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747Y1 - 전기 케이블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케이블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747Y1
KR840002747Y1 KR2019840010684U KR840010684U KR840002747Y1 KR 840002747 Y1 KR840002747 Y1 KR 840002747Y1 KR 2019840010684 U KR2019840010684 U KR 2019840010684U KR 840010684 U KR840010684 U KR 840010684U KR 840002747 Y1 KR840002747 Y1 KR 8400027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plate
nipple
binding elemen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0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레제 엑칼트
귄텔 볼프
붓덴지이크 빌리
Original Assignee
카아벨메탈 엘렉트로 게엠베하
균스테르 아아렌스
에베르 하프트멘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803023257 external-priority patent/DE3023257A1/de
Application filed by 카아벨메탈 엘렉트로 게엠베하, 균스테르 아아렌스, 에베르 하프트멘데 filed Critical 카아벨메탈 엘렉트로 게엠베하
Priority to KR2019840010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7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7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7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2Stranding-up
    • H01B13/0214Stranding-up by a twisting pay-off devic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케이블의 제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장치에 사용하는 결속(結束) 유니트의 약도.
제2도는 안내원판 또는 유공원판의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장치의 약도.
본 고안은 간격을 두고 교대로 변하는 권회방향으로 결속되는 결속요소를 지닌 전기케이블의 제조장치로서, 결속요소를 통하기 위한 결속요소에 대응한 수의 구멍을 가진 안내원판과, 반전가능한 전동기로 구동되며 그 구멍을 통하여 안내원판의 구멍을 통해 안내된 결속요소를 안내할 수 있는 회전 가능토록 지지된 유공(有孔)원판과, 그 둘레에 결속요소를 권부하여 안내하고, 미끄러운 표면을 지니며 안내원판과 유공원판 사이에 설치한 관과, 유공원판에서 도출된 결속요소를 집합하는 결속니플을 가진 결속유니트로 이루어지는 전기케이블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 케이블이란 통신케이블, 복심선 전선 또는, 플렉시블 코오드이다. 따라서 결속요소란 심선, 대선(對線), 4선 또는 속선(束線)인 것이다. 교대로 권회방향(SZ-결속)의 결속은 동일 권회방 향의 통상의 결속법에 비하여, 인출 스푸울을 회전시킬 필요가 없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스푸울을 회전시키는 것은 결속물의 인출 길이를 한정하고 자주 발생하는 상당한 원심력을 고려한다면 스푸울의 크기에 제한을 줄 필요가 있다. SZ-결속은 인출속도를 높여서 연속 제조를 행하는 것을 가능토록 한다.
독일(DE) 연방공화국 제2262705호 공개공보에는 SZ-결속 케이블의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결속요소는 고정된 안내원판과 회전 가능한 유공원판 사이로 호오스내에 안내되며, 이 호오스는 저마찰계수의 재료로서 형성되어 있다. 호오스에 의하여 개개의 결속요소의 비틀림이나 내지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호오스 내에서 결속요소를 안내하기에는 결점이 있다.
그 이유로는, 개개의 결속요소를 긴 길이에 걸쳐 통과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한 마모가 비교적 크고, 호오스를 자주 교환할 필요가 생긴다. 또, 호오스가 있어도 특히 안내원판과 유공원판과의 간격이 클때에 발생하는 비틀림 내지는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가 없다.
독일(DE)연방공화국 특허 제2615275호 명세서에 있어서, SZ-법에 의하여 결속된 결속요소를 가진 케이블의 제조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장치는 고정배치한 안내원판과 회전 가능한 유공원판으로 이루어지며, 유공원판은 천공링에 의하여 둘러 쌓여 있다.
양원판사이에는 2개의 인출방향으로 뻗어 있는 관이 비교적 큰 간격을 가지고 상호 동심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 결속요소가 2개의 위치에서 상하로 포개진 케이블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이 결속요소는 일부 양관 사이를 일부외측 관둘레에서 외측을, 또한 양원판의 대응한 구멍을 통하여 안내된다. 이 주지된 장치는 케이블의 제조에시만 한정되며, 그때 케이블의 결속요소는 층모양으로 상하로 포개어져서 설치된 것으로 된다.
통신용 케이블로는 보통인 것이며, 또 예컨대 독일(DE) 연방공화국 특허 제1515812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것 같은 결속 케이블은, 이 주지된 장치로는 제조할 수 없다. 또한, 결속요소의 각층을 표시하는 때에는, 예컨대 착색된 실을 감아줌으로서만 가능한 것이되며 이것은 곤란한 가공이기도 하다.
독일(DE) 연방공화국 제2411151호 공개공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장치로서 SZ-법으로 결속요소의 외측층을 동일한 피치로 결속한 결속요소에서 이루어지는 심재 둘레에 에워쌓고 설치하여, 이 심재를 고정배치 안내원판과 회전 가능한 유공원판과의 사이에 설치한 중앙관에 통한다.
이 주지의 장치로는, 관을 통하여 안내된 심재둘레를 반전하는 피치(권회방향)의 결속요소의 외측층만으로 포위 결속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는 선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의 모든 결속요소를 간단히 SZ-법으로 결속할 수 있는 방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동시에 모든 세속선(細束線)에 그 전장에 걸쳐서 개별포시를 설치하는 것도 보증한다.
이 목적을 달성키 위해 본 발명은 상기한 방식에 의한 장치로 다음과 같이하여 해결한다. 케이블의 인출방향으로 보아 결속 요니트의 전방에 결속 유니트와 똑같이 구성된 안내원판, 관, 유공원판, 결속니플을 갖춘 적어도 2개의 결속 그룹을 상호 평행으로 설치하고, 이에 적어도 1개의 심선을 지닌 결속요소를 공급하여, 그 결속 니플에서 결속유니트용의 결속요소를 돌출하는 것과 각 결속유니트의 유공원판과 결속니플 사이에 태핑장치를 설치하고 있는 것과, 모든 결속의 유공원판을 공통된 반전 가능한 전동기에 의하여 구동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으로 해결한다. 이 장치로 간단하게 하나의 가공 공정으로 그 전체의 결속요소를 SZ-법으로 결속된 세선결속 케이블을 제조할 수 있다. 결속 그룹에 나타난 결속요소는 SZ-결속 되며, 또 결속요니트로 동시에 똑같이 SZ-결속된다.
모든 결속 그룹이 동일하게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단일의 전동기로 구동되므로, 장치를 특히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결속 그룹에서 도출되는 각 결속요소는 그 태핑장치로 고유표시를 설치한다. 더우기 개개의 결속요소에는 예컨대, 각기 상이한 색의 밴드를 감을 수도 있다.
다음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낸 결속유니트(1)는 고정배치한 안내원판(2)과, 본 고안에 의한 장치로 제조된 케이블(3)의 인출방향으로 뻗어 있는 관(4)과, 회전가능도록 설치한 유공원판(5)과 결속니플(6)로서 이루어진다. 케이블(3)의 인출방향은 화살표(7)로 나타내고 있다. 유공원판(5)은 회전가능하게 축받이(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유공원판(5)은 반전가능한 전동기(10)에 의하여 화살표(9)의 양쪽방향으로 회전된다.
안내원판(2)은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공원판(5)과 똑같이 외주에 분배된 구멍(11)을 갖추고 있다. 이 구멍(11)을 통하여 가공하는 결속요소(12)를 안내하고 있다. 제1도에서는, 명확히 하기 위해서 2개의 결속요소만을 나타내고 있다. 관(4)은 고정배치한 관으로서 안내원판(2)에 고정할 수 있으나 유공원판(5)에 고정하여 이것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도 좋다. 관(4)은 특히 될 수 있도록 미끄러운 표면의 강재로서 이루어진다. 마찰을 줄이기 위해 관에 마찰감소재료로 라이닝하여도 된다.
제1도의 결속 유니트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안내원판(2)을 통하여 결속요소(12)가 안내되고, 이것을 이어서 유공원판(5)의 구멍과 결속니플(6)을 통하여 화살표(7)방향으로 인출된다. 인출중에 유공원판(5)은 일정한 교대로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경우 유공원판(5)은 양 쪽방향으로 각기 8회전하여 원상으로 복귀하므로, 제1도에 점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결속요소(12)는 관(4)둘레에 4개의 코일을 형성한다. 이 다음, 유공원판(5)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결속요소의 감겨진 코일이 되감겨지며, 또 역방향의 4개의 코일이 형성된다. 결속요소는 유공원판(5)의 바로 뒤에 설치된 결속니플(6)로 집합되므로 이결속공정에서 발생한 SZ-형은 소거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의한 장치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1도에 나타낸 1개의 결속유니트(1)와 이 결속유니트(1)와 똑같이 구성된 4개의 결속 그룹(13)으로서 이루어진다. 이 결속 그룹은 케이블의 화살표(7)로 표시한 인출(취출)방향에서 보아 결속유니트(1)의 전방에 배치되고, 이 결속 그룹에서 나온 결속요소(12)는 결속유니트(1)에 공급된다. 결속유니트의 니플(6)에서 제작된 케이블(3)이 도출된다. 이 케이블은 경우에 따라, 다른 같은 케이블과 같이 하나의 케이블심선에 집합시킬 수도 있다. 결속 그룹(13)은 결속유니트와 전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결속 그룹 각각에는 결속유니트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전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다수의 인출장치, 예컨대 인출 스푸울에서 결속요소의 수에 비하여 적은 심선의 수로 4개의 결속 그룹(13)의 안내원판(2)의 구멍(11)을 통하여 결속요소(15)가 안내된다. 인출스푸울(14)은 고정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나 플랜지상에 올려져 설치 되거나, 통모양의 용기이다. 결속요소(15)는 관(4)을 통과한 후 유공원판(5)에 답하고, 구멍(11)을 통과시켜 이어서 다시금 니플(6)을 통하여 안내된다. 본 고안에 의한 장치를 작동할 때 결속 그룹의 유공원판(5)과 경우에 따라 관(4)과는 공통된 전동기(16)로 구동된다.
이 구동은 예컨대 벨트(17)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여기서, 소정의 회전수가 되면 회전방향이 반전하므로, 결속요소는 서로 반전하여 결속된다 결속그룹(13)의 결속니플(6)에서 결속요소(12)가 인출되고, 결속요소(12)에는 결속요소(15)가 SZ-법으로 상호 결속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4개의 결속요소(12)가 하나의 케이블(3)에 상호 일체화 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 결속요소는 태핑장치(18)에 의하여 표시한다. 이 태핑장치에 이하의 각각의 결속요소 둘레에 니플(6)내에서 각기 상이한 색의 테이프(밴드)를 감아줄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결속요소(15)는 심선, 2선, 3선 또는 소선으로, 이들을 상호 결속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장치는, 제3도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결속 그룹(13)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결속 그룹의 수는 임의로 해도 좋으나 적어도 2개의 결속그룹이 필요하다. 이 장치로, 각 결속그룹(13)에 인출스푸울(14)에서 4개의 단선(결속요소 15)을 공급하는 경우, 예컨대 소선이 제조 가능하다. 이 경우, 결속그룹(13)에서 4개의 선(결속요소 12)이 도출되고 이들이 결속 유니트(1)로 소선(케이블, 3)에 결속된다. 이경우, 특히 공통된 1개의 지지틀에 설치한 5개의 결속그룹(13)을 사용하고 있다.
또, 결속그룹의 유공원판(5)은 상이한 회전수로 구동된다. 이 장치로 결속그룹(13)이 인출 스푸울(14)에서 결속요소(15)로서 속으로된 소선의 공급을 받을 경우 주속선 및 케이블(심선)도 제조할 수 있다. 이경우, 결속 그룹(13)에서 주속선(결속요소)(12)이 도출되며 이것이 결속유니트(1)로 케이블(3)에 결속된다. 결속그룹(13)의 유공원판(5)은 공통된 전동기(16)에 의해 구동된다. 이 경우, 모든 결속군에 있어서 회전방향을 동일하게 하여도 된다. 그러나 벨트(17)를 설치하여 2개의 결속 그룹의 유공원판(5)을 역회전방향으로 구동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결속 그룹(13)의 유공원판(5)을 각기 상이한 회전수로 구동시킬 수도 있다.

Claims (1)

  1. 간격을 두고 교호로 변화하는 결속방향으로 결속되는 결속요소를 지닌 전기케이블의 제조장치로서, 상기 결속요소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결속요소의 수에 대응하는 구멍을 가진 고정된 안내원판과, 상기 안내원판의 구멍을 통하여 안내되는 결속요소를 관통시키는 구멍을 가졌으며, 가역운전가능한 전기 모우터에 의해서 구동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유공원판과 상기 고정된 안내원판과 회전 가능한 유공원판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그 표면에 상기 결속요소를 감아붙여서 안내하도록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관과, 상기 유공원판으로 부터 취출되는 결속요소를 집합하기 위한 결속 니플로 구성되는 결속유니트를 구비한 전기케이블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케이블(3)의 취출방향으로 부터 보아서 상기 결속유니트(1)의 전단에는 안내원판(2), 관(4), 유공원판(5) 및 결속니플(6)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결속유니트(1)와 동일구조를 가진 적어도 2개의 결속그룹(13)이 서로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결속그룹(13)에 적어도 1개의 심선을 가진 결속요소(15)가 공급되는, 또한 상기 결속 그룹(13)의 이 결속니플(6)로 부터 상기 결속유니트(1)를 위한 결속요소(12)가 취출되는 것과, 상기 개개의 결속요소에 테이프를 감아 붙이므로써 기계적으로 보지되기 때문에 상기 각 결속그룹(13)의 유공원판(5)과 결속나플(6)과의 사이에 테이프 감아붙이는 장치(18)가 설치되는 것, 및 상기 개개의 결속그룹(13)의 유공원판(5)이 공통의 전기모우터(16)에 의해 같은 회전 수 혹은 상이한 회전수로 또한 같은 방향, 혹은 상이한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케이블의 제조장치.
KR2019840010684U 1980-06-21 1984-10-26 전기 케이블의 제조장치 KR8400027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0684U KR840002747Y1 (ko) 1980-06-21 1984-10-26 전기 케이블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03023257 DE3023257A1 (de) 1980-06-21 1980-06-21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elektrischen kabeln
KR1019810001404A KR830005683A (ko) 1980-06-21 1981-04-23 전기 케이블의 제조장치
KR2019840010684U KR840002747Y1 (ko) 1980-06-21 1984-10-26 전기 케이블의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1404A Division KR830005683A (ko) 1980-06-21 1981-04-23 전기 케이블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747Y1 true KR840002747Y1 (ko) 1984-12-17

Family

ID=2718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0684U KR840002747Y1 (ko) 1980-06-21 1984-10-26 전기 케이블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7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874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anding cable
DK168251B1 (da) Fremgangsmåde samt produktionslinie til fremstilling af lyslederkabler med korer, der er forsynet med åbne spiralformede riller.
US4612759A (en) Method of and device for providing a concentric layer of wire material on a cable
US3091074A (en) Apparatus for producing communication cables
KR840002747Y1 (ko) 전기 케이블의 제조장치
US3753342A (en) Apparatus for winding up wire, strand, cable or the like
GB22190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an umbilical
US4359860A (en) Making electrical cable
JP2835827B2 (ja) 電線撚り機
US3980242A (en) Coil winding machine for toroidal cores employing core holder assembly
US3763899A (en) Wire twisting device
US3141285A (en) Machine for making rope
US4677816A (en) Stranding machine
US535566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 reverse stranding and longitudinal strip winding of cables
US1813197A (en) Cable forming apparatus
US2316613A (en) Strand handling apparatus
US3302380A (en) Cord twister
KR20000027196A (ko) 개선된 테이핑 시스템을 갖는 선재집합기
JP2546675B2 (ja) テ−プ型光ファイバ−ケ−ブルの製造装置
JP2003242845A (ja) 素線の長さの等しい通信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S59124655A (ja) フライヤ−を用いて巻きつけられた線状物体をさらに加工するための方法
GB2052585A (en) Strand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Steel Cables, Particularly Steel Cord
SU591941A1 (ru) Проволокопрот жный механизм
JPS5930438A (ja) 撚線の製造方法
JPH11142704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