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638B1 - 직물의 승화 염료 전사(轉寫) 날염 방법 - Google Patents

직물의 승화 염료 전사(轉寫) 날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638B1
KR840001638B1 KR1019810000997A KR810000997A KR840001638B1 KR 840001638 B1 KR840001638 B1 KR 840001638B1 KR 1019810000997 A KR1019810000997 A KR 1019810000997A KR 810000997 A KR810000997 A KR 810000997A KR 840001638 B1 KR840001638 B1 KR 840001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fabric
sublimation
polyester
co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0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5428A (ko
Inventor
도넨펠드 헨리
Original Assignee
돈크로프트 칼러스 앤드 캐미칼스 인코포레이티드
벤 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돈크로프트 칼러스 앤드 캐미칼스 인코포레이티드, 벤 쇼우 filed Critical 돈크로프트 칼러스 앤드 캐미칼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19810000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638B1/ko
Publication of KR830005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5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13Fugitive dyeing or stripping dy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물의 승화 염료 전사(轉寫) 날염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승화염료 전사재의 제1 형태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승화염료 전사재의 제2 형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승화염료 전사재의 제3 형태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전사재의 제4 형태의 단면도.
본 발명은 승화 염로 전사(轉寫) 날염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천연 및 합성섬유로 직조된 직물의 승화 염료 전사 날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면 및 기타 다른 천염 섬유직물을 승화성 염료로 승화 전사 날염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는 것이 본 기술에 잘 알려져 있는데, 특히 면이나 면과 합성 섬유의 혼합물로 직조된 직물의 전사 날염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으로, 직물에 염료를 전사하거나 결합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특별한 작용제 없이 승화성 염료로 전사 날염된 면 함유 직물들은 만족스럽게 염료로 날염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35:65의 중량비로 된 면이나 면과 폴리에스터 혼합물로 구성된 직물을 작용제의 도움없이 승화 염료로 전사날염하면, 날염되지 않은 곳을 가지는 완전히 불만족한 제품이 얻어진다. 직물의 면함량이 20:80의 비로 낮은 경우 불균일한 염색이 행해지고 직물이 매우 소량의 면섬유를 함유하도록 상기 비가 10:90으로 변경되는 경우 염료의 원하는 견로도를 얻을 수 없다.
공지된 염료 결합제를 승화성 염료와 배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면을 포함한 천연섬유로 직조된 직물은 염색이 될 수 있으나, 그 염색된 색갈은 확고하게 견로한 색갈이 아니라 단순히 염료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세척시 염료가 직물로부터 제거된다. 즉 결합제는 직물에 결합될 수 있으나, 염료는 결합되지 않는다.
종래의 방법들은 면이나 기타 천연섬유를 함유하는 직물에 승화성 염료가 고착될 수 있도록 직물이나 통상의 승화 전사지를 여러가지 화약품으로 전처리하거나 피복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한 이러한 모든 방법들은 여러가지 단점을 가지는데, 특히 염색된 색갈의 질이 나쁘고 반복된 세탁에 대한 견로도가 허용될 수 없을 정도로 낮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스터 수지, 바람직하게는 중합체가 많은 양의 유리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폴리에스터 수지는 면이나 기타 천연섬유로 직조된 직물에 승화염료 기술에 의하여 부여된 색갈의 농도, 균일성 및 견로도를 현저히 개선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것은 폴리에스터 수지가 화학적으로 섬유에 결합되여 활성 자리(active site)(유리 COOH기와 같은)를 제공하고, 이 활성자리에 염료 분자가 결합한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발견은 특히 면과 같은 천연 섬유를 함유하는 직물은 승화염료로 전사 날염하였을 경우 염색 견로도의 점에서 대단한 성공을 제공하는데 실제로 본 발명에 따라 처음으로 면직물상에 매우 만족한 승화염료 전사 날염이 행해진다.
본 발명에 따라, 폴리에스터의 사용에 의해 직물상에 승화 전사 날염된 염료의 견로도가 보증되지만, 날염 제품의 빳빳함이 증가되며 이것은 어떤 용도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부가적으로, 몇몇 경우 폴리에스터 수지는 직물에의 폴리에스터의 균일한 결합을 제공하는 적절한 필름형성 성질을 가지지 않으며 불균일한 염료 결합 및 색갈의 불균일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폴리에스터 수지를 염료 결합제와 배합 사용하여 직물, 특히 면이나 기타 자연섬유를 함유한 직물상의 보다 우수한 승화염료 전사 날염을 용이하게 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예 따라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예에서, 폴리에스터와 염료결합제는 상승 작용을 하여 색갈 농도와 균일성 및 세탁에 대한 견로도를 더 증진시킨다. 통상의 염료 결합제는 폴리에스터 수지와 결합제를 직물상에 보다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필름 형성 성질을 가지며 또한 최종제품의 빳빳해짐을 감소시키는 가소(plastiicizing) 기능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폴리에스터 수지는 반복된 세탁에도 견딜 수 있는 승화 염료 전사날염을 제공하도록 염료 분자가 화학적으로 결합하는 활성 자리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은, 직물상에 승화성 염료를 전사날염하는 개량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진된 색갈 선명도, 농도 및 견로도를 부여하도록 자연섬유를 함유한 직물상에 승화 염료잔사를 행하기 위한 개량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염색된 직물이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면서 증진된 색갈농도 및 견로도를 나타내는 개량된 승화염료 전사 날염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많은 양의 면이나 기타 자연섬유를 함유한 직물상에 승화된 염료를 전사 날염하기 위한 승화 염료 전사 날염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가열에 의하여 직물상에 승화염료를 전사 날염하는 것으로, 이러한 날염에서 사용되는 염료 조성물은 승화성 염료를 직물에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반복된 세탁에도 견딜 수 있는 짙고 균일한 색갈을 나타내며 부드러운 감촉을 갖는 염색된 직물을 제조할 수 있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면 같은 자연섬유와 자연섬유 및 합성섬유의 혼합물로 직조된 직물의 승화염료 전사 날염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색갈이 흐려지거나 선명도의 상실없이 자연섬유나 자연섬유와 합성섬유의 혼합물로 직조된 직물상에 반복된 세탁에도 견딜 수 있는 강하고 짙게 착색된 승화염료 전사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승화염료 전사재는, 임시적 지지물, 임시 지지물에 의하여 지지된 열승화성 염료, 및 가열전사시 영구기질과 염료 사이에 확고한 결합을 제공하도록 임시 지지물에 의하여 지지된 염료결합 조성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승화염료 전사 날염 방법은 승화염료 전사 날염에 의하여 직물(특히 면이나 기타 자연 섬유를 함유하는 직물)에 전사날염된 색갈의 농도와 균일성 뿐만 아니라 염색 견로도로 현저히 개선시킨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염료 결합 조성물은 많은 양의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에스터 수지를 포함한다. 활성 카르복실기를 폴리에스터의 수지를 직물에 결합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 또한 반복된 세탁에 견딜 수 있는 염색을 달성하도록 염료분자가 화학적으로 결합되는 활성자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본 발명에 사용된 폴리에스터 수지는 염색 공정이나 날염된 제품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 폴리에스터의 수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폴리에스터 수지를 선택하는데에는 수지 유리 전이온도, 수지 색갈 및 수지 가격과 같은 요인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타입의 폴리에스터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지 않는 폴리에스터를 사용하였을 때에도 만족한 제품이 얻어질 수 있다.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에스터를 사용할 때 우수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데, 이는 직물과 염료를 결합시키기 위한 활성자리가 보다 많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폴리에스터 중에는, 폴리(에틸렌 아디페이트), 폴리(에틸렌 서버레이트), 폴리(에틸렌 세바케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 아디페이트), 폴리(헥사메틸렌 마레이트), 폴리(헥사메틸렌 푸마레이트), 폴리(헥사메틸렌 석시네이트), 폴리(헥사메틸렌 세바케이트), 폴리(데카메틸렌 아디페이트), 폴리(헥사데카메틸렌 세바케이트), 폴리(1,4-싸이클로 헥실렌 세바케이트)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있고, 다크론(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에틸렌 글리콜 반응 생성물)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비스-하이드록시 페닐 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렉산"이란 상품명으로 시판됨)와 같은 폴리카보네이트류를 포함한 에스터 결합을 갖는 다른 폴리에스터 중합체들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폴리에스터 수지는 유리오일을 사실상 포함하지 않는 알키드 형태에 수지이다. 알키드 수지는, 반응에 첨가되어 중합체의 개질제로서 작용하는 건조오일의 존재하에 폴리하이드릭 알콜과 다염기산의 반응 생성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형태의 폴리에스터도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스터는 예를 들어, 폴리하이드릭 알콜을 다염기산 할라이드와 반응시키거나 하이드록시 카르복실산의 중합에 의하여 제조될 수가 있다. 건조오일은, 알키드 폴리에스터를 제조하도록 중합전단량체 용액내에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터 결합이 반응성으로 잔존하는 한, 폴리에스터 결합을 가지며 또한 다른 형태의 중합체 결합을 갖는 중합체들도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스터 수지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폴리하이드릭 알콜의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롤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 글리콜이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다염기산의 바람직한 예로는, 방향족 및 지방족 카르복실 폴리산(polyacid)과 무수물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적당한 특정 폴리산의 예로는 프탈산, 이소프탈산, 태레프탈산, 말레인산, 호박산 및 아디핀산과 이들의 무수물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 할라이드는 상술한 방향족과 지방족의 산클로라이드와 같이 당해분야에 공지된 것들이다. 사용될 수 있는 하이드록시 산은 예컨데 태레프탈산과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다염기산과 폴리하이드릴 알콜의 1:1 축합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다. 사용될 수 있는 건조오일은 아마유, 대두유, 및 등유와 같은 천연 및 인공건조오일을 포함하며 아마유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터 수지의 제조는 폴리하드릭 알콜과 다 염기삼과 건조오일의 혼합물과 같은 선택된 단량체를 높은 온도 예컨데 177°-232℃에서 약 10초간 반응시킴에 의하여 간단히 실시될 수 있다. 만일 유리 카르복실기를 사실상 갖지 않는 폴리에스터 수지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 가열과 함께 반응시간을 연장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중합의 기본적 방법들은 당해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잔류 건조 오일은 염료를 직물상에 잔사할 때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폴리에스터 수지 제품으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필요에 따라, 통상의 염료 결합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폴리에스터 수지와 통상의 염료 결합제는 가교결합 중합제를 형성하도록 반응하고 직물내 염색 심도와 균일성을 증진시키고 반복 세탁에 대한 만족한 견로도를 제공하도록 상승 작용을 한다.
통상의 염료 결합제는 일반적으로, 처리된 직물이 빳빳하게 되지 않도록 충분히 낮은 유리전이 온도를 갖는 자체 가교결합성이나 열봉합성의 중합체이다. 그러나 염료결합 조성물이 직물에 부여된 후 점착성이 남지 않도록 유리전이온도가 충분히 높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염료 결합제의 유리전이온도는 -30°~ +40℃, 바람직하게는 -2°~ +5℃ 범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염료 결합제로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아크릴산 에스터, 메타크릴산 에스터 및 비닐 할라이드로부터 유도된 화합물로 구성된 구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랑체의 중합체를 포함하는데, 예를 들면 폴리이소푸틸렌,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및 비닐프로피오네이트 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특정 공중합체로는, 메타크릴레이트와 비닐이소부틸 에테르의 공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비닐 이소부틸에테르의 공중합체, 메틸아크릴레이트와 에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부틸 아크릴레이트와 비닐 이소부틸에테르의 공중합체, 부틸 아크릴레이트와 부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메타 크릴레이트와 부틸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비닐 아세테이트와 에틸렌의 공중합체, 비닐 콜로라이드와 에틸렌의 공중합체 및 스티렌과 1,3-부타디엔의 공중합체 등이 있다. 아크릴노니트릴, 1,3-부타디엔 및 스티렌을 포함한 단량체 혼합물의 반응 생성물과 같은 터폴리머(terpolymer)도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결합제는 다른 형태의 단량체와 공중합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이다.
폴리에스터 수지와 통상의 염료 결합제는 폴리에스터 수지와 염료 결합제의 결합된 중량의 50% 이상이 폴리에스터 수지이도록 하는 중량비로 결합된다. 폴리에스터 수지보다 많은 통상의 염료 결합제를 사용하는 경우 염료 결합 조성물은 종이표면에서 이탈되어 승화염료 전사 날염을 어렵게 하는 정도로 점성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최적의 중량비 범위는 (1) 염료 결합 조성물의 층이 선택된 유리표면으로부터 벗겨지는 데 있어서도 어려움과, (2) 염색견로도, 착색농도 및 직물의 빳빳해짐을 포함한 승화염료 전사제품의 성질을 평가함에 의하여 경우에 따라 결정된다. 염료 결합 조성물내 폴리에스터 수지의 중량비율의 증가는 착색농도와 염색 견로도를 개선하나 직물의 빳빳해짐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요인은 경우에 따라 당해분야의 기술자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고 적절한 염료 결합 조성물의 조성이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승화염료 전사날염되는 직물에 부여한 후 조성물의 경화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염료 고착 조성물내의 폴리에스터 수지와 통상의 염료결합제 결합제와 함께 경화제가 배합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는 경화제를 조성물내에 배합시킬 필요는 없으나 경화제의 첨가시에는 염색 견로도가 개선된다.
적당한 경화제의 예로는,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및 요소-포름알데히드를 들 수 있으며,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가 바람직하고, 다른 경화제로 사용될 수 있다.
원하는 점도를 얻기 위하여 조성무에 농후화제를 첨가할 수 있는데, 사용될 수 있는 농후화제의 예로는,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다른 중합성 아크릴 염 카르복시메틸 셀루로스(CMC) 및 카르복시메틸하이드록시 에틸 셀루로스(CMHEC)와 같은 폴리아크릴레이트와 셀루로스 에테르가 있으며, 적당한 농후화제가 롬앤드 하스 회사로부터 "아크리솔"이라는 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염료결합 조성물은 또한 주위로부터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윤활제는 염료 결합 조성물의 적용층을 보다 매끄럽게 하고, 그 조성물의 필름 형성 경향을 감소시키므로, 스크린을 막히게 함이 없이 실크-스크린 방법에 의하여 그 조성물이 기질에 부여될 수 있게 하고, 건조한 상기 조성물층이 임시 지지물, 다시 말하면 박리 종이로부터 박리되는 것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킨다. 적당한 흡습제로는, 알킬렌 글리콜, 알킬글리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글리콜, 폴리(하이드록시 알킬), 싸이클로 알칸 및 하이드록실화된 지방족 아마이드가 있는데, 바람직한 흡습제는 글리세린이다.
염료 결합 조성물은 그 염료 결합조성물내 성분들의 현탁을 안정화시키는 소량의 분산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는 통상적이고 당업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나프탈렌 설폰산의 금속염이 바람직하다.
염료 결합 조성물은 실리콘 발포 방지제와 같은 소량의 수용성 발포 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발포방지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중량의 약 0.3%의 양으로 그 조성물내에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불활성 희석제가 점토를 조절하기 위하여 염료 결합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는데, 물이 바람직한 희석제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염료 결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터 수지뿐만 아니라 염료 결합제, 경화제, 흡습제, 농후화제, 분산제, 발포 방지제 및 불활성 희석제와 같은 임의성분들이 배합될 수 있다.
이 염료 결합 조성물은 직물상에의 승화염료 전사날염을 개량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승화 염료 전사날염 방법은 승화성 염료와 폴리에스터 수지(바람직하게는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를 가열에 의해 직물에 전사시키는 것을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폴리에스터 수지가 염료를 직물에 결합시킨다. 염료는 승화에 의하여 전사되고 폴리에스터 수지는 가해진 열에 의한 물리적 이주(migration)에 의하여 전사된다. 염료가 폴리에스터로 처리되지 않고 노출된 직물과 접촉하기 전에 폴리에스터가 직물과 결합하도록 허용되는 한, 어떠한 다른 적용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승화염료 전사날염의 기본 개념은 당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서, 통상의 염료 결합제가 염료 결합 조성물에 첨가된다. 염료 결합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으나, 본 발명은 어떤 통상의 염료 결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염료 결합 조성물의 상술한 바에 따르면, 경화제, 농후화제, 흡습제, 분산제, 발포방지제 및 불활성 희석제를 포함한 첨가제들이 필요에 따라 첨가될 수 있는데, 이러한 첨가제들이 당해분야의 기술자들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염료 흡수력과 직물에서의 염색 견로도는 폴리에스터 수지와 염료 결합제의 흡수력에 비례하는데, 폴리에스터와 염료 결합제의 흡수력이 크면 클수록 착색심도가 높게 되고 염색 견로도도 더 우수하게 된다. 그러나 폴리에스터의 흡수력이 증가하면 직물의 빳빳한 정도가 증가하므로, 최종 제품의 요구되는 유연성 및 촉감에 따라 최대 허용 폴리에스터 흡수 수준을 결정하여야 한다. 몇몇 경우, 승화염료 전사날염 전에는 폴리에스터 수지를 염료 결합 조성물로부터 분리시키고 전사처리중에는 폴리에스터 수지를 염료 결합 조성물내 성분들과 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정에 따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하기에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조작방법에 의해서도 동일하게 만족스런 날염 직물이 제조된다.
면, 양모, 린넨, 면-폴리에스터 혼합물, 폴리에스터-레이온 혼합물, 레이온, 나일론, 아세테이트 및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한 직포 및 부직포를 포함하는 각종 직물들이 본 발명에 따른 승화염료 전사 날염에 의하여 날염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면직물 및 면과 다른 섬유와의 혼합물로 만들어진 직물의 승화염료 전사날염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100% 폴리에스터 직물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는 염료 결합의 질적인 면의 개량이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형태의 직물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의 기술자들은 다른 직물 형태에 대한 본 발명의 적용을 신속히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폴리에스터에 효과적이고 만족하게 결합하는 당업자에 알려진 어떤 승화성 염료가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될 수 있는데, 분산염료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염료로는 예컨데 아조, 안드라퀴논, 퀴노프탈론, 니트로, 아조메틴 및 스티릴-형 염료를 들 수 있다.
염료 결합 조성물을 직물에 적용하는 한가지 방법에서, 그 조성물은 염료를 직물상에 날염하는데 사용되는 승화염료 전사날염 성분들과 배합된다. 이러한 승화염료 전사 날염은, 전사될 성분들로 피복된 박리종이와 같은 기질의 면을 승화염료 전사날염된 직물상에 놓고 그 기질의 반대면상에 열을 가하여 염료를 승화시키고 기질로부터 염료 결합조성물을 직물상으로 물리적으로 이전시킴에 의하여, 염료와 염료 결합 조성물을 기질로부터 직물상에 전사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공정에 박리종이가 유익하게 사용되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전사를 도웁기 위하여 전사재와 직물의 접합부에 압력을 가할 수도 있고, 전체 접합부를 가열하기 위하여 기질의 자유면보다는 직물의 자유면에 열을 가할 수도 있으나, 이것은 보다 많은 가열을 요하므로 적합치 않다.
승화염료 전사 날염 공정은 177°-216℃(350°-420℉)에서 10초간에 달성될 수 있다. 보다 강한 열처리는 염료가 직물의 섬유내로 침투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결과적으로 최종 제품의 착색 농도를 감소시킨다. 직물과 전사재는 적어도 10ℓb/in2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psi의 압력으로 서로 함께 압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것은 필수적 조작이 아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전사재의 일예가 제1도에 도시되었다. 승화 전사지(A)는 그의 한면에 박리제(release agnet)층 (B)로 피복된 다음, 폴리에스터 수지를 가지는 염료 결합 조성물층 (C)가 박리제층 (B)상에 도포된다.
사용되는 박리제가 폴리에틸렌 에멀존인 경우, 박리제층 (B)과 염료가 모두 직물상으로 이전되기 때문에 층 (A)와 (B) 사이에 염료층이 배치될 수 있다. 직물상으로 이전되는 모든 박리제들은 "1급" 박리제라 칭하기로 한다. 그러나, 현재 폴리에틸렌 에멀존 이외의 이런 방식으로 작용하는 박리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른 박리제("2급")는 염료를 직물상으로 이전시키지 못하며, 이들이 사용될 때 염료는 층 (B)와 (C) 사이에 배치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는, 염료가 층 (C)의 염료 결합 조성물과 혼합된다. 이러한 예는 사용되는 박리제의 형태에 관계없이 이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폴리에스터 수지가 염료 결합 조성물로부터 생략되고 대신 층(B)와 염료 결합 조성물의 층(D) 사이에 배치되어 중간층(E)를 형성하도록 한다.
1급 박리제를 사용하는 경우, 층 (A)와 (B) 사이에 염료층을 배치하고, 2급 박리제를 사용하는 경우 층(B)와 (E) 사이에 염료층을 배치시킨다.
제3도에 도시된 다른 예에서는 폴리에스터 수지를 박리제와 혼합하여 그 혼합물을 승화전사지(A)에 도포시켜 층(F)를 형성시킨다. 다시, 폴리에스터 수지를 갖지 않는 염료 결합 조성물을 층(D)로서 층(F)상에 배치시키는데, 이러한 실시예는 1급 박리제를 사용할 때만이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전사재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통상의 염료 결합제 함유층을 승화염료 전사 날염될 직물표면에 도포시키고 열을 가하여 염료의 승화전사 및 염료 결합 조성물 성분들의 물리적 이전을 달성시킨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전사재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한 것이다. 기질층(10)의 한면을 박리제층(11)로 피복한다. 그 박리제층(11)상에, 폴리에스터 수지를 갖지 않는 염료 결합 조성물의 두꺼운 층을 도포시킨 다음 이것위에, 필요한 양의 폴리에스터 수지를 함유한 염료층(13)이 배치된다. 폴리에스터 수지를 갖지 않는 염료 결합 조성물의 얇은층(14)를 염료/폴리에스터 수지층(13)상에 도포시킨다. 그 층(14)는 지지물(15)를 제거하는 것이 요구될 때까지 그 임시적 지지물(15)를 유지시키는데 충분한 결합력을 가진다. 승화염료 전사 날염을 실시하고자 할 때, 박리제층(11)과 함께 기질(10)을 제거하고 두꺼운 염료 결합 조성물 층(12)의 노출면을 날염될 직물면과 접촉시킨 후 열을 가하면 승화염료 전사날염이 달성된다. 다음, 임시적 지지물(15)는 제거하여 폐기된다.
승화염료 전사지는, 비교적 다공성이 아니며 박리층과 염료 결합 조성물 성분들에 침투하지 않는 어떤 적당한 시이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승화염료 전사지는 종이, 유리섬유직물, 플라스틱 필름, 금속박이나 직포 또는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으나 다른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적당한 박리제의 예로는, 실리콘과 왁스가 있으며, 특히 상술한 폴리에틸렌 에멀죤이 바람직하다. 염료이주를 허용하는 외에 폴리에틸렌 에멀죤은 광택이 적고 질이좋은 날염 직물표면을 제공한다.
승화염료 전사재에 사용하기 위한 염료 결합 조성물 층의 피복 두께는 실험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층의 두께가 크면 클수록 염료 결합 조성물의 흡수가 커진다. 그리고 염료 결합 조성물의 흡수 정도가 크면 클수록 짙은 착색이 얻어진다. 그러나, 높은 흡수력은 직물을 빳빳하게 한다. 이러한 상반되는 성질들 사이의 평형은 당해분야의 기술자에 의하여 경우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직물의 승화 염료 전사날염에 전술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염료 결합 조성물의 사용을 예시한 것이다. 이들 실시예는 단순한 예시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다.
통상의 승화성 염료가 실시예에서 사용되었다. 어떤 특별한 예에서 사용되는 염료의 양은 원하는 특정 색조에 따라 좌우되며, 승화염료 전사 기술에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쉽게 결정될 수 있다. 이용되는 특정염료나 염료의 양은 임의적이며, 특별히 앞에서 기술된 폴리에스터 수지 또는 기타 다른 적당한 폴리에스터(바람직하게는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들중 어느 것도 실시예 조성물내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중량 퍼센트 비율에 따른 하기 성분들로부터 염료 결합 조성물이 조성되었다.
10중량%의 트리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경화제를
갖는 폴리(에틸렌 아디페이트)수지…27% 실리콘 발포 방지제………0.3%
아크릴레이트 결합제 …………………10% 분산제(나프탈렌 설폰산의 금속염)……1%
글리세린 ………………………………… 9% 물……………………………48.2%
TT 678 아크리솔 농후화제………………4.5%
이 염료 결합 조성물을 스크린(센티미터당 29개 구멍과 인치당 70개 구멍을 갖는 메시번호29(74호)을 통하여, 승화성 염료층을 갖는 박리지위에 피복시켜 전사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중량 퍼센트 비율에 따른 하기 성분들로부터 염료결합 조성물을 조성하였다.
10중량%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경화제를 갖는
폴리(헥사메틸렌 말레이트) 수지…………………………………… 26%
아크릴레이트 결합제 ………………………………………………… 7%
글리세린………………………………………………………………… 8%
아크리솔 TT 678 농후화제…………………………………………… 4%
실리콘 발포 방지제……………………………………………………0.3%
물…………………………………………………………………………54.7%
이 염료 결합 조성물을 스크린(메시번호 제29(74)호)를 통하여 승화성 염료층을 갖는 박리지상에 피복시켜 승화염료 전사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2에 따라 제조된 승화염료 전사재를, 염료결합 조성물층의 자유면을 직물에 대고 그 접촉부를 204℃(400℃F)에서 10초간 가열함에 의하여, 50/50 폴리에스터 : 면과 50/50 아크릴 : 면(중량비 혼합) 직물상에서 시험하였다. 그결과 날염된 직물은 1회 세탁후, 또는 직물을 구부린 때 우수한 착색농도, 탁월한 견로도 및 부드러운 촉감을 가졌다.
[실시예 4]
하기 성분들로부터 염료결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0중량%의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경화제를 갖는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200g
아크리솔 TT 678 농후화제…………………………………… 40g
실리콘 발포 방지제………………………………………………3g
물………………………………………………………………… 757g
Figure kpo00001
전체………………………………………………………1000g
이 염료 결합 조성물을 스크린(메시번호 제29(74호)를 통하여 승화성 염료 층을 갖는 박리지상에 피복하여 승화염료 전사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승화 염료 전사재를, 염료 결합 조성물층의 자유면을 직물에 접합시킨 다음, 그 접합부를 204℃(400℉)에서 10초간 가열함에 의하여 65/35 폴리에스터 : 면과 50/50 폴리에스터 : 면의 직물상에서 시험하였다.
중량비로 65/35의 폴리에서터-면 섬유 혼합물에의 시험결과, 우수한 착색, 우수한 감촉 및 우수한 견로도를 갖는 승화염료전사 날염이 얻어졌다. 또한 중량비로 50:50의 폴리에스터-면 혼합물상에 승화염료 전사 날염한 결과는 우수한 감촉과 견로도를 가지나 불만스런 착색을 나타냈다.
[실시예 6]
동일한 중량비의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경화제를 가진 250g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도록 실시예 4의 염료 결합 조성물을 개질시켰다. 실시예 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승화 염료 전사재를 제조한 다음, 폴리에스터-면 50 : 50(중량비 혼합)의 직물상에 승화 염료 전사날염을 실시한 결과, 실시예 4와 동일한 직물상에서의 결과보다 개량된 착색 및 우수한 견로도를 나타냈다.
[실시예 7]
실시예 4의 염료 결합 조성물에 사용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양을 300g으로 증가시키고 폴리에스터 수지내 중량으로 10%의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경화제를 포함하였다.
실시예 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승화 염료 전사재를 제조한 다음 100% 면직물상에 승화 염료 전사날염을 실시한 결과, 우수한 착색농도, 만족한 견로도 및 우수한 촉감을 나타냈다.
[실시예 8]
하기 성분들로부터 염료결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0중량% 트리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경화제를 가진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350g
아크리솔 TT 678 …………………………………………………… 30g
발포 방지제(안티-포옴 B)……………………………………………3g
물………………………………………………………………………617g
Figure kpo00002
전체……………………………………………………………1000g
이 염료 결합 조성물을 스크린(메시번호 제29(74)호)을 통하여 승화성 염료층을 가진 박리지상에 피복하여 승화염료 전사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8에 따라 제조한 승화 염료 전사재를, 염료 결합 조성물층의 자유면을 직물과 접촉시키고 그 접합부에 204℃(400℉)에서 10초간 열을 가함에 의하여, 50/50 폴리에스터 : 면(중량비 혼합물)의 직물상에서 시험하였다. 승화염료 전사날염결과 우수한 착색, 우수한 견로도 및 실시예 7에서 보다 부드러운 갖촉을 나타냈다.
[실시예 10]
하기 성분들로부터 염료 결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0중량%트리글리시딜이소시아 누레이트 경화제를 가진
폴리(헥사데카 메틸렌 세바 케이트) ………………………220g
아크릴레이트 결합제(-17℃의 유리전이 온도를 갖는
발본드 6052, 발켐회사 제) …………………………………160g
아크리솔 TT 678 농후화제…………………………………… 40g
발포방지제 안티ㆍ포옴-B ………………………………………3g
물………………………………………………………………… 577g
Figure kpo00003
전체………………………………………………………1000g
상기 염료 결합 조성물을 스크린(메시번호 29(74)로)를 통하여 승화성 염료층을 가진 박리지상에 피복하여 승화염료 전사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0에 따라 제조한 승화 염료 전사재를, 염료 결합 조성물층의 자유표면을 직물에 접합시키고 그 접합부를 204℃에서 10초간 가열함에 의하여 65 : 35 폴리에서트 : 면과 50/50 폴리에스터 : 면(중량비 혼합물)의 직물상에서 시험하였다. 날염된 직물은 우수한 착색 농도와 우수한 견로도를 가지는 것이 관찰되나 약간 부드럽지 못하였다.
[실시예 12]
하기 성분들로부터 염료 결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0중량%의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경화제를 가진 폴리
(테트라메틸렌 아디페이트) 수지 ……………………………250g
발본드 6052 결합제 ……………………………………………100g
아크리솔 TT 678 농후화제…………………………………… 35g
발포방지제 안티-포옴-B…………………………………………3g
물………………………………………………………………… 612g
Figure kpo00004
전체………………………………………………………1000g
상기 염료 결합 조성물을 스크린(메시 번호 제29(74)호)를 통하여 승화염료층의 박리지상에 피복하여 승화염료 전사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2에 따라 제조한 승화염료 전사재를, 염료결합 조성물층의 자유면을 직물과 접합시키고, 그 접합부를 204℃에서 10초간 가열함에 의하여 65 : 35 폴리에스터 : 면과 50/50 폴리에스터 : 면(중량비 혼합물)의 직물상에서 시험하였다. 날염된 직물은 모두 우수한 성질, 즉 착색농도, 견로도 및 감촉을 가졌다.
[실시예 14]
하기 성분들로부터 염료 결합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0중량%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경화제를 가진(통상의 양의
아마유를 포함) (폴리 1,4-싸이크로헥실렌 새바게이트) 알키드 폴리
에스터 수지…………………………………………………………260g 
-2℃의 유리전이 온도를 가진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발본드
발본드 6063, 발켐 회사제)………………………………………100g
아크리솔 TT 678 농후화제 ……………………………………… 35g
발포 방지제 안티-포옴-B……………………………………………3g
물…………………………………………………………………… 602g
Figure kpo00005
전체…………………………………………………………1000g
상기 염료 결합 조성물을 스크린(메시번호 제29(74)호)를 통하여 승화성 염료층을 가진 박리지상에 피복하여 승화 염료 전사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4에 따라 제조한 승화염료 전사재를, 염료 결합 조성물층의 자유면을 직물에 접합시키고 이 접합부에 204℃에서 10초간 가열함에 의하여 50/50 폴리에스터 : 면(중량비 혼합물)의 직물상에서 시험하였다. 날염된 직물은 우수한 착색농도와 만족한 견로도 및 부드러운 감촉을 가짐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16]
하기 성분들로부터 염료 결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0중량%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경화제를 가진(통상의 아마유 포
함) 폴리(에틸렌 세바케이트) 알키드 수지…………………………260g
발본드 6063 결합제 ……………………………………………………100g
아크리솔 TT 678 …………………………………………………………35g
글리세린……………………………………………………………………100g
발포방지제 안티-포옴-B……………………………………………………3g
물……………………………………………………………………………100g
Figure kpo00006
전체…………………………………………………………………1000g
상기 염료 결합 조성물을 스크린(메시번호 29(74)호)를 통하여 승화성 염료의 층을 가진 박리지상에 피복하여 승화성 염료 전사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6에 따라 제조한 승화 염료 전사재를, 상기 염료 결합 조성물층의 자유면을 직물에 접합시키고 이 접합부를 204℃에서 10초간 가열함에 의하여 100% 면과 50/50 폴리에스터 : 면(중량비 혼합물)의 직물상에서 시험하였다. 시험결과는 두가지 직물 모두에 우수한 성질을 나타냈는데 즉 착색농도, 견로도 및 촉감 이 모두 만족스러웠다. 견로도는 50/50 폴리에스터 : 면 혼합방직물상에서 보다 우수하나 촉감은 약간 빳빳하였다.
[실시예 18]
중량에 의한 퍼센트 비로 하기 성분들로부터 염료결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4-10중량%의 유리카르복실기(수지형성된 이용할 수 있는 총 카르복실기에
대하여)를 갖고 10중량% 에폭시 경화제를 가진 폴리에스의 수지(세넥타디
케미칼사에서 XPC-289-1-00833으로 시판됨) ……………………………27%
아크릴레이트 결합제…………10% TT 678 아크리솔 농후화제………4.5%
글리세린…………………………9% 분산제(나프탈레 설폰산의 금속염)…1%
실리콘 발포방지제……………0.3% 물……………………………………48.2%
상기 염료 결합 조성물을 스크린(메시 번호 29(74)호)를 통하여 승화성 염료의 층을 가진 박리지상에 피복하여 승화염료 전사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9]
중량에 의한 퍼센트 비율로 하기 성분들로부터 염료 결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40-60중량% 유리 카르복실기(수지 형성전 이용할 수 있는 총 카르복실기
를 갖고 10중량%의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에폭시 경화제를 가진
폴리에스터 수지(이 폴리에스터 수지는 세넥타 케미칼사에서 XPC-539-00
901로 시판) …………………………………………………………………27%
아크릴레이트 결합제………10% 실리콘 발포방지제…………………0.3%
글리세린………………………9% 분산제(나프탈레 설폰산의 금속염)…1%
TT 678 아크리솔 농후화제…4.5% 물……………………………………48.2%
상기 염료 결합 조성물을 스크린(메시번호 29(74)호)를 통하여 승화성 염료의 층을 가진 박리지상에 피복하여 승화성 염료전 사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0]
실시예 18과 19에 따라 제조한 승화 염료 전사재를, 상기 염료 결합 조성물층의 자유면을 직물과 접촉시키고 이 접촉부를 38℃(100℉)에서 10초간 가열함에 의하여, 100% 면직물 상에서 시험하였다. 얻어진 날염직물을 우수한 착색농도, 우수한 견로도 및 한번 세척후 부드럽게 된 감촉을 가졌다.
실시예 10에 따른 전사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날염직물은 실시예 18에 따른 전사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날염직물보다 우수한 세척 견로도를 나타대나 실시예 18에 따른 전사재를 사용하여 날염된 직물보다 약간 빳빳한 감촉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염료 결합 조성물을 승화염료 전사날염을 행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승화 염료 전사재에 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단지 직물표면에 염료 결합 조성물을 함침시킨 다음 통상의 승화염료 전사재(예컨데 박리표면상에 염료층을 가진 박리지)를 상기 처리된 직물에 부여하여 승화염료 전사 날염을 행함에 의해 실시될 수도 있다. 그러나, 최종제품의 빳빳해짐은 염료 결합 조성물의 흡수를 증가시킴에 따라 증가하며 염료 결합 조성물의 단순한 함침 방법에 의해 상술한 방법보다 많은 흡수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한 함침방법은 보다 빳빳한 제품을 제공하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적당한 처리방법이 못된다. 보다 우수한 결과는 전사된 무늬에 해당하는 직물표면 범위만을 날염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데, 이와같이 하므로서 염료 결합 조성물의 총 사용량이 감소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염료 결합 조성물은 어떤 원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고 상술한 특정 방법 및 전사재는 본 발명의 비제하나적인 실시예일 뿐이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방법 및 그에 이용되는 전사재를 직물에 광택을 부여하는데 제공된다. 종래, 이런형태의 직물장식을 수행하는 여러가지 다른 시도들이 있었다.
1950년대에 이룩된 한가지 방법은 통상의 날염기술에 의하여 금속염을 부여함에 의해 직물상에 광택있고 금속성의 예컨데 은(銀) 효과를 제공하였다. 적당한 경화되지 않고 습윤된 접착제를 직물상에 체질(스크리닝)한 다음, 알루미늄 염 분말을 상기 습윤된 접착제상에 뿌림에 의해 알루미늄 염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보다 최근의 진보된 기술은 높은 광택성의 플라스틱 입자를 금속염으로 대치하고 플라스티졸 접착제를 사용함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이러한 기술을 사용했을 때의 주된 단점은 (1) 이 시스템이 비금속 색갈을 부여하는 것에 한정되며, (2) 제품이 허용가능한 가요성 및 탄성을 가지지 않아서 플라스티졸을 파쇄시켜 광택 입자들을 이탈시킨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및 비금속 염료를 가진 광택제를 포함한 어떠한 원하는 광택성 물질도 승화염료 전사날염에 의하여 직물에 부여될 수 있다. 또한, 금속광택물은 승화성염료와 같은 열전도성 염료와 배합하여 사용되므로서 광택물과 염료가 함께 금속성 색갈이나 어떤 원하는 색, 예컨데 금속성 적색 청색 또는 녹색을 직물상에 생성시킬 수 있다.
광택물은 당해분야의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들면 금속성 광택물은 플라스틱 입자상에 금속을 전기적으로 석출시킴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얻어진 날염물의 유연성 및 탄력성은, 직물이 편조되고 최대로 신장될 때라도 날염물에 균열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정도이다. 세탁에 대한 견로도도 대단히 우수하고 이 방법은 합성섬유뿐만 아니라 자연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를 예시하는 것이다.
[실시예 21]
종이의 하나면을 폴리에틸레 에멀죤으로 피복하여 박리지를 제조하였다. 폴리에틸렌 에멀죤이 건조된 후 박리표면을, (a) 아크릴 결합제, (b) 에틸렌 글리콜, 테레프탈산 및 아마유의 단량체 혼합물로부터 제조한 알카드 폴리에스터, (c) 통상의 무전해 석출에 의하여 알루미늄 금속으로 피복된 플라스틱 입자로 구성된 광택물, (d) 승화성 청색염료, 및 (e) 농후화제를 포함한 조성물로 피복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전사재를 사용하여 금속성의 청색 무늬를 100% 면직물에 부여하였다. 이 전사재를, 피복면이 직물에 접하도록 직물상에 놓고 직물과 전사재의 접합부를 177
Figure kpo00007
-216℃(350
Figure kpo00008
-420℃)의 최대온도하에 10초간 가열하였다.
냉각 후, 날염된 직물은 광택이 있는 금속성 청색 색갈을 가지며 피복물의 균열이 일어남이 없이 용이하게 구부려질 수 있었다.
[실시예 22]
동일한 박리지를 사용하여 상이한 형태의 전사재를 제조하였다. 먼저, 실시예 18에서 사용된 폴리에스터수지, 아크릴결합제 및 카르복시 에틸셀루로스 농후화제를 포함한 두꺼운 염료 결합 조성물층을 직물에 전사될 승화성 청색염료 및 알루미늄 광택물을 접합시키는데 충분한 양으로 박리지에 박리 피복층에 부여하였다.
다음, 그 염료 결합 조성물층상에 광택물과 염료를 뿌리고, 제2박리지에 일시적으로 접착되는데 충분한 염료 접착 조성물의 제2층을 피복하고 이 염료 결합 조성물의 얇은 피복층상에 제2박리지를 부착시켰다. 제1박리지를 제거한 후 전사재는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 전상재는 실시예 18에서와 같은 면직물상에 적용되고 유사한 결과를 제공하였다.

Claims (1)

  1. 승화염료 전사지를 직물상에 놓고 가열하여 그 전사지로부터 승화성 염료를 직물에 전사 날염하는 방법에 있어서, 염료 전사와 동시에, 폴리에스터 수지를 포함하고, 또한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및 우레아-포름알데히드로 이루어진 구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경화제와,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아크릴산 에스터, 메타크릴산 에스터,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비닐 이소부틸 에테르, 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구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염료 결합제를 임의적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승화염료 전사지로부터 직물에 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승화 염료 전사 날염 방법.
KR1019810000997A 1981-03-26 1981-03-26 직물의 승화 염료 전사(轉寫) 날염 방법 KR840001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997A KR840001638B1 (ko) 1981-03-26 1981-03-26 직물의 승화 염료 전사(轉寫) 날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997A KR840001638B1 (ko) 1981-03-26 1981-03-26 직물의 승화 염료 전사(轉寫) 날염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428A KR830005428A (ko) 1983-08-13
KR840001638B1 true KR840001638B1 (ko) 1984-10-12

Family

ID=19220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997A KR840001638B1 (ko) 1981-03-26 1981-03-26 직물의 승화 염료 전사(轉寫) 날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6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236B1 (ko) * 2006-07-14 2007-11-30 김재훈 왁스 페이퍼의 전사를 이용하는 섬유의 날염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014A (ko) * 2001-03-08 2002-09-14 주식회사 이미지텍 디지털 날염 방법
KR100431156B1 (ko) * 2001-06-14 2004-05-12 박건용 분산염료에 의한 실크직물의 염색방법
KR20040009733A (ko) * 2002-07-25 2004-01-31 주식회사 세다실업 극세사 직물의 세탁 견뢰도를 높이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236B1 (ko) * 2006-07-14 2007-11-30 김재훈 왁스 페이퍼의 전사를 이용하는 섬유의 날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428A (ko) 198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6610A (en) Sublimation dye transfer printing of fabrics
JP4088526B2 (ja) 画像の視覚化及び保持性を向上させるための浸染溶液を含む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の基材を処理するコーティング、該基材を処理する方法、及びそれで生成された物品
KR100695360B1 (ko) 지지체 코팅, 잉크 젯 인쇄를 위한 지지체의 처리 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된 제품
JP2003514999A (ja) 画像の視覚化及び保持性を向上させるための浸染溶液を含む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の生地を処理するコーティング、該生地を処理する方法、及びそれで生成された物品
JPS5836277A (ja) 不透明顔料捺染された織物とその製造法
CN111663345A (zh) 免水洗活性染料印花处理液及其应用
KR870001255B1 (ko) 불투명한 안료의 날염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날염된 직물
KR840001638B1 (ko) 직물의 승화 염료 전사(轉寫) 날염 방법
EP0036639A2 (en) Sublimation dye transfer printing of fabrics
CA2313149C (en) Fabric treatment composition
JPH0268372A (ja) 染色方法
EP1072719B1 (en) Process for producing printed articles
US4501590A (en) Instant thread dyeing method for sewing machines
JPH0322836B2 (ko)
JPS621038B2 (ko)
Rattee Melt-Transfer-and-film-release-systems-of-transfer-printing
JPS6039479A (ja) コ−テイングされたポリエステル系布帛
JP3048314B2 (ja) 昇華熱転写による絹織物のプリント加工方法
CN115852715A (zh) 一种添加pcm相变材料的多种印花纺织品
MXPA00003902A (en) Fabric treatment compositions
JPS59150186A (ja) 撥水性布帛の着色法
JPH0434090A (ja) 繊維製品のアルミ蒸着箔転写加工方法および該アルミ蒸着箔転写加工が施された繊維製品
JPS60184568A (ja) 布帛用着色組成物
MXPA01009159A (en) Substrate coatings, methods for treating substrates for ink jet printing, an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JPS59211651A (ja) 着色立毛シ−トおよびその製造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