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663Y1 - 리 프 트 - Google Patents

리 프 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663Y1
KR840001663Y1 KR2019840007237U KR840007237U KR840001663Y1 KR 840001663 Y1 KR840001663 Y1 KR 840001663Y1 KR 2019840007237 U KR2019840007237 U KR 2019840007237U KR 840007237 U KR840007237 U KR 840007237U KR 840001663 Y1 KR840001663 Y1 KR 840001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buoy
cylinder
counterweight
po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7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이 랠리즈 랠리
이이 컬리티 리차아드
아아르 램 플린 라일
Original Assignee
마아크 인더스트리이즈
피이 랠리즈 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00000686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1805A/ko
Application filed by 마아크 인더스트리이즈, 피이 랠리즈 랠리 filed Critical 마아크 인더스트리이즈
Priority to KR2019840007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6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6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리프트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리프트 부품의 부분절제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부움의 부분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4―4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수축된 이치에 있는 제2도의 부움의 부분 사시도.
제6도는 신장된 위치에 있는 제2도 부움의 부분 사시도.
제7도는 신장가능한 부움내에 유압 및 전기 도선들을 감싸는데 이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제어 케이블 가요성 도관의 사시도.
제8도는 로드부 유압 실런더의 부분 절제 평면도.
제9도는 본 고안에 따른 균형추 구조물의 측면도.
제10도는 제9도 균형추의 평면도.
제11도는 전복에 대한 최대 불안정 위치를 예시하는 직립 위치에 부움이 위치하는 제1도 리프트의 배면도.
제12도는 전복에 대한 최대 불안정 위치에 있는 종래 기술의 리프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단부에 작업 플랫트폼이 설치된 신장가능한 부움(boom)을 가진 타입의 자체 추진식 유압 리프트(lift)에 관한 것이다.
자체 추진식 유압 리프트들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러한 통상의 리프트는 여러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의 이용에 많은 제한을 초래한다. 예를들어, 그러한 리프트들은 통상적으로 트럭 몸체부상에 장착되거나 또는 리프트에 부움을 부착하는 점을 지나 연장하는 균형추를 이용하여 왔다. 어느 경우에도, 그러한 구조는 비교적 크게 되고 따라서 출입이나 회전에 비교적 넓은 통로를 요한다. 더우기 신장가능한 부움이 사용될 때, 리프트의 원격제어를 위해 부움내에 필히 설치되는 제어 케이블들이 부움의 신장 및 수축시 그에 가해지는 반복되는 응력에 의해 마모 및 손상을 받게 되었다.
본 고안은, 자체 추진식 프레임, 부움 및 회전축 주위에서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상에 장착된 몸체부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에, (a) 중심(重心)을 가진 균형추(counter weiggt)가 취부되어있고, (b) 균형추 중심이 부움 축지점과 회전축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부움을 상기 몸체부에 축선회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리프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외측부움, 상기 외측부움의 제1단부로 부터 외측으로 신장하고 그 부움내에 배치된 내측부움, 내측부움 내부서 고착된 실린더와 외측부움에 고착된 실린던 로드를 가진 로드추진식 유압 작동기가 설치된 상기 외측부움 제1단부를 통해 외측으로 내측부움을 이동시키도록 내측 부움과 외측부움 사이에서 상대적 운동을 선택적으로 행하게 하는 수단, 내측 및 외측부움내로 통과하는 제어도선, 상기 외측부움 제1단부에 인접히 외측부움 내부에 고착된 제1단부와 상기 외측부움 제1단부로 부터 먼쪽에서 내측부움 내부에 고착된 제2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 도선들이 그 내부를 통과하는 가요성 도관, 실린더 로드상에 장착되고 그 로드상에서 접동자재한 캐리어 조립체, 일부분에서 상기 가요성 도관이 통과하는 외측 표면을 가지는 각 가요성 도관을 위한 로우프차(sheave), 각 로우프차를 캐리어 조립체에 고착하는 수단, 내측부움의 이동간격의 절반만큼 내측부움의 이동방향으로 실린더 로드를 따라 상기 캐리어 조절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캐리어조립체 수축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캐리어 조립체 수축수단이, (a) 수축 케이블, (b) 상기 외측부움 제1단부로 부터 먼쪽에서 내측부움내에 수축 케이블의 일단부를 부착하기 위한수단, (c) 캐리어 조립체에 부착된 캐리지 아이들러 풀리, (d) 상기 외측부움 제1단부로 부터 먼쪽에서 외측부움 내부에 부착된 후미 외측부움 아이들러 풀리, (e) 외측부움 제1단부에 인접히 외측부움 내부에 부착된 전방 외측 부움 아이들러 풀리, (f) 외측부움 제1단부로 부터 먼쪽에서 내측부움에 수축 케이블의 타단을 부착하기 위한 수단, (g) 가요성 도관이 느슨할 때 로우프차에서 미끄러져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요성 도관이 통과하는 로우프차 외측 표면의 대부분을 덮도록 배치되고 캐리어 조립체에 부착된 각 로우프차의 차폐물로 구성된 신장가능한 부움을 제공한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신장가능한 부움(12)가 수축된 위치에 있는 리프트(10)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신장가능한 부움(12)의 신장된 위치가 2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 신장가능한 부움(12)는 외측부움(14)와 내측부움(16)을 가지고 있다. 리프트(10)은 프레임(18)을 가지고 있고, 그 프레임 상에 하우징(20)이 통상의 방식으로 회전자재하게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20)에는 균형추 조립체(도시안됨, 제9 및 10도 참조)가 부착되어 있다. 리프트의 운전에 필요한 기계류, 연료탱크 등은 프레임과 하우징내에 내장되어 있다. 리프트(10)에는 4개의 차륜(22)이 있고, 그 차륜들중 후미 2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상의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구동된다. 부움(12)는 길고 짧게 그리고 수평수직 위치로 유압에 의해 작동된다. 그 부움의 수직위치로의 이동은 하우징(2)과 외측부움 (14) 사이에 연결된 리프트 실린더(24)에 의해 달성된다. 내측부움(16)의 단부에는 작업원용 플렷트폼(26)이 취부되어 있다. 그리하여, 리프트 실린더(24) 및 부움(12)의 신장에 의한 부움(12)의 승강 및 하우징(20)의 회전에 의해 플랫트폼(26)이 소망하는 위치로 이동들 수 있어 작업원이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제2도에, 부움(12)의 부분 절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내측 부움(16)에는, 한쌍의 받침대(30)(제2도에 하나만 도시됨)에 의해 플랫트폼 슬레이브 레벨링(slave leveling) 실린더(28)이 취부되어 있다. 그 레벨링 실린더(28)은 예를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3,481,436호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상의 방식으로 플랫트폼을 수평상태로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리프트 실린더 장착 부라켓트(32)는 리프트 실린더(24)를 외측부움 (14)에 연결하는데 이용된다. 그 외측부움(14)는 통상의 방식으로 부움 장착핀(34)에 의해 하우징(20)에 장착되어 있다. 부움(12)의 신장은 로드추진식 유압 실린더 타입의 신장 실린더(36)에 의해 달성되며, 그 실린더는 실린더 로드(38)을 가지고 있다. 실린더(36)은 일단부에서 실린더 장착 부라켓트(40)에 의해 그리고 반대쪽 단부에서는 한 쌍의 장착 부라켓트(42)(제2도에 점선으로 도시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 브라켓트(42)에는 실린더(36)상의 트러니온(trunion)(44)가 취부되어 있다. 실린더 로드 (38)은 실린더(36)내로 신장하며, 부움 장착핀(34)에 인접한 실린더 로드상의 T ―형 스톱퍼(46)에 의해 외측부움(14)에 고착되어 있다. 장착핀(34)은 T ―형 스톱퍼(46)의 축공을 통과하고 외측부움(14)의 구멍을 통하여 연장하여 있다. 2개의 로우프차 (sheave)(52)가 캐리어 조립체(50)에 의해 실린더 로드(38)상에 장착되어 있다.
가요성의 제어 케이블 도관(54)가 각 로우프차(52)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들 가요성 케이블 도관내에 유입 및 전기 도선들이 내장되어 있으나, 도관(54)에 의해 로우프차 및 부움조립체의 다른 부분들과의 접촉으로 부터 차폐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 조립체 철회 케이블(56)이 제2도에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3―6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3도에 부움 조립체(12)가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실린더로드(38)은 T형 소톱퍼(46)에 인접하여 신장 유체입구 조립체(58)과 철회유체 입구 조립체(60)을 가지고 있다. 실린더(36) 및 실린더로드(38)은, 유체 입구 및 출구가 실린더로드(38)의 유체공급관(38A)를 통한 유압 유체의 통과에 의해 로드(38)을 따라 실린더(36)을 선택적으로 신장 및 철회시키는 통상의 구조로 되어 있다. 실린더(36)이 내측부움(16)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움이 신장하면 내측부움(16)이 부움 장착 핀(34)로 부터 멀리 이동하고 그리하여 리프트(10)이 제1도에 점선으로 표시된 상태로 된다. 반면에 부움이 수축하면 실린더(36)에 부움 장착 핀(34)쪽으로 이동하고 그리하여 리프트(10)이 제1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로 된다.
작업원 플랫트폼에 원격 제어부가 설치되어 프랫트폼 상의 작업원이 플랫트폼을 승강 및 회전시킬 수 있는 이러한 타입의 부움에서의 문제점들중 하나는 부움의 신장 및 수축시 필히 발생되는 제어도선들상의 마모이다. 부움(12)는 유압이나 전기 제어도선들이 헐겁게 내장된 가요성의 제어 케이블 도관(54)를 사용하므로써 그러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관(54)가 로우프차(52) 주위에서의 회전에 의해 일어나는 모든 마모나 응력을 받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부움 장착 핀(34)쪽으로 캐리어 조립체를 압압하도록 부움 신장 및 수축시 캐리어 조립체(50) 상에 미미하게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는 수단이 캐리어 조립체(50)을 통하여 제공되어 있다, 캐리어 조립체(50)이 내측 부움(16)과 협력하여 이동할 수 있다. 가요성 도관(54)의 양단에는 커플링(62)가 취부되어 있다. 캐리어 조립체(50)에 인접한 내측부움의 단부에는 보조커플링(64)가 고착되어 있어 내측부움에 도관(54)의 각각의 일단부를 고착시킨다. 이들 보조 커플링들은 속이 비어 있어 제어도관들이 그안을 통과하여 있다. 가요성 도관(54)는 그의 양단부가 보조 커플링(66)에 의해 외측 부움(14)에 고착되어 있고, 그 보조 커플링(66)은 외측부움 (14)의 내측 표면에 용접 또는 다른 방식으로 부착된 장착 브라켓트(68)에 취부되어 있다. 그 보조 커플링(66)은 속이 비어있고 장착 브라켓트(68)의 구멍을 통해 연장하며 제어 케이블(70,70A)가 그안을 통과한다.
제3도에 예시를 위해 하나의 케이블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어케이블(70 ,70 A)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유압 도선 또는 전기 도체이어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캐리어 조립체(50)은 미미하고 일정한 장력을 받아 내측부움(16)의 신장 및 수축시 가요성 도관(54) 상에 미미한 장력을 유지케 한다. 내측부움(16)의 신장은, 실린더로드 (38)상에 접동자재하게 장착된 캐리어 조립체(50)이 내측부움(16)의 이동간격의 약 절반만 이동케 한다. 캐리어 조립체 수축 케이블(56)은 그러한 이동이 미미한 장력하에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작용을 달성하기 위해, 수축 케이블(56)이 T―형 실린더 로드 스톱퍼(46)에 인접하여 위치된 브라켓트(72)에 의해 외측부움 (14)에 부착되어 있다. 케이블 또는 도관의 유효길이를 약간 변경시킴에 의해 케이블상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해, 나사홈이 설치된 체결구(74)가 캐리어 수축 케이블(56)상의 나사부분(76)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수축 케이블(56)은, 볼트(80)에 의해 캐리어 조립체(50)에 회전자재하게 부착된 캐리어 조립체 아이들러(idler) 폴리(78) 주위를 돌아 브라켓트(72)로 부터 연장하여 있다. 그 수축 케이블(56)은 캐리어 조립체 아이들러 풀리(78)로 부터 후미 외축부움 아이들러 풀리(82)로 통과하고, 그 풀리(82)는 브라켓트(84)와 볼트(86)에 의해 외측부움(14)의 내측표면에 회전자재하게 부착되어 있다. 후미 외측부움 아이들러 풀리(82)로 부터 수축 케이블(56)이 외축부움(14)의 하부 표면을 따라 전방 외측부음 아이들러 풀리(88)로 통과한다. 풀리(88)은 브라켓트(도시안됨) 및 볼트(90)에 의해 외측부움 (14)에 회전자재하게 부착되어 있다. 수축 케이블(56)은 전방 아이들러 풀리 (88) 주위를 통과하고 구멍(92)에서 캐리어 조립체(50)에 인접히 내측부움(16)에 부착되어 있다. 그 구멍(92) 내에 캐리어 수축 케이블(56)의 단부(94)가 삽입되어 사다리꼴 슬리이브(96)에 의해 보지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 요소들 외에, 캐리어 조립체(50)은 한쌍의 도관 차폐물(98)을 가지고 있고, 그 차폐물(98)은 가요성 도관(54)를 보호하기 위해 로우프차(52)의 일부분을 차폐하며, 용접 또는 그와 같은 수단에 의해 캐리어 조립체(50)의 원통형부분(50A)에 진접 고착되어 있다.
또한, 그 차폐물(98)은 한쌍의 횡봉(cross bar)(100)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고, 그 횡봉은 회전자재하게 축(102)상에 장착된 캐리어 조립체 아이들러풀리(78) (제4도 참조)을 보지하도록 작용하며, 그 축(102)는 캐리어 조립체(50)의 윈통형 부분 (50A)에 고착되어 있다. 가요성 도관(54)가 로우프차(52) 주위에서, 마모나 체결구 (74)에 의한 캐리어 수축 케이블 장력의 오조정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바와 같이 느 슨하게되는 경우, 도관(54)는 작동시 로우프차(52) 주위에서 미끄러지게 되는데 그러한 사고를 차폐물(98)이 방지한다.
제5 및 6도에서 수축 케이블(56)과 관련한 캐리어 조립체(50)의 운동을 상세히 예시하기 위해 부움(12)가 수축된 위치와 신장된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제5도에서, 부움이 수축된 위치로 도시되어 있고, 제6도에 최대로 신장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제5도와 제6도를 비교하면 캐리어 조립체(50)이 내측부움(16)에 의해 이동된 거리의 절반만큼만 이동함을 알수 있다. 신장하여 있건 수축하여 있건간에 캐리어 조립체(50)의 운동은 캐리어 수축 케이블(56) 및 관련 구성 요소에 의해 정밀하게 조절되어 가요성 도관(54)가 항상 소정의 초기 장력하에 있게 한다.
제7도에, 가요성 도관(54)들중 하나와 그 안에 내장된 제어 도선들이 부분 절제되어 도시되어 있다. 그 가요성 도관(54)는 망상의 금속 외장(外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도관(54) 내에는 다수의 제어도선(104 ,10 6,108)이 내장되어 있다. 각기 제어도선은 단일의 또는 다중의 전기도체 케이블일 수도 있고 가요성의 유압 또는 공기압 도선일 수도 있다.
제8도에, 신장 실린더(36)과 실린더로드(38)을 가진 것으로 상술하였던 로드 추진식 유압 실린더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 실린더 로드(38)은 신장 유체 입구 (110)과 수축 유체 입구(112)가 형성된 입구 몸체부분(38B)를 가지고 있고, 그 입구들에 신장유체 입구 조립체(58)과 수축 조립체(60)(제3도 참조)이 부착되어 있다. 신장 유체 입구(110)은 몸체부분(38B)에 형성된 신장 유체 통로(114)로 통하여 있고, 수축 유체 입구(112)는 수축 유체통로(116)으로 통하여 있다. 신장 유체 통로(114)는 입구 몸체 부분(38B)에 고착된 유체 공급관(38A)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그 입구 몸체 부분(38B)는 실린더 로드 슬리이브(38C)에 연결되어 있다. 유체 공급관(38A)와 실린더 로드 슬리이브(38C) 사이에 제1수축 유체 저장소(118)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저장소에 수축 유체 통로(116)이 통하여 있다. 실린더 로드 슬리이브(38C)에는 다수의 구멍(120)이 형성되어 있어 제1수축 유체 저장소(118)과 제2수축 유체 저장소(122) 사이의 유압유체의 통로를 제공한다.
그 제2수축 유체 저장소(122)는 신장 실린더(36)과 실린더 로드 슬리이브 (38C)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입구 몸체 부분(38B)의 반대측 실린더 슬리이브(38C)의 말단부에서 실린더 (36) 내에 유압실린더 피스톤(124)가 배치되어 있다. 유체공급관(38A)는 피스톤 (12 4) 내를 통과하여 그 피스톤에 고착되어 있고 실린더 단부 캡(cap)(128)에 의해 형성된 신장 유체 저장소(126)과 통하여 있다. 캡(128)은 실린더(36)의 단부를 폐쇄하며 거기에 브라켓트(40)이 용접 또는 다른 통상의 수단으로 고착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로드 슬리이브(38C)도 피스톤(124)에 고착되어 있다.
작동에 있어서, 실린더 로드(38)은 핀(48)(제3도 참조)에 의해 외측 부움(14)에 고착되어 있다. 부움(12)를 신장하려면 유압 유체가 신장 유체 입구 조립체(58)을 통해 신장 유체 입구(110)으로 압력하에 공급되어 신장통로(114)와 유체 공급관 (38A)를 통해 신장 유체 저장소(126) 내로 통과한다. 로드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유압유체 압력은 실린더(36)을 로드(38)에 대해 이동시키고, 실린더(36)이 내측부움(16)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부움(16)이 외측으로 이동하여 부움(12)를 신장시킨다. 수축시, 압력하의 유압 유체가 수축 입구 조립체(60)을 통해 수축 유체 입구(112)로 공급되고, 수축 유체통로(116)을 통해 제1수축 유체 저장소(118)로 그리고 구멍(120)을 통해 제2수축 유체 저장소(122)내로 통과한다. 제2수축 유체 저장소는 T형 스톱퍼(46)에 인접한 그의 단부가 실린더(36)상에 형성된 밀봉 플랜지 (flange)부분(130)에 의해 폐쇄되어 있어, 부움 신장시 제2수축 유체 저장소(122)의 체적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제2수축 유체 저장소에 압력하의 유압 유체를 공급함에 의해 밀봉플랜지 부분(130)이 T형 스톱퍼(46)쪽으로 압압되어 내측부움(16)을 외측부움(14) 쪽으로 수축시킨다.
제9도에, 리프트(10)에 사용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균형추 조립체(140)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 균형추 조립체(140)은 터릿트기판(turret baseplate)(144) 상에 장착된 균형추 몸체부(142)를 포함한다. 그 터릿트 기판은 제9도에 도시된 회전축 주위에서 회전자재하게 플레임(18)상에 연결되어 있다. 균형추 몸체부(142)는 그의 후미 상부에 부착된 한쌍의 부움 장착 브라켓트(146)(제10도 참조)과 자체 평형마스터 유압 실린더 장착 브라켓트(148)을 가지고 있다. 그 부움 장착 브라켓트 각각은 구멍(146A)를 가지고 있고, 그 구멍은 부움 장착핀(34)으로 리프트(10)에 부움(12)를 회전 부착하는 점이다.
상술한 자체 평형 장치는 마스터 실린더(도시안됨)와 슬리이브 실린더(28)을 포함한다. 그 마스터 실린더는 장착 브라켓트(148)에 부착되어 작업원 플랫트홈(26)의 자체 평형 특성을 위한 슬레이브 실린더(28)의 유압 유체 제어를 제공한다.
제9 및 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제10도는 균형추 조립체(140)의 평면도이다 ), 균형추 몸체부(142)는 회전축에서 먼쪽의 둥근 후미 부분(150)과 회전축에 인접한 직선의 전방 부분(152)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리프트 실린더 장착 브라켓트(154)가 전방 몸체부분(152)에 고착되어 있고 리프트 실린더(24)(제1도 참조)가 그 브라켓트에 축선회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균형추 조립체(140)의 구조적 강도를 부가시키기위해, 터릿트 기판과 평편한 측부(156)에 부착된 한쌍의 장방형 튜브(155)가 제공되어 있다. 균형추 몸체부(142)는 경사진 상부 표면(158)을 가지고 있고, 그 표면(158)은 몸체부의 후미측에서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져 있다. 하향 경사진 상부 표면은 부움(12)를 수평 또는 수평 아래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게 한다.
터릿트 기판(144)는 어떤 통상의 방식으로 프레임(18)에 회전자재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용될 특정장치에 따라, 리프트(10)에 요구되는 각종 동력원이 그 터릿트 기판(144), 프레임(18), 균형추 조립체(140)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제1도에서, 그 균형추 조립체가 예를 들어 강력 플라스틱 재료로 된 하우징(20) 내에 내장되어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본 실시예에서, 그 하우징(20)에는 리프트(10)을 위한 연료 탱크가 설치되어 있고, 그 탱크는 균형추 몸체부(142)의 경사진 상부 표면상에 장착되고 하우징 (20)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균형추 자체는, 예를들어 소망의 중량을 제공하도록 밸러스트(ballast) 물질로 채워져 밀폐된 강(鋼) 주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균형추 몸체부(142) 상에 부움 장착 브라켓트(146)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균형추 조립체(14)의 중심(重心)이 항상 균형추 조립체(140)상의 부움(12)의 축 지점과 리프트(10)에 대한 부움의 회전축 사이에 위치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1도에, 경사면에서의 작업시 리프트의 전복의 위험이 가장 큰 상태인 직립 위치에 부움이 위치하여 본 고안의 리프트(10)이 도시되어 있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10)의 중심(160)의 위치는 리프트 프레임의 트랙내에 위치하여 하우징 (20)(즉 부움 12)의 회전축과 부움(12)를 위한 축지점(146A)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하여, 리프트(10)이 전복되지 않는다.
이러한 전복에 대한 안전성은 제12도에 도시된 리프트(162)와 같은 종래 기술의 리프트와 대조가 되는 것이다. 그러한 종래 기술의 리프트에서, 프레임(164)에는 운동장치(도시 안됨)에 의해 자체 추진되는 차륜(166)들이 취부되어 있다. 그 리프트 (162)는, 축지점(172)에서 하우징(170)에 축선회가능하게 장착된 신장가능한 부움 (168)을 가지고 있다. 그 리프트(162)는 중심(重心)(176)을 제공하도록 하우징에 부착된 균형추 조립체(174)를 가지고 있다. 그 중심(176)은 차륜(166)에 의해 형성되는 트랙의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12도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프트(162)의 회전축에 대한 부움(168)의 축지점(172)는, 중심(176)과 회전축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하여 종래 리프트(162)는, 직립 위치에 있을때, 특히 경사면상에서 작업할 때 전복될 위험이 있거나 또는 실제 전복되게 되어 리프트에 손상을 주거나 플랫트폼에서 작업하는 작업원에 상해를 입힐 수 있다.
이러한 전복의 위험은 2가지 점에서 본 고안에 의해 제거된다.
리프트의 중심이 항상 부움의 축지점과 부움의 회전축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바람직한 본 실시예에서, 또 다른 안정성은 리프트의 트랙내에서 균형추 조립체의 중심을 위치시킴에 의해 제공된다. 그렇게 위치될 때 리프트는 정규 작동시 전복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 리프트가 전복될 수 있는 경사각은 매우 크기 때문에 작업원이 위험한 상태를 미리 알 수 있고, 그리하여 리프트의 적절한 위치교정이 행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와 같이 리프트의 중심을 위치시킴으로써 리프트는 종래 기술의 리프트 보다 더 좁은 통로에서도 작업할 수 있고, 이것이 제11 및 12도의 비교로 부터 알 수 있다. 그러한 작동은 통상의 창고작업에 넓은 통로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창고의 용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하우징(20)의 회전으로도 하우징(20)이 프레임 (18)과 차륜(22)에 의해 형성되는 리프트의 트랙을 넘어 연장하지 않기 때문에 통로가 리프트 자체보다 크게 넓지 않아도 되며, 이러한 것은 작업원 플랫트폼의 측방 위치를 위해 회전될 때 리프트의 트랙을 지나 하우징이 크게 연장하는 종래 기술의 리프트 (162)와 대조된다.
균형추의 후미상부 표면으로 부터 부움을 축선회시킴에 의해, 종래 기술의 리프트 보다 더 멀리 부움이 도달할 수 있고, 동시에 리프트 회전축에 균형추의 중심을 매우 근접시킴에 의해 작업소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균형추의 상부 표면상에 위치함으로써 도달길이가 길게되는 외에, 종래 리프트와 비교하여 긴 부움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부움이 균형추의 상부 후미에 직접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높은 높이에 도달하도록 긴 부움을 설계하고 균형추 조립체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이러한 타입의 종래의 리프트에서의 간격과 비교하여 회전축에 매우 밀접히 부움 축지핀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긴 부움상의 작업원 플랫트폼이, 짧은 부움 리프트에서와 동일한 위치에 균형추가 위치되어도 회전축으로 부터 더 멀리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부움의 수평위치에서 탑승된 플랫트폼에 의해 부여되는 높은 적극적인 전복 모멘트 (moment)를 보상하기 위해 회전축으로 부터 약간 큰 간격으로 균형추와 부움 축지핀이 재배치될 수 있다. 부움 축지핀의 이러한 재배치는 부움이 승강된 위치에 있을 때 회전축에 밀접히 플랫트폼을 이동시켜 회전축에 밀접한 곳에서 작업원이 작업할 수 있고 그리하여 작업시 그러한 리프트에서의 작업에 요구되는 리프트 조종을 간단히 할 수 있다.

Claims (1)

  1. 자체 추진식 프레임, 부움 및 회전축 주위에서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상에 장착된 몸체부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중심(重心)을 가진 균형추(14 0)와, 상기 부움을 상기 몸체부에 축선회 가능하게 부착하는 수단이 있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균형추 중심(160)이 부움 축지점(146A)과 회전축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KR2019840007237U 1979-02-21 1984-07-26 리 프 트 KR840001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7237U KR840001663Y1 (ko) 1979-02-21 1984-07-26 리 프 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689 1979-02-21
KR1019800000686A KR830001805A (ko) 1979-02-21 1980-02-20 리프트
KR2019840007237U KR840001663Y1 (ko) 1979-02-21 1984-07-26 리 프 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686A Division KR830001805A (ko) 1979-02-21 1980-02-20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663Y1 true KR840001663Y1 (ko) 1984-09-13

Family

ID=26626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7237U KR840001663Y1 (ko) 1979-02-21 1984-07-26 리 프 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6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84035A (en) Vehicle mounted loading hoist
US4226300A (en) Self propelled and extensible boom lift
US4021019A (en) Heave compensating cranes
US1345304A (en) Derrick for vehicles
US4733598A (en) Telescopic jib
US4602462A (en) Boom articulating mechanism for aerial devices
US3154199A (en) Single boom derrick units
US3076560A (en) Retractible mast and boom stop
US4976361A (en) Mobile crane comprising a telescopic boom
US3430778A (en) Load lifting
US4402413A (en) Counterweight arrangement
EP0120015A1 (de) Verladeeinrichtung für gegenüber einem wasserspiegel relativ bewegliche lasten
US4258853A (en) Extensible boom for cranes
US4993911A (en) Mobile crane
DE1264010B (de) Krananlage fuer grosse Tragkraefte und Lastmomente
KR840001663Y1 (ko) 리 프 트
US4027441A (en) Arrangement for erecting and dismounting an elongate object having one end articulated to a foundation
US2674378A (en) Removable counter weight for truck cranes
US4363413A (en) Endless chain drive for telescopic jib sections
USRE31400E (en) Self propelled and extensible boom
US4010852A (en) Sheaving arrangement
US4799850A (en) Material handling vehicle for use in a mine
CA1174205A (en) Triple mast for fork lift trucks
US4386711A (en) Crane having stabilizer outriggers and vertically positionable jacks for same
US4050535A (en) Articulate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802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