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448Y1 - 톱 로울러(top roller)의 축수(軸受)장치 - Google Patents

톱 로울러(top roller)의 축수(軸受)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448Y1
KR840000448Y1 KR2019810000033U KR810000033U KR840000448Y1 KR 840000448 Y1 KR840000448 Y1 KR 840000448Y1 KR 2019810000033 U KR2019810000033 U KR 2019810000033U KR 810000033 U KR810000033 U KR 810000033U KR 840000448 Y1 KR840000448 Y1 KR 8400004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bush
thrust plate
top roller
arb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0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711U (ko
Inventor
다게시 스즈기
Original Assignee
다게시 스즈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게시 스즈기 filed Critical 다게시 스즈기
Priority to KR2019810000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448Y1/ko
Publication of KR8300007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7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4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448Y1/ko

Links

Landscapes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톱 로울러(top roller)의 축수(軸受)장치
제1도는 종래의 톱 로울러의 축수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1실시례의 톱 로울러의 축수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톱 로울러의 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드부쉬(end bush)내에 아아버(arbour)의 축을 회전자재하게 지지하는 톱로울러로서, 본 출원인은 제1도에 표시한 것을 제안한 바 있다.
제1도에 있어서는 (1)은 엔드부쉬, (2)는 아아버, (3)은 아아버의 축, (4)는 엔드부쉬(1)와 아아버(2)의 축(3)의 사이에 개재하게 한 한 니이들 베어링, (5)는 2개의 니이들 베어링(4)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Snap ring), (6)은 아아버(2)의 축(3)의 단부(端部)(3')에 접촉되어 있는 쓰러스트 플레이트(thrust plate), (7)은 쓰러스트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볼, (8)은 볼(7)이 보지되고 볼(7)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부쉬, (9)는 오일씰(oil seal)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톱 로울러의 축수장치에서는 부쉬(8)의 내경이 볼의 직경보다 큰 것으로, 볼(7)은 부쉬(8)내에서 구르는 것이어서 볼(7)은 균일하게 마모되고 볼(7)의 수명은 길어지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부쉬(8)가 포금(飽金)으로 만들어져 있는 것이므로, 볼(7)이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부쉬(8)의 저면이 마모되고, 톱 로울러의 수명은 짧아진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쓰러스트 플레이트(6)는 아아버(2)의 축(3)의 단부(3')에 접속되어 있지 아니한 것이어서 제1도의 상태로 설치한 축수장치에서는 아아버(2)가 회전하기 전에 쓰러스트 플레이트(6)는 엔드부쉬(1)의 내면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아아버(2)가 회전하는 때에 쓰러스트 플레이트(6)가 같이 회전하지 아니하므로, 접촉마찰이 생기고 아아버에 회전불균형이 생기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예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부쉬의 저면에 강판을 설치하고, 쓰러스트 플레이트의 볼과의 접촉면에 이 볼의 직경보다 큰 구면의 홈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그 목적은 아아버의 회전의 불균형을 없이하는 것과 동시에, 톱로울러의 수명을 길게하게 하는 톱로울러의 축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1실시례의 축수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와 동일부호의 부분은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실시례에서는 부쉬(8)의 저부에 강판(10)을 설치하고, 쓰러스트 플레이트(6)에 볼(7)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구면으로 되는 홈(6')을 설치하였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실시례에서는 볼(7)은 부쉬(8)의 측면에 부분적으로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구르게되고, 볼(7)이 균일하게 마모되는 것이므로 볼(7)에 의한 회전의 불균형이 없어지고, 또한 부쉬(8)의 저부에 강판(10)을 설치한 것이어서, 볼(7)의 구르는 것에 의한 마모가 적어지게 되고, 또한 쓰러스트 플레이트(6)에 볼(7)의 직경의 구면으로 되는 홈(6')을 설치한 것이므로, 볼(7)의 구르는 것에는 하등의 악영향이 미치지 아니하며, 또한 아아버(2)과 회전하는 것과 동시에 쓰러스트 플레이트(6)는 그홈(6')과 볼(7)에 의하여 중심으로 이행되는 것이어서 쓰러스트 플레이트(6)와 엔드부쉬(1)의 내면과의 마찰에 의하여 회전불균형이 전혀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에 의하여, 본 고안에 의하면 부쉬의 저면에 강판을 설치하고, 쓰러스트 플레이트에 볼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구면의 구면의 홈을 설치한 것이므로, 회전홈이 없어지게 되고 수명이 길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엔드부쉬(1)내에 설치한 니이들 베어링(4)으로 아아버(2)의 축(3)을 회전자재하게 보지하고, 그 축(3)의 단부(3')에 접촉하여 쓰러스트 플레이트(6)를 설치하고 그 쓰러스트 플레이트(6)와 접촉하는 볼(7)을 그 볼(7)보다 큰 직경의 부쉬(8)내에 보지한 톱 로울러의 축수장치에 있어서, 전기 부쉬(8)의 저부에 강판(10)을 설치하고, 전기 쓰러스트 플레이트(6)에 전기볼(7)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구면의 홈(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 로울러 축수장치.
KR2019810000033U 1981-01-07 1981-01-07 톱 로울러(top roller)의 축수(軸受)장치 KR8400004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0033U KR840000448Y1 (ko) 1981-01-07 1981-01-07 톱 로울러(top roller)의 축수(軸受)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0033U KR840000448Y1 (ko) 1981-01-07 1981-01-07 톱 로울러(top roller)의 축수(軸受)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711U KR830000711U (ko) 1983-08-03
KR840000448Y1 true KR840000448Y1 (ko) 1984-03-19

Family

ID=19219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0033U KR840000448Y1 (ko) 1981-01-07 1981-01-07 톱 로울러(top roller)의 축수(軸受)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4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711U (ko) 198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701704A (ko) 고형윤활제가 내장된 베어링구조
US4355250A (en) Self-aligning bearing assembly
US5795077A (en) Tilting pad journal bearing
SE8406258L (sv) Smorjanordning for lager
GB2156448A (en) Pad type journal bearing device
CA1125342A (en) Thrust bearing
US4209178A (en) Lubricant seal
US5399026A (en) Bearing with lubricating ring for providing supplemental lubrication
KR840000448Y1 (ko) 톱 로울러(top roller)의 축수(軸受)장치
KR930702626A (ko) 감마 롤러 베어링
JPS55163320A (en) Rotational device
US2403460A (en) Ball bearing
US3205028A (en) Double-curved slipper
US2622946A (en) Retaining means for idler units
JPH11108068A (ja) アンギュラ玉軸受
JPS6128121Y2 (ko)
US3986753A (en) Rolling-element bearing
JPS6034039Y2 (ja) トツプロ−ラの軸受装置
JPS63289317A (ja) 磁気軸受装置における保護用玉軸受
US3090655A (en) Thrust bearing
SU1173072A1 (ru) Опора вала
US2652295A (en) Rotary bearing construction
RU2222724C2 (ru) Узел трения с радиально-осевым подшипником из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ой древесины
SU1663259A1 (ru) Подшипниковый узел
US3701571A (en) Bearing 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