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497Y1 - 조립용 판넬의 포스트바 결착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용 판넬의 포스트바 결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497Y1
KR840001497Y1 KR2019820006345U KR820006345U KR840001497Y1 KR 840001497 Y1 KR840001497 Y1 KR 840001497Y1 KR 2019820006345 U KR2019820006345 U KR 2019820006345U KR 820006345 U KR820006345 U KR 820006345U KR 840001497 Y1 KR840001497 Y1 KR 8400014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ost bar
bar
crossbar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6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132U (ko
Inventor
송수호
Original Assignee
동신중공업주식회사
송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중공업주식회사, 송수호 filed Critical 동신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20006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497Y1/ko
Publication of KR8400011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1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4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용 판넬의 포스트바 결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2도는 포스트바의 결착상태를 보이기 위한 일부 절개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요부단면 설명도.
제4도는 시공상태 사시도.
제5도 (a)(b)는 종래의 포스트바 결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판넬 2, 2' : 포스트바
3 : 중공상의 각관 4 : 폴리우레탄수지
5 : 장공 6 : 횡간
7 : 크로스바박스 8 : 횡축
9 : 톱니상 10 : ″C″ 형 크로스바
11 : 6각의 요형너트 12 : ″ㄱ″자형 6각고리
13 : 판넬속에 충진된 폴리우레탄수지
본 고안은 조립용 판넬의 포스트바(Post Bar)의 결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판넬과 판넬을 서로 연결하여 조립하는 경우 판넬 좌우에 후레임으로 형성되는 포스트바를 제5도(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넬(1)(1') 포스트바(2)와 포스트바 (2') 사이에 ″″형 후레임(B)(B')을 끼우고 볼트(C)와 너트(D)를 통해 ″″형 고리(E)(E')를 조임으로서 연결하던가 또는 (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포스트바(A)와 포스트바(A') 사이에 ″H″형 비임(F)을 접착제로 또는 용접하여, 연결하는 것이므로 연결된 부분은 통상 판넬의 길이가 2.4-3미터이상 길기 때문에 완제품 상태에서 휘어짐을 막을 수가 없고, 따라서 옆으로 틈이 생겨 바람과 먼지를 막을 수 없어서 기본 양상을 갖추지 못했다.
또 (b)에 있어서 ″H″형 비임으로 보완하여 연결하여 벌어진 틈으로 먼지와 바람을 막을 수가 있으나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최대한의 하중을 살릴수 없었으며, 조립상태가 번거로워 신속한 연격을 기할수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코자 제안되는 것으로 판넬과 판넬 사이의 접착부분인 포스트바아가 밀착되어 최대한의 하중을 살릴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하고 신속하며 조립후에는 판넬과 판넬사이의 틈을 완전히 밀착시킴으로서 바람이나 먼지를 통과할 수 없도록 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 일단의 포스트바(2)에는 중공상의 각관(3)이 용착되고 그 일면에는 폴리우레탄(4)이 피복되어 있으며, 그 중간에는 장공 (5)이 천공되고 또 상기와 같은 장공(5) 속에는 횡간(6)이 횡가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포스트바(2)와 한쌍을 이루고 있는 포스트바(2')에는 장공(5)과 대치되게 크로바박스(7)가 있어서 이와같은 크로바박스(7)에는 제2도의 일부 절개한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횡축(8)에는 내면 톱니상(9)으로된 ″C″형 크로스바(10)가 축착되어 횡축 (8) 일단에 형성된 6각의 요형 너트(11)에 ″ㄱ″자형 6각고리(12)를 끼워서 회전시키는데 따라 ″C″형 크로스바(10)가 횡축(8)을 따라 회전하여 횡간(6)에 걸리거나 풀어주도록 되고 크로스바(10)가 ″C″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횡간(6)에 걸리는 각도에 의해 포스트바(2)와 포스트바(2')의 결착상태가 공고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3은 판넬(1)(1')속에 충진된 폴리우레탄수지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은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포스트바(2)에 중공상의 각관(3)이 용착되어 있으므로 철형으로 되어 포스트바(2')의 요형홈에 치합되어 각과(3) 표면에 부착된 폴리우레탄수지피막으로 포스트바(2)와 포스트바(2')는 밀착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상태하에 있어서는 판넬(2)(2')을 밀면 쉽게 탈리되어 꺽어지므로 판넬을 연결 조립한 것이 무너지고 만다. 따라서 6각의 요형너트(11)에 ″ㄱ″자형 6각고리(12)를 끼우고 돌리면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횡축(8)이 함께 회전하고 횡축(8)에 축착된 ″C″형 크로스바(10)도 함께 회전하면서 장공(6)으로 들어간다. 이와같이 하여 계속돌리면 ″C″형 크로스바(10)의 단부에 형성된 톱니상(9)이 횡간(6)을 물게되면서 더욱 돌리면 횡착(6)을 포스트바(2')쪽으로 당기면서 물리게되어 포스트바(2)와 포스트바(2')가 긴밀하게 밀착 고정된다. 반대로 ″ㄱ″자형 6각고리(12)를 반대방향으로 풀리면 ″C″형 크로스바(10)의 톱니상(9)에 걸려있던 횡간(6)으로부터 떨어져 ″C″형 크로바(10)는 크로스바박스(7) 속으로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이때는 포스트바(2)와 포스트바(2')는 연결 조립된 상태에서 해체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ㄱ″자형 6각고리(12)를 통해 6각의 요형너트(11)를 회전시킴으로서 포스트바(2)와 포스트바(2')의 결착과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므로 판넬(1)(1') 밖으로 6각의 요형고리(11)만을 노출시켜 적당한 장식으로 할 수 있고, 판넬의 조립 연결이 확실하며, 판넬(1)(1')넘어의 공기나 먼지, 또는 온도 및 소음을 판넬 (1)(1')속의 폴리우레탄수지(13)로 인하여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또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여 시공성이 뛰어나며, 산업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것이어서 경제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판넬(1)(1′)의 포스트바(2)와 포스트바(2′)를 연결 조립하여 일측포스트바 (2)에는 장공(5)과 횡간(6)을 구성하고 타측포스트바(2′)에는 장공(5)과 대치하여 크로스바박스(7)내에 내장한 ″C″형 크로스바(10)로 결착함에 있어서 ″C″형 크로스바(10)는 단부내측이 톱니상(9)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용판넬의 포스트바 결착장치.
KR2019820006345U 1982-08-11 1982-08-11 조립용 판넬의 포스트바 결착장치 KR840001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6345U KR840001497Y1 (ko) 1982-08-11 1982-08-11 조립용 판넬의 포스트바 결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6345U KR840001497Y1 (ko) 1982-08-11 1982-08-11 조립용 판넬의 포스트바 결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132U KR840001132U (ko) 1984-03-30
KR840001497Y1 true KR840001497Y1 (ko) 1984-08-14

Family

ID=7214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6345U KR840001497Y1 (ko) 1982-08-11 1982-08-11 조립용 판넬의 포스트바 결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4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132U (ko) 1984-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40661A (en) Ornamental grill
KR840001497Y1 (ko) 조립용 판넬의 포스트바 결착장치
FR2563293B1 (fr) Piece de jonction pour assembler avec serrage deux profiles, notamment equerre pour assemblage d'onglet et embout pour assemblage en bout
JPS63152803U (ko)
KR900000467Y1 (ko) 닥트카바
CN220505517U (zh) 一种钢架连接卡件组合装置
KR940004149Y1 (ko) 연립형 비닐하우스의 골격구조
JPS623494Y2 (ko)
KR930002713Y1 (ko) C형 패널의 지지후레임
KR970002416Y1 (ko) 간이 차고용 골조의 체결장치
JPS6326518Y2 (ko)
KR900009259Y1 (ko) 조립식 어초의 부재연결장치
JPH02134271U (ko)
KR900000466Y1 (ko) 닥트카바
JPH051599Y2 (ko)
KR920004732Y1 (ko) 조립식 장식블럭의 체결장치
KR920008790Y1 (ko) 조립식 2중 상여지붕
KR200153540Y1 (ko) 조립식 골조 연결구의 고정장치 하우징
JPS609357Y2 (ja) 組立て式軽金属製中空ドア−
KR950008152Y1 (ko) 경첩
KR200344755Y1 (ko) 경질필름온실의 루프파이프 설치구조
KR900009117Y1 (ko) 조립식 다목적 사다리
JPS6318720Y2 (ko)
JPS6028722Y2 (ja) ア−チ枠
KR810002337Y1 (ko) 텐트용 포울연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