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037B1 - N-아실카노신 알루미늄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N-아실카노신 알루미늄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037B1
KR840001037B1 KR1019800003524A KR800003524A KR840001037B1 KR 840001037 B1 KR840001037 B1 KR 840001037B1 KR 1019800003524 A KR1019800003524 A KR 1019800003524A KR 800003524 A KR800003524 A KR 800003524A KR 840001037 B1 KR840001037 B1 KR 840001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nosine
aluminum
solution
aluminum salt
acet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3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435A (ko
Inventor
스스므 오까베
다까시 소네하라
마사루 사또오
미쓰오 마자끼
도오루 야마나까
미쓰꼬 요시오까
가즈끼 오까이
다께도시 기노시따
Original Assignee
닛뽕 케미파 가부시끼가이샤
야마구찌 아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 케미파 가부시끼가이샤, 야마구찌 아끼라 filed Critical 닛뽕 케미파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3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037B1/ko
Publication of KR830003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6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e.g. histid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N-아실카노신 알루미늄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신규의 하기 일반식(Ⅰ)의 N-아실카노신 알루미늄의 신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은 탄소수 1내지 6의 저급알킬그룹, 페닐그룹 또는 저급알콕시그룹-치환된 페닐그룹이고
l은 1내지 5의 정수이며
m은 1내지 3의 정수이고
n은 0내지 8의 정수이다.
최근 소화성 궤양으로 고생하는 환자의 증가경향으로 궤양 치료약물의 개발이 시도되어 왔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수많은 화합물을 합성하고 그의 약제학적 효과를 연구하여 왔다. 연구결과, 후에 기술되는 특정 타임의 N-아실카노신 화합물은 소화성 궤양 치료효과 또는 항궤양 효과를 특이적으로 탁월하게 발휘하며 독성이 적어 실제적으로 만족스럽게 사용될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발견에 근거하여 본 발명이 이루어졌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N-아실카노신 알루미늄 염 유효량을 함유하는 신규의 소화성 궤양치료제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일반식(Ⅰ)의 N-아실카노신 알루미늄 염은 일반식(Ⅱ)의 N-아실카노신을 알루미늄 알콕사이드 또는 무기 알루미늄 염과, 하기 기술된 방법중의 어느 것에 의해서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R은 상기한 바와같다.
[방법 1]
N-아실카노신을 알루미늄 알콕사이드와 반응시켜 일반식(Ⅰ)의 N-아실카노신 알루미늄염을 제조한다.
출발물질중의 하나인 아실카노신은 상응하는 카복실산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산 할로게나이드로 전환시킨 후 이 할로게나이드를 카노신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한다. 아실 카노신 제조시 출발물질로서 유용한 카노신은 L-, D-, 또는 DL-형이다.
알루반늄 알콕사이드의 대표적 예로는 알루미늄 메톡사이드, 알루미늄 에톡사이드,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알루미늄 3급-부톡사이드, 알루미늄 사이클로 헥실옥사이드 등이 포함된다.
알루미늄 알콕사이드가 수산화 알루미늄 또는 그의 중합체와 같은 불순물을 함유할 경우에는 증류법, 용매추출법 등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은 적절한 용매중, 실온 내지 80°범위의 온도에서 시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적절한 용매로는 물, 유기용매(예 :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또는 그의 혼합물 등이 포함된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용액으로부터 용매 및 부수적으로 생성된 알콜을 제거시켜 목적한 일반식(Ⅰ)의 N-아실카노신 알루미늄 염을 수득한다.
[방법 2]
N-아실카노신을 무기 알루미늄 염과 반응시키고 생성된 반응 수용액을 음이온 교환수지로 충진된 컬럼에 통과시켜 목적한 일반식(Ⅰ)의 N-아실카노신 알루미늄 염을 수득한다.
방법 2에서 사용되는 무기 알루미늄 염의 대표적 예로는 황산알루미늄, 질산 알루미늄 및 염화알루미늄과 같은 알루미늄의 무기산 염이 포함된다.
방법 2에서 사용되는 음이온 교환수지는 약 염기성 수지 또는 강염기성 수지로서, 바람직하게는 앰버라이트 IR-45와 같은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음이온 교환 수지의 양은 N-아실카노신 및 무기산의 수용액중의 무기산 이온량과 이온의 타입에 따른다. 이들 수지가 너무 소량이면 유출물중에 무기산 이온이 끼어드는 부작용이 있고, 반면에 과량이면 N-아실카노신 흡착이 만족스럽지 못하다. 따라서, 음이온 교환 수지는 N-아실카노신의 2 또는 3배 당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컬럼에 통과시키는 수용액의 농도가 문제되지는 않지만, 무기산의 농도가 용액 1당 약 0.5내지 1당량범위일때가 바람직하다. 공간 속도는 약 0.5내지 2의 범위가 적당하다.
컬럼에서 유출되는 수용액을 감압하에 농축시키고 증발 건고시켜서 일반식(Ⅰ)의 원하는 화합물을 수득한다.
상기의 방법 1또는 2에서, N-아실 카노신의 알루미늄 알콕사이드 또는 무기 알루미늄 염에 대한 몰비가 변화할 경우, N-아실카노신 알루미늄 염은 이 몰비에 상응하여 제조될 수 있다.
표본 A내지 O로서 열거된 본 발명의 대표적 N-아실카노신 알루미늄 염을 시험하여 소화성 궤양치로 효과 및 독성의 정도를 측정한 바, 그 결과는 다음 실험 실시예중에 도표화되었다.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대조화합물로서 항궤양 효과를 지닌 것으로 공지된 카노신, L-클루타민, N-아세틸-L-글루타민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슈크로즈 설페이트를 비교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는 N-아실카노신 알루미늄 염의 항궤양 효과 및 독성 정도를, 쥐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들 예에서 항궤양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쥐의 여러가지 위궤양 모델을 사용하였다.
궤양 및 독성의 실험방법은 다음 기술에서 밝힌다.
[실험 1]
쉐(shay)궤양 : 각기 체중 210내지 230g인 돈류계 숫쥐 10마리 그룹을 48시간 동안 굶긴다. 각 쥐의 유문부를 쉐이 등의 방법에 따라 결찰한다(참조 : Gastroenterol ogy,5, 43-61, 1945). 각 동물에게 14시간 더 음식 및 물을 제한시킨후 죽여 그 위를 분리시킨다. 위액을 포집한 후, 각 쥐의 전위에서의 궤양면적(㎜2)을 해부 현미경(10x)하에서 측정한다. 각 쥐의 손상의 총 면적(㎜2)을 궤양지수로 표시한다.
시험 약물 시료를 유문 결찰 직후에 경구 투여한다.
실험결과는 표 1에 나타냈다.
[표 1]
Figure kpo00005
[실험 2]
스트레스 궤양 : 각기 체중 240내지 260g의 돈류계 숫쥐 10마리 그룹을 스트레스 우리에 넣어 동물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 후 23℃의 수욕중에 K. Takagi 등의 방법에 따르는 검상법에 의해 담금으로써 [참조 : Jap. J. Pharmac., 18(9), 9-19,1968], 각 쥐에 스트레스를 가한다. 담근지 7시간 후에 각 동물을 수욕에서 꺼내 즉시 머리를 구타하여 죽인 후, 각 쥐의 위를 분리한다. 1%포르말린 용액을 주사하여 위를 약간 팽창시킨 후, 즉시 1%포르말린 용액중에 담구었다가, 위를 대만곡을 따라 절개하여 해부 현미경(10x)하에서 선상 부위에서의 손상길이(㎜)를 측정한다. 각 쥐의 총 손상길이(㎜)를 궤양 지수로 표시한다. 시험 약물 시료는 물에 담그기 10분전에 경구로 투여한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냈다.
[ 표 2]
Figure kpo00006
A, B 및 E는 상기한 바와 같다.
[실험 3]
아스피린으로 유발된 궤양 : 각기 체중 220내지 230g인 돈류계 숫쥐 10마리 그룹을 24시간 동안 굶긴다. 각 쥐의 유문을 에테르마취하에서 S.Okbe 등의 방법에 따라 결찰한다(참조 Jap. J. Pharmac., 24, 357-361, 1974). 유문결찰후, 아스피린(100㎎/㎏)을 각 쥐에 경구투여한다. 경구투여 7시간후, 각 동물을 에테르 마취하에서 죽여 그 위를 분리시킨다. 위액을 포집하여 1%포르말린으로 처리한 후, 선상 부위에 일어난 손상 실이를 측정한다. 각 쥐의 총 손상 길이(㎜)를 궤양 지수로 나타낸다. 시험 약물 시료를 유문결찰직후에 경구투여한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냈다.
[표 3]
Figure kpo00007
A,B 및 E는 상기한 바와같다.
[실험 4]
인도메타신으로 유발된 궤양 : 각기 체중 200내지 215g인 돈류계 숫쥐 10마리 그룹을 24시간동안 굶긴다. 유문을 에테르 마취하에서 결찰시킨 후 인도메타신을 각쥐에 25㎎/㎏ 피하투여하고, 투여한지 7시간 후에 각 동물을 에테르 마취하에서 죽여 그 위를 분리시킨 후, 1%포르말린 용액에 10분간 담근다. 반고정시킨 위를 대만곡을 따라 절개하여 점막 부위에 일어난 각 손상 길이(㎜)를 해부 현미경(10x)하에서 측정한다 각 쥐의 총 손상길이(㎜)를 궤양지수로 나타낸다. 시험약물 시료를 유문결찰 10분전에 경구 투여한다.
그 결과는 표4에 나타냈다.
[표 4]
Figure kpo00008
A,B,C,D 및 E는 상기한 바와 같다.
[실험 5]
히스타민으로 유발된 궤양 : 각기 제중 210내지 230g인 돈류계 숫쥐 10마리 그룹을 48시간 동안 굶긴 후 히스타민 포스페이트(300㎎/㎏)를 복강내 투여한다. 투여한지 4시간 후 각 동물을 에테르마취하에서 죽이고 그 위를 분리시켜 1%포르말린 용액중에 10분간 담근다. 반고정시킨 위를 대만곡을 따라 절개하여 각 손상길이(㎜)를 해부 현미경(10x)하에서 측정한다. 각 쥐의 총 손상길이(㎜)를 궤양지수로 표시한다. 시험 약물 시료는 히스타민 투여전에 경구투여한다.
[표 5]
Figure kpo00009
A,B 및 E는 상기한 바와 같다.
[실험 6]
급성독성 : 각기 체중 150내지 200g인 위스타계 암쥐 및 숫쥐를 각 그룹이 쥐 10마리로 구성된 2그룹으로 나누어, N-아실카노신 알루미늄 염을 경구 투여한다. 투여받은 쥐를 투여후 7일간 육안으로 관찰한다.
그 결과는 표 6에 나타냈다.
[표 6]
Figure kpo00010
표 1내지 6의 실험 결과에서 명백히 밝혀진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N-아실카노신 알루미늄 염은 여러가지 궤양에 대하여 탁월한 억제효과를 나타낸다. 즉, N-아실카노신 알루미늄염을 쉐이궤양, 스트레스 궤양, 아스피린으로 유발된 궤양, 인도메타노신으로 유발된 궤양 및 히스타민으로 유발된 궤양 시험에서 쥐에게 300내지 1000㎎/㎏을 경구 투여할 때 어떤 종류의 궤양도 억제시키는 특이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기존의 어떤 항궤양제보다도 탁월하였다.
급성독성 시험에서는, N-아실카노신 알루미늄 염 10g/㎏정도의 대량을 경구투여하여도 쥐의 사망이 인지되지 않았으며 전신 증상의 변화가 없거나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N-아실카노신 알루미늄염은 항궤양제로 널리 사용되어온 L-글루타민, N-아세틸-L-글루타민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슈크로즈 설페이트에 비해 보다 안정하고 효과가 보다 탁월한 소화성 궤양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N-아실카노신 알루미늄 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용으로는 정제, 캡슐, 산제, 과립 및 시럽으로, 비경구 투여용으로는 주사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성인에게는 500내지 5000㎎/일 범위이며 나이 및 증상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서 더욱 자세하게 기술될 것이며, 이는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제한의 의미는 없다.
[실시예 1]
a) 물 100㎖중의 5.36g의 N-아세틸-DL-카노신*용액을 약 40℃로 가열한다. 이 용액에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4.08g을 함유하는 이소프로필 알콜 90㎖용액을 세게 교반하면서 적가한다. 첨가후, 반응 혼합물을 40℃에서 10분간 교반하고 불용성 물질은 여과하여 혼합물로부터 제거시킨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오일상 잔류물에 이소프로필 알콜로 충분히 세척하고 60℃에서 감압하에 건조시켜, 무색분말 6.5g(정략적 수율)을 수득한다[융점 : 210℃(분해)]. 상기 수득된 분말 5g을 물 30㎖에 용해시킨다. 80℃에서 분무 건조시켜 이 용액으로부터 N-아세틸-DL-카노신 알루미늄 염 4.8g을 수득하였다.
융점 : 215℃(분해)
Figure kpo00011
: 3400(OH), 1630(C=0), 1450, 1380
NMR(D2O)δ : 1.88(3H,s, -COCH3), 2.43(2H,m,-CH2CH2NHCOCH3), 3.28(4H,m,-
Figure kpo00012
,
Figure kpo00013
),4.09(1H,m,
Figure kpo00014
), 7.05,8.10(1H×2,s×2, 이미다졸환 양자)
원소분석 : (C11H15N4O4)Al(OH)2
계산치 : C 40.25, H 5.41, N 17.07, A18.22(%)
실측치 : C 40.10, H 5.41, N 16.77, A18.01(%)
이들 분석 데이타로 다음 구조식(A)가 확정되었다.
Figure kpo00015
* N-아세틸-DL-카노신 : A.Lukton and A.Sisti,J.O.C. 26,617(1961)
b) 물 30㎖중의 N-아세틸-DL-카노신 4.5g용액을 약 60℃로 가열한다. 이 용액에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3.75g을 함유하는 이소프로필 알콜 25㎖를 세게 교반하면서 적가한다. 첨가후,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고, 반응 혼합물로부터 이소프로필 알콜을 감압하에 제거하고, 여과하여 잔류 수용액으로부터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다. 80℃에서 분무 건조시켜 상기 여액으로부터 N-아세틸-DL-카노신 알루미늄 염 5.1g(정량적수율)을 무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분석 데이타는 상기 a)항과 엄밀히 일치하였다.
[실시예 2]
a) 물 5.2ℓ에 용해시킨 N-아세틸-DL-카노신 600g용액을 약 60℃로 가열한다.
이 용액에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500g을 함유하는 이소프로필 알콜용액 3.8ℓ를 세게 교반하면서 적가한다. 첨가후,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3시간동안 교반한후, 반응 혼합물로부터 이소프로필 알콜을 감압하에 제거한다. 여과하여 반응 혼합물로부터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다. 80℃에서 분무 건조시켜, 상기 여액으로부터 N-아세틸-DL-카노신 알루미늄염 690g을 무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융점 : 235℃(분해)
[α]D 20: +15.90(H2O 중 C=5%)
Figure kpo00016
: 3400(OH), 1360(C0), 1450, 1380
NMR(D2O)δ : 1.98(3H,s, -COCH 3), 2.53(2H,m,-CH2CH2NHCOCH3), 3.40(4H,m,-
Figure kpo00017
, -
Figure kpo00018
), 4.20(1H,m,-ch2chcoo), 7.25,8.53(1H×2,s×2, 이미다졸환 양자)
원소분석 : (C11H15N4O4)Al(OH)2
계산치 : C 40.25, H 5.22, N 17.07, Al 8.22(%)
실측치 : C 40.13, H 5.19, N 17.01, A1 8.27(%)
이들 분석 데이타로 다음 구조식(E)가 확정되었다.
Figure kpo00019
b) 물 1ℓ에 용해시킨 N-아세틸-L-카노신 120g 용액을 약 60℃로 가열한다. 이 용액에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100g을 함유하는 이소프로필 알콜용액 800㎖를 세게교반하면서 적가한다. 첨가후, 혼합물을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로부터 이소프로필 알콜을 감압하에 제거시킨다. 여과하여 잔류 수용액으로부터 불용성 물질을 제거시킨 후에 여액을 300㎖로 농축시킨다. 생성된 용액을 동결건조시켜, N-아세틸-DL-카노신 알루미늄 염 151g을 무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분석 데이타는 상기(a)항과 엄밀히 일치하였다.
(c)물 25㎖에 용해시킨 N-아세틸-L-카노신 3g 용액을 약 60℃로 가열한다. 이 용액에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2.5g을 함유하는 이소프로필 알콜용액 20㎖를 세게 교반하면서 적가한다. 첨가후, 혼합물을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다. 여과하여 잔류 수용액으로부터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이 여액을 농축 건고시켜, N-아세틸-L-카노신 알루미늄 염 3.5g을 무색분말로서 수득하였다.
분석 데이타는 상기 a)항과 엄밀히 일치하였다.
[실시예 3]
이소프로판올 6.6㎖중의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0.816g을 가열한 후 약 60℃에서 30분간 교반하고 여기에 N-아세틸-DL-카노신 0.536g을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60℃에서 3시간동안 교반한 후, 이소프로필 알콜을 감압하에 반응 혼합물로부터 제거시킨다. 잔류물에 물 10㎖를 가하고 혼합물을 60℃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다. 불용성 물질을 여과하여 제거시키고 여액을 농축시킨다. 잔류물에 이소프로필 알콜을 가한다. 생성된 고체화된 알루미늄염을 여과하여 포집한다. 이소프로필 알콜로 충분히 세척하여, N-아세틸카노신 알루미늄염 0.81g (정량적 수율)을 무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융점 : 280℃ < (분해)
Figure kpo00020
: (3500내지 3200(OH), 1660내지 1610 (C=0), 1590내지 1540 (COO)
NMR(D2O)δ : 2.00 (3H,s, -COCH 3), 2.54(2H,m,-CH2CH 2NH-), 3.44 (4H,m,-
Figure kpo00021
,
Figure kpo00022
),4.68(1H,m,
Figure kpo00023
), 7.36,8.66(1H×2,s× 2, 이미다졸환 양자)
원소분석 : (C11H20N4O9)Al2(OH)5
계산치 : C 32.52, H 4.96, N 13.79, Al 13.28(%)
실측치 : C 32.63, H 5.27, N 13.89, A1 13.31(%)
이들 분석 데이타로 다음 구조식(B)가 확정되었다.
Figure kpo00024
[실시예 4]
a) 물 500㎖ 중의 N-아세틸-DL-카노신 60g 용액을 약 60℃로 가열한다. 이 용액에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27.5g을 함유하는 이소프로필 알콜용액 250㎖를 세게교반하면서 적가한다.
첨가후, 혼합물을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로부터 불용성 물질을 제거시킨다. 용매를 감압하에 1/10용량으로 농축시킨다. 점성용액에 이소프로필 알콜을 가하여 고체화시킨다. 생성된 고체를 압착하여 분말화한다. 분말을 이소프로필 알콜로 충분히 세척하고 60℃, 감압하에 건조시켜 N-아세틸-DL-카노신알루미늄 염 61.8g (정량적 수율)을 수득하였다.
b) 상기 수득된 N-아세틸-DL-카노신-알루미늄염 5g을 물 30㎖에 용해시킨다. 이 용액을 80℃에서 분무 건조시켜, 용액으로부터 N-아세틸-DL-카노신-알루미늄염 4.8g을 수득하였다.
융점 : 223℃ (분해)
NMR(D2O)δ : 1.91(3H,S,COCH 3), 2.43(2H,t,-COCH2CH 2NH-), 3.10( 2H,m,
Figure kpo00025
), 3.28(2H,t,-
Figure kpo00026
), 7.07,8.25(1H×2,S×2, 이미다졸환 양자)
이들 분석데이타로 다음 구조식(C)가 확정된다.
Figure kpo00027
c)이소프로필 알콜 20㎖중의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1.39g을 60℃로 가열하고 여기에 N-아세틸-DL-카노신 3.04g을 60℃에서 가한다. 혼합물을 1시간동안 교반한 후에 물 10㎖를 반응 혼합물에 가한다.
30분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생성된 균질 용액으로 부터 불용성 물질을 제거시킨다. 여액중의 이소프로필 알콜을 감압하에 증발시켜 제거한다. 잔류 수용액을 동결 건조시켜, N-아세틸-DL-카노신알루미늄염 3.35g(정량적 수율)을 무색분말로서 수득하였다.
분석 데이타는 상기(b)항과 엄밀히 일치하였다.
[실시예 5]
이소프로판올 20㎖중의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1.33g 용액에 N-아세틸-DL-카노신 2.91g을 60℃에서 가하고 혼합물을 1시간동안 교반한다. 물 10㎖를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30분간 교반한다.여과후 여액주으이 이소프로필 알콜을 감압하에 증발시켜 제거하고, 잔류 수용액을 동 건조시켜, N-아세틸-L-카노신 알루미늄염 3.2g (정량적 수율)을 무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융점 : 218℃ (분해)
Figure kpo00028
: +19.0(H2O 중 C=5%)
Figure kpo00029
: 3400(OH), 1600(CO)
NMR(D2O)δ : 19.1(3H,S,COCH 3), 2.43(2H,t,-COCH 2CH2NH-), 3.10(2 H,m,
Figure kpo00030
), 3.28(2H,t,-COCH2CH 2NH-), 4.44(1H,m,
Figure kpo00031
), 7.07, 8.25(1H×2,S ×2, 이미다졸환양자)
원소분석 : (C11H15N4O4)5Al3(OH)4
계산치 : C 44.47, H 5.37, N 18.86(%)
실측치 : C 44.39, H 5.34, N 18.62(%)
이들 분석 데이타로 다음 구조식(D)가 확정된다.
Figure kpo00032
[실시예 6]
이소프로필 알콜 20㎖에 용해시킨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0,70g 용액에 N-아세틸-L-카노신 2.7g을 60℃에서 가하고 혼합물을 1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에 물 10㎖를 가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30분간 교반한다 여과후 여액중의 이소프로필 알콜을 감압하에 증발시켜 제거하고 잔류수용액을 동결 건조시켜, N-아세틸-L-카노신 알루미늄 염 2.8g (정량적수율)을 무색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융 점 : 220℃ (분해)
Figure kpo00033
: +22.8°(H2O 중 C=5%)
Figure kpo00034
: 3400 (OH), 1630(C=O), 1390,1300
NMR(D2O)δ : 1.63(3H,S,COCH3), 2.21(2H,t,
Figure kpo00035
), 2.96(2H ,m,-CH2CHCOO), 3.16(-COCH2CH2NH-), 4.44(1H,m,-CH2
Figure kpo00036
), 7.41, 8.81(1H×2,S ×2, 이미다졸환양자)
원소분석 : (C11H15N4O4)3Al
계산치 : C 47.82, H 5.48, N 20.28 (%)
실측치 : C 47.58, H 5.24, N 20.03 (%)
이들 분석 데이타로 다음 구조식(F)가 확정된다.
Figure kpo00037
[실시예 7]
이소프로필 알콜 20㎖에 용해시킨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1.04g 용액에 N-아세틸-L-카노신 2.73g을 60℃에서 가한다.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N-아세틸-L-카노신알루미늄염 2.9g(정량적 수율)을 수득하였다.
융점 : 218℃ (분해)
Figure kpo00038
: +19.6°(H2O 중 C=5%)
Figure kpo00039
: 3400(OH), 1630 (C=O), 1390, 1300
NMR(D2O)δ : 1.91(3H,S,-COCH3), 2.42(2H,t,
Figure kpo00040
), 3.10(2H, m,
Figure kpo00041
), 3.32(2H,t,-COCH2CH 2NH-), 4.44(1H,m,
Figure kpo00042
), 7.09,8.32 (1H×2,S ×2, 이미다졸환 양자)
원소분석 : (C11H15N4O4)5AlOH
계산치 : C 45.67, H 5.41, N 19.37(%)
실측치 : C 45.84, H 5.12, N 19.45(%)
이들 분석 데이타로 다음 구조식(G)가 확정된다.
Figure kpo00043
[실시예 8]
이소프로필 알콜 35㎖에 용해시킨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3.13g 용액에 N-아세틸-L-카노신 1.37g을 60℃에서 가하고 혼합물을 균일해질 때까지 1시간동안 교반후에 물25㎖를 반응 혼합물에 가하여 30분간 교반한다. 혼합물중의 이소프로필 알콜을 감압하에 증발시켜 잔류용액에 물을 가한다. 청명한 용액을 동결 건조시켜, N-아세틸-L-카노신 알루미늄 염 2.4g (정량적수율)을 무색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융 점 : 280℃ < (분해)
Figure kpo00044
: +8.5 (H2O 중 C=1%)
Figure kpo00045
: 3400 (OH), 1640(C=O), 1400
NMR(D2O)δ : 1.79(3H,S,-COCH3),2.32(2H,t,-COCH 2CH2NH-), 3.21 (2H,m,
Figure kpo00046
),3.69(2H,t,-COCH2CH 2NH-),4.44(1H,m,
Figure kpo00047
), 7.04,8.17(1H×2,S ×2, 이미다졸환양자)
원소분석 : (C11H15N4O4)3Al3(OH)8
계산치 : C 27.28, H 4.80, N 11.57 (%)
실측치 : C 27.34, H 4.62, N 11.65 (%)
이들 분석 데이타로 다음 구조식(H)가 확정된다.
Figure kpo00048
[실시예 9]
a) N-프로피오닐-L-카노신 : 물 13㎖에 용해시킨 L-카노신 2.42g 용액에 아세톤 6.5㎖를 가한다. 이 용액에 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 4.14g 및 트리에틸아민 7.6g을, 반응 혼합물의 온도가 20℃를 초과하지 않는 속도로 적가하고 pH를 7.0내지 7.5로 유지한다. 약 1시간동안 적가한 후에, 아세톤을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강 음이온 교환수지 (SA-10A) 130㎖에 흡착시킨다. 음이온 수지를 물로 세척하고 1N아세트산으로 용출시켜, 용출물을 강양이온 교환수지(SK-1B) 10㎖에 흡착시킨다. 양이온 수지를 물로 세척하고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2% 암모니아 수용액으로 용출한 후, 용출물을 감압하에 증발시켜 대부분의 암모니아를 제거한다. 잔류물을 약 양이온 교환수지(IRC-50) 30㎖에 통과시키고 흡착되지 않은 잔류물을 감압하에 증류 건고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한다. 메탄올-아세톤(2:3)으로 조생성물을 재결정하여, N-프로피오닐-L-카노신 1.46g (수율 : 48%)을 무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융 점 : 206내지 209℃ (분해)
Figure kpo00049
: +20.4°(H2O 중 C=3%)
Figure kpo00050
: 3300 (OH), 1630(C=O), 1540, 1390
NMR(D2O)δ : 1.06(3H,t, J=8㎐, -CH2CH 3),2.18(2H, q, J=8㎐, CH 2CH3), 2.44(2H, t, J=7㎐, NHCOCH 2CH2NH-), 3.14(2H, m,
Figure kpo00051
), 3.36(2H, t, J=7, -NHCOCH2CH 2NH-), 4.44(1H,m,
Figure kpo00052
), 7.08,8.48(1H×2,S ×2, 이미다졸환양자)
원소분석 : C12H18N4O4
계산치 : C 51.04, H 6.44, N 19.85 (%)
실측치 : C 50.95, H 6.43, N 19.77 (%)
b) 이소프로필알콜 11㎖에 용해시킨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0.8g 용액에 N-프로피오닐-L-카노신 1.11g을 60℃에서 가하여,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N-프로피오닐-L-카노신 알루미늄염 1.3g (정량적수율)을 수득하였다.
융 점 : 228℃ (분해)
Figure kpo00053
: +11.4°(H2O 중 C=3%)
Figure kpo00054
: 3400 (OH), 1640(C=O), 1540,1400
NMR(D2O)δ : 1.02(3H, t, -COCH2CH 3),2.11(2H, q,-COCH 2CH3), 2.40(2H, t, -COCH 2CH2NH-), 3.08 (3H,m,
Figure kpo00055
), 3.28 (2H, t, -COCH2CH 2NE-), 4.44(1H, m,
Figure kpo00056
), 7.07,8.26 (1H×2, S ×2, 이미다졸환양자)
원소분석 : (C12H17N4O4) Al(OH)2
계산치 : C 42.10, H 5.61, N 16.37 (%)
실측치 : C 41.88, H 5.83, N 16.12 (%)
이들 분석 데이타로 다음 구조식(I)가 확정된다.
Figure kpo00057
[실시예 10]
이소프로필알콜 15㎖에 용해시킨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0.72g 용액에 N-프로피오닐-L-카노신 1.97g을 60℃에서 가한다.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N-프로피오닐-L-카노신 알루미늄염 2.1g (정량적수율)을 무색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융 점 : 220℃ (분해)
Figure kpo00058
: +14.5°(H2O 중 C=1%)
Figure kpo00059
: +(㎝-1: 3400 (OH), 1640(C=O), 1540
NMR(D2O)δ : 1.02(3H, t, -CH2CH 3),2.10(2H, q,-CH 2CH3), 2.42(2H, t, -COCH 2CH2NH-), 3.15 (2H,m,
Figure kpo00060
), 3.35 (2H, t, -COCH2CH 2NE-), 4.44(1H, m,
Figure kpo00061
), 7.80,8.27 (1H×2, S ×2, 이미다졸환양자)
원소분석 : (C12H17N4O4) Al CH
계산치 : C 47.51, H 5.83, N 18.48 (%)
실측치 : C 47.37, H 5.78, N 18.37 (%)
이들 분석 데이타로 다음 구조식(J)이 확정된다.
Figure kpo00062
[실시예 11]
이소프로필알콜 15㎖에 용해시킨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0.76g 용액에 N-프로피오닐-L-카노신 1.75g을 60℃에서 가한다.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N-프로피오닐-L-카노신 알루미늄염 1.9g (정량적수율)을 수득하였다.
융 점 : 220℃ (분해)
Figure kpo00063
: +14.1°(H2O 중 C=1%)
Figure kpo00064
-1: 3400 (OH), 1640(C=O), 1540,1400
NMR(D2O)δ : 1.02(3H, t, -CH2CH 3),2.10(2H, q,-CH 2CH3), 2.42(2H, t, -COCH 2CH2NH-), 3.13 (2H,m,
Figure kpo00065
), 3.32 (2H, t, -COCH2CH 2NH), 4.44(1H, m,
Figure kpo00066
), 7.08,8.27 (1H×2, S ×2, 이미다졸환 양자)
원소분석 : (C12H17N4O4)5Al3(OH)4
계산치 : C 46.32, H 5.78, N 18.01 (%)
실측치 : C 46.25, H 5.72, N 17.92 (%)
이들 분석 데이타로 다음 구조식(K)가 확정된다.
Figure kpo00067
[실시예 12]
a) N-헵탄올-1카노신 : 물 13㎖에 용해시킨 L-카노신 2.42g 용액에 아세톤 6.5㎖를 가한다. 헵타노일 클로라이드 6.36g을 이용액에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시예 9의 a)항에 기술된 바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처리하여 조생성물을 수득한다. 물- 아세톤(1:2)으로 조 생성물을 재결정하여, N-헵타노일-1-카노신 1.66g (수율 : 46%)을 무색결정으로 수득하였다.
융 점 : 214내지 217°(분해)
Figure kpo00068
: +4.7°(H2O 중 C=2%)
Figure kpo00069
(㎝-13290, 1635, 1530,1400
NMR(D2O)δ : 0.72 (3H, m, CH3), 0.8내지 1.56 (8H, m,-CH 2×4), 2.06 (2H, t, J=7㎐,-COCH 2CH2-), 2.35 (2H, t, J=7㎐, -NHCOCH 2CH2NH-), 2.94내지 3.14 (2H, m,
Figure kpo00070
) 3.26 (2H, t, J=7㎐, -NHCOCH2CH 2NH) 4.26내지 4.44(1H, m,
Figure kpo00071
), 7.10,8.42 (1H×2, S ×2, 이미다졸 환 양자)
원소분석 : C16H26N4O4
계산치 : C 56.77, H 7.76, N 16.56 (%)
실측치 : C 56.81, H 7.85, N 16.38 (%)
b) 이소프로필알콜 15㎖에 용해시킨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0.68g 용액에 N-헵타노일-L-카노신 1.13g을 60℃에서 가한다.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N-헵타노일-L-카노신 알루미늄 염 1.3g을 무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융 점 : 228℃ < (분해)
Figure kpo00072
: +0.4 (H2O중 C=1%)
Figure kpo00073
(㎝-1: 3400 (OH), 2930, 2860 (알킬) 1640, (C=O), 1540
NMR(D2O)δ : 0.80(3H, t, -CH2CH 3), 1.20(8H, m, -CH2×4), 2.12(2H, t, -CH2CH 2-CO-), 2.40 (2H, t,-COCH 2NH-), 3.07 (2H, m,
Figure kpo00074
-CH 2CHCOO), 3.31(2H, t, -C OCH2CH 2NH-), 4.44(1H, m,
Figure kpo00075
), 7.06,8.28(1H×2, s×2, 이미다졸환 양자)
원소분석 : (C16H25N4O4)Al(OH)2
계산치 : C 48.23, H 6.84, N 14.06(%)
실측치 : C 48.03, H 6.87, N 13.77(%)
이들 분석 데이타로 다음 구조식(L)가 확정된다.
Figure kpo00076
[실시예 13]
a) N-벤조일-L-카노신 :
물 13㎖에 용해시킨 L-카노신 2.42g 용액에 아세톤 6.5㎖를 가한다. 이 용액에 벤조일 클로라이드 6.32g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시예 9의 a)에 기술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법에 의해 처리하여 조생성물을 수득한다. 에탄올-아세톤으로 조생성물을 재결정하여, N-벤조일-L-카노신 1.69g(수율 : 48%)을 무색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융 점 : 217 내지 219°(분해)
Figure kpo00077
: +10.3°(H2O 중 C=1%)
Figure kpo00078
: 3280, 1640, 1520,1385
NMR(D2O)δ : 2.48 (2H,t,J=7㎐, -COCH 2CH2NH-), 3.02(2H, m, -CH 2CHCOO) 3.46(2H, t, J=7㎐, -COCH2CH 2NH-) 4.37(1H, m, -CH2CHCOO), 6.99[1H,s,이미다졸환양자(5-위치)], 7.1 내지 7.6(5H,m,벤젠환 양자).8.14[1H,s,이미다졸 환 양자(2-위치)].
원소분석 : C16H26N4O4
계산치 : C 58.16, H 5.50, N 16.96 (%)
실측치 : C 58.21, H 5.65, N 16.93
b)이소프로필 알콜 15㎖에 용해시킨 알루미늄 프로폭사이드
0.8g용액에 N-벤조일-L-카노신 1.27g을 60℃에서 가한다. N-벤조일-L-카노신 알루미늄염 1.5g(정량적 수율)을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무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융 점 : 280°<(분해)
Figure kpo00079
+6.2°(H2O 중 C=1%)
Figure kpo00080
: 3400(OH), 1630(C=0), 1540,1400
(%)NMR(D2O)δ : 2.55(2H, t, -COCH 2CH2NH-), 3.07(2H,m,
Figure kpo00081
), 3.55 (2H, t, -COCH2CH 2NH-), 4.44(1H, m,
Figure kpo00082
), 6.99 [1H,s,이미다졸환 양자(5-위치)], 7.44(5H,m,벤젠환 양자), 8.08(1H,s,이미다졸환 양자(2-위치)].
원소분석 : (C16H17N4O4) Al(OH)2
계산치 : C 49.23, H 4.92, N 14.36(%)
실측치 : C 49.18, H 4.86, N 14.18 (%)
이들 분석 데이타로 다음 구조식(M)가 확정된다.
Figure kpo00083
[실시예 14]
이소프로필알콜 15㎖에 용해시킨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0.80g 용액에 N-벤조일-L-카노신 0.64g을 60℃에서 가한다.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N-벤조일-L-카노신 알루미늄 염 0.9g(정량적 수율)을 무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융 점 : 235℃(분해)
Figure kpo00084
: +41°(H2O중 C=1%)
Figure kpo00085
: 3400 (OH), 1630(C=O), 1540
NMR(D2O)δ : 2.55(2H, t,-COCH 2CH2NH-), 3.10(2H, m, -CH 2CHCOO ), 3.56(2H, t, -COCH2CH 2NH), 4.44(1H, m,
Figure kpo00086
), 6.99[1H,s, 이미다졸환 양자(5-위치)], 7.45(5H,m,벤젠환 양자)], .08[1H,s, 이미다졸환 양자(2-위치)].
원소분석 : (C16H17N4O4)Al2(OH)5
계산치 : C 41.03, H 4.74, N 11.96(%)
실측치 : C 40.88, H 4.67, N 11.89(%)
이들 분석 데이타로 다음 구조식(O)가 확정된다.
Figure kpo00087
[실시예 15]
a) N-(C-메톡시)벤조일-L-카노신:
물 13㎖에 용해시킨 L-카노신 2.42g 용액에 아세톤 6.5㎖를 가한다. 이 용액에 C-메톡시벤조일 클로라이드 7.67g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시예 9의 a)항에 기술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조생성물을 수득한다. 조 생성물은 매우 흡습성이 크며 이에테르로 세척하여 N-(C-메톡시)벤조일-L-카노신 1.54g(수율:40%)을 무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융 점 : 203℃(분해)
Figure kpo00088
: +7.6°(H2O 중 C=1%)
Figure kpo00089
3380, 1630
NMR(D2O)δ : 2.56(2H,t,J=7㎐,-COCH 2CH2NH-),3.16(2H,m,
Figure kpo00090
) 3.60(2H,t,J=7㎐,-COCH2CH 2NH-),3.86(3H,s,OCH 3),4.55(1H,m,7.10 ,
Figure kpo00091
), 6.85 내지 7.85(5H,m,벤젠환 양자 및 이미다졸환 양자), 8.33(1H,s, 이미다졸환 양자)
원소분석 : C17H20N4O5
계산치 : C 56.65, H 5.60, N 15.55(%)
실측치 : C 56.61, H 5.58, N 15.61(%)
b) 이소프로필알콜 15㎖에 용해시킨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0.68g 용액에 N-(0-메톡시)벤조일-L-카노신 1.20g을 60℃에서 가한다.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N-(0-메톡시)벤조일-L-카노신 알루미늄 염 1.40g(정량적 수율)을 무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융 점 : 228℃ < (분해)
Figure kpo00092
: 2.7°(H2O중 C=1%)
Figure kpo00093
: 3400 (OH), 1630(C=O), 1540,1400,1310
NMR(D2O)δ : 2.56(2H,t,-COCH 2CH2NE-), 3.29(2H,m,
Figure kpo00094
), 3.55(2H,t,-C OCH2CH 2NH-), 3.83(3H,s,-OCH 3), 4.44(1H, m,
Figure kpo00095
), 6.95 내지 7.65(5H,m,벤젠환 양자 및 이미다졸환 양자), 7.96(1H, s, 이미다졸환 양자).
원소분석 : (C17H19N4O5)Al(OH)2
계산치 : C 48.57, H 5.05, N 13.33(%)
실측치 : C 48.42, H 4.92, N 13.18(%)
이들 분석 데이타로 다음 구조식(N)가 확정된다.
Figure kpo00096
[실시예 16]
제제 : 다음의 성분을 함유하는 과립으로 제조된 소화성 박양 치료제 1g
Figure kpo00097
*화합물 E는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Claims (1)

  1. 하기 일반식(Ⅱ)의 N-아실카노신을 알루미늄 알콕사이드와 용매존재하에 반응시킨후, 반응 용액으로 부터 용매 및 부생성물인 알콜을 제거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하기 일반식(Ⅰ)의 N-아실키노신 알루미늄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98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알킬그룹, 페닐그룹 또는 저급알콕시-페닐 그룹이고, l은 정수 1 내지 5이고, m은 정수 1 내지 3이고, n은 정수 0 내지 8이다.
KR1019800003524A 1980-09-05 1980-09-05 N-아실카노신 알루미늄염의 제조방법 KR840001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3524A KR840001037B1 (ko) 1980-09-05 1980-09-05 N-아실카노신 알루미늄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3524A KR840001037B1 (ko) 1980-09-05 1980-09-05 N-아실카노신 알루미늄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435A KR830003435A (ko) 1983-06-20
KR840001037B1 true KR840001037B1 (ko) 1984-07-26

Family

ID=19217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3524A KR840001037B1 (ko) 1980-09-05 1980-09-05 N-아실카노신 알루미늄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0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435A (ko) 198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462431A1 (fr) Nouveau compose du guanidinothiazole,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des compositions medicales contenant de tels composes
US4383994A (en) Homocysteine thiolactone salts and use thereof as anti-neoplastic agents
US4829061A (en) 1-(4-Hydroxy-3,5-di-tert.-butylbenzoyl)homopiperazine, various derivatives thereof,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these compounds, medicaments containing them, and their use
US4767758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iophene compounds, and new thiophene compounds
DE2757680A1 (de) Neue 2-oxo-1-pyrrolidinessigsaeure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arzneimittel
US4018777A (en) 2-Substituted-5-alkyl resorcinols
US4342774A (en) N-Acylcarnosine aluminum salt, its preparation, and a digestive ulcer remedy containing such salt
CA1171421A (en) Lysine salts having analgesic activity
KR840001037B1 (ko) N-아실카노신 알루미늄염의 제조방법
CA1058186A (en) L-pyroglutamyl-l-prolinamide
US4595686A (en) Niflumic acid morpholinoethyl ester diniflumate, use as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agents and compositions
US4297357A (en) N-Phenethylacetamide compound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DE3102769A1 (de) &#34;bis-moranolinderivate&#34;
EP0086126A1 (fr) Dérivés d&#39;imidazolidine, leur pré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érapeutique
US4285935A (en) Dehydropeptide compounds, their production and their medical use
US4293700A (en) 2,6-Dimethyl-1,4-dihydropyridine-3,5-dicarboxylic acid esters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4198431A (en) Alkyl N-(3-trifluoromethylphenyl)-anthranilate
US4339378A (en) N-Acylcarnosine aluminum salts
GB1598628A (en) Guanidine derivatives
US4310521A (en) Aspirin-isopropylantipyrine
KR850001880B1 (ko) 트란스-4-[n-(3&#39;, 4&#39;-메틸렌디옥시벤질리덴)아미노메틸] 사이클로헥산-1-카복실산 및 이의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339379A (en) N-Acrylcarnosine aluminum salts
US5475028A (en) 2-aminoethanesulfonic acid zinc complex
US4506075A (en) Process of preparing cardiotonic 3-methyl-4-(4-pyridinyl)benzeneamines
US3502724A (en) P-chloro-n-(chloropropyl)-alpha-methyl-phenethylamines and the salts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