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271B1 - 연속기포상 에틸렌계 이오노머 발포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속기포상 에틸렌계 이오노머 발포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271B1
KR840000271B1 KR1019810002684A KR810002684A KR840000271B1 KR 840000271 B1 KR840000271 B1 KR 840000271B1 KR 1019810002684 A KR1019810002684 A KR 1019810002684A KR 810002684 A KR810002684 A KR 810002684A KR 840000271 B1 KR840000271 B1 KR 840000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ionomer
foam
temperature
continu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5998A (ko
Inventor
마즈끼 유다까
하마다 이쯔오
Original Assignee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챠드 지 워터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챠드 지 워터맨 filed Critical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Priority to KR1019810002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271B1/ko
Publication of KR830005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5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2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Landscapes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속기포상 에틸렌계 이오노머 발포체의 제조방법
제1도는 에틸렌계 이오노머의 에틸렌 함량과 결정화 개시온도와의 필수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2도는 발포제에 있어서 결정개지 온도와 연속기포율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연속기포상(open-cell) 올레핀계 폴리머 발포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미소다공성 기포막을 함유하는 연속기포상 에틸렌계이오노머(ionomer)발포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합체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장점인 높은 강인성, 유연성, 탄력성 및 화학적 불활성으로 인하여 완충재 또는 단열재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안되었던 대부분의 폴리올레핀계수지 발포체는 대부분이 독립기포(closed cell)로 구성되어 있어 단열재 및 의류용 쿠숀재(Cushioning Materials)로 사용하기에는 유연성이 결여되고, 또한 통기성이 결여되어 통기성이 요구되는 농산물의 완충포장 재료 등으로 사용하는 데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것들은 약학 및 화학공업용 또는 공해방지 장치와 같은 다른 공업용 필터기재로 사용하기에도 적합하지 못하였다. 연속기포상 발포체용수지 조성물로는 고무라텍스 및 우레탄계 발포성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조성물들은 고(高)발포되기가 어렵고, 이로부터 생성된 발포체는 일반적으로 내수성, 내화학약품성 및 내광성이 약하다.
일본 공개특허 번호(소) 47-1996에는 균일한 미소다공성 기포막을 가진 유체투과성 연속기포상 폴리올레핀계수지 발포체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는데, 이 방법은 에틸렌/비닐에스테르 코폴리머수지 또는 에틸렌/불포화카복실레이트코폴리머 수지에 저비점 발포제 및 주기율표상 Ⅰa, Ⅱb 및 족족 금속산화물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상기 코폴리머 수지의 결정융점보다 20℃ 낮은 온도 내지 결정융점보다 5℃ 높은 온도의 압출기 내에서 적어도 10분간 체류시킨 다음, 수지혼합물을 저압대로 압출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공정은 대용량의 압출-발포 장치가 필요한 점, 연속기포상 발포체의 가교 균일성을 얻기기 어렵다는 점 및 압출-발포 공정이 불안정한 점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일련의 연구를 한결과, 본 발명자들은 내수성, 내화학약품성 및 내광성이 우수하고, 기체 및 액체유체에 대해 바람직한 유체투과성을 가진 유연한 연속기포상 발포체를 상업적 규모로 생산하기에 유용한 발포성 폴리머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선택된 에틸렌계 이오노머 수지와 발포제로 구성된 발포성 폴리머 조성물은, 비교적 균일한 미소 다공성 기포막을 함유하며 내수성, 내화학약품성 및 자외선에 대해 안정성이 우수한 유연하고 고도로 발포된(즉, 비교적 저밀도인)유체투과성 기포상 발포체를 상업적 규모를 생산하는 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a)금속이온에 의해 가교 결합되어 있고 주압된 에틸렌 함량이 85 내지 98몰%이며 결정화 개시온도 T(℃)가 다음식(Ⅰ)으로 정의된 에틸렌계 이오노머와(b) 적당한 발포제로 이루어진 발포성 또는 팽창성 폴리머 조성물도 제공한다.
102-3.02(98.5-A)
Figure kpo00001
T
Figure kpo00002
102-9.29(98.5-A)
(상기식에서
A는 상기 이오노머중의 에틸렌 함량을 몰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포성 조성물을 팽창 또는 발포시켜 형성된 연속기포상 에틸렌계 이오노머 발포체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된 연속기포상 에틸렌계 이오노머 발포체의 유연성이 있는 포장재, 의류용 쿠숀재, 단열재 및 각종의 공해조절 뿐만 아니라 각종의 상업적 용도에 사용되는 필터기재로 유용하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사용하기 적합한 에틸렌 이오노머의 에틸렌 함량과 결정화 개시 온도간의 필수적 관계를 나타낸 도표이다. 이 도표에서 선 BC는, 에틸렌계 이오모너에서 85몰% 이상의 중합된 에틸렌이 함유되어 있어야 하는 필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선 AB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에틸렌계 이오노머에 있어서 에틸렌 함량이 함수로서 결정화 개시 온도 T의 최하 경계 또는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식(Ⅰ)에서 T
Figure kpo00003
102-9.29(98.5-A) 요건에 대한 도표적 표현이다. 마찬가지로 선 AC는 식(Ⅰ)의 T
Figure kpo00004
102-3.02(98.5-A)요건에 대한 도표적 표현이며,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하는 에틸렌계 이오노머에 있어서 에틸렌 함량의 함수로서 결정화 개시 온도의 최상 경계 또는 한계를 나타낸다.
제1도는, 선 AB, AC 및 BC로 둘러싸인 면적에 의거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에틸렌이오노머의 에틸렌함량과 결정화 개시온도 특성 사이의 필수 조합을 도면으로 설명한 이외에, 또한 실시예 1 내지 12와 참조예 1 내지 8에서 사용된 에틸렌 이오노머에 있어서의 2가지 매개변수의 조합을 나타내는 좌표를 나타내고 있다. 여러가지 실시예를 설명하는 좌표는 상응하는 실시예 번호에 첨부된 부호⊙으로 표시되어 있고, 여러가지 참조예를 설명하는 좌표를 상응하는 참조예 번호에 첨부된 부호 ×로 표시되어 있다.
제2도는 실시예 7 내지 10과 참조예 6 내지 8에서 사용된 여러가지 에틸렌계 이오노머에 있어서 결정화 개시온도와 생성된 발포체내 연속기포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이 도표에서, 실선은 감압 흡수법에 의해 측정한, 비교적 큰 기공을 통해 연속화되는 기포의 비율을 나타내며, 점선은 공기 비증기법(air pycnometer method)에 의해 측정한, 미소 기공을 통해 연속화되는 기포의 비율을 나타낸다.
제2도에서 TⅠ과 TⅡ는 각각 실시예 7 내지 10과 참조예 6 내지 8에서 사용한 에틸렌계 이오노머에 대한 결정화 개시 온도의 하한선과 상한선을 나타낸다.
지적한 바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에틸렌계 이오노머는 금속이온으로 교차결합되어야 하고 그속에는 중합된 에틸렌을 85 내지 98.5몰%을 함유하여야 하며 식(Ⅰ)에 의해 정의된 결정화 개시온도 T를 가져야 한다.
결정화 개시온도에 대한 한계성은 균일한 미소다공성 기포막을 가진 연속기포상 발포체를 얻는데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인자중의 하나이다. 제1도에서 선 AB, AC 및 BC로 한정지어진 패쇄영역에 상응하는 범위 밝의 에틸렌 함량과 결정화 개시온도와의 조합을 가진 에틸렌계 이오노머를 사용하여서는 적합하게 균일한 미소 다공성 기포악을 갖는 연속기포상 반포체를 얻지 못한다. 에틸렌계 이오노머의 결정화 개시온도와 에틸렌 함량간의 그러한 상호 관련성이 생성된 발포체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확실하지 않다. 아마 식(Ⅰ)에 의해서 정의된 영역 밖에서는, 에틸렌계 이오노머는 발포공정에 있어서 발포와 동시에 결정화되어 고르지 않은 기포막과 불균질한 미고 다공성이 생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에틸렌계 이오노머 중의 에틸렌 함량이 85몰% 이하일 경우, 에틸렌계 이오노머 자신은 매우 연하게 되어 발포 공정에서 소정의 형태를 거의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그러한 에틸렌계 이오노머 수지 조성물은, 생성된 발포체가 심한 수축을 받게 될 것이고/이거나 많은 주름으로 인해 좋지 못한 외관을 나타낼 것이기 때문에 고도로 발포시킬 수 없다. 한편으로, 에틸렌 함량이 98.5몰% 이상일 경우, 연속기포상 발포체를 얻을 수 없으며, 얻는다 하더라고 발포체 내부에 큰 구멍이 생겨 심하게 수축되거나 변형되어 양질의 발포체를 얻을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렌계 이오노머는 ASTM D1238-57T에 따른 측정으로서, 0.1내지 30g/10분의 융용지수(MI)를 가져야 한다.
식(Ⅰ)에 의해 정의된 것이며 본 발명에서 유용한 에틸렌계 이오노머 중에서, 식(Ⅱ)에 의해 좀더 좁게 정의된 에틸렌계 이오노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2-3.02(98.5-A)
Figure kpo00005
T
Figure kpo00006
102-8.64(98.5-A) (Ⅱ)
[상기식에서
A는 에틸렌계 이오노머 중 에틸렌 함량을 나타내며 92 내지 98.5몰%의 범위에 있으며
T(℃로 표시)는 이오노머의 결정화 개시 온도이다]
상기식(Ⅱ)에 의해 정의된 바람직한 이오노머를 사용하면 생성된 발포체의 물리적 특성, 발포용이성 및 연속 발포공정의 안정성 뿐만 아니라 매우 큰 단면적을 가진 발포체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계 이오노머 중 더 바람직한 것은 금속이온에 의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가교 결합된 α, β-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실산과 에틸렌으로 구성된 코폴리머들이다. 어떤 경우에는 그것은 에틸렌, 불포화카복실산 및 α, β-에틸렌계성 불포화카복실산의 C1-C6알킬 에스테르로 구성된다. 코폴리머는 다음 일반식(a), (b), (c) 및 (d)로 각각 표시된 구성단위 A, B, C 및 D몰을 함유한다.
Figure kpo00007
상기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M은 금속원소이고, n은 1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구성 단위들은 다음식(1), (2)와 (3)으로 정의된 범위 내에 존재한다.
Figure kpo00008
×100=1.5 내지 15…(1)
Figure kpo00009
×100=20 내지 100…(2)
Figure kpo00010
×100
Figure kpo00011
10…(3)
이 조건을 만족하는 코폴리머는 일본 특허공고번호(소) 49-31,556 또는 일본공개특허공고 번호(소) 50-8,885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발포제로서는, 공지의 열분해성 화학 발포제 또는 휘발성 유기 발포제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더욱 바람직한 것은 사용한 에틸렌계 이오노머의 융점보다 더 낮은 비점을 가진 휘발성 유기 발포제이다. 그러한 바람직한 휘방성 유기발포제의 대표적 예는 프로판, 부탄, 펜탄, 펜텐 및 헥산과 같은 저분자 탄화수소 뿐만 아니라, 염화메틸렌, 염화메틸, 트리클로 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클로로 디플루오로메탄, 클로로트리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1,1-디플루오로에탄, 1-클로로-1,1-디플루오로에탄, 1,2-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및 클로로펜타 플루오로 에탄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이들 휘발성 유기발포제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화학 발포제의 대표적 예로는 아조디카본아미드,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디니트로소펜타 메틸렌테트라아민과 피라톨루엔설포닐 하이드라지드 등이 있다. 이들 화학 발포제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써 또는 휘발성 유기 발포제와의 혼합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계 이오노머와 발포제로 구성된 폴리머 조성물에 있어서, 발포제의 함량은 사용된 이오노머 및 발포제의 형태와 목적한 연속기포상 발포체 특성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발포제의 함량은 에틸렌계 이오노머 100중량부당 5 내지 50중량부이다.
발포제와 에틸렌계 이오노머 성분들은 단일-스크루우 압출기, 이중-스크루우 압출기 또는 벤버리(Banbury) 혼합기와 같은 적당한 장치로 혼합 및 반죽할 수 있다. 또한 에틸렌계 이오노머와 발포제의 1차혼연물은 건조혼연물 또는 매스터 뱃치(master-batch) 형태로 제조하거나, 에틸렌계 이오노머에 발포제를 함침시켜 제조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발포제를 발포직전에 용융 또는 열가소화한 상태의 에틸렌계이오노머와 혼합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폴리머 조성물을 발포 전에 전자비임 또는 화학적 가교 결합제를 사용하여 가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성 폴리머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발포제로 발포시킬 수 있다. 예를들면, 통상의 압출발포 방법이 있는데, 이는 폴리머와 발포제를 고온과 고압하 압출기 내에서 연속적으로 가열 및/또는 작동시켜 용융 또는 열가소화 시킨 다음 생성된 용융 또는 열가소화된 혼합물을 저압 및 저온대로 압출시켜 발포체로 발포시키는 것이다, 또한 배치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발포성 폴리머 조성물을 고압하의 높은 온도에서 용융시킨 다음, 압력을 제거하여 용융된 혼합물을 발포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폴리머 조성물은, 처음부피의 20배 이상으로 발포 시키고자할 때 특히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성 폴리머 조성물은 아연스테아레이트 또는 유사한 금속비누 그리고 미분쇄한 규산 칼슘 또는 유사한 무기염과 같은 윤활제와 핵생성제를 미량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의 폴리머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 안정화제 및/또는 착색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발포체의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속기포 생성을 방해하지 않는 양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폴리머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발포성 폴리머 조성물을 쉬트, 블럭, 막대 및 파이프 등 거의 어떤 형태로든지 발포시킬 수 있거나, 다른 물질과 함께 복합체 또는 피복체형태로 발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음의 실시예와 그에 수반하는 참조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되며,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는 아래 기술한 특성과 매개 변수에 의하여 평가된다. 또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모든 부와 %는 중량에 관한 것이다.
(1)이오노머의 에틸렌 함량
먼저, 탄소함량을 이오노머를 정량 원소분석하여 측정하고, 다음에, 이 이오노머중의 에틸렌 함량을, 에틸렌과 이오노머의 카본함량과의 검량선으로부터 측정한다.
(2)이오노머의 결정화 개시 온도
이오노머 시편을 용융될 때가지 분당 10℃로 가열하고 결정화가 시작될 때까지 분당 10℃로 냉각시키는데 이는 DSC(differencial scanning calorimeter ; Perkin-Elmer Crop. 제품인 Model IB)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이와같이 결정화가 시작되는 것이 관찰된 온도가 본 발명의 취지에 맞는 결정화 개시 온도이다.
(3) 이오노머의 용융지수(MI)
이오노머의 용융지수는 ASTM D 1238-57T에 따라 측정한다.
(4) 발포제의 연속 기포율
본 발명의 발포성 폴리머 조성물 또는 비교용 발포성 폴리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발포체의 연속기포율은 다음 2가지 방법으로 측정한다.
(a) 감압 흡수법
발포체를 30×30×30㎜의 입방체 시편으로 절단한다. 그 무게를 측정한 후, 300㎜Hg감압하 대기에서 15℃의 물에 15분간 시편을 첨지시킨다. 이어서 진공을 해제한 후, 시편을 물에서 꺼내어 그 표면을 에탄올로 적신 헝겊으로 살짝 닦아준 다음 시편의 무게를 다시 측정하고, 다음 식으로부터 연속기포율을 계산한다
연속기포율(%)
=
Figure kpo00012
상기식에서,
W0는 시편의 최초 중량(g)이고, W1은 흡수후 시편의 중량(g)이며
V는 입방체의 부피(㎤)이고
d는 발포체에 사용된 이오노머 수지의 밀도(g/㎤)를 나타낸다.
(b) 공기비중기법
이 방법에서는 Model 930공기 비중기(Toshiba-Beckmann Co., Ltd 제품)를 사용하여 ASTM D2856에 따라 연속기포율을 측정한다.
(5) 연속기포 육안 측정
전술한 흡수법과 같은 방식으로 절단한 발포체 시편을 순수한 물 대신에 적색 잉크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있는 물에 침지시킨다. 이어서 처리된 시편을 절단하여 시편의 절단면상에 적색 잉크가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를 육안으로 조사한다. 또한, 발포체의 다른 시편의 절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5μ 내지 100μ범위의 미세 세포의 분포를 살펴본다.
[실시예 1 내지 6]
압출 성형을 위해 다음과 같은 압출라인은 사용하며, 이 압출 라인은 스크루우 앞쪽 끝에 혼합대를 갖는 65㎜ 배럴(barrel) 직경의 압출기, 혼합대와 연결되어 있는 발포제 공급라인, 압출기 출구와 연결되어 있는 혼합용융된 폴리머 온도조절용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 출구와 연결된, 직경 8.0㎜오리피스를 가진 다이로 구성되어 있다. 표 1에 표시된 각 이오노머를 압출기에 주입하고 발포제로서 이오노머 100부당 디클로로디 플루오로메탄 25부를 발포제 공급라인을 통해 가압하에 주입하여, 그 속에서 함께 가열, 용융 및 혼합한 다음, 폴리머 조성물을 다이를 통해 대기압에서 압출대로 연속적으로 압출시켜 둥근 막대 형태의 발포체로 발포시킨다.
각 이오노머의 발포 온도는 균일한 품질을 가진 발포체를 얻기에 적합한 수준으로 고정시키고, 그러한 적당 온도는 각 경우 이오노머의 융점보다 높게 압출 발포시 변화시켜 정한다.
생성된 발포체의 특성은 사용된 이오노머의 에틸렌 함량과 결정한 개시온도와 함께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실시예 1 내지 6의 발포체는 평균크기 0.5㎜의 연속기포가 균일하게 분포되아 있었다.
[참조예 1 내지 5]
표 Ⅰ에 표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이오노머를 사용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내지 6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절차와 조건을 반복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으로부터 생성된 발포체(즉, 공기 비중기법에 의해 측정된, 90% 이상의 연속기포를 함유함)과는 달리, 이들 참조예에서 생성된 발포체는 모두 거의 독립기포 구조를 가졌고, 연속기포(존재하는 경우)는 단지 그것들의 표면층의 적은 한부분에 한정되어 있다.
[표 Ⅰ]
Figure kpo00013
*본 발명의 실시예가 아님.
[실시예 7 내지 10과 참조예 6 내지 8]
실시예 7 내지 10과 참조예 6 내지 8에서는, 표(Ⅱ)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사용된 에틸렌계이오노머가 모두 94몰%의 에틸렌을 함유하고 있으나 상이한 결정화 개시 온도를 가졌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내지 6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절차와 조건을 반복해서 실시하였다. 생성된 발포체의 특성은 표(Ⅱ)에 요약되어 있고, 그에 해당되는 것이 제2도에 나타나 있다.
표 Ⅱ와 제2도로부터, 본 발명의 발포성 이오노머 조성물은 전술한 감압흡수법에 의해서 증명된 건 같이, 벽내에 있는 비교적 큰 기공을 통해 연속화되는 연속기포 뿐만 아니라, 흡수저항성이 커서 흡수법으로는 탐지할 수 없으나 공기비중기법에 의해서 탐지할 수 있는, 미세기공을 통해 연속화되는 기포들을 함유한 발포체를 제공함을 명확히 알 수 있다.
[표 Ⅱ]
Figure kpo00014
*본 발명의 실시예가 아님.
[실시예 11과 12]
실시예 11과 12에서 사용된 에틸렌계 이오노머는 둘다 95몰%의 중합된 에틸렌을 함유하고 있지만, 결정화 개시 온도는 각각 70℃와 75℃이다.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거의 연속기포상 균질 발포체를 얻을 수 있는 최대 및 최소 발포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그러한 이오노머-함유 수지 조성물 각각을 여러가지 온도에서 발포시켰다.
허용되는 최대 및 최소 발포온도의 차는, 발포성 조서물이 발포됨으로써 그러한 조성물의 허용 범위(또는 조작 유연성)를 나타내는 온도에 대한 각각의 발포성 조성물의 민감성을, 그것들이 적합하게 발포되어 바람직한 연속기포상 발포체로 될 수 있는 온도범위로써 입증한다. 이렇게 측정한바, 적합한 발포 온도 범위는 하기표 Ⅲ에서 바람직한 발포온도 범위(℃)로 표시한 것과 같다.
[실시예 13a 내지 13d]
실시예 7 내지 10의 에틸렌계 이오노머를 각각 사용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12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절차와 조건을 반복 실시하여 각각의 이오노머-함유 수지 조성물에 대한 바람직한 발포온도를 측정하였다. 이 측정의 결과 역시 표 Ⅲ에 나타나 있다.
[표 Ⅲ]
Figure kpo00015
1. 식(Ⅱ)로부터, 에틸렌함량 A가 95몰%일때, 결정화개시 온도 T는 바람직하게는 71.8 내지 91.4℃이어야 한다.
2. 식(Ⅱ)로부터, 에틸렌함량 A가 94몰%일때, 결정화 개시온도 T는 바람직하게는 63.1 내지 88.4℃이어야 한다.
표 Ⅲ으로부터, 식(Ⅱ)에 의해 정의된 결정화 개시온도를 가진 이오노머는 표 Ⅲ에 나타난 다른 이오노머보다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나타낸 바람직한 발포 온도의 범위가 더 넓은 것을 참조하여, 명확히 알 수 있다.
102-3.02(98.5-A)
Figure kpo00016
T
Figure kpo00017
102-8.64(98.5-A) (Ⅱ)
종래의 에틸렌계 이오노머 또는 연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비교한 실시예 3의 발포체의 평가
전술한 실시예 3에서 얻은 에틸렌계 이오노머 발포체를, 전술한 참조예 3의 에틸렌계 이오노머 발포체 및 종래 기술에 따른 연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비교하여 아래 기술한 대로 측정한 압축강도, 내후성 및 내수성으로 평가하였다.
(1) 압출강도
각 시편의 압축강도는 JIS K6767에 따라 측정하였다.
(2) 내후성
내후성을 측정하기 위해, 각 시편을 6개월동안 옥외에 방치하고, 그 내후성은 이 기간동안 압축강도의 감소율로써 평가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표 Ⅳ에 요약되어 있다.
30% 이하의 압축강도 감소율을 나타낸 발포체 ……………… A
30% 또는 그 이상의 압축강도 감소율을 나타낸 발포체 ………B
(3)내수성
내수성 측정을 위해, 각 시편을 50℃ 및 90%상대 습도로 고정된 대기하에 1개월동안 방치하고, 그 내수성은 이 기간동안의 압축강도 감소율로써 평가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표 Ⅳ에 요약되어 있다.
30% 이하의 압축강도 감소율을 나타낸 발포체 ………………A
30% 또는 그 이상의 압축강도 감소율을 나타낸 발포체 …… B
표 Ⅳ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머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은 발포체는 연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거의 필적하는 유수한 유연성을 가지고 있고, 그 내후성과 내수성은 그러한 연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보다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표 Ⅳ]
Figure kpo00018

Claims (1)

  1. 대기온도 및 대기압력보다 높은 온도 및 압력하에서, 금속 이온으로 가교 결합되어 있고 중합된 에틸렌 함량이 85 내지 98.5몰%이며 다음식(Ⅰ)으로 정의되는 결정화 개시온도(T℃)를 갖는 에틸렌계 이오노머와 발포제로 구성된 유동성 겔을 형성시키고, 생성된 겔을 저압 및 저온대로 압출시킴으로써 연속기포상 에틸렌계 이오노머 발포체를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유연성 연속 기포상 유체침투성 에틸렌계 이오노머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
    102-3.02(98.5-A)
    Figure kpo00019
    T
    Figure kpo00020
    102-9.29(98.5-A) (Ⅰ)
    상기식에서
    A는 이오노머의 에틸렌함량(몰%)를 나타낸다.
KR1019810002684A 1981-07-24 1981-07-24 연속기포상 에틸렌계 이오노머 발포체의 제조방법 KR840000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2684A KR840000271B1 (ko) 1981-07-24 1981-07-24 연속기포상 에틸렌계 이오노머 발포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2684A KR840000271B1 (ko) 1981-07-24 1981-07-24 연속기포상 에틸렌계 이오노머 발포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998A KR830005998A (ko) 1983-09-17
KR840000271B1 true KR840000271B1 (ko) 1984-03-13

Family

ID=1922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684A KR840000271B1 (ko) 1981-07-24 1981-07-24 연속기포상 에틸렌계 이오노머 발포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2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998A (ko) 198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2974A (en) Expandabl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extruded thermoplastic foams
US4640933A (en) Expandable polyolefin compositions and preparation process utilizing isobutane blowing agent
US4694027A (en) Expandable polyolefin compositions and preparation process utilizing isobutane blowing agent
CA1127800A (en) Soft ethylenic polymer blend foams
US4331779A (en) Ethylenic polymer foams having improved dimensional stability
EP0016348A2 (en) Method of making polyethylene blend foams having improved compressive strength and foams prepared by said method
US5089533A (en) Olefin polymer compositions comprising glycerol monoesters of c20-24 fatty acids and foame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EP0036560B1 (en) Foamable olefin polymer compositions stabilized with n-alkyl substituted amides, foaming process using them and foam article produced
JP3195674B2 (ja) 無架橋エチレン系重合体発泡粒子の製造方法
US5149473A (en) Method for production of styrenic foam
EP1263850B1 (en) Extruded foam product with reduced surface defects
KR20010075187A (ko) 압출된 스티렌계 발포물의 제조 방법
AU733508B2 (en) Closed cell polymer foam
JPH07119314B2 (ja) 熱可塑性樹脂発泡用発泡剤組成物
EP0043052B1 (en) Open-cell ethylene ionomer polymer foam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N103881274A (zh) 聚偏氟乙烯类树脂发泡粒子及其制备方法、以及聚偏氟乙烯类树脂发泡粒子成型体
KR840000271B1 (ko) 연속기포상 에틸렌계 이오노머 발포체의 제조방법
JPH08504471A (ja) 押出し独立気泡プロピレンポリマー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法
EP0025063B1 (en) Low density, extruded ethylenic polymer foams
JPS60163939A (ja) 塩化ビニル系樹脂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JPH0257576B2 (ko)
KR900001559B1 (ko) 팽창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850000112B1 (ko) 지방족 올레핀 중합체의 발포방법
JPH0547578B2 (ko)
KR100621869B1 (ko) 폴리올레핀 미발포입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3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