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205B1 - Tone control circuit - Google Patents
Tone control circu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40001205B1 KR840001205B1 KR1019810000065A KR810000065A KR840001205B1 KR 840001205 B1 KR840001205 B1 KR 840001205B1 KR 1019810000065 A KR1019810000065 A KR 1019810000065A KR 810000065 A KR810000065 A KR 810000065A KR 840001205 B1 KR840001205 B1 KR 8400012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 signal
- control circuit
- filter
- ga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02—Manually-operated control
Landscapes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Description
제1도는 본원발명의 설명을 위한 회로의 계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ircuit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 및 제3도는 그 특성을 나타낸 도면.2 and 3 show the characteristics thereof.
제4도는 본원 발명의 설명을 위한 회로의 계통도.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ircuit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그 특성을 나타낸 도면.5 shows its characteristics.
제6도 및 제7도는 본원 발명의 회로의 일례의 계통도.6 and 7 are schematic diagrams of examples of the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구체예의 접속도.8 is a connec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본원 발명은 음성의 토온콘트롤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gative temperature control circuit.
최근, 텔렐비전수의 음성다중(陰聲多重)프로그램이 많아지고, 그것에 따른 휴우쳐업(futureup), 기능업(機能 up)이 요망되고 있다. 또 텔레비젼 수상기의 리모우트콘트롤화에 수반해서, 음성관계의 리모우트콘트롤도 필요도가 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자는 집적회로화가 용이한 간단한 구성으로 고역(高域), 저역의 부우스트, 커트를 직류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신규의 리모우트콘트롤회로를 발명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demand for multi-television voice audio programs, and there is a demand for up-up and function-up. In addition, with the remote control control of a television receiver, the necessity of remote control of a voice relationship is also increasing. In view of the above, the inventor has invented a new remote control circuit that enables high-frequency, low-frequency boost and cut in direct current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at allows easy integration.
제1도가 그것이며, 단자(10)로부터의 입력신호는 그대로 가산기(20)에 공급한다. 또, 단자(10)로부터의 입력신호를 필터(31), 앰프(32) 및 이득제어회로(33)로 이루어진 부우스트용신호로 공급하고, 그 출력신호를 가산기(20)에 공급한다. 또한 단자(10)로부터의 입력신호를 필터(41), 앰프(42) 및 이득제어회로(43)로 이루어지는 커트용신호로에 공급하며, 그 출력신호를 가산기(20)에 공급한다. 그리고, 가신기(20)로, 입력신호에 부우스트용 신호를 통한 신호를 통한 신호를 가산하고, 커트용신호로를 통한 신호를 감산하여, 단자(60)에 출력신호를 취출한다. 그리고, 볼륨(50)에서 얻어지는 전압 Vc를 이득제어회로(33) 및 (43)에 이득제어전압으로서 부여한다.1 is an input signal supplied from the
이 회로로, 필터(31) 및 (41)을 하이패스필터로 하면, 고역의 부우스트, 커트를 할 수 있다. 필터(31) 및 (41)을 로우패스필터로 하면, 저역의 부우스트, 커트를 할 수 있다.In this circuit, when the
즉, 이득제어회로(33)는, 제어전압 Vc가 중심치 Vc에서 영까지의 범위일 때에는 이그이 영이 되도록 설정한다. 이득제어회로(43)는 반대로 제어 전압 Vc가 중심치 Vo에서 최대치 2 Vo까지의 범위일 때에는 이득이 영이 되도록 설정한다. 따라서, 제어전압 Vc가 중심치 Vo일때에는 이득제어회로(33) 및 (43)의 출력신호는 모두 영이며, 단자(60)에는 입력신호가 그대로 얻어지고, 주파수특성은 평탄해진다.In other words, the
제어전압 Vc가 중심치 Vo에서 최대치 2 V0를 향해서 변화할 때에는 이득제어회로(33)의 이득이 증가하며, 최대치 2 V0에서 이득이 1이 되게금 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앰프(32)의 이득이 A1으로 할 때,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우스트용신호로의 이득이 A1으로 되므로, A1+1의 하이부우스트로 된다. 물론 A1〉0이다.When the control voltage Vc changes from the center value Vo toward the maximum value 2V0, the gain of the
반대로 제어전압 Vc가 중심치 V0에서 영을 향해서 변화할 때에는 이득 제어회로(43)의 이득이 증가하며, 영에서 이득이 1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앰프(42)의 이득을 A2라고 할 때,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트용신호로의 이득이 A2가 되므로 1-A의 하이커트로 된다. 0〈A2 1이고, A2=1로 하면 무한대의 감쇠량(減衰量)으로 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control voltage Vc changes from the center value V0 toward zero, the gain of the
저역의 부우스트, 커트에 대해서도, 필터(31) 및 (41)을 로우패스필터로 함으로써, 전적으로 똑같이 할수 있다.The low frequency boost and cut can also be made entirely the same by using the
이 회로에 의하면, 부우스트방향, 커트방향이 모두 콘트롤커어브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청감상 바람직한 특성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ircuit, since the control curve can be set freely in both the boost direction and the cut direc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obtain the hearing-sensitive desirable characteristics.
그런데, 회로의 간략화를 도모할 것을 생략하면,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31)를 부우스트용과 커트용으로 공용(共用)시키면 된다. 집적회로화현을 경우, 필터가 한개라면, 외부부착 콘덴서를 위한 핀의 수가 한개 줄며, 원가가 절감된다.Incidentally, if the circuit is simplified, the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부우스트시와 커트시에서는 이득이 크게 다르므로, 이와 같이 필터를 공용시켰을 경우, 필터의 특성은 같더라도 부우스트시와 커트시의 특성이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가적(等價的)으로 커트오프 주파수가 어긋난 것 같은 것으로 되어버려, 청감상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general, the gain i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boost and the cut. Therefore, when the filters are shared in this wa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ost and the cut are shown in FIG. Similarly, the cutoff frequency may be shifted in an equivalent manner, which may be undesirable in hearing.
본원 발명은 이점을 감안하여, 필터를 공용시키는 동시에, 부우스트시와 커트시에서 이 필터의 특성을 절환하도록 한 것이다.In view of the advantage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ilter to be shared while switch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at the time of boosting and cutting.
제6도는 본원발명의 회로의 일례로서, 볼륨(50)에서의 제어전압 Vc를 절환회로(70)에 공급하여 부우스트모우드와 커트모우드에서 상태가 다른 절환 신호 Sc를 얻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압 Vc가 중심치 V0 보다 클때에는 부우스트모우드이며, 중심치 V0보다 작을 때에는 커트모우드이므로, 절환회로(70)는 제어전압 Vc를 기준전압 V0고 비교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그리고, 이 절환신호 Sc를 필터(31)에 공급해서 부우스트시와 커트시에 필터(31)의 시정수(時定數)를 절환한다. 제5도에서 명백한 것처럼, 트레블의 경우에는 부우스트시쪽이 시정수가 작아지도록 하면 되고, 버스일 경우에는 부우스트시쪽이 시정수가 커지도록 하면 된다.6 is an example of the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rol voltage Vc at the
이 회로에 의하면, 제5도와 같이 부우스트시와 커트시의 특성이 등 가적으로 커트오프주파수가 어긋난 것으로 되는 일은 없고, 청감상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According to this circuit, the cutoff frequency is not shifted equivalently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osting time and the cutting time, as shown in FIG.
제7도의 예처럼 이득 제어회로(33)도 부우스트용과 커트용으로 공용시켜, 앰프를 이 이득제어회로(33)로 겸하게하고, 절환신호 Sc에 의해서 부우스트시와 커트시에서 이 이득제어회로(33)도 절환하도록 해도 된다.As in the example of FIG. 7, the
즉, 트래블의 경우, 부우스트시에는 회로(33)의 이득이 상술한 앰프(32)의 이득인 A1이 되고, 커트시에는 회로(33)의 이득이 상술한 앰프(42)의 이득인 A2가 되는 동시에 출력이 역극성(逆極性)으로 되게금 한다. 이 절환은 제어전압 Vc가 중심치 V0부근에 있고 입력신호 그 자체가 지배적일 때에 행해지므로, 아무런 급격한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That is, in the case of travel, the gain of the
제8도는 본원발명의 회로의 구체예이며, 트래블콘트롤의 경우이다. 신호원(11)으로부터의 입력신호가 한쪽에서 트랜지스터 Q0에 그대로 공급된다. 하이부우스트의 블록은 트랜지스터 Q1~Q6로 구성된다. 하이커트의 블록은 트랜지스터 Q11~Q18로 구성된다. 절환회로(70)는 트랜지스터 Q21및 Q22로 구성된다.8 is a specific example of the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case of travel control. The input signal from the signal source 11 is supplied as it is to the transistor Q 0 from one side. The block of high boost consists of transistors Q 1 to Q 6 . The high cut block consists of transistors Q 11 to Q 18 . The
그리고, 제어전압 Vc가 중심치 V0보다 큰 부우스트모우드일때는 트랜지스터 Q21이 “온”, 트랜지스터 Q22가 “오프”이며, 트랜지스터 Q20이 “온”으로 되고, 콘덴서 C와 저항 R1의 시정수가 작은필터가 형성된다. 이때, 트랜지스터 Q7및 Q18이 “온”, 트랜지스터 Q8및 Q17이 “오프”이며, 트랜지스터 Q6에 전류가 흐르고, 트랜지스터 Q16에는전류가 흐. 지 않는다. 그리고, 신호원(11)으로부터의 입력신호가 한쪽에서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에는 그대로 공급되고, 다른쪽에서 트랜지스터 Q2의 베이스에는 콘덴서 C와 저항 R1으로 이루어진 로우패스필터를 통해서 공급됨으로써, 트랜지스터 Q1, Q2에는 고역성분의 신호 전류가 흐른다.When the control voltage Vc is a boost mode in which the control voltage Vc is larger than the center value V0, the transistor Q 21 is "on", the transistor Q 22 is "off", and the transistor Q 20 is "on", and the capacitor C and the resistor R 1 A filter having a small time constant is formed. At this time, the transistors Q 7 and Q 18 is an "On", the transistors Q 8 and Q 17 is "off", the current flows to the transistor Q 6, transistor Q 16 is flowing to the current. Don't. The input signal from the signal source 11 is supplied as it is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 1 on one side, and suppli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 2 through the low pass filter composed of the capacitor C and the resistor R 1 on the other side, whereby the transistor Q The high-frequency signal current flows through 1 and Q 2 .
그리고, 그 신호전류가 트랜지스터 Q6를 통해서 추출되고, 고역성분의 가산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 Q7의 에미터측의 저항 R3에 의해서 이득이 정해진다.Then, the signal current is extracted through the transistor Q 6 , and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is added. In this case, the gain is determined by the resistor R 3 on the emitter side of the transistor Q 7 .
한편, 제어전압 Vc가 중심치 V0보다 작은 커트모우드일때는 트랜지스터 Q21이 “오프”, 트랜지스터 Q22가 “온”이고, 트랜지스터 Q20이 “오프”로 되고, 콘덴서 C와 저항 R1및 R2의 시정수가 큰 필터가 형성된다. 이때, 트랜지스터 Q6및 Q17이 “온”, 트랜지스터 Q7및 Q18이 “오프”이고, 트랜지스터 Q16에 전류가 흐르며, 트랜지스터 Q6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그리고, 신호원(11)에서의 입력신호가 한쪽에서 트랜지스터 Q12의 베이스에는 그대로 공급되고, 다른쪽에서 트랜지스터 Q11의 베이스에는 콘덴서 C와 저항 R1및 R2로 이루어지는 로우패스필터를 통해서 처급됨으로써, 트랜지스터 Q12, Q11에는 고역성분의 신호전류가 흐른다. 그리고, 그 신호전류가 트랜지스터의 Q16을 통해서 취출되고, 고역성분의 감산이 이루어진다. 이경우, 트랜지스터 Q17의 에미터측의 저항 R4에 의해서 이득이 정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voltage Vc is a cut mode smaller than the center value V0, the transistor Q 21 is "off", the transistor Q 22 is "on", the transistor Q 20 is "off", and the capacitor C and the resistors R 1 and R A filter having a large time constant of 2 is formed. At this time, the transistors Q 6 and Q and 17 are "on", the transistors Q 7 and Q 18 is "off", the current flows to the transistor Q 16, the transistor Q 6, the electric current does not flow. Then, the input signal from the signal source 11 is supplied as it is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 12 as it is, and on the other side, the base of the transistor Q 11 is treated through a low pass filter composed of a capacitor C and resistors R 1 and R 2 . , Transistors Q 12 and Q 11 flow a high-frequency signal current. The signal current is taken out through Q 16 of the transistor to subtract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In this case, the gain is determined by the resistor R 4 on the emitter side of the transistor Q 17 .
본원발명에 의하면 고역, 저역의 부우스트, 커트를 직류적으로 하나의 볼륨으로 행할 수 있다. 특히 본원발명에 의하면, 회로가 현저하게 간략화 되며, 집적회로화에 매우 적합하게 된다. 또, 콘트롤커어브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완전히 평탄한 특성을 만들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 range, the low range boost and the cut can be performed directly in one volume.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it is remarkably simplified and is very suitable for integrated circuit. In addition, the control curve can be set freely, and a completely flat characteristic can be made.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10000065A KR840001205B1 (en) | 1981-01-12 | 1981-01-12 | Tone control circu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10000065A KR840001205B1 (en) | 1981-01-12 | 1981-01-12 | Tone control circu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5765A KR830005765A (en) | 1983-09-09 |
KR840001205B1 true KR840001205B1 (en) | 1984-08-18 |
Family
ID=19219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10000065A KR840001205B1 (en) | 1981-01-12 | 1981-01-12 | Tone control circu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40001205B1 (en) |
-
1981
- 1981-01-12 KR KR1019810000065A patent/KR840001205B1/en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5765A (en) | 1983-09-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09193A (en) | Miniature acoustical transducer with filter/regulator power supply circuit | |
US4432097A (en) | Tone control circuit | |
US4491800A (en) | Switching circuit operable as an amplifier and a muting circuit | |
JPH06224689A (en) | Rc filter for low-frequency and extremely low-frequency application devices | |
KR930002040B1 (en) | Amplifier | |
KR840001205B1 (en) | Tone control circuit | |
US5392004A (en) | Combination amplifier/bias voltage generator | |
US4283683A (en) | Audio bridge circuit | |
EP0043699B1 (en) | Operational amplifier | |
US3487324A (en) | Plural channel amplifier system having variable feedback means | |
US3343099A (en) | Audio compressor circuit | |
JPS631768B2 (en) | ||
JPS6241449Y2 (en) | ||
JPS6336563B2 (en) | ||
KR870002811Y1 (en) | Tone control circuit | |
US3683290A (en) | Automatic volume control through preamplifier supply voltages | |
JPS61195026A (en) | Mute circuit | |
KR790001102B1 (en) | Automatic noise reduced circuit | |
SU1598110A1 (en) | Device for automatic limiting of cutoff in amplifier | |
KR910007623Y1 (en) | Circuit for balancing the levels of output signals of audio stereo system | |
JPH031845B2 (en) | ||
EP0261739A1 (en) | Control amplifier | |
KR100205350B1 (en) | Programmable gain amplifier | |
SU824486A1 (en) | Hearing aid | |
KR920005248B1 (en) | National association of broadcasters signal equalizing circui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