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249Y1 - 오오토바이 - Google Patents

오오토바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249Y1
KR850000249Y1 KR2019840009954U KR840009954U KR850000249Y1 KR 850000249 Y1 KR850000249 Y1 KR 850000249Y1 KR 2019840009954 U KR2019840009954 U KR 2019840009954U KR 840009954 U KR840009954 U KR 840009954U KR 850000249 Y1 KR850000249 Y1 KR 8500002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engine
valve
motorcycle
throttl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9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사무 오하라
Original Assignee
야마하 하쓰도오기 가부시기 가이샤
고이게 히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5118008A external-priority patent/JPS5744582A/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하쓰도오기 가부시기 가이샤, 고이게 히사오 filed Critical 야마하 하쓰도오기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40009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2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2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2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5/00Fuel tank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or engine-assisted cycles; Arrangemen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1/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 F02B61/02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for driv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1/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 F02B61/06Combinations of engines with mechanical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오토바이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예에 관한 오오토바이의 요부를 표시하는 절단 개략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에 따른 종단 정면도.
본 고안은 흡기통로에 흡기류양 조절용의 드로틀밸브를 구비함과 동시에 흡기통로의 드로틀뱀브 보다 하류측 부위에 연통하는 흡기 복스를 구비한 구비한 엔진을 탑재하여 된 오오토바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기통로에 흡기류양 조절용의 드로틀밸브를 구비한 엔진에 있어서는, 흡기 행정중에 연소실, 또는 크랭크실 내에서 생기는 부압을 흡기밸브를 통하여 흡기통로에 작용시켜 혼합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흡기 종료시에는 흡기밸브를 닫아서, 흡기통로와 연소실, 또는 크랭크실내를 차단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런 종류의 엔진에 있어서는, 드로틀밸브를 예를들면 1/2개도(開度)를 초과하게 되는 고개도(高開度)영역에서 운전을 하는 경우와 이 이하의 개도 영역일지라도 그속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엔진출력 성능이 저 하할때가 있으며, 이와같은 현상은 다음의 이유에 의하여 고려가 되는 것이다. 즉, 드로틀밸브의 고개도 영역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혼합기의 흡기류양이 많아서, 그 유동관성이 크며, 흡기밸브의 폐변시의 혼합기는 흡기밸브의 근방에 있어서 압축되는데 지나지 아니하며, 흡기통로의 상류에 있어서는, 항상 정상적으로 유동을 하고 있다.
이때문에, 흡기밸브의 폐변이 엔진에의 혼합기의 충전 요음에 영향을 주지 아니하며, 엔진의 출력을 저하 시키는 일이 없다. 이에 대하여 드로틀밸브의 저개도 영역에 있어서는, 혼합기의 흐름이 드로틀밸브에 의하여 제한이 되어 그 유동관성이 고개도 영역에 비교하여 적으며, 흡기흐름은 흡기밸브의 폐변에 따라서 정지한다. 이 간결 흐름 때문에, 그후의 온합기의 충전 효율을 저하시켜서 엔진의 출력을 저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드로틀밸브의 저개도 영역에 있어서, 엔진의 출력저하를 해소하기 위하여서는, 저개도 영역에 있어서 흡기밸브의 폐변시에 있어서도 혼합기이 흡기흐름을 남아있게 하는 것이 좋으며, 이에 대처하여 개발된 엔진이, 전술한 바와같이 흡기통로의 드로틀밸브 보다 하류측 부위에 연통하는 흡기복스를 구비하는 엔진이며, 이 엔진에 대하여서는 본 출원인이 이미 소 54-81752로 특히 출원한바 있다. 그리하여 이 엔진에 있어서는, 종래의 일반 엔진에 비하여 흡기복스를 여분으로 구비하기 때문에 이 엔진을 오오토바이의 한정된 스페이스에 탑재하는 경우, 흡기복스의 배설위치가 크게 문제가 된다.
본 고안은,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주 목적은, 흡기복스를 오오토바이의 기타의 구성부재의 배설에 하둥 영향 하는바 없고, 또한 오오토바이의 외관을 손상하지 아니하케 배설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제1도에는 본 고안의 일예에 관한 오오토바이의 요부가 표시되어 있다. 이 오오토바이에 탑재된 엔진(10)은, 크랭크실에 압축식 2행정 엔진이며, 엔진 본체(10a)와 기화기(10b)를 주요구성부재로 하고 있다. 엔진 본체(10a)에는, 실린더부(11)실린더 헤드부(12) 및 피스턴(13)에 의하여 연소실(R1)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소실(R1)의 상부에는 점화플러그(14)가 있다. 또한 기화기(10b)은 피스턴밸브(15)(드로틀밸브)를 구비하고, 스페이서(10c)를 개재하여 실린더부(11)에 이 흡기통로(P)는, 에어크리니(10d)와 실린더부(11)의 크랭크실(R1) 측에 연통되어 있으며, 흡기통로(P)의 개구단은 피스턴(13)과 관련하여 흡기밸브(V)를 형성한다. 또한, 흡기통로(P)에는, 그 개구단의 근처에 리이드밸브(16)가 배설되어 있다. 또한, 엔진 본체(10a)의 실린더부(11)에는, 연소실(R1)과 크랭크실(R2)을 연통 가능한 도시하지 아니한 배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엔진(10)은 오오토바이의 차체를 구성하는 다운츄우브(21)시이트피라츄우브(22)등으로 조립되어 있다. 그리하여, 에 엔진(10)은 흡기복스(10e)를 구비하고 있다. 이 흡기복스(10e)는, 합성수지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전후에는 평판상의 취부볼레키트(17a)(17b)가 돌설되며, 또한 이 전방하부에는 취부용 파이프(17c)가 돌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흡기복스(10e)는 전방의 취부볼레키트(17a)로서 차체를 구성하는 메인 파이프(23)에 취부되며, 또한 후방의 취부볼레키트(17b)로서 사이트 파이프(24)에 돌설한 취부볼레키트(24a)에 취부되어 있다. 한편, 메인 파이프(23)와 시이트 파이프(24)에는,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함과 같이 연료탱크(25)가 조립되어 있다.
이 연료탱크(25)는, 하면의 거의 중앙에 차체의 전후방향에 연장되는 요소(凹所)(25a)에 형성된 단면이 말굽형상의 것으로서, 요소(25a)내에는 메인파이프(23)를 삽통한 상태로서 메인파이프(23)와 시이트 파이프(24)에 조립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메인 파이프(23)시이트 파이프(24)상에 취부되어 있는 흡기복스(10e)는, 메이파이프(23)의 상부에서 연료탱크(25)의 요소(25c)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흡기복스(10e)는 그 취부용 파이프(17c)와 스페이서(10c)의 상부에 돌설된 취부용 파이프(18a)에 접속된 고무재의 접속관(18b)을 개재하여, 피스턴 밸브(15)와 리이드밸브(16)사이의 흡기통로(P)에 연통되어 있다. 또는 접속관(18b)은 그 외주에 배설한 급속제의 코일스프링(18c)에 의하여, 엔진열에서 보호되며, 또한 그 방향성을 규제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엔진(10)에 있어서는, 흡기통로(P)의 드로틀밸브(15)보다 하류측 부위에 연통하는 흡기복스(10e)를 구비하고 있으며, 엔진(10)의 운전중 흡기밸브(V)가 닫혀져서 엔진(10)의 흡기 행정이 종료한 후에도 기화기(10b)에 의하여 생성된 혼합기는 흡기복스(10e)내에 흐르며, 흡기밸브(V)가 다시 열릴때까지의 사이에, 그 유동관성을 유지할 수가 있다. 이결과, 흡기밸브(V)가 다시 열리면 유동관성을 구비한 흡기통로(P)내의 혼합기는 크랭크실(R2)내에 급속히 흡인되며, 동시에 흡기복스(10e)내의 혼합기도 취부용 파이프(18a)에서 가느다란 고속흐름의 상태로 크랭크실(R2)내에 흡인이 된다. 따라서, 드로틀밸브(15)의 저개도 영역에 있어서 흡기밸브(V)가 닫혀져 있는 사이에도, 흡기통로(P)내에 혼합기의 유동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크랭크실(R2)내에 충전효율을 높일수가 있으며, 충전효율의 저하에 원인이 있는 엔진(10)의 출력 저하를 개선할수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엔진(10)의 흡기복스(10e)를 메인 파이프(23)와 시이트 파이프(24)상에 부설하되 연료탱크(25)의 하면측 요소(25a)내에 배치하므로서 흡기복스(10e)는 오오토바이의 기타 구성부재의 배설에 하등의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며, 또 흡기복스(10e)는 연료탱크(25)의 하면측 요소(25a)내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오오토바이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배치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크랭크실에 압축식 2행정 엔진을 탑재하 오오토바이에 그 예를 표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실린더 헤드부에 흡배기 밸브를 구비한 4행정 엔진, 흡기통로에 버터플라이 밸브등의 드로틀밸브를 구비한 엔진등 각종 형식의 엔진을 탑재한 각종 형식의 오오토바이에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는, 흡기통로에 흡기류양 조절용의 드로틀밸브를 구비함과 동시에, 흡기통로의 드로틀밸브보다 하류를 부위에 연통하는 흡기복스를 구비한 엔진을 탑재하여서된 오오토바이에 있어서, 흡기복스를 오오토바이에 탑재한 연료탱크의 하면측 요소내에 배치한 것이 그 구성상의 특징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오토바이의 기타의 구성부재의 배설이 흡기복스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아니하며, 또한 오오토바이의 외관에 손상을 주지 아니한다.

Claims (1)

  1. 흡기통로(9)에 흡기류량 조절용의 드로틀밸브(15)를 구비함과 동시에, 흡기통로(9)의 드로틀밸브(15)보다 하류측부위에 연통하는 흡기복스(10e)를 구비한 엔진을 탑재한 오오토바이에 있어서, 흡기복스(10e)를 오오토바이에 탑재한 연료탱크의 하면측 요소(25a)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오토바이.
KR2019840009954U 1980-08-27 1984-10-11 오오토바이 KR8500002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9954U KR850000249Y1 (ko) 1980-08-27 1984-10-11 오오토바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118008A JPS5744582A (en) 1980-08-27 1980-08-27 Autobicycle
JP???118008 1980-08-27
KR810000125 1981-03-30
KR2019840009954U KR850000249Y1 (ko) 1980-08-27 1984-10-11 오오토바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925A Division KR830005473A (ko) 1980-08-27 1981-03-20 오오토바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249Y1 true KR850000249Y1 (ko) 1985-02-25

Family

ID=2731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9954U KR850000249Y1 (ko) 1980-08-27 1984-10-11 오오토바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2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8891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483282A (en) Intake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943923A (ja)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US5673655A (en) V-type engine
KR850000249Y1 (ko) 오오토바이
JP2741755B2 (ja) 空気燃料噴射式2サイクルエンジン
JPS6345354B2 (ko)
JPS637254B2 (ko)
JP3747803B2 (ja) 4サイクルv型エンジンを搭載した船外機
US1552327A (en) Gas engine
JPH05179971A (ja) 2サイクルエンジンのリード弁
JP2951071B2 (ja) 2サイクル多気筒エンジン
KR840001249B1 (ko) 내연기관의 흡기장치
JP2702666B2 (ja) 2サイクルエンジン
JPS6137790Y2 (ko)
JP2900270B2 (ja) 車両用エンジン
JP3117820B2 (ja) 予圧縮式2サイクル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S5842578Y2 (ja) 2サイクル内燃機関の給気装置
JPS6220621A (ja) 2サイクルエンジン
JP2726717B2 (ja) 2サイクル内燃機関の排気装置
JPH05179968A (ja) エンジン
JP3021157B2 (ja) 2サイクルエンジン
JPS6259210B2 (ko)
JPS6124665Y2 (ko)
JPS60184915A (ja) V型エンジンのブリ−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712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