기 업·다운 방향을 제어하는 업·다운 방향 제어회로(154)와, 상기 업·다운 계수기(153)의 내용에 비례하는 아나로그 전압을 발생하는 DA 변환기(155)와, 상기 업·다운 계수기(153)의 내용이 b=[(212-1)-a] (본 실시예에서는 011…10=2046 이고 이 수치는 주축이 약 180도 회전중 로타리엔코더(105)에서 발생하는 궤환펄스수와 같음)와 동일한 값 b에 도달했을 때 신호 HR을 발생하고 계수기의 내용이 모두 0인 00…0인 값에 도달했을 때 신호 FR을 발생하는 디코더(156)와, 시이퀀스 계수기(157)와, 상술한 a, m, n의 수치값 중 한개를 선택하며 업·다운 계수기(153)를 선택된 값에 프리세트하는 수치 선택 지령회로(158)와, 정위치 완료신호 ORED를 출력하는 AND게이트(15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이퀀스 계수기(157)는 정위치 지령 ORCR의 발생에 의해 제1시이퀀스 상태신호 SQ1(=“1”)를, 일회전 신호 RTS발생에 의해 제2시이퀀스 상태신호 SQ2(=“1”)를, HR=“1”에 의해 제3시이퀀스 상태 신호 SQ3(=“1”)를, FR=“1”에 의해 제4시이퀀스 상태 신호 SQ4(=“1”)를 각각 출력한다.
또 상기 수치 선택 지령회로(158)는 SQ1이 "1" 일 때 일회전신호 RTS가 발생하면(GM="1") 주축 회전 방향신호 RDS에 대응하여 m 또는 -m을 업·다운 계수기(153)에 세트하고, SQ2가 1일 때 신호 HR이 "1"이 되면 (GN="1") 주축회전 방향신호 RDS에 대응하여 n 또는 -n을 업·다운 계수기에 프리세트하고, SQ3="1"일 때 신호 FR가 "1" 이 되면(GP="1") a 또는 -a에 프리세트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4도의 주축 정지위치 CP가 원점 MRP의 기준에 따라 스위치(131e)의 수단에 의해 지시된다 할지라도 원점 MRP을 감지하기 위해 감지기가 필요없다는 사실에 주목할 가치가 있다. 감지기는 고가이고 정확히 원점을 쉽게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제거되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상기 감지기를 위치 RTSP에서 원점 MRP까지 측정된 각도 M의 값이 내부 스위치(151)에서 설정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대치되었다. 각도 M의 값은 로타리 엔코더(105)가 어떻게 장착되는가에 따라 기계마다 다르며, M 은 매 기계마다 측정되고 이에 대응하는 펄스 m의 수는 내부 스위치(151)에서 설정된다.
상기 내부 스위치(151)가 급작스럽게 변경된 설정치 m으로 야기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치내에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위치 제어동작을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상기 설명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주축의 정지위치를 외부적으로 설정하는 외부 스위치(131e)가 원점 MRP에서 정지위치 CP까지의 각도 N와 일치하는 펄스수 n를 입력하도록 사용된다. 위치 RTSP에서 원점 MRP까지의 각도 M에 대응하는 펄스수 m은 주축의 정지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내부스위치(151)에 프리세트된다. 이 동작은 주축 정지위치 CP를 특정화한다.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주축이 제7(a)도에서 위치(1)에 있을 때 정위치 지령 ORCM이 출력(SQ1="1") 한다고 가정하자. 상기 지령 ORCM이 출력하면 주축을 속도 VOR로 회전시키며 주축이 위치(2)에 있으면 일회전신호 RTS가 출력(SQ2="1")한다. 이때 수치값 -m이 제3도의 업·다운 계수기(153)에 프리세트된다. 주축이 속도 VOR로 계속 회전하고 12비트의 업·다운 계수기(153)는 로타리 엔코더(105)에서 인가된 궤환펄스 FBP를 계수한다. 주축이 위치(3)에 도달하면 상기 업·다운 계수기(153)의 내용은 값 b에 도달한 후 b+m 궤환펄스와 대응하는 B+M도의 각도로 회전한다.
이때 디코더(156)는 신호 HR을 출력하고(SQ3="1") 업·다운 계수기(153)를 -n에 프리세트한다. 주축을 속도 VOR에서 계속 회전하고 업·다운 계수기(153)는 궤환펄스 FBP를 계수하여 주축이 위치(4)에 도달하면 계수내용이 0의 값에 도달한 후 궤환펄스에 대응하는 n도의 각도로 회전한다. 이때 디코더(156)는 신호 FR을 출력한다(SR4="1"). 신호 FR의 논리값 "1"에 의해 업·다운 계수기(153)는 a(=212-1-b), 즉, (360-B~180°)도에 상당하는 펄스수(100…001)가 프리세트된다. 이 시점에서 속도 제어가 위치제어로 바뀌며 절환스위치(131c)의 접점은 S1에서 S2로 절환된다. 이후 주축전동기(102)는 업·다운 계수기(153)의 내용에 비례하는 오차전압(DA 변환기 155의 출력)에 대응하여 구동된다. 또 위치 제어시 업·다운 계수기(153)는 궤환펄스 FBP를 카운트 다운한다.
상기 동작에 따라 일회전 신호 RTS가 발생한 후 주축(101)은 SQ2가 "1"일 때 B+M도로, SQ3가 "1"일 때 N도로, SQ4가 "1"일 때 360-B도로 회전한다. 따라서, 주축은 360+(M+N)도로 회전한 후 지령 회전위치에 정확히 정지된다. 제7(a)도는 M+N<180°일 때 설명도이며, 제7(b)도는 M+N>180°도로 제어하는 경우의 설명도로써 상기 제7(a)도의 M+N<180°인 경우와 동일하다.
이상은 일회전 신호 RTS의 발생에 따른 수치 -m과 신호 HR의 발생에 따른 수치 -n가 업·다운 계수기(153)에서 프리세트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각 신호 RST, HR에 의해 계수기에서 -n, -m값이 프리세트되는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설명된 제어동작은 주축(101)의 정방향 회전만을 기술하였지만 정위치 지령 ORCM이 주축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발생된다면 정위치 제어동작은 주축이 상기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 지속되며 상기 설명된 동작과 거의 동일하다. 수치 m과 n가 -m, -n 대신에 계수기 내에 프리세트되며, (2n-1)-b 대신에 -[(n-1)-b]의 값이 프리세트 된다는 것만이 유일한 차이점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5도 및 제6도의 파형도를 참고하여 설명하겠다.
주축(101)이 NC장치(112)의 출력인 회전속도 지령 VCMD에 의해 속도 V0에서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 조건하에서 정위치 지령 ORCM이 시간 t0에(제7a도에서 위치 1) 논리 "1"가 되면(SQ1="1") 정위치 속도 지령회로(143)는 속도 V0에서 0으로 감소하는 속도지령 OVCMD을 동시에 출력하여 절환스위치(122)의 접점은 S1에서 S2로 절환한다. 결과적으로 주축전동기(102)는 속도지령 OVCMD가 감소함에 따라 감속되기 시작하며 시간 t1에서 주축의 정위치는 VOR의 회전속도에 도달한다. 정위치속도 검출회로(141)는 속도를 검출하고 정위치 속도 도달신호 ORV(논리 "1")를 발생한다. 정위치 속도 지령회로(143)는 속도지령 OCCMD를 인출하여 주축은 VOR의 속도가 된다. 따라서, 주축(101)은 일정속도 VOR에서 계속 회전한다. 로타리 엔코더(105)는 시간 t2에 (제7a도에서 위치 2) 일회전신호 RTS를 발생하여 제2시이퀀스 상태가 이루어진다(SQ2="1").
상기 일회전신호 RTS의 발생에 의해 게이트신호 GM이 논리 "1"이 되어 내부 위치 설정스위치(151)에서 설정된 수치 -m은 수치 선택 지령회로(158)를 통해 업·다운 계수기(153)에서 프리세트 된다. 그 반면 주축(101)은 속도 VOR로 계속 회전하고 로타리 엔코더(105)는 주축이 소정량 즉, 360°/4096으로 회전할 때마다 단 한개의 궤환펄스를 발생한다. 궤환펄스는 업·다운 계수기(153)에서 카운트업 된다.
상기 계수기(153)가 궤환펄스를 계수하여 상기 지적한 바와 같이 업·다운 제어회로(154)에 의해 업이냐 다운이냐를 결정한다. 특히, 상기 펄스는 시이퀀스 상태 SQ2, SQ3에서 카운트 업이 되고 시이퀀스 상태 SQ4에서는 카운트 다운된다. 주축이 계속 회전하여 시간 t3에(제7a도에서 위치 3) (b+m)-궤환펄스수에 대응하는 B+M도의 각도(대략 180+M도)로 회전된다. 따라서, 시간 t3에 업·다운 계수기(153)의 내용은 값 b에 도달하여 디코더는 신호 HR(논리 "1")을 발생함으로써 제3시이퀀스 상태가 얻어진다(SQ3="1").
결과적으로 게이트신호 GN은 논리 "1"이 되며 외부스위치(131e)에서 설정된 수치 -n이 수치 선택지령 회로(158)를 통해 업·다운 계수기(153)에서 프리세트된다. 주축(101)은 아직도 속도 VOR로 계속 회전하며 시간 t4에(제7a도에서 위치 4) n개의 궤환펄스수에 상당한 각도 N도로 회전된다. 따라서 시간 t4에 업·다운 계수기(153)의 내용은 0이 되며 신호 FR은 논리 "1"이 되며 제4사이퀀스 상태에 도달한다. 절환스위치(131c)는 신호 FR의 논리 "1"에 의해 응답하여 S1에서 S2로 접점이 절환된 후 속도제어에서 위치제어로 바뀐다.
따라서 레지스터(152)에 설정된 수치값 a 는 수치선택 지령회로(158)를 통해 업·다운 계수기(153)에서 프리세트된다(값 a는 주축회전의 180도에 대응하는 궤환펄스의 수와 같다). 한편, 속도지령 OVCMD는 시간 t4에 0이 된다. DA변환기(155)는 업·다운 계수기(153)의 내용에 비례하는 전압으로 된 위치 오차신호 PER을 출력하며 주축 전동기(102)는 신호 PER에 대응하는 속도로 정방향에서 계속 회전한다. 위치 제어에 따라서 업·다운 계수기(153)의 내용은 궤환펄스 FBP가 발생될 때마다 카운트 다운된다. 그 결과 DA 변환기(155)의 출력전압은 서서히 감소하며 주축 전동기(102)의 실제속도 AV 는 DA 변환기 출력에 따라 감소한다. 주축이 360-B도의 각도(약 180도) 로 회전할 때 계수기(153)의 내용이 0 이 되며(FR="1"), AND 게이트(159)는 정위치 완료신호 ORED를 NC장치(112)에 입력하여 정위치 제어동작을 완료한다.
상기 설명의 경우에서 정위치 지령 ORCM이 주축의 정방향 회전중 논리 "1"이 된다. 또 주축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중에 지령 ORCM이 논리 "1"이 되어도 제어동작은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 경우 실제 주축 속도 AV는 제5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변하여 주축(101)은 정확히 지령 회전 위치에 정지된다.
정위치 지령 ORCM이 논리 "1"이될 때 주축(101)이 정지한다 해도 제어동작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 경우 실제 주축속도 AV에서의 변화는 제6도에 보이고 있다.
상기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단 한 개의 주축 전동기가 지령 회전속도에서 주축이 회전될 수 있게하며 어떤 소정회전위치에 정지될 수 있게 한다. 단 한 개의 주축 전동기를 사용한다는 것은 장치의 가격뿐만 아니라 규모도 감소된다. 또한 NC장치를 수정할 필요도 없이 표준 NC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주축은 원점에 복귀되지 않고 정위치에 정지되며 정위치 제어동작이 주축 회전중에 행해진다 하더라도 주축이 일시적으로 정지하지 않고 정위치에 정지된다. 더우기 제어동작은 주축이 회전하는 방향에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이점은 주축이 위치를 잡는데 요하는 시간을 단축한다. 속도 제어가 소정각도까지 지령정지 위치에 단시간에 수행된 후 위치 제어가 소정점까지 작용되기 때문에 정확한 정위치 동작이 급히 진행된다. 더우기 정지위치 CP가 원점을 기준하여 지령되는 사실에 관계없이 원점감지가 필요없기 때문에 가격이 크게 감소된다. 각도 M은 위치 RTSP에서 원점 MRP까지 측정되지만 로타리 엔코더 등이 어떻게 장착되는가에 따라 다르며 각도 M에 대응하는 펄스의 수도 각도가 측정된 후 내부 스위치(151)에서 프리세트된다. 각도 M의 크기는 상기 지령과 제어동작중 고려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정지위치와 관련된 지령 및 제어동작이 간단해진다.
본 발명은 특별히 보다 나은 형태에서 설명되었지만 상기 지침면에서 볼때 여러 수정과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명백하다. 예로, 주축의 완전한 일회전중 1024 위치펄스를 발생하는 로타리 엔코더를 사용함으로써 4096 위치 펄스를 발생할 수 있으며, 제3도에 로타리 엔코더(105) 대신 4배회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내에 본 발명은 특히 설명된 바와 다른 실시가 있을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Claims (1)

  1. 주축을 소정의 회전위치에 정지시키는 주축 정위치 제어방치에 있어서, 주축을 구동하는 주축구동용 전동기와, 속도제어 회로를 갖고 이 주축을 지령속도에 따른 속도로 회전시키는 주축 제어장치에 주축의 회전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기와, 주축의 정지위치를 디지탈로 지령하는 정지위치 지령수단과, 주축의 회전위치와 주축 정지위치 사이의 오차가 영이 되도록 상기 주축 구동용 전동기를 구동하는 위치 제어 회로로 구성되여, 주축을 소정의 회전위치에 정지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축 정위치 제어장치.
KR1019810000578A 1981-02-23 1981-02-23 주축 정위치 제어장치 KR850000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578A KR850000311B1 (ko) 1981-02-23 1981-02-23 주축 정위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578A KR850000311B1 (ko) 1981-02-23 1981-02-23 주축 정위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590A KR830005590A (ko) 1983-08-20
KR850000311B1 true KR850000311B1 (ko) 1985-03-18

Family

ID=1922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578A KR850000311B1 (ko) 1981-02-23 1981-02-23 주축 정위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3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590A (ko) 198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51477B1 (en) Spindle orient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4879660A (en) Thread cutting machine with synchronized feed and rotation motors
US4353018A (en) Control system for synchronized operation of machine tool motors
US3573588A (en) Automatic feed control system for a machine
EP0034927B1 (en) Spindle orientation control apparatus
US4604560A (en)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with an emergency origin returning function
CA1219662A (en) Machine tool control
KR920007639B1 (ko) 태핑가공 제어장치
US4386407A (en) Lathe control system
EP0394459B1 (en) Device for confirming the tap operation in the rigid tapping
EP0071400A2 (en) Servo-controlled spindle drive system
KR850000311B1 (ko) 주축 정위치 제어장치
US4311945A (en) Deceleration method of driving source in location control
EP0245522B1 (en) Metering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US20030030400A1 (en) Machine too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4266170A (en) Safety arrangement for NC systems
JPH0258053B2 (ko)
EP0346476A1 (en) Spindle control method and numerical controller
JPH03161248A (ja) Nc旋盤用刃物台の割出し制御装置
EP0078855A1 (en) Numerical control device
JPH0343012B2 (ko)
JPH11156638A (ja) 数値制御装置
JPS6235907A (ja) 工作機械の制御装置
JP2740953B2 (ja) 主軸定位置停止制御装置
JP2654228B2 (ja) 数値制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