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416Y1 - 동축복합형 스피커 - Google Patents

동축복합형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416Y1
KR840002416Y1 KR2019830003431U KR830003431U KR840002416Y1 KR 840002416 Y1 KR840002416 Y1 KR 840002416Y1 KR 2019830003431 U KR2019830003431 U KR 2019830003431U KR 830003431 U KR830003431 U KR 830003431U KR 840002416 Y1 KR840002416 Y1 KR 8400024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attached
piezoelectric vibrating
vibrating element
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34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부품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부품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300034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4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4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4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축복합형 스피커
제1도는 종래의 동축복합형 스피커의 요부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보이스코일 5 : 저음용콘지
6 : 압전진동소자 7 : 코음용콘지
본 고안은 스피커 시스템 및 음향기기용 스피커 특히 고음스피커와 저음스피커를 동축형으로 조립한 동축복합형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스피커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텀 플레이트(11)에 자석(12)을 개재하여 장착된 저음용 요크(13)의 상면에 저음스피커 프레임(14)을 고정하고 저음용 보이스코일(15)이 외감되는 저음용 폴피스(16)의 상단면에 고음용 보이스코일(17)이 외감되는 고음용 폴피스(18)가 돌설된 다음용 요크(19)를 고정하고 고음용 요크(20) 상면에 고음스피커 프레임(20)을 고정하고 고음스피커 프레임(20)을 안정시키기 위해 저음스피커프레임(14)에 브릿지로써 고정한 것이기 때문에 부품수가 다량으로 되고 제조에 있어서 저음스피커와 고음스피커를 별도의 라인에서 제조하고 조립 라인에서 조립해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원가상승과 생산성저하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간단한 구조로서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도모하려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1)은 보이스코일(2)이 외감되는 폴피스(3)가 일체로 돌설된 보텀플레이트로서 상단면에는 스피커 프레임(4)이 고정되어 있고 프레임(4)의 상단 내주연에는 하단내주연이 보이스코일 보번(2')에 고정된 저음용콘지(5)의 상단외주연이 고정되어 있다.
보이스코일(2)의 보빈(2') 상단에는 압전진동소자(6)가 부착되고 그 상면에 고음용 콘지(7)의 하단연부가 부착되며, 고음용콘지(7)의 상단외주연은 저음용콘지(5)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있다.
미설명부호(8)은 리이드선이며, (9)는 전극단자, (10)은 영구 자석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압전진동소자(6)의 외주연을 저음용 콘지(5)의 내주면에 부착한 것이며,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하나의 스피커 프레임과 보이스코일을 이용하며, 고음용콘지를 저음용콘지 또는 보이스코일 보빈에 부착된 압전진동 소자에 부착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고음스피커용 프레임과 요크 및 고음용 보이스 코일이 필요치 않아 부품수의 감소 및 생산공정의 단일화에 따른 원가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스피커 전체의 중량 감소와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저음용스피커와 고음용스피커를 일체의 동축상으로 조립한 동축복합형 스피커에 있어서, 보일스코일(2)의 상단에 압전진동소자(6)를 부착하고, 고음용콘지(7)를 그 하단연부는 압전진동소자(6)의 상면에, 상단주연부는 저음용콘지(5) 내주면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복합형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압전진동소자(6)의 외주연을 저음용콘지(5)의 내주면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복합형 스피커.
KR2019830003431U 1983-04-16 1983-04-16 동축복합형 스피커 KR8400024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3431U KR840002416Y1 (ko) 1983-04-16 1983-04-16 동축복합형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3431U KR840002416Y1 (ko) 1983-04-16 1983-04-16 동축복합형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416Y1 true KR840002416Y1 (ko) 1984-11-22

Family

ID=19229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3431U KR840002416Y1 (ko) 1983-04-16 1983-04-16 동축복합형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4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07983A1 (zh) 一种多路输入驱动的扬声器
US7899202B2 (en) Loudspeaker with cone-coupled damper
CN209526840U (zh) 扬声器和耳机
CN217721457U (zh) 同轴扬声器
KR840002416Y1 (ko) 동축복합형 스피커
JP4440001B2 (ja) スピーカ
US4799266A (en) Electroacoustic converter
WO2020253006A1 (zh) 一种多路输入驱动的扬声器
CN217388992U (zh) 一种微型扬声器
KR870000732Y1 (ko) 단일 복합형 스피커
CN219612014U (zh) 同轴扬声器
CN219612022U (zh) 同轴扬声器
JPS5822383Y2 (ja) 複合型スピ−カ
CN214851809U (zh) 大功率超薄扬声器
KR880002765Y1 (ko) 스피커
JPH0139040Y2 (ko)
JPS581035Y2 (ja) 電気音響変換器
JPS6345116Y2 (ko)
KR890003506Y1 (ko) 스피커
WO2024000686A1 (zh) 同轴扬声器
KR900006018Y1 (ko) 드로운 콘일체형 저음용 스피커
JPH0129899Y2 (ko)
WO2024000772A1 (zh) 发声器件
WO2024045277A1 (zh) 一种同轴扬声器
WO2024044922A1 (zh) 同轴扬声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512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