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113Y1 - 열감응식 안전 스위치 - Google Patents

열감응식 안전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113Y1
KR840001113Y1 KR2019810001509U KR810001509U KR840001113Y1 KR 840001113 Y1 KR840001113 Y1 KR 840001113Y1 KR 2019810001509 U KR2019810001509 U KR 2019810001509U KR 810001509 U KR810001509 U KR 810001509U KR 840001113 Y1 KR840001113 Y1 KR 8400011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bushing
heat
resistance coi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1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795U (ko
Inventor
이 쿠오 파이
Original Assignee
싱야 일렉트릭 윅스 캄패니
파인 이 쿠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싱야 일렉트릭 윅스 캄패니, 파인 이 쿠오 filed Critical 싱야 일렉트릭 윅스 캄패니
Priority to KR2019810001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113Y1/ko
Publication of KR8300007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7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1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113Y1/ko

Links

Landscapes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감응식 안전 스위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열감응스위치의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 회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스위치를 이용한 다단식 경보기의 병렬회로도.
제5도는 본 고안 스위치를 이용한 다단식 경보기의 직렬 회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 접점 열감응 스위치 스위치의 실시 예시도.
본 고안은 두개의 바이메탈판을 가진 절연판으로 열감응식 스위치를 형성시키고 열감응식 스위치를 사기로된 부싱 내부에 장착하며 부싱의 외부를 저항코일로 포설하여 전류의 흐름으로 인한 저항코일의 열로서 스위치를 제어하며 회로를 개폐토록 하고 부싱에는 열전도율이 큰 금속부를 형성시키거나 부싱에 알루미늄, 마그네슘 또는 지르코늄을 혼합하여 부싱을 형성시키므로서 저항코일의 열이 열감응 스위치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여서된 열감응식 안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사기로된 부싱과 저항 코일의 외면은 에나멜 또는 불연성의 물질로 피복되어 있다. 그리하여 회로를 흐르는 전류가 예정된 량에 달하게 되면 전류의 흐름으로 인한 열이 바이메탈판을 작동시켜 회로를 개폐시킨다.
따라서 전류 의양을 결정하거나 회로상의 과전류의 흐름을 지시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전류계는 구조가 복잡하여 조작이 어렵고 제작비용이 과다한 결점이 있었다. 더우기 종래의 것은 과도한 사용으로 인하여 부품이 파손되는 일이 있었으며 비교적 부피가 크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것은 가정용으로서의 이용에 적합하지 않았으며 특정 회로를 위한 정격용량의 전류공급이 곤란하였던 것이다. 이리하여 사용자는 회로상에 과전류가 흘러 놀라게되는 일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가 작은 소형의 열감응식 안전저항기를 제공하므로서 가정목적에 적합하도록 안출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하나의 다른 목적은 회로에 과전류가 흘렀을 경우 경보를 울려주는 안전저항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위와 같은 목적은 별첨 도면과 그에 따른 다음과 같은 기술적 구성으로 달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제2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리콘절연판(1)에는 두개의 바이메탈판(3)이 각각 반대쪽 평판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두개의 바이메탈판(3)은 각각 은접점(2)으로 접촉되도록하여 열감응식 스위치(7)를 구성시킨다. 그리하여 바이메탈판(3)의 열팽창작용으로 온도가 임계점에 달했을때 스위치가 개폐되어 작동을 조정하거나 회로를 폐쇄할수 있게 된다.
회로에는 전동과 같은 경보장치를 연결하므로서 전력소모에 따라 전등의 밝기가 변화하게 하여 전력 소모가 커지면 전등이 강한 빛을 내도록할 수 있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바의 열감응 스위치(7)를 사기로된 부싱(4)에 끼워넣는다. 부싱(4)에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또는 지르코늄과 같은 열전도율이 큰 금속이 혼합되어 있으며, 금속이 혼합되어 있더라도 부싱(4)의 외면은 에나멜 기타 부도체로 피복되어 저항코일(5)과 절연되어 있다. 그리고 저항코일(5)의 양단은 각각 감입구(6)에 연결되어 있다.
저항코일(5)에 과대전류가 흐르게 되면 저항코일(5)에서 발생된 열이 부싱(4)의 금속부를 통하여 열감응 스위치(7)에 전도되며 따라서 회로를 개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제3도는 가정용 전력공급장치의 일반적인 스위치이다.
제3도에서 스위치(8)가 접속되었을때 만일 회로의 부하가 용량 한계점에 달하게 되면 퓨우즈가 녹게되고 저항코일(5)에서 발생된 열이 부저(9)에 직렬로 연결된 열감응스위치(7)을 접속시킨다. 동시에 전구(10)는 경보를 발하게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전기적 안정성을 유의하게 한다.
특정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조정은 저항코일이나 열감응 스위치(7)의 변경으로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모기 살충기나 헤어드라이어에 있어서의 과열방지에 사용될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수개의 저항기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다단식 경보장치로 사용될수 있다. 즉 제4도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100℃에서 스위치를 작동하는 0.2옴의 저항기와 75℃에서 스위치를 작동하는 0.3옴의 저항기 및 50℃에서 스위치 를작동하는 0.5옴의 저항기를 병렬로 연결하여 이를 각각 열감응스위치(7)의 저항코일(5)로서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저항값이 각각 다른 다수의 저항기에 각각 전구를 연결하며 각각의 전구는 각기 다른 밖기를 나타내게되며 전류의 증가에 따라서 다은 색갈을 갖는 전구들은 한단계씩 밝아지게 된다. 그리하여 다단식 경보효과를 얻을수가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이와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저항기의 직렬 연결방법이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나아가 열감응 스위치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은접점을 바이메탈판과 서로 다른 거리만큼 서로 격설시키므로서 다단식 경보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열에 의하여 전기적 단속이 이루어지도록 절연판(1)에 수개의 바이메탈판(3)을 장착하여서된 열감응스위치(7)를 사기로된 부싱(4)에 끼워넣고 부싱(4)의 외부에 저항코일(5)을 포설하며 부싱(4)에는 열전도율이 큰 금속부를 형성시켜 저항코일(5)에서 발생된 열을 열감응스위치(7)로 전달토록하여서된 열감응식 안전 스위치.
KR2019810001509U 1981-03-04 1981-03-04 열감응식 안전 스위치 KR8400011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1509U KR840001113Y1 (ko) 1981-03-04 1981-03-04 열감응식 안전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1509U KR840001113Y1 (ko) 1981-03-04 1981-03-04 열감응식 안전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795U KR830000795U (ko) 1983-08-03
KR840001113Y1 true KR840001113Y1 (ko) 1984-06-23

Family

ID=19220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1509U KR840001113Y1 (ko) 1981-03-04 1981-03-04 열감응식 안전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1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795U (ko) 198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02858A (en) Engine coolant heater with control thermostat
US4358667A (en) Cartridge-type electric immersion heating element having an integrally contained thermostat
US3947656A (en) Temperature controlled cartridge heater
NO932339L (no) Stroembegrensende element
CA2311186A1 (en) Toggle and slide dimmer switch
DE69016356T2 (de) Elektrische Strahlungsheizgeräte.
RU2004135566A (ru) Тепловой предохранитель
EP023589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radiation heater assemblies
FR2383535A1 (fr) Douille incluant un interrupteur thermique principalement prevue pour lampes a incandescence
KR840001113Y1 (ko) 열감응식 안전 스위치
US3746838A (en) Electric heating elements
US3538379A (en) Photo-electric light-activated switch apparatus
US2524954A (en) Thermally operated electric switch
JPS62165824A (ja) サ−モスタツト
EP0062082A1 (en) Heat-sensitive safety resistor
KR100709951B1 (ko) 전동 모터 제어 장치
US5111527A (en) Electric heater with thermistor temperature control
US1319880A (en) Electbic-cubjeueot-contbolliira device
JPH10285790A (ja) 過電流保護装置
EP0573430B1 (en) Electric tubular heating element comprising a temperature controller therefor
US2569121A (en) Electrical heating unit
US1829194A (en) Circuit controlling device
US2463613A (en) Hot dog warmer
JPS5825600Y2 (ja) 放電灯遅延消灯装置
US4837655A (en) Overtemperature protector for incandescent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