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698Y1 - 튜너장치의 공진회로 구조 - Google Patents

튜너장치의 공진회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698Y1
KR840000698Y1 KR2019800006962U KR800006962U KR840000698Y1 KR 840000698 Y1 KR840000698 Y1 KR 840000698Y1 KR 2019800006962 U KR2019800006962 U KR 2019800006962U KR 800006962 U KR800006962 U KR 800006962U KR 840000698 Y1 KR840000698 Y1 KR 8400006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nt circuit
printed wiring
tuner
tunner
resonanc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6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814U (ko
Inventor
에이지 니시자와
가즈하루 아오끼
Original Assignee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00006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698Y1/ko
Publication of KR8300008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8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6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6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3/00Continuous tuning
    • H03J3/02Details
    • H03J3/16Tuning without displacement of reactive element, e.g. by varying permeability
    • H03J3/18Tuning without displacement of reactive element, e.g. by varying permeability by discharge tube or semiconductor device simulating variable reactance
    • H03J3/185Tuning without displacement of reactive element, e.g. by varying permeability by discharge tube or semiconductor device simulating variable reactance with varactors, i.e. voltage variable reactive di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6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 processing applications, e.g. CATV, tuner, antennas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튜너장치의 공진회로 구조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 튜너의 부분적인 사시도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동 회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6도는 동회로도이다.
본 고안은 텔리비젼 등에 쓰이는 전자동조형 튜너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텔리비젼에 쓰이는 UHF전자동조형 튜너는 상자모양의 금속케이스속을 차폐판으로서 차폐하여 소실(小室)을 설치하여 이들 소실속에 트랜지스터나 저항등의 전자부품을 배설하는 외에 분포정수 회로의 동조소자를 배설(配設)한다. 제1도는 종래형의 UHF 전자동조 튜너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그 단면도이며, 도면중 1은 금속케이스, 2는 금속케이스(1) 내를 차폐하는 차폐판, 3은 공진회로를 구성하는 라인봉(line 棒), 4는 라인봉(3)의 일단에 접속된 바렉터다이오드, 5는 라인봉43)의 타단에 접속된 종단(終端) 콘덴서, 6은 저항으로서 바렉터다이오드(4)에 가해지는 전압원과 공진회로 간을 고주파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7은 저판(底板)이다. 저판(7)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매의 상면(上面) 프린트배선판(7a)과 하면(下面) 프린트배선판(7b)을 등을 맞대포개 그 사이를 접착제(8)로 접착하고 있다. 7c∼7e는 배선층이며 이중 배선층(7c)은 바렉터다이오드에로의 전압인 가용 배선층, 7d는 저항체(b)와 라인봉(3)을 접속하는 배선층, 7e는 접지 배선층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UHF 튜너는 2매의 상, 하면 프린트 배선판을 중합(重合)하고 있으므로 상면 프린트배선판(7a)의 두께만큼 튜너의 높이가 높아지고 또 바렉터다이오드의 접지측의 잔류 인덕턴스가 커지고 주파수의 가변 범위가 적어져 결과적으로 종단용량을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고 공진회로의 Q가 저하한다. 이외에 특히 UHF 회로도 온도, 습도의 영향을 받은 경우에 프린트배선판(7a)의 절연판의 유전율이 변화하여 공진 주파수가 변동하여 등의 좋지 못한 상태를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개선하는 신규한 고안이며 그 목적은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가 온도나 습도의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고 또 공진회로의 부유(浮遊) 인덕턴스가 적으며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 전자동조형 튜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1/2파장공진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9는 접지 보강판이다. 접지보강판(9)은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되며 단연(端椽)에는 절곡된 복수의 접속편(9a), (9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면의일부에는 바렉터다이오드(4)의 접지측단자가 삽통하는 구멍(9c)이 설치되고 그 내연에는 하방으로 플랜지(9d)가 인장 가공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있어서 종래 장치의 동일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면 프린트 배선판(7a)은 종단콘덴서(5)에서 바렉터다이오드(4) 부분까지의 공진회로를 구성하는 부분이 절취되고, 대신 그 부분에 금속제의 보강판(9)이 부착되어 있다. 이 제1실시예의 공진회로도를 제4도에 나타낸다.
제5도는 1/4파장공진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상기 실시예 및 종래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면 프린트 배설판(7a)은 공진회로를 구성하는 부분이 절취되고 그 대신 그 부분에 금속제의 보강판(9)이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부착되어 있다.
제6도에 제2실시예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공진회로부분의 상면 프린트배선판을 절취하고 있으므로 두께를 종래의 것보다 박형(薄型)으로 형성 할 수 있다. 또 상면 프린트배선판을 절취한 부분에 금속제의 접지보강판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공진회로 근처에 그 회로에 영향을 미치도록한 유전체 부분이 없으며 온도나 습도의 변화에 의한 주파수 변동이 종래의 것에 비하여 매우 적어졌다. 또 접지 보강판에 의해 기계적인 강도도 커진것 외에 바렉터다이오드의 접지측단자의 잔류 인덕턴스가 적어지므로 공진회로의 주파수 변화범위도 커져 결과 적으로 공진회로의 Q를 크게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Claims (1)

  1. 2매의 프린트 배선판을 등을 맞대어 접착한 저판(底板)을 금속케이스내에 수납하고, 그 저판에 튜너부품을 취부한 튜너장치에 있어서 라인봉과 그 라인봉의 선단에 설치하여 일단을 접지한 콘덴서에 의해 공진회로를 구성하고, 그 공진회로 배선부분의 상면 프린트배선판을 제거하여 금속판으로된 접지보강판을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장치의 공진회로구조.
KR2019800006962U 1980-10-30 1980-10-30 튜너장치의 공진회로 구조 KR8400006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6962U KR840000698Y1 (ko) 1980-10-30 1980-10-30 튜너장치의 공진회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6962U KR840000698Y1 (ko) 1980-10-30 1980-10-30 튜너장치의 공진회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814U KR830000814U (ko) 1983-08-03
KR840000698Y1 true KR840000698Y1 (ko) 1984-04-25

Family

ID=72143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6962U KR840000698Y1 (ko) 1980-10-30 1980-10-30 튜너장치의 공진회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69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441A (ko) * 2002-09-23 2002-10-31 육근철 태양광을 이용한 채화(採火)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814U (ko) 198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5499A (en) Voltage tunable bandpass filter
US3909726A (en) UHF Hybrid tuner
GB1309212A (en) Tunable resonant circuit
US3659205A (en) Varactor tuned microstrip tuner
US5363067A (en) Microstrip assembly
KR840000698Y1 (ko) 튜너장치의 공진회로 구조
US5101177A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mounted on laminated printed circuit board
GB1309211A (en) Electronically tuned high frequency tuner
KR940009967B1 (ko) 텔레비젼의 uhf 및 vhf 수신기부의 고주파단
US3806844A (en) Uhf varactor tuner having a chassis of unitary construction
US3553600A (en) Electrical circuit
US4103259A (en) Semiconductor oscillator for very short waves
US4359701A (en) Construction of tuning circuit in tuner
US5357218A (en) Self-shielding microstrip assembly
US5654676A (en) Shielded VCO module having trimmable capacitor plate external to shield
EP0117676B1 (en) Microwave filter
AU705902B2 (en) Trimmable multi-terminal capacitor for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US4549246A (en) Air dielectric variable capacitor utilizing a stator formed as part of the circuit layout on the substrate
US7005932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djustable VCO
JPS6023960Y2 (ja) チユ−ナ用トリマ−コンデンサ
US6114918A (en) Low phase-noise device comprising a microstrip-mounted coaxial dielectric resonator and method of reducing the phase noise in such a device, in particular in a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JPS5919411A (ja) μチユ−ナの発振回路
JPS605646Y2 (ja) Uhfテレビジヨンチユーナ
KR830002458Y1 (ko) 튜너용 트리머 콘덴서
US4625183A (en) Low-cost VCO using lumped elements in microwave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