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156B1 - 외과용 기구 - Google Patents

외과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156B1
KR840002156B1 KR1019810000367A KR810000367A KR840002156B1 KR 840002156 B1 KR840002156 B1 KR 840002156B1 KR 1019810000367 A KR1019810000367 A KR 1019810000367A KR 810000367 A KR810000367 A KR 810000367A KR 840002156 B1 KR840002156 B1 KR 840002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forceps
cartridge
clips
ex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0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832A (ko
Inventor
월터 불랙 3세 죠오지프
윌리암 카우프만 잭
Original Assignee
월터 불랙 3세 죠오지프
윌리암 카우프만 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월터 불랙 3세 죠오지프, 윌리암 카우프만 잭 filed Critical 월터 불랙 3세 죠오지프
Priority to KR1019810000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156B1/ko
Publication of KR830004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외과용 기구
제1도는 본 발명 겸자(forceps)의 평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서의 겸자의 집는 부분만을 보인 측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집게를 약간 벌렸을 때 제2도의 집는 부분의 일부 확대도이다.
제4도는 제 1-3도의 집게와 함께 사용될 외과용 클립(clip)의 평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cartridge)의 대강의 측면도로 조립된 상태의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6도는 분해된 상태의 카트리지 부품들을 아랫쪽에서 보는 평면도이다.
제7도는 제8도의 Ⅶ-Ⅶ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8도는 조립된 카트리지의 대략적 투시도이다.
제9도는 도시를 명확히 하기 위해 일부 부품들을 생략한 부분 투시도이다.
제10도는 카트리지의 앞면을 상세히 보여주는 투시도이다.
제11A-11C도는 카트리지의 작동을 보여주는 간략화된 작동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외과용 기구 전반에 관계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봉합 클립을 사용하는 형의 카트리지(cartridge) 장진식 봉합기구와 그와같은 기구에 사용될 카트리지에 관한다.
더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봉합 클립이 자동적으로 사용위치로 전진하는 봉합기구와, 그 카트리지에 관한다.
외과수술에 있어서 어떤 종류의 봉합은 아직까지도, 그리고 앞으로도 항상, 사람손에 의해서만 된다. 그러나 그 외의 피부 봉합, 지혈봉합과 같은 통합은, 피부에 박아지거나, 혹은 지혈 클립의 경우 혈관을 통한 혈액의 흐름을 막기 위해 혈관 주위에 꽉 조이어지는, 스테이플과 같은 금속클립의 도움을 빌어 행해진다.
이후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지혈 봉합을 예로들어 설명하겠다. 그러나 외과 봉합분야에 더욱 전반적으로 적용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후로 사용되는 "봉합"이란 용어는 가장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한다. 즉, 봉합용 클립이 사용되는 다른 봉합 뿐만 아니라 지혈봉합, 피부봉합등을 포함한다.
선행기술에서는 예컨데 따로따로 클립을 장진하는 지혈 겸자를 사용해 왔다. 즉 봉합 수술시 최소한 두개의 겸자를 사용해야 하고, 따라서 외과의는 하나의 겸자로 지혈용 클립을 혈관에 부착시키는 동안, 뒤에 서있는 조수(간호원)는 사용준비된 두번째 겸자의 집게 사이에 또 하나의 클립을 삽입한다. 외과의는 사용이 끝난 겸자를 자신의 어깨너머로 재장진하기 위해 되돌려주고, 조수는 장진한 겸자를 외과의에게 돌려준다.
이와 같은 교환은 봉합수술이 끝날 때까지 계속되어야 하며, 효율적이 아닌것은 명백하다. 다른일을 할수 있는 조수를 묶어 두고, 특히 응급시에 의사가 빠른 봉합을 할 수 없다.
지금까지 클립의 반자동 공급 매거지인을 장진한 지혈용 겸자가 제안된 바 있다. 이 겸자는 각 겸자를 세트한 뒤에 다음 클립을 조작위치로 밀기위한 콕킹(cocking) 조작을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외과의에게 받아들여지지 않고있다. 완전 자동 공급이 아니라서 명백한 불편이 있을 뿐만 아니라 치켜올리는 조작은 귀찮고, 또 외과의의 손에 부담을 주어 외과의의 안정과 정확이라는 견지에서 분명히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자들을 닫기위해 사용되는 기구로서 제안된 스테이플러(철하는 기구) 기술은 의료분야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정밀외과용 기구로서 봉합용기구는 소형(정확히 부상부위에 접근하는 문제가 있음), 경량(외과의를 피로하게하지 않기 위해, 및 신속한 조작을 가능하기 하기 위해), 또 살균가능하지 않으면 안된다. 기지의 스테이플러 기술은 이들 요구를 채우지 않으면 안되는 의료기구에 있어서 성공리에 완성할 수 없다.
그러므로 요구되는 목적을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해결방법들과 극단적으로 다른 방법을 생각해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 기술의 결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 기술의 결점을 갖지 않는 개량된 봉합 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더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 기술의 결점을 보완하고 개선된 카트리지 장진 봉합 기구와 그 기구에 사용할 카트리지 또는 매거지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부수되는 또 하나의 목적은, 봉합을 위한 외과용 클립을 사용하는 봉합기구와 그에 딸린 카트리지와 매거지인을 개발하는 데 있다.
또 하나의 목적은 비교적 작고 가벼운 상기와 같은 외과용 기구와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하나의 목적은 생산하기에 값싼 상기와 같은 외과용 기구와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하나의 목적은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즉 카트리지내의 외과용 클립을 다 소모 했을때 카트리지와 함께 또는 별도로 버릴 수 있을 정도로,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외과용 기구와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 및 이후로 명백해질 다른 목적들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한 형태는 외과용 기구, 특히 지혈기구에 있다. 간략히 말하면 그와 같은 기구는 개폐위치 사이에서 협동하여 움직일 수 있는 한쌍의 집게를 가진 겸자로 되어있다. 겸자는, 주로 집계만이 정밀공차를 요하므로, 그들의 생산가격을 낮추기 위해 금속스탬핑(metal stampings)으로 생산될 수 있다. 그러나 겸자를 전체를 합성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거나, 일부를 금속(집게부분)으로 만들고 나머지 부분을 합성 플라스틱 재료로 만드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외과용 기구는 더욱이 겸자의 집게에 혈관 결합용 클립과 같은 외과용 봉합클립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되어 있다. 그와 같은 수단은 일련의 클립을 수용하기 적합한 하우징을 가진 카트리지나 매거지인으로 되어있다("일련"이라는 말은 클립이 서로 연결되지 않고 카트리지 내에 배열되어 배치된 복수의 클립을 가리키고, 또 연결된 협자의 배열을 포함한 것을 가리키고 있다).
겸자의 집게쪽으로 카트리지속의 일련의 클립을 전진시켜, 그 결과 각각 선두의 클립이 집게가 열린 위치에 있는 동안 점차 삽입되고, 집게가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죄어 눌러지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집게가 닫힌 위치로 움직이기 전에 각각 선두의 클립을 제외한 일련의 클립을 집게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당겨넣기 위한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겸자의 집게는, 겸자 전체의 평면에 대해 한쪽으로 휘어져 있어, 외과의에게 "잘 보이는 위치"를 제공한다. 즉 외과의가 자신의 봉합수술 과정을 더욱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카트리지는 긴 형태로 클립을 겸자 전체의 평면과 평행 또는 실질적으로 대체적으로 평형이 되게 배치할 수 있도록 놓여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징적이라고 생각되는 신규한 특징은 첨부된 특허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성 및 조작방법 아울러 목적, 잇점은 첨부도면과 결부된 이하의 특정 실시예로 부터 가장 잘 이해된다. 설명을 위해, 카트리지에 공급되는 클립을 안겨주는 적용기가 지혈겸자의 형으로 제 1-3도에 나타나있다. 겸자(1)은 통상 한쪽의 아암(2)에 있는 피봇 및 다른쪽 아암(4)에 있는 횡 슬로트(8)에 의해 구동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아암(2, 4)를 갖고 있다. 아암(4)에는 또, 횡방향 간격을 가진 한쌍의 카트리지 보지·안정용 스톱퍼(9), 및 카트리지의 피봇(54)(제6도 참조)을 받아들이기 위한 구멍(26)이 설치되어 있다.
아암(2, 4)에는 각각 손잡이(10, 12)가 붙어있고, 그것들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피봇(14, 14')에서 아암(2, 4)에 추착된 별개의 요소들로 되어 있다. 더우기 양 손잡이(10, 12)는 슬로트, 피봇 연결(16, 16')에 의해 대응하는 아암(2, 4)에 연결되어 있다(한쪽은 제1도에 상세도 나타나 있고, 다른쪽은 대향측에 위치하여 있다). 슬로트·핀 연결(8, 16)은 아암의 휘어진 집게(28, 28')(제2도)의 단부(30)을 서로 접근시키는 정도로 아암(2, 4)이 서로 상대적으로 추축될 때에 헛돌기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 헛돌기 운동의 의의는 설명이 진행됨에 따라 명백히 될 것이다.
손잡이(10, 12)는 서로 피봇(20, 22, 22') 사이에 추착한 링크(1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토션 스프링(24)은 양 단부(25, 25)를 피봇(22, 22')에 감겨두고, 따라서 아암(2, 4)를 항상 제1도에 나타낸 위치로 격리시켜 두도록 부세하고 있다.
손잡이(10, 12)도 똑같이 열린 위치로 부세되고 있다.
제2도는 각각의 집게(28, 28') 및 단부(30)이 외과의에 의해 시술되고 있는 상처부위가 보이는 범위가겸자(1)의 다른 부분 때문에 불선명하게 되지 않도록 확보하도록 겸자(1) 전체의 평면 한쪽으로 굽어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제3도에는 외과용 클립을 수용하기 위한 길이 방향의 홈(32)이 상기 단부(30)의 접합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음이 나타나 있다. 이들 홈(32)은 카트리지에 의해 공급되는 클립을 위해 단부 스톱퍼(34)를 형성하여 선단을 막고 있다.
제4도에는 1개의 클립(36)이 도시되어 있는데, 그 클립의 평면도는 대체로 U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중간부(40)에서 결합되어 있는 2개의 아암(38)을 갖고, 또 전기한 단부 스톱퍼(34)에 접하기 적합한 자유단(42)를 갖고 있다.
제4도에 도시된 클립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카트리지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클립은 제4도의 형태와 대부분이 달라도 여전히 유효하다.
제 1도-3도에 도시된 적용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카트리지는 제 4도-11도에 예시되어 있다.
제5도는 다소 간략화된 측면도로서 카트리지(44)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며, 만곡 전단부(46)(만곡형태는 겸자 집게(28)의 만곡 형태와 평행하다), 및 카트리지(44)의 후단부로부터 밖으로 연장되는 클립 추출기의 후미부(48)이 도시되어 있다. 피봇(54)는 겸자(1)의 구멍(26)내로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카트리지(44)의 각 구성요소는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제6도에는 분해된 상태의 카트리지의 평면도가 나타나 있다. 카트리지 몸체는 참조부호(50)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 몸체는 조립시 뒷판(52)에 부착된다. 상기 피봇(54)는 이 뒷판(52)에 한끝에 위치하거나 혹은 적당한 방식으로 고착되거나 하여서 뒷판(52)에 위치된다. 클립 추출기(56)의 특정 길이는, 예컨데 스프링 강(이것의 목적은 후술하겠음)으로 만들어져 있다. 클립 추출기(56)의 전단부(57)는 폭이 좁게되어 있으며 그의 자유단에는 예컨데 대략 삼각형 형태의 헤드(58)가 설치되어 있다. 클립 추출기(56)의 후단부(48) (제5도 참조)에는 이것을 링크(18)의 중앙 피봇(20)에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59) (예컨대 구멍, 돌출부등)이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몸체(50)는 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상태의 클립(36)의 열(列)을 수용한다. 즉, 클립(36)은 스프링 작용에 의하여 전단부(46) 쪽으로 전진 공급되도록 몸체(50)의 클립용 궤도내에 연속적으로 그러나 개별적으로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클립열중 마지막 클립(36)의 중간부(40)를 수용하는 형태로 된 노치를 전단부에 설치한 스트립 형상의 요소인 클립 종동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그 종동부재(60)의 후단부에는 꼬리부분(60)이 있다. 꼬리부분(62)은 종동부재(60)의 한쪽으로 돌출하여 있고, 또 클립 부세 스프링(68)의 후크형 단부(66)가 계합하는 슬로트(64)가 설치되어 있다. 종동부재(60)의 최소한 중앙부분에는 횡방향의 홈(6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동부재를 보다 가요성있게 만들며 또한 이 종동부재가 카트리지의 전단부(46)의 곡률을 따라갈 수 있도록 하여준다.
스프링(68)은 항력(恒力) 코일스프링으로서, 스프링의 연장정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힘을 종동부재(60)에 [그리고 종동부재(60)을 통하여 클립(36)의 열에]가하여 준다. 바꾸어 말하면 카트리지내에 클립열전체가 들어가 있고, 스프링이 최대로 연장되었을 때 클립(36)에 가해지는 장력은 클립이 모두 사용되어 카트리지내에 단 1개의 클립만이 남아있을 때 가해지는 장력과 동일하다는 것이다.
카트리지(44)가 겸자(1)에 장치되었을때 카트리지 몸체(50)가 겸자(1)를 향하는 면에는 클립 추출기(56)가 활주운동하기 위한 요형(凹形) 궤도(7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궤도(70)은 조립시 뒷판(52)에 의해 덮어지게 된다. 궤도(70)은 카트리지의 전단부쪽에서 슬로트(80)와 합하여 지게되는데, 슬로트(80)는 클립 추출기의 전단부(57)보다 약간 폭이 넓은 것으로서 카트리지 몸체(50)를 통하여 연장되고 클립 궤도(52) (제7도)쪽으로 개구되어 있는데, 이 클립 궤도(72)은 몸체(50)의 반대쪽에 즉 몸체가 겸자(1)와 마주보는 반대쪽에 형성되어 있다.
추출기 궤도(70)이 형성된 몸체 측에는 공동(空洞) (76)이 형성되어 궤도(70)의 저면과 평편하게 개구되어있다(제9도). 즉, 공동(76)은 궤도(70) 높이보다 낮게 파여져 있다. 또한 몸체(50) 내에는 궤도 및 개구부(74)이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고(제7도), 스프링(68)의 연장부 및 종동부재(60)의 꼬리부분(62)는 상기 궤도및 개구부(78)내에서 운동하게 된다. 종동부재 자체는 클립열 후방에서 클립 궤도(72)를 지나고, 꼬리부분(62)은 클립궤도(72) 쪽으로 개방된 궤도(78)내로 연장된다.
몸체(50)의 전단부 근처 슬로트(80)의 전방, 즉 클립궤도(72)의 저면부에는 추출기(56)의 헤드(58)를 수용하는 크기의 공동(8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헤드(58)가 공동(82)내에 위치할 때에는 이 헤드가 상기 저면부와 평편하게(또는 아랫쪽으로 오목하게)되어 이곳의 상부를 직각으로 통과하는 클립(36)의 전진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슬로트(80)의 양측으로는 경사캠면(81) (제11도)가 위치하여 클립궤도(72)의 저면부 높이의 요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카트리지(44)의, 특히 몸체(50)의 전단부(46)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만곡되어 있다. 이 만곡 곡률은 겸자 집게(28)의 곡면을 따르며, 그리고 그 목적은 전단부(46)가 집게(28)에 느슨하게 물려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추출기 궤도(70) 및 클립궤도(72)로 역시 만곡되어 있다. 그러나 추출기(56)의 전단부(57)는 궤도(70)(72)의 전단부 보다도 더욱 만곡되어 있다. 추출기(56)의 전단부(57)은 슬로트(80)를 통하여 궤도(70)로 부터 궤도(72)로(즉,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몸체(50)의 한쪽 면으로부터 다른쪽면으로) 연장된다. 전단부(57)의 복원 탄성(추출기는 스프링강등으로 만들어져 있다)은 궤도(70)로부터 궤도(72)로 편향하려는 것에 대항한다. 그 때문에 헤드(58)는 클립궤도(72)의 저면부와 접촉되도록 항상 편기된다. 따라서 추출기가 이와 같이 되기에 충분히 전진해 있을 때에는, 즉 헤드(58)가 공동(82)과 맞닿아 있을 때에는 헤드(58)는 홈(82)에 눌려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헤드(58)는 클립궤도(72)를 전진하는 클립의 경로 바로 밑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들 클립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러나 추출기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헤드(58)는 경사면(81)을 미끄러져 올라가서 궤도(72)으로 들어간다. 즉, 헤드(58)는 클립(36)의 경로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그후 헤드(58)가 선두 클립의 바로 뒤에 있는 상류 클립(36a)의 각부(38)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서 (제11A도), 추출기(56)이 더욱 후퇴함에 따라 헤드(58)는 상기 상류 클립(36a)의 중간부(40)의 내측에 결합하게 되고, 이 상류 클립(36a)을 (따라서 그 후방의 모든 클립을)카트리지의 선단부 반대쪽으로 추출한다. 그 목적은, 닫히고 있는 집게(82)의 단부(30) 사이로부터 클립(36a)을 인출하고(제11B도), 집게(28)의 단부(30)가 제 11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두 클립(36)을 그 사이에 조이게 한 것이다.(예를들면 혈관 주위를 조여 혈관을 막는다). 집게(28)의 단부(30)가 다시 벌어지면, 추출기(56)는 전방으로 활주 이동되며, 헤드(58)는 공동(82)내로 다시 눌려 들어가고, 다음번 클립(36a)이 집게의 단부(30) 사이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 기구의 작동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트리지(44)는, 전단부(47)를 단부(30)의 노치(31)에 삽입하고 피봇(54)을 구멍(26)에 삽입하고, 연결수단(59)을 링크(18)의 중앙피봇(20)에 결합시킴으로써 카트리지(44)를 겸자(1)에 장치한다. 손잡이(10)(12)를 마주보게 이동시키면 링크(18)의 각 부분은 중앙피봇(20) 및 단부 피봇(22,22')를 중심으로 선회하게 되고, 또한 중앙 피봇(20)는 단부 피봇(22,22')를 잇는 선보다 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단부 피봇(22,22')가 상호 접근함에 따라 중앙 피봇(20)은 점점 더 이선보다 후방으로 밀려나게 된다. 추출기(56)는 중앙피봇(2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중앙 피봇(20)을 후방으로 당기면 추출기가 후방으로 활주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헤드(58)는 제11A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11C도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한다. 카트리지는 지금 막 장치된 것이기 때문에 단부(30) 사이에는 클립이 없으며, 따라서 카트리지 내에서는 단지 클립열의 철회작용만이 발생하게 된다.
손잡이(10)(12)를 누르던 힘이 소멸되면, 이 손잡이들은 스프링(24)에 의하여 격리위치(제1도의 위치)로 벌어지게 된다. 그 도중에 피봇(20)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스프링(68)은 헤드(58)상에 물려있는 클립열을 통하여 헤드(58)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추출기(56)가 전방위치로 활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헤드(58)는, 공동(82)에 이르면 헤드가 홈으로 눌려 들어가고, 그리하여 단부(30)의 홈(32) 내로 들어가도록 헤드가 그때까지 잡고있던 선두 클립(36)을 놓아주며, 그 다음에 클립의 각부(38)의 자유단(42)이 스톱퍼(34)에 부딛쳐 멈추게 된다. 이와같은 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그 다음번 클립(36a)은, 그 양각부가 단부(30) 사이에 있도록 전진하고 있고, 만약 이 클립이 원위치에 머물러 있으면 장치의 본래 조작을 방해할 것이다. 그러나 선두 클립(36)을 예컨대 혈관 주위에 고착시키기 위하여서는, 사용자가 손잡이(10)(12)를 재차 맞쥐어 단부(30) 사이에 클립을 죄어 주어야 한다. 그 도중에 선두 클립(36) (제11B도) 뒤에있는 모든 클립(36a...)은 자동적으로 철회되므로 장치는 의도한 바와같이 작동된다(제11C도). 손잡이(10)(12)를 연속적으로 맞쥐어줄 때마다 1개의 클립이 상처에 가해지며, 이때 손잡이가 맞쥐어지는 도중 풀려질 때마다 그 다음번 클립이 단부(30) 사이의 준비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카트리지(44)가 비게 될 때까지 이러한 작동이 계속된다. 만약 마지막 클립이 사용된 후 빈 단부(30)가 예컨대 혈관등을 직접적으로 누르게 되면, 이로 인하여 헐관은 매우 큰 손상을 입게된다. 본 발명에서는 종동부재(60)를 매우 길게 형성하여 종동부재의 전단부(60a)가 최종 클립이 사용된 후 단부(30)의 홈(32)내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위험을 제거하였다. 다시 말해서 최종 클립이 사용된 후 스프링(24)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므로 이에 의하여 전단부(60a)가 홈(32)내로 부세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면 단부(30)가 혈관을 직접적으로(즉, 클립이 중간에 끼워지지않고)맞물리는 것이 방지되며, 동시에 외과의는 손잡이가 서로 맞쥐어 지지 않는 것을 보고 카트리지가 비었다는사실을 알게 된다.
카트리지(44)는 하부 노치(31) 및 피봇(20)의 위치에서 겸자(1)에 지지된다. 따라서 이 카트리지(44)는 한정된 범위에서 겸자의 전체적인 평면내에 평행하게 겸자(1)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이와같은 운동 정도는 카트리지가 양측에 위치한 스톱퍼(9)에 의하여 제한된다. 제11A도-11C도를 비교하여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단부(47)는, 겸자가 사용되는 동안 단부(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자체 조절된다.
손잡이(10)(12)가 아암(2)(4)에 장착되는 장착 방식에 의해 발생되는 헛돌기 운동의 목적은, 손잡이(10)(12)가 최초로 맞쥐어질 때 집게(28,28') 및 그 단부(30)이 서로 접근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추출기(56) 및 클립(36)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면 하여 클립(36a)이 단부(30)의 경로로부터 이동될 수 있게된다.
스프링용 공동(76)내에서, 클립궤도(72)는 클립과 스프링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얇은 벽에 의해 이 공동(76)으로 부터 격리되어 있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기구는 본 발명의 개념을 해치지 않고도 여러가지로 개조될 수 있음을 알것이다. 예컨대 손잡이(10)(12)는 아암(2)(4)와 일체로(또는 최소한 강고하게 연결된 상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때에는 아암(2)(4)에 대한 종방향 슬로트 및 핀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예컨대 구멍(26)의 위치에서] 헛돌기 운동이 일어나게 될 것이다. 핀자체를 중공형(中空形)으로 하여, 이 중공 부분이 구멍(26)의 역할을 대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겸자의 집게를 쥐어 상향 클립이 추출될 때 단부의 홈내에 위치하는 클립이 카트리지의 후방으로 미끄러져 나가지 않도록 보지구(保持具)를 설치하여도 좋다.
스프링(24)와 링크(18)은 하나의 부품으로 대체시킬 수 있다. 즉 양끝이 손잡이(10),(12)에 견고히 연결되고, 링크(18)과 마찬가지로 탄성적으로 굽어지고, 그 때문에 피봇(20)에 상당하는 그의 중심이 피봇(20)과 근본적으로 같은 방식으로 집게(28)에 접근하고 후퇴하는 대체적으로 역 V자 형태의 스프링으로 대체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는 또한 선두 클립이 카트리지가 겸자에 부착될때까지 스프링(68)의 힘에 의해 카트리지로부터 철회되지 않도록 하는 착탈(着脫) 가능한 보지구를 갖출수도 있다.
카트리지 및 (또는) 겸자는 전체적으로 또는 일부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카트리지 용으로서적당한 플라스틱 재료는, 의료용으로 F.D.A.(Food and Drag Adminstration)에 의해 인정된 고 강도 압열멸균 처리 가능한 플라스틱인 폴리설폰(polysulfone), 품질은 떨어지나 폴리설폰보다는 현저하게 저렴한 폴리카보네이트 예를들면 상품명 "Lexan"이나, 아세탈 예를들면 상표명 "De lrin"이다. 이와같은 플라스틱은 물론 탄소섬유나 그와 유사한 품질로 보강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는 일회용이고 겸자는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겸자의 부품들은 생산 가격을 줄이기 위해 황동, 스텐레스스틸 철판으로부터 찍어냄 수 있다. 그러나 겸자 자체도 만약 그것이 충분히 경제적으로 생산될 수 있으면 카트리지와 함께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아암(2)(4)를 제외한 겸자의 주부품들은 합성플라스틱으로 만들 수 있고, 그 아암들 조차도 플라스틱으로 만들고 단지 단부만 금속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결국 문제는 사용중의 힘을 견딜만한 플라스틱을 사용하는데 있다. 아암(2)와 (4)는 금속으로 보강된 합성플라스틱으로 만들 수도 있다.
전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즉, 카트리지 및(또는) 겸자는 혈관을 묶는데 특히 유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일반적인 봉합과 수술상의 스테이플링에도 사용 가능하다. 클립의 형태는 요구되는대로 변화시킬 수도 있고, 묶는 것외에 특별한 용도를 위해 클립의 끝을 뾰죽하게 할 수도 있다. 추출기(48)와 피봇(20)의 연결을 추출기의 구멍을 이용하여 할 수 있다(또는 추출기의 링크와 그 링크에 핀으로). 그러나 눌러 끼우는 형태의 결합 수단 또는 쐐기식 결합수단 등의 기타 결합수단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지혈 겸자를 예를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변형될 수도 있다.

Claims (1)

  1. 단부가 달린 1쌍의 협동하는 집게들이 있고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를 운동할 수 있는 적용기, 및 외과용 클립을 상기 집게에 공급하는 공급장치로 구성되는 외과용 기구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는 클립열을 수용하기 적합한 몸체(50)와 상기 집게(28,28')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각 클립열의 선두 클립(36)을 순차적으로 상기 단부들(30) 사이에 삽입시켜서 접게들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 이 단부들(30) 사이에서 물려지도록 클립열을 집게들(28,28')쪽으로 전진시키는 항력스프링(68) 및 종동체(60), 그리고 상기 단부들(30)이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각 선두 클립(36)을 제외한 모든 클립(36a)을 상기 단부들(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시키는 클립추출기(56)를 포함하는 카트리지(44)로 구성되는 외과용 기구.
KR1019810000367A 1981-02-04 1981-02-04 외과용 기구 KR840002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367A KR840002156B1 (ko) 1981-02-04 1981-02-04 외과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367A KR840002156B1 (ko) 1981-02-04 1981-02-04 외과용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832A KR830004832A (ko) 1983-07-20
KR840002156B1 true KR840002156B1 (ko) 1984-11-24

Family

ID=19220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367A KR840002156B1 (ko) 1981-02-04 1981-02-04 외과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1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832A (ko) 198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2316A (en) Surgical device
US4296751A (en) Surgical device
US4408603A (en) Surgical device
CA1191762A (en) Tip configuration for a ligating clip applier
US4478220A (en) Ligating clip cartridge
US4471780A (en) Multiple ligating clip applier instrument
US4557263A (en) Apparatus for applying surgical clips
CA1165201A (en) Multiple clip applier
CA1163889A (en) Surgical device
EP0220029B1 (en) Surgical fastener applying apparatus and cartridge
US4633861A (en)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with jaw clamping mechanism
EP0569049B1 (en) A one-piece surgical staple
US4633874A (en)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with jaw latching mechanism and disposable staple cartridge
US4500024A (en) Multiple clip applier
US4991764A (en)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CA1261705A (en) Apparatus for applying surgical clips
US4819853A (en) Surgical fastener cartridge
EP0594004A1 (en) Surgical clip applier
JPH0341171B2 (ko)
JPS58185142A (ja) フランジの付いた基底部を有する結紮用クリップ
WO1996024294A1 (en) Surgical clip applicator
KR840002156B1 (ko) 외과용 기구
EP0070276B1 (en) Surgical device
AU543077B2 (en) Surgical device
CA1181310A (en) Multiple clip appl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