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695Y1 - 푸시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695Y1
KR840002695Y1 KR2019810005167U KR810005167U KR840002695Y1 KR 840002695 Y1 KR840002695 Y1 KR 840002695Y1 KR 2019810005167 U KR2019810005167 U KR 2019810005167U KR 810005167 U KR810005167 U KR 810005167U KR 840002695 Y1 KR840002695 Y1 KR 840002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able contact
case
pushbutton
contac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5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로오 곤도오
미즈다겐
Original Assignee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 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 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10005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6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6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5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with means to ensure stopping at intermediate operative position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푸시버튼 스위치
제 1도는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의 단면도,
제 2도는 본고안에 관한 푸시버튼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제 3도(a) 내지(d)는 본 고안에 관한 푸시버튼 스위치의 동작을 단면도로서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푸시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박형화(薄型化)가 가능함과 동시에 경쾌한 절환 감촉을 얻을 수 있는 순간 동작의 푸시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순간 동작의 푸시버튼 스위치로서는 여러가지 구조가 제안되어 실용화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순간 동작의 푸시버튼 스위치는 제 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이 풍부하고 도전성이 얇은 금속판을 만곡형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가동접편(11)의 접점부(11a)와, 고정접편(12), (13)의 고정접점부(12a)(13a)를 서로 대향하도록 케이스(14)에 설치하고, 푸시버튼(15)의 압압 동작에 의해 상기 가동접편(11)을 반전 동작시켜 그 가동접편(11)의 접점부(11a)와 고정 접점부(12a), (13a)간을 서로 접촉시켜 이것에 의해 스위치 회로를 ON시키는 것이다. 또 푸시버튼(15)의 압압을 해제시키면 가동접편(11)의 탄성력에 의해 푸시버튼(15), 접점부(11a)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스위치 회로를 OFF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순간 동작의 푸시버튼 스위치에 있어서는 가동 접편(11)의 거의 중앙부를 그 접편의 판두께 방향에서 압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스위치의 커지는 경향이 있어 기기를 소형화하는데 장해가 되어 있었다. 그리고 이 결점은 특히 다기능화에 의해 스위치의 사용수가 증가하는 만큼 현저하게 나타난다.
또 종래의 순간 동작의 푸시버튼 스위치에 있어서는 가동접편을 판두께 방향에서 압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반전부(反轉部)에 반전동작이 손가락에 전해지지 않고 절환감촉이 약했다.
따라서 본고안의 목적은 박형화(薄型化)가 가능함과 동시에 경쾌한 절환 감촉이 얻어지고, 또한 신뢰성이 높은 푸시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도는 본 고안에 관한 푸시버튼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제 3도는 본 고안에 관한 푸시버튼 스위치의 동작을 단면도로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면중 21은 합성수지를 금형내에 인서어트(insert) 성형하여 얻어진 케이스인데, 일측면에 있어서 개방된 요(凹)부(21a)와, 개구부(21b)와, 그 개구부와 대향하는 측벽(21c)에 단면 <형으로 형성된 홈부(21d)와 후술하는 고정접점이 표면에 노출하도록 고정되는 저부(21e)와, 네구석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커버 취부용의 지주(21f), (21f), (21f), (21f)와 돌출부(21g), (21g)등을 가지고 있다. 22,23에 고정 접편으로써, 케이스(21)의 저부(21e) 표면에 노출하는 고정 접점부(22a), (23a)와, 외부 접촉단자(22b), (23b) 등을 가지고 있다. 또 고정접편(22), (23)은 금형내에 설치한 후 합성 수지를 인서에트 성형 함으로써 케이스 성형과 동시에 그 케이스에 고정된다. 24는 탄성이 풍부한 도전성의 얇은 금속판을 블랭킹(blanking)하여 일체로 형성한 가동 접편으로서 중앙부를 복수로 분할하고, 또한 산(山) 형상으로 절곤하여 형성한 설편(24c), (24c)을 설치한 가느다란 폭의 가동 접점부(24d)와, 그 접점부(24d)의 양측에 평행으로 형성한 1쌍의 연결부(24a), (24a)와 그 연결부의 각각 양 단부를 연결하는 반달 모양의 아암부(24e), (24e')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아암부(24e), (24e')는 상기 접점부(24d)의 설편(24c)의 절곡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시켜 거의 만곡형상으로 가공이 실시되고, 또 연결부(24a), (24a)는 접점부(24d) 및 아암부(24e), (24e')와 연결하여 기부(基部)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에 대하여 다소 강성(剛性)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만곡돌출 방향으로 약간 경사지게 하여 절곡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결부(24a), (24a)는 아암부(24e), (24e')로 화살표방향으 힘을 증가시킴에 따라 만곡 돌출 방향으로 반전하여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25는 슬라이더이며 푸시버튼부(25a)와 케이스(21)에 설치한 돌출부(21g), (21g)에 걸리는 절결부(25b), (25b)와 턱부(25c)를 가지고 있다. 또 절결부(25b), (25b)의 길이(lc)는 돌출부(21g), (21g)의 길이(lp)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25)는 Ic-Ip만큼 케이스(21)의 요(凹)부(21a) 내를 전·후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 턱부(25c)에는 가동접편(24)의 한쪽의 아암부(24e')가 걸린다. 26은 케이스(21)의 상부를 덮는 커버이며 케이스(21)에 형성한 지주(支柱)(21f), (21f), (21f), (21f)에 삽입되는 구멍(26a), (26a), (26a), (26a)이 내구석에 형성되어 있다. 또 미리 케이스(21)의 상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놓은 후 각 구멍(26a)을 각 지주(21f)에 삽입하여 커버(26)를 케이스(21)상에 올려 놓음으로써 그 커버(26)를 케이스에 고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고안에 관한 푸시버튼 스위치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인서어트 성형에 의해 케이스(21)를 성형함과 동시에 고정접편(22), (23)을 케이스에 일체로 고착시킨다.
다음에 가동접편(24)의 한쪽의 아암부(24e)를 케이스(21)에 형성한 홈부(21d)에 걸어서 조립한다.
그런후 슬라이더(25)를 케이스(21)의 요(凹)부(21a)의 개구부(21b)에 배치하여 가동접편(24)의 다른쪽의 아암부(24e')를 슬라이더(25)의 턱부(25c)에 건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25)를 가동접편(24)의 압압방향으로 약간 폐어 넣어 절결부(25b), (25b)를 케이스(21)의 돌출부(21g), (21g)에 건다. 이것에 의해 산(山) 형상으로 형성한 가동접점부(24d)의 중앙부는 슬라이더(25)의 뒷면에 폐착시킨다. 또 슬라이더(25)는 가동접편(24)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외측으로 힘이 작용하고 있으며 또 푸시버튼부(25a)는 케이스(21)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다음에 커버(26)의 구멍(26a), (26a), (26a), (26a)을 케이스(21)의 지주(21f), (21f), (21), (21f)에 끼워 넣어 그 커버(26)를 케이스(21) 상면에 올려놓고 접착제로 고정시키면 본 고안에 관한 푸시버튼 스위치가 완성된다(제 3도(a)).
다음에 본 고안에 관한 푸시버튼 스위치의 작용을 제 3도에 따라 설명한다.
푸시버튼부(25a)의 비압압상태(제 3도(a)에 있어서 가동접편(24)의 아암부(24e), (24e')는 각각 케이스(21)의 홈부(21d)와 슬라이더(25)의 턱부(25c)에 걸려있기 때문에 슬라이더(25)는 외측(화살표 A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그 슬라이더(25)는 가장 왼쪽 끝의 위치에 위치하여 가동접점부(24d)는 고정접편(22), (23)의 고정접점부(22a), (23a)와 비접촉이 되어 스위치는 OFF의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푸시버튼부(25a)를 제 2도 화살표 B방향으로 압압하면 가동접편(24)의 아암부(24c), (24e')는 화살표 C방향으로 구부러진다(제 3도(b)).
그리고 또 푸시버튼부(25a)를 화살표 B방향으로 압압하면 가동 접편(24)의 연결부(24a), (24a)가 순간적으로 화살표 C방향으로 반전한다.
이때 연결부(24a), (24a)는 약간 경사지게 절곡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 B방향의 압압에 대하여 강성을 증가시키고 있기 때문에 C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압출력이 작용하지 않는한 상기 가동 접점부(24d)는 이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압압력이 축적되어 어느 한계값을 넘으면 연결부(24a), (24a)의 거의 중앙에서 굴곡하여 급격하게 반전한다. 그리고 이 반작용에 따라 가동접점부(24d)도 급격하게 상기 C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가동 접점부(24d)의 설편(24c), (24c)이 각각 고정 접점부(22a), (23a)에 가동 접편(24)의 반발력으로 압접(壓接)되어 스위치는 ON의 상태가 된다(제 3도 (c)).
이 상태에서 또 푸시버튼부(25a)를 압압하면 제 3도(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접점부(24d)의 설편(24c), (24c)이 고정 접점부(22a), (23a)에 압접된채 설편(24c), (24c)의 탄성이 제한될때까지 변형하면서 접동한다. 또 슬라이더(25)의 가동 범위는 절결부(25b), (25b)와 돌출부(21g), (21g)의 길이(lc), (lp)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푸시버튼부(25a)의 압압이 끝난 상태에서 압압력을 해제 시키면 상술한 과정과는 역숙으로 제 3도(a)의 상태로 복귀되어 스위치는 OFF의 상태로 된다.
이상 본 안에고 의하면 가동 접편을 탄성이 풍부한 도전성의 얇은 금속판을 산(山) 형상 또는 거의 만곡형상의 가공을 실시함과 동시에 그 양측에 1쌍의 압압방향과 평행으로 연결부를 설치하고 또 그 연결부에 절곡 가공을 실시하여 압압력에 대하여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압압조작의 압압력은 일단 축적되기 때문에 반전 작용에 의한 절환절도감각이 일층 선명하게 얻어진다. 또 가동접편은 축적된 압압력에 의해 일거에 반전하기 때문에 접점부가 떨어지는 시간을 종래에 비하여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접점부가 접촉할때 발생하는 아아크 등의 전기적 손상을 경감하고, 안정된 접촉보 전할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접점 구조를 가지는 박형(薄型)의 푸시버튼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중앙부에 설변(24c)을 설치한 접점부(24d)와, 그 접점부의 양측에 평행으로 형성하는 한편 강성을 보전시키기 위한 절곡 가공을 실시한 연결부(24a)와, 그 양 연결부의 양단부를 접속하는 아암부(24c), (24e')를 탄성이 풍부하고 도전성의 얇은 금속판으로 일체로 형성한 가동접편(24)과, 상기 한쪽의 아암부와 걸리는 걸림부(21d)를 가진 케이스(21)와, 그 케이스 내에 고정한 고정접점(22a), (23a)과 푸시버튼부(25a)와 상기 다른쪽 아암부에 걸리는 걸림부(25c)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에 전·후진이 자유롭게 장착한 슬라이더(25)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접편의 각 아암부를 서로 대응하는 걸림부에 거는 동시에 접점부를 고정 접점부에 대향시켜, 상기 푸시버튼부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가동접편의 상기 연결부를 반전시켜 접점부와 고정 접점간의 전기적 도통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KR2019810005167U 1980-11-08 1981-07-22 푸시버튼 스위치 KR8400026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5167U KR840002695Y1 (ko) 1980-11-08 1981-07-22 푸시버튼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9695 1980-11-08
KR2019810005167U KR840002695Y1 (ko) 1980-11-08 1981-07-22 푸시버튼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695Y1 true KR840002695Y1 (ko) 1984-12-15

Family

ID=19222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5167U KR840002695Y1 (ko) 1980-11-08 1981-07-22 푸시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6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4042A (en) Snap action push button switch
US2966560A (en) Slide switch
US4506119A (en) Snap action slide switch with wiping action
US5017747A (en) Microswitch
US6756554B1 (en) Tact switch
US4311884A (en) Miniature sealed dual-in-line switch
US3415962A (en) Miniature precision snap action switch with one-piece stressed blade construction
US4056700A (en) Keyboard assembly momentary contact push button switch with tactile action
US4405845A (en) Push-button switch
US4904832A (en) Microswitch
US3671693A (en) Rocker switch
US6037552A (en) See-saw button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KR840002695Y1 (ko) 푸시버튼 스위치
US4588877A (en) Push-button switch
US4659157A (en) Stamped circuitry assembly
US4426559A (en) Push button switch having two resilient contacts operated at different times
US4249053A (en) Push button switch
KR920003203B1 (ko) 푸시버튼스위치
US4361743A (en) Lost motion keyswitch
US4926012A (en) Miniature electric switch designed to be used in particular in printed circuits
US4398070A (en) Two-motion push-button switch
US3548132A (en) Miniature precision snap action switch with wiping contact action
US3868486A (en) Push-button switch having improved locking structure to inhibit withdrawal of a slidable switch body from its associated casing
JP3128436B2 (ja) 押釦スイッチ
EP0314925B1 (en) Microswi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