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908Y1 - 비상유도등 - Google Patents

비상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908Y1
KR840002908Y1 KR2019820007495U KR820007495U KR840002908Y1 KR 840002908 Y1 KR840002908 Y1 KR 840002908Y1 KR 2019820007495 U KR2019820007495 U KR 2019820007495U KR 820007495 U KR820007495 U KR 820007495U KR 840002908 Y1 KR840002908 Y1 KR 8400029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lamp
triac
terminal
transistor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7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826U (ko
Inventor
박영순
이재구
Original Assignee
박영순
이재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순, 이재구 filed Critical 박영순
Priority to KR2019820007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908Y1/ko
Publication of KR8400018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8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9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908Y1/ko

Link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상유도등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1) : 전원트랜스 (T2) : 인버터트랜스
(TA1)(TA2) : 트라이악 (TR1)(TR2) :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정상 상태에서는 상용전원으로 점등되고 상용전원이 정전 되었을 때는 비상전원으로 자동전환되어 점등되는 비상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이러한 비상유도등에 관한 것이 있었으나 비상전원으로의 자동전환시 다접점계전기(Relay)를 사용하므로서 제조원가가 많이들고 계전기접점의 수명 및 기계적가동부의 작동불능으로 전원의 자동전환이 불가능 하거나 계전기 자체에서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원의 자동전환 및 점등회로에 반도체소자를 사용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트랜스(T1)의 1차측단자(1)(3)에 상용전원을 접속하고, 단자(2)(3)에는 정류다이오드(D1), 저항(R1)(R2), 콘덴서(C1)로 구성된 반파정류회로를 구성하고, 안정기(CH), 형광등(FL)의 전극(F1) 인버터트랜스(T2)의 2차측단자(8) 및 단자(6), 방전관(GL), 형광등(FL)의 전극( F2)트라이악(AT1)으로 구성된 통상의 상용전원 형광등 점등회로를 구성 하였으며, 트라이악(TA1)의 게이트(G)는트리거 동작이 되도록 하고, 트라이악(TA2)은 방전관(GL)과 병열로 접속하되 트라이악(TA2)의 게이트(G)는 저항 (R4)과 접속하여 인버터트랜스(T2)의 2차측 중간단자(7)에 접속하였다.
전원트랜스(T1)의 2차측단자(4)(5)에는 정류다이오드(D2)(D3)를 각각 접속하고 센터탭(CT)을 접지하여 양파정류회로를 구성하여 저항(R3), 다이오드(D4)로 구성된 축전지(E) 충전회로 및 저항(R6), 콘덴서(C6)로된 충방전회로 를구성하였으며,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를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인버트랜스(T2)의 1차측단자(10)에는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를 접속하고, 단자(11)에는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를 접속하고, 단자(9)에는 콘덴서(C5)를 접지하고,저항(R5)을 접속하여 단자(12)와 축전지(E)의단자에 접속 하였다.
단자(12)에는단자가 접지된 축전지(E)와 콘덴서(C4)의단자를 각각 접속하고,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는 다이오드(D5)를 저항(R6)에 접속하여 정류다이오드(D2)(D3)에 접속하였다.
미설명부호 (F)는 휴즈, (P)는 플러그, (C2)(C7)은 콘덴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원트랜스(T1)의 1차측에 상용전원전압이 인가되면 2차측단자(4)(5)에 유도된 전압은 다이오드(D2)(D3)에 의해 양파정류도어 콘덴서(C6)에는 약 15V의 전압이 도면에 극성으로 충전되며, 축전지(E)에는 저항(R3)을 통하여 약 6V의 전압이 충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 전압이 에미터단자 전압보다 높기 때문에 트랜지스터(TR1)는 차단상태이고 따라서 트라이악(TA2)의 게이트(G)에는 트리거 전압이 없으므로 트랜지스터(TR2)도 차단된 상태이므로 인버터트랜스(T2)는 작용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트라이악(TA2)은 차단상태에 있다.
전원트랜스(T1)의 1차에는 상용전원이 인가되어 있으므로 정류다이오드(D1)에 의해 반파정류된 전압은 콘덴서(C1)를 도면과 같은 극성으로 충전하게 되고, 트라이악(TA1)의 게이트(G)를 트리거 하여 트라이악(TA1)은 도통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용전원은 안정기(CH), 형광등(FL)의 전극(F1) 인버터트랜스(T2)의 2차측단자(8)(6), 점등관(GL), 형광등(FL)의 전극(F2)으로 구성된 통상의 형광등 점등회로가 형성되어 형광등(FL)이 점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콘덴서(C1)에 충전된 전하는 저항(R1)을 통하여 방전되어 소멸되므로 트라이악(TA1)은 차단되고, 형광등(FL)은 소등되게 된다.
이때 콘덴서(C6)에 충전된 전하도 저항(R6)을 통하여 방전되어 소멸되므로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전위는 에미터의 전위보다 낮아지게 되어 트랜지스터(TR1)는 도통상태가 되고 따라서 트랜지스터(TR2)도 도통되어 인버터트랜스(T2)의 1차권선과 저항(R2) 및 콘덴서(C3)(C4)(C5)에 의한 고주파발진을 하게된다.
이와 같이되면 인버터트랜스(T2)의 2차권선에는 전압이 유기되어 형광등(FL)의 전극(F1)(F2)에는 고주파유기전압이 인가되고, 2차권선단자(6)(7) 사이의 유기전압은 저항(R4)을 통하여 트라이악(TA2)을 트리거시켜 주게 되므로 트라이악(TA2)은 도통상태가 되어 형광등(FL)이 점등되는 것이다.
이때 점등관(GL)은 트라이악(TA2)이 도통상태에 있으므로 비상전원에 의한 형광등(FL)의 점등시에는 회로의 동작에는 무관하며, 트라이악(TA1)은 차단상태이고, 안정기(CH)는 고주파수의 발진전압이 상용전원선로에 누설되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콘덴서(C2)는 트라이악(TA1)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다이오드(D5)는 역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상용전원에서 비상전원으로 자동전환되는 회로를 반도체소자로 구성하여 정상상태에서는 상용전원으로 형광등이 점등되고, 상용전원이 정전되었을 경우 비상전원으로 자동전환되어 형광등을 점등하는 회로에 다접적 기계식 계전기가 아닌 반도체 스위치소자를 사용함에 따라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정상동작시 불필요한 전력손실을 줄일 수 있는 등의잇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상용전원에 의한 형광등 점등회로와 정전시 비상전원에 의한 형광등 점등회로의 자동전환을 반도체소자트라이악(TA1)(TA2)으로 하고, 비상전원에 의한 형광등 점등회로의 제어 및 발진회로에는 공지의 트랜지스터(TR1)(TR2)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유도등.
KR2019820007495U 1982-09-22 1982-09-22 비상유도등 KR8400029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7495U KR840002908Y1 (ko) 1982-09-22 1982-09-22 비상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7495U KR840002908Y1 (ko) 1982-09-22 1982-09-22 비상유도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826U KR840001826U (ko) 1984-05-17
KR840002908Y1 true KR840002908Y1 (ko) 1984-12-29

Family

ID=72147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7495U KR840002908Y1 (ko) 1982-09-22 1982-09-22 비상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9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826U (ko) 198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2988A (en) High frequency ballast circuit
JPH0521182A (ja) 放電灯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US4500812A (en) Electronic ballast circuit
KR840002908Y1 (ko) 비상유도등
JP3607428B2 (ja) 蛍光ランプ点灯装置
GB1505031A (en) Circuit arrangement including a discharge lamp
KR870000658Y1 (ko) 유도등의 전원공급 장치
JPS6255280B2 (ko)
JP3763837B2 (ja) 蛍光ランプ点灯装置
JPH047650Y2 (ko)
JP2932562B2 (ja) 充電装置
JPS6335078B2 (ko)
SU40006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итания ртутных ламп
KR940009509B1 (ko) 형광등용 전자식 점등장치
SU162470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жигани люминесцентной лампы с подогревными электродами
KR870003117Y1 (ko) 착화표시를 구비한 연소기의 자동 방전정지장치
KR890000059B1 (ko) 연산제어 기능을 갖는 집어등 안정기
RU1805554C (ru) Электронный стартер дл зажигани люминесцентных ламп с электродами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подогрева
JPS63244589A (ja) 放電灯点灯装置
JPH0224239Y2 (ko)
JPS5854799Y2 (ja) 非常灯点灯装置
JPH0150297B2 (ko)
SU107066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ключени силового тиристора
KR890004860Y1 (ko) 교류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회로
JPH031480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