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781B1 - 비표준 주파수 반송파용 텔레비죤 주파수 합성기 - Google Patents

비표준 주파수 반송파용 텔레비죤 주파수 합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781B1
KR830002781B1 KR1019760002821A KR760002821A KR830002781B1 KR 830002781 B1 KR830002781 B1 KR 830002781B1 KR 1019760002821 A KR1019760002821 A KR 1019760002821A KR 760002821 A KR760002821 A KR 760002821A KR 830002781 B1 KR830002781 B1 KR 830002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ignal
divider
carrier
stand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60002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483A (ko
Inventor
굳칠데 노리 헨더슨 죤
Original Assignee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죤 브이. 리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죤 브이. 리건 filed Critical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Priority to KR1019760002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781B1/ko
Publication of KR830000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78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표준 주파수 반송파용 텔레비죤 주파수 합성기
제1도는 텔레비죤 수상기에 실시된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채널동조장치의 계통도.
제2도는 제1도의 도시된 동조장치의 일부의 실행논리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동조장치의 다른 일부의 부분적인 실행논리도 및 개요도.
제4도 및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동조장치부에 관련된 진압대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제1도에 도시된 동조장치의 작동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목록표.
본 발명은 텔레비죤 채널동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파수 합성기를 포함하는 채널동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국의 경우, VHF(고주파)와 UHF(초고주파) 채널용 무선 방송텔레비죤 반송파 주파수들은 연방통신위원회(FCC)에 의하여 할당된다. 무선방송 중에는 이들 주파수가 매우 높은 정밀도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최근에, 위상고정루프(PLL)로 구성시킨 주파수 합성기는 시청자가 선정할 수 있는 여러가지 채널에 일치하는 소정주파수의 국부발진 신호를 정확하게 발생시키도록 개발되어 왔다. 예를들면, 위상고정류프를 이용하는 동조장치는 알 씨 에이 코퍼렌이션에 의하여 1972년도에 발간된 디지탈 집적회로(SSD-203) 중의 솔리드 스테이드 정보집에 수록된 알. 이. 펑크 씨의 "COS/MOS 집적회로를 이용한 저전력 디지탈 주파수 합성기"라는 제목의 디지탈 집적회로 응용지 ICAN-6716에 설명되어 있다.
다른 형태의 장치에서는 텔레비죤 수상기를 표준 주파수에 동조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1974년 6월 18일자로 사카모도씨에 특허 허여된 "2중 주파수 소인(sweep)되는 자동동조장치"라는 제하의 미국 특허 제3,818,353호에 기술된 유형의 장치는 두개의 발진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발진기들은 무선방송채널 국부발진 주파수 전반의 버머위에 걸쳐서 최초의 주파수로 부터 한 스텝씩 나아가는 방식으로 교대로 소인(sweep)된다. 발진기의 소인과 정지가 일어나는 회수를 카운트 하므로서, 특정한 채널을 동조시키는데 필요한 제어진압보다 약간 작지만 거의 근접한 진압까지 국부발진기제어진압이 도달될 때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 그후 보조소인 회로는 제어진압을 적당한 동조진압으로 증가시킨다.
표준 주파수 반송파용 주파수 합성기의 동조장치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모든 텔레비죤 신호는 표준적인 무선 방송반송파로 송신되지 않는다. 아파트나 모텔과 같은 어떤 지역의 텔레비죤 분배장치에 있어서, 텔레비죤 신호는 전선을 통하여 수상기에 전송된다. 전선(혹은 초단파 연결장치)을 이용하는 여러가지 장치에서, 변조된 무선 방송 반송파는 복조되고 수상기에 공급되기 전에 표준방송 반송파에 가까운 임의의 비표준 반송파로 재변조된다. 따라서 이러한 비표준 반송파에 수상기를 동조시키기 위
본 발명은 통상의 VHF 및 UHF와 연관된 표준주파수 반송파에 아주 가까운 임의의 비표준 주파수의 모든 주파수에 텔레비죤 수상기를 동조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동조장치(전압제어발진기)는 국부발진기신호(또는 전압제어 발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발진기가 설치되어 있다. 혼합기는 전압제어 발진기신호와 변조된 중간주파수 방송파를 발생시키도록 수신된 변조반송파를 결합시킨다. 프로그램 가능한 분주기는 현재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제1의 수로 국부발진기 신호의 주파수를 분주한다. 위
주파수 변별기는 중간 주파수 반송파의 일정한 주파수(예를들어 영상반송파의 공칭주파수)로 부터 중간주파수 반송파의 주파수편이를 나타내는 변별기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변별기신호는 채널 사이의 주파수 간격에서 약간의 수파수 편이에 대응하는 최소 및 최대 진폭사이의 진폭범위를 가진다. 제2 제어신호는 제1 및 제2 진폭 사이의 진폭범위를 가지는데, 제1 및 제2 진폭은 사실상 제1 제어신호의 제1 및 제2 진폭과 동일하며, 변별기 신호의 최대 및 최소 진폭과 연관된 편이주파수 사이에 있는 중간주파수 반송파의 주파수편이에 대응한다.
주사기는 전압제어 발진기신호가 선택된 국부발진기 신호의 주파수 부근의 주파수 범위내에서 주사되도록 한다. 전압제어 발진기신호의 주파수는 일예로, 주파수 분리된 전압제어 발진기신호에 대한 기준주파수 신호의 주파수를 증가시키므로서 주사기가 주사되게 한다. 중간주파수 반송파와 일정한 주파수 사이의 편이가 소정범위내에 있고 제어신호의 진폭이 선택된 채널용 제1 제어신호의 진폭과 동일할 때 주사기를 비작동상태로 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 장치는 제어발진기에 제1 및 제2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주사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스위치 장치는 제1 제어신호를 전압제어 발진기로 부터 분리시키고 그대신 제2 제어신호를 전압제어 발진기에 공급한다. 그후, 제2 제어신호는 전압제어 발진기신호의 주파수를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채널동장치를 이용한 텔레비죤 수상기의 일반적인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무선주파수(RF)는 안테나(12)에 의하여 수신되며 무선주파수 증폭기(14)에 의하여 증폭된다. 여기서 증폭된 신호는 믹서(16)에 공급되어 이후 기술되는 바와같이 선택 채널에 따라 발생된 적정 주파수의 국부 발진기 신호와 결합되면서 중간주파수(I.F.)신호로 발생된다. 이 I.F.신호는 I.F.증폭기(18)에 의하여 증폭된 후 비데오 검파기(20)로 공급된다. 비데오 검파기(20)는 예를들어 색도, 휘도 및등기신
따라서 상기된 통상적인 장치는 예를들어 인디아나주 인디아나폴리스의 알 씨 에이 코퍼레이션에 의하여 출간된 서류 1974C-5의 알 씨 에이 칼러 텔레비죤 서어비스 데이타에보인 CTC-68형의 칼러 텔레비죤 수상기에서 사용된 부품을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적인 실예에서, 채널 선택정보는 채널선택키보드(26)에 의하여 시청자에게 선택된다. 키보드(26)는 예를들어 계산기형 키보드로 구성되는데, 이 키보드에 의하여 VHF나 UHF채널이 십진자리수 형태로 선택된다. 키보드(26)는 예를들어 십진정보를 2진코오드화된 십진수(BCD)로 변환하기 위한 매트릭스 회로를 포함한다. 채널정보를 나타내는 2진 코오드화된 신호는 다수의 도전통로(30)를 통하여 채널번호를 기억하는 레지스터(28)에 공급된다.
레비스터(28)은 2진 채널선택정보를 현재의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N"수 정보를 나타내는 다른 2진 신호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레지스터(28)는 예를 들어 읽기전용 기억장치(ROM)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기억장치내에는 "N"수 정보가 키보드(26)에 의한 2진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나중에 추출되도록 기억되게 한다.
N수를 나타내는 2진 신호는 여러개의 도전통로(32)를 통하여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N수로 분주하도록 배열된 프로그램 가능한 주파수 분주기(34)에 공급된다. 분주기(34)는 전압제어발진기(50), 전치게수 주파수 분주기(52), 수정기준 발진기(40), 프로그램 가능한
Figure kpo00001
분주기(38), 위상검파기(36) 및 지역통과 필터(46)들로 이루어진 위상고정루프(PLL)내에 배열된다. 채널선택장치와 결합시킨 위상고정루프는 상기된 알 씨 에이 출원서에 설명된 유형의
제1도에 도시된 블록선도의 나머지 부분은 예를들어 CATV와 MATV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바와같은 비표준 주파수 반송파에 수상기를 자동적으로 동조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2도 및 제3도에는 이러한 장치의 더욱 상세한 논리 및 블록 선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2도 및 제3도에 보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그 실시예가 제1도 수상기의 동조장치의 다음 기술에 의하여 본 기술에 숙련된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제2도 및 3도에 도시된
제1도의 텔레비죤 수상기의 동조장치는 두가지 모드로 동작한다. 제1, 즉 비주사모드에서는 선택된 채널에 할달된 표준주파수 반송파의 수신을 위하여, 프로그램 가능한
Figure kpo00002
분주기(34)와 프로그램 가능한
Figure kpo00003
분주기(38)는 각각 예쩡된 값으로 설정된다.
표준주파수 반송파에 수상기를 동조시키는데 이용되는 비주사모드의 작동에서, 시청자에 의하여 작동시킬수 있는 SCAN ENABLE(주사모드구 등) 스위치(54)는 도시된 개방위치로 작동되면 SCAN ENABLE 제어신호(SCAN ENABLE 제어신호의 부재나 그 보수를 나타내는 논리 "1")는 도선(58)을 경유하여 스위치논리장치(56)에 공급되고, 도선(60)을 경유하여 카운트 프리세트논리장치(62)에 공급되어 이후 기술되는 바와같이 비표준 반송파를 수신하도록 장치를 비작동되게 한다.
SCAN ENABLE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논리장치(56)는 STOP SCAN(주사정지) 제1 제어신호(논리 "0")를 발생시키는데 이 제어신호는 도선(90)을 경유하여 클록펄스발생장치(68)에 공급되어
Figure kpo00004
분주기(66)로 부터의 클록펄스가 업 다운 카운터(42)의 클록펄스입력(도선 114)으로 도달하지 못하게 한다. 그 결과, 업다운 카운터(42)는 이후 기술되는 주사모드로 작동되는 바와같이
Figure kpo00005
분주기(38)의 R수를 변경시키지 않는다.
각각의 작동모드에서, 시청자는 채널선택키보드(26)상의 적당한 키들을 작동시켜서 채널을 선택한다. 채널번호 레지스터 (28)는 키보드(26)에 의한 채널선택정보를 나타내는 2진 신호를 수신하고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N수를 나타내는 2진 신호를 그의 읽기전용 기억장치로 부터 추출해 낸다. N수를 나타낸는 2진 정보는 프로그램 가능하게 분부되는
Figure kpo00006
분주기(34)로 입력되어 N수로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분주한다.
새로운 채널이 선택될 때마다 N수를 나탄내는 2진 신호를 기억장치로 부터 추출하는 이외에도 비주사모드와 주사모드에 있을 경우라도 채널번호 레지스터(28)는 도선(78)을 통하여 스위치 논리장치(56)에 연결되는 START PULSE(개시펄스) 제어신호(논리 "1")를 공급하여 플립-플롭(제3도에 도시됨)(5612) 및 (5614)을 티세트시키는데, 이 기능은 이후 기술될 것이다. 제어신호에 응답하는 스위치는 리장치(56)는 제어신호(도선(38)상의 논리 "0")를 발생시켜 합성기 AFT 스위치(48)로 하여금 저역통과필터 증폭기(46)의 출력(도선 122)을 전압제어 발진기(50)의 제어단자에 연결시키게 하여 상기의 위상 고정루프(PLL)를 형성하도록 한다.
START PULSE 제어신호는 카운트 프리세트 논리장치(62)에 연결되어 채널번호 레지스터(28)로 부터 새로운 정보가 입력되기 전에 그 논리를 티세트 시킨다.
프로그램 가능한 분주기(34)에 대하여 적절한 N수를 발생시키고, START PULSE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이외에도 채널번호 레지스터(28)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대역의 스위치 제어신호(논리 "1")를 발생시킨다. 즉 UHF 범위(예를들어, 채널 14-38)내에서 채널이 선택될 때 UHF 제어신호 : 낮은 VHF 범위(예를 들어, 채널 2-6)내에 채널이 선택될 때는 LOV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며 높은 VHF 범위(예를들어, 채널 7-13)내에 채널이 선택될 때는 HIV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SCAN ENABLE에 주사구동에 관련
이들 대역스위치 제어신호는 적당한 공지의 방법으로 전압제어 발진기(50)와
Figure kpo00007
전치분주기(52)내의 바랙터 다이오드(가변 용량다이오드)같은 전압제어 동조소자에 연결되어 선택된 채널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Figure kpo00008
분주기(34)의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제어한다.
표준주파수 반송파에 수상기를 동조시키기 위한 N 및 R의 수치는 "R비-주사"와 "N주사 및 비-주사"로 기재된 제6도의 표로 도시되어 있다. 이 표에서의 수치는 수정발진기(40)의 주파수가 5㎒인데 이는전치분주기(52)가 전압제어발진기(50)의 출력신호의 주파수를 256의 수로 분주한 설치치이다. N의 수치는 개별적으로 수신되는 표준주파수 반송파와혼합될 때, 45.75㎒(대개의 미국 수상기의 표준 I.F.영상 반송파)에서 영상반송파를 갖는 주파수차 I.F.신호를 발생시키는 데, 필요한 전압제
처음에는 채널이 시청자에 의하여 선택되고 프로그램 가능한
Figure kpo00009
분주기(34)와 프로그램 가능한
Figure kpo00010
분주기(38)가 설정될 때, 전압제어 발진기(50)는 임의의 주파수(일예로 선택된 대역내의 어떤 중간점)에서 발진한다. 전압제어발진기(50)의 작동주파수는 위상검파기(36)에 의하여 공급된 오차출력신호가 프로그램 가능한
Figure kpo00011
분주기(34)와 프로그램 가능한
Figure kpo00012
분주기(38) 사이의 위상이나 주파수차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백히 할 때에 비로서 저역통 과필터증폭기(46)의 D.C.제어신호 출력에 따라 변형된다. 이때에 전압제어발진기(50),
Figure kpo00013
전치분주기(52), 프로그램 가능한
Figure kpo00014
분주기(34), 위상검파기(36), 프로그램 가능한
Figure kpo00015
fLO=NK/R·fXOSC
저역통과필터 증폭기(46)의 출력신호는 국부발지니신호가 특정대역의 인접채널 간격을 초과한 주파수범위 이상의 국부발진기 신호를 변화시키기에 충분한 직폭범위를 가져야 하고 특정대역내의 모든 채널에 대하여 수상기를 동조시키는데 충분한 전폭범위를 가져야 하고 특정대역내의 모든 채널에 대하여 수상기를 동조시키는데 충분한 전폭범위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비교적 낮은 영역에서, 저역통과필터 증폭기(46)는 채널 2, 3, 4, 5 및 6에 수상기를 동조시키기에 충분한 제1 및 제2 전압범위에 있는 제어전
전압제어 발진기(50)의 국부발진 출력신호는 믹서(16)에 공급되는데, 믹서는 종래의 방법으로 RF 증폭기의 출력신호와 결합되어 수시니반송파의 주파수와 국부발진시호 사이의 주파수 차와 동일한 주파수(일예로 45.75㎒)의 영상반송파를 포함하는 I.F. 신호를 발생시킨다. I.F. 신호는 I.F. 증폭기(18)에 의하여 증폭되며 비데오 정보는 영상검파기(20)에 의하여 I.F. 신호로 부터 추출된다. 이 영상신호는 영상 신호처리장치(22)에 의하여 처리되어 키네스코프(24)의 화면상에 화상을 형성시킨다.
시청자가 비표준 반송파 분배장치(일예로, CATV MATV분산시스템)로 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선택할때, 주사모드 작동 스위치(54)는 폐쇄위치에 있게 되며 이에 따라 SCAN ENABLE제어신호(논리 "0")를 발생시켜 제2, 즉 주사 작동모드로 동조 장치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제2의 주사모드에서, 그에 관련된 표준주파수 반송파의 주파수 근방(0±2㎒)에 있는 비표준 주파수 반송파를 임의로 수신하는 동안 프로그램 가능한
Figure kpo00016
분주기(34)선 택채널에 일치하는 고정수치로 다시 설정된다. 그러나
Figure kpo00017
분주기는 그에 관련된 표준주파수 반송파에 해당하는 분주비보다 다소 작은 제1의 분주비로 먼저 설정되고(
Figure kpo00018
분주기(38)는 제1모드동안 설정된 분주비로 설정됨), 그다음 동조가 이루어지거나 이후 기술되는 바와같이 제2의 분주비를 가질때까지 그에 관련된 표준주파수 반송파보다 더 큰 제2의 분주비까지 증분(inchement)된다.
작동 주사모드(비주사모드)에서, 시청자는 채널 선택키보드(26)상의 적당한 키를 누르므로서 채널을 선택하게 되며 이에따라 수 N을 나타내는 2진 정보는 프로그램 가능한
Figure kpo00019
분주기(34)에 입력된다. 더우기, 채널번호 레지스터(28)는 START PULSE 제어신호(논리 "1")를 발생시키는데 이 제어신호는 플랍플롭(5612)와 (5614)를 리세트하도록 스위치 논리장치(56)로 연결된다. START PULSE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 논리장치(56)는 제어신
채널번호 레지스터ㅌ(28)에 의하여 공급된 HIV 또는 LOV 제어신호와 스위치(54)에 의하여 공급된 SCAN ENABLE 제어신호에 따라서, 카운트 프리세트 논리장치(62)는 수 R이 비주사모드중에 선택된 동일채널로 설정되게한 수치 이하의 미리 선택된 제1의 수치를 나타내는 업다운 카운터(42)로 2진 신호를 공급한다. 주사모드중 업다운 카운터(42)내로 입력되는 여러개의 채널에 해당하는 제1의 미리 선택된 수치는 제6도 표의 "개시 R"열에 표시되어 있다.
카운트 프리세트 논리장치(62)는 HIV와 LOV 제어신호의 보수인 HIV와 LOV를 발생시킨다. 이들 보수신호는 여러개의 도전통로(64)를 경유하여 주사정지 논리장치(70)에 연결되면서 수 R이 비주사모드중에 설정될 수 있는 수치 이상의 두가지 미리 선택된 수치중 하나(선택된 채널이 높거나 낮은 범위에 있는 따라에 그 신호를 설정한다. 제2의 미리 선택된 수치는 가장 높은 수치와 같은데, 수 R이 주사모드 중에 그 수치로 증분된다. 여러 채널에 해당하는 제2의 미리 선택된 수치는 제6도 표의 "정지 R"열에 표시되어 있다.
SCAN ENABLE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 논리장치(56)는 SCAN STOP 제1 제어신호(SCAN STOP 제1 제어신호의 존재여부를 나타내는 논리 "1")를 발생시켜
Figure kpo00020
분주기(66)로 부터 클록신호를 업다운 카운터(42)의 클록입력으로 입력되게 한다. 이들 클록신호에 응답하여, 업다운 카운터(42)는 제1의 미리 선택된 수치로 부터 제2의 미리 선택된 수치로 수 R을 증분시킨다. 여러 채널에 해당하는 제2의 미리 선택된 수치는 제6도 표의 "정
전압제어 발진기(50),
Figure kpo00021
전치분주기(52), 프로그램 가능한
Figure kpo00022
분주기(34), 위상검파기(36), 수정발진기(40), 프로그램 가능한
Figure kpo00023
분주기(38)와 저역통과필터 증폭기(46)을 포함하는 위상 고정루프는 비주사모드에ㅔ서 처럼 식(1)에 따른 국부발진신호의 주파수 fLO를 제어한다. 그러나,
Figure kpo00024
분주기의 클록신호출력의 연속적인 각 클록펄스와 같이 업다운 카운터(42)에 도달하기 때문에, 수 R은 제6도 표의 "ΔR"열내에 도시와 같이 미리 선정된 수치까지 연속적응로 증분되며, A가 2로 선정될때 여러 채널을 위한 R의 소정변화분은 2이다. 그 결과 국부발진 신호의 주파수는 감소된다(즉, 단계적으로 감소된다). 여러 채널을 위한 국부발진신호 및 소정 변화분의 개시 및 정지 주파수는 제6도 표의 "fLO개시" "fLO정지" 및 "ΔfLO"열로 표시되며 여기서 A는 2가 되도록 선택된다.
비주사모드에서와 같이 전압제어 발진기(50)의 국부발잔기 출력신호는 믹서(16)내의 RF증폭기(14)의 출력신호와 결합되어 반송파 주파수가 국부발진 신호의 주파수 범위에 해당하는 범위내에서 비례하여 증분되는 복조 I.F.신호로 된다. 각 채널에 대한 주사범위는 믹서(16)내에서 수신된 비표준 주파수 반송파와 결합될때 소정의 국부발진 신호의 주파수를 포함하기에 충분한 폭으로 선택되어 미리 선택된 주파수, 예를들어, 45.75㎒에서 영상반송파를 가지는 복조된 I.F.신호를 발생시킨다.
I.F. 반송파가 감소됨에 따라 I.F. 증폭기(18)의 출력에 연결된 AFT(자동 미동조) 주파수 변별기(92)는 I.F. 반송파와 45.75㎒의 주파수간의 주파수편이에 일치한 전압을 발생시킨다. 제4도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회로 작동을 하기 위한 전압과 주파수의 통상적인 값을 가지는 AFT 주파수 변별기회로(92)와 연관된 S자형의 전압대 주파수 특성 그래프(412)이다. S자형 특성 그래프(412)는 주파수편이(±25㎑)에 일치하는 최소 진폭과 최대진폭 사이의 진폭영역을 가지는데 그 주파수편이는 채널들(6㎑)간의 주파수 간격이다. 변조된 I.F. 반송파의 주파수가 주사되는 방향도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AFT 주파수 변별기회로(92)의 (+)출력 단자에서 발생된 출력신호는 도선(104)을 경유하여 드레시호울드(threshold) 검파기(82)에 연결된다. 드레시호울드 검파기(82)는 AFT회로(92)의 (+)출력단자에서의 전압이 미리 선택된 드레시호울드 전압(414) 이상으로 상승할때 THRESHOLD(한계) 제어신호(논리 "1")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THRESHOLD 제어신호는 도선(106)을 경유하여 스위치 논리장치(56)에 연결되면서 스위치 논리장치(56)의 플립플롭(5612)을 세트한다.
AFT 증폭기(94)는 AFT 회로(92)의 (-)단자에서의 AFT신호를 도선(124)을 경유하여 수신하고 이 신호를 증폭시킨다. TAF 주파수 변별기 이득은 증폭된 AFT신호가 저역동과필터 증폭기(46)의 출력신호와 같이 제1 및 제2 전압 사이에서의 동일한 진폭범위를 가지도록 선택된다. 즉, AFT증폭기(94)의 증폭된 출력신호의 증폭범위는 저역통과 증폭기(46)의 출력신호와 같이 선택된 채널에 대하여 동일한 전압으로 공급된다. 이 신호가 전압제어 발진기(50)에 공급될 때 이 증폭된 AFT신호의 제1 및 제2 전압은 AFT회
AFT 증폭기(94)의 증폭된 AFT 출력신호의 전압대 주파수 특성그래프(512)의 제2도 및 제3도에 보인 회로도의 작용 전압과 주파수의 수치는 제5도에 도시되고 있다. 또한 변조된 IF 반송파의 주파수가 주사되는 방향도 도시되어 있다. 낮은 VHF 주파수 범위내의 채널에 해당하는 전압제어 발진기(50)에 공급되는 제어 전압의 근사레벨도 도시되어 있다. 또한 높은 VHF 범위내의 채널에 관련된 통일한 특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5도에는 변조된 I.F. 반송파의 주파수가 증분되도록 하는 저역통과필터 증폭기(46)의
비교기(84)는 도선(100)을 경유하여 그에 공급되는 저역통과필터 증폭기(46)의 출력신호(파형 514)를 도선(98)을 경유하여 그에 연결되는 AFT 증폭기(94)의 출력신호와 비교하고 이들의 전압이 동일할 때 비교제어신호(논리 "1")를 발생시킨다. 이 COMPARISON(비교) 제어신호는 도선(102)을 경유하여 스위치 논리장치(56)에 인가되면서 스위치 논리장치(56)의 플립-플롭(5614)를 세트 시킨다.
플립-플롭(5612), THRESHOLD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세트되고 플립-플롭95614)이 COMPARISON)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세트될 때, 스위치 논리장치(56)는 제어신호(도선 88상의 논리 "1")를 발생시켜서 전압제어 발진기(50), 제어단자로 부터 저역통과필터 증폭기(46)의 출력과 감결합시키고 AFT 증폭기(94)의 출력단자를 전압제어 발진기(50)의 제어단자에 결합시킨다. 그후 증폭된 AFT신호는 전압제어 발진기(50)의 국부발진기신호 출력의 주파수를 제어한다.
전압제어 발진기(50)에 대한 제어입력신호를 저역통과 증폭기(46)의 출력신호로 부터 증폭된 AFT 신호로 변환 시킬 때 온도변화나 회로소 자동으로 인한 국부발진신호의 주파수가 드리프트(drift : 편류)된다면 AFT 주파수 변별기회로(92)는 부궤환적으로 작동되어 드리프트에 의한 주파수 변화를 상쇄시키는 증폭된 AFT신호를 발생시킨다.
THRESHOLD 제어신호든 증폭된 AFT신호가 AFT제어를 하도록 정 방향으로 변환된다. 제4도의 THRESHOLD(414)는 제5도의 THRESHOLD(516)과 동일하다. 만일 스위치948)가 절환되어 증폭된 AFT신호를 THRESHOLD(516)까지 도달하기 전에 AFT회로(92)로 부터 전압제어발진기(50)에 증폭된 AFT신호를 공급되게 한다면, AFT제어는 전압제어 발진기(50)에 공급된 제어전압이 부 (-)의 방향, 즉 경사부(520)을 따라서 변화되기보다 특성그래프(512)의 경사부(518)을 따라 틀린 방향으로 변화될 수 있다.
COMPARISON 제어신호는 증폭된 AFT신호가 제어전압으로 공급되게 하는 것을 나타내며, 이 제어전압이 전압제어 발진기(50)에 인가될 때 전압제어 발진기(50)가 선택된 채널과 연관된 국부발진기신호의 주파수에 충분히 가까운 주파수를 가지는 국부발진기 신호를 발생시키게 한다. 예를들어, 채널 4가 선택채널이라 가정하고, 신호의 전압을 레벨(516)에 있게 할 때 스위치(48)가 AFT증폭기(94)의 출력단자를 전압제어발진기(50)의 제어입력단자에 연결시키도록 스위치되는 경우, 전압제어 발진기(50)에 인가되는
따라서, 전압제어 발진기(50)제어는 THRESHOLD와 COMPARISON 제어신호가 존재할 때, 위상고정 루프제어로 부터 AFT제어로 스위치 된다. 또, THRESHOLD와 COMPARISON 비교제어신호가 발생될 때, 스위치 논리장치(56)는 정지주사 제1 제어신호(도선 90상의 논리 "0")를 발생시켜서 업다운 카운터(42)의 클록입력으로 이 클록신호가 도달하지 못하게 하므로 더이상 프로그램 가능한
Figure kpo00025
분주기(38)의 증분을 못하게 하고 결국에가서는 주사작동을 중지시킨다.
수 R이 그의 최종값(제6도의 목록 "R 정지")에 도달하기 전에 AFT제어가 없다면, 주사정지 논리장치(70)는 주사정지 제2 제어신호(도선 108상의 논리 "0")를 발생시켜 클록신호가 업/다운 카운터(42)의 클록 입력에 도달하지 못하게 한다. 이때, 시청자는 불량한 영상을 보게 되고 다른 채널을 선정하거나 다른 채널을 선정하므로서 새로운 주사를 시작하게 하고 그다음에 우언래 선택된 채널을 다시 선택한다.
변조 I.F. 반송파의 주파수는 국부발진신호의 주파수를 감소시키므로써 감소된다. 이는 최초에 발생된 제1 반송파가 인접채널의 음성반송파이라기보다 소정의 영상반송파이도록한 것이므로 바람직하다. 이것은 오동조를 하지 못하게 하거나 최소화되게 한다.
만일 UHF 제어신호가 채널번호 레지스터(28)에 의하여 발생되게 한 경우, 주사모드 구동스위치(54)를 폐쇄시켜 비표준 주파수 반송파에 대하여 수상기를 동조시킨다 할지라도, 스위치 논리장치(56)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주사정지(제1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Figure kpo00026
분주기(66)로 부터의 클록신호가 클록구동장치(68)를 경유하여 업다운 카운터(42)의 클록입력에 도달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프로그램 가능한
Figure kpo00027
분주기(38)내의 수 R은 UHF 채널이 주사모드 구동스위치를 압압했는지의 여부에 따라 선택될 경우 ㅈ증분되지 않는다. 이 장치는 대부분의 텔레비죤 분배장치가 다른 UHF 주파수의 분배를 위하여 UHF 반송파의 주파수를 재변환시키지 않기 때문에 설치되며 따라서 주사 작동모드는 UHF 채널이 선택될 때 필요치 않다. 그러나, 동조장치가 비표준 주파수의 UHF 반송파를 위하여 주사작동되도록 변경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제2도 및 제3도에 보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상세하지 못하다 하더라도, 제2도에 보인 논리 실시예의 프로그램 가능한
Figure kpo00028
분주기(38)의 일부가 되는 CD 4027 집적회로는 역시 분주기(38)내에 포함된 CD 4059 집적회로 카운터 출력신호의 주파수를 2로 분주하는 플립플롭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업다운 카운터(42)를 형성하는 CD 4029 집적회로 카운터 내의 일련의 수는 제6도의 표에 도시된 R의 해당 수치의 절반에 지나지 않는다. 더우기, "정지 R"의 수치에 대하여 10의 자리수 위치에 해당하는 최상위 문자(MSD)와 1의 자리수 위치엥 해당하는 최하위 문자(LSD)를 형성하는 "1", "2" 및 "4"를 나타내는 2진 신호는 R정지에 해당하는 수의 MSD와 LSD가 그들의 형성을 위하여 "8"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주사정지 논리장치(70)에 연결된다. 또, 업다운 카운터(42)에 의하여 공급된 100자리수를 형성하는 2진 신호는 100자리수로 표시된 숫자가 낮은 VHF와 높은 VHF영역과 동일하고 증가되지 않기 때문에 주사정지는 논리장치(70)에 연결되지 않는다.
제1도를 참고로 하여 보면 변조된 I.F. 반송파의 주파수 증가는 프로그램 가능한
Figure kpo00029
분주기(38)에 의하여 증가되는 반면, I.F. 반송파의 주파수는 업다운 카운터(42)와 프로그램 가능한
Figure kpo00030
분주기(34 사이에 연결된 다중 도전통로(126)에 의하여 지시된 바와같이 프로그램 가능한
Figure kpo00031
분주기(34)내에 인입된 값을 감소시키므로서 교대로 감소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 1도의 동조장치는 I.F. 반송파의 주파수를 감소시켜 인접채널의 음성반송파에 수상기를 동조시키는 것을 피할 수 있게 한 것이지만 I.F. 반송파의 주파수가 증분되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

  1. 전압제어 발진기(50)가 국부발진기신호를 발생시키게 하고 믹서(10)가 무선주파수 반송파와 국부발진신호를 결합하여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정보보유 반송파를 가진 I.F.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상기의 정보 보유 반송파의 주파수가 상기의 무선주파수 반송파를 표준 주파수로 할대 표준값을 갖게하고, 주파수 AFT 변별기 회로가 정보보유 반송파의 주파수와 그의 표준값 사이에 편차를 나타내는 AFT신호를 발생시키게 하며, 신호원이 비교적 안정한 주파수를 발생시키게 하고, 제어분주기(34,38)가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국부발진신호와 주파수 신호에 응답하여 분주하면서 국부발진 신호와 안정주파수 사이에 소정의 비례 주파수를 설정하게 하고, 발진제어회로(36,46)가 주파수 분주기의 출력신호와 국부발진기신호 및 안정주파수 신호의 다른 신호에 응답하여 극부발진기신호의 주파수를 제어하므로, 상기의 국부발진기신호와 안정한 주파수 신호사이에 소정의 비례 주파수를 설정하게한 표준 주파수 및 비표준 주파수 모두를 가지는 무선주파수 반송파를 동조하여 수상기를 동조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키보드(26), 레지스터(28), 업다운 카운터(42), 논리장치(56),
    Figure kpo00020
    분주기(66), 펄스발생장치(68)와 주사 논리 정지장치(70)들로 구성시킨 분주기제어회로를 상기 제어분주기와 상기국부발진기신호 및 안정주파수 신호의 주파수가 비럐하게한 제어인수를 결정하는 AFT회로(92)에 접속시켜서,상기 제어가능한 인수가 상기 무선주파수 반송파의 표준 주파수와 관련된 정경값과 상기 표준주파수 및 비표준주파수의 예기된 편차에 의해 결정된 미리 선택된 범위내에서 상기 정격치로 부터 편이된 값을 갖게함ㄴ서 인접동조위치 사이에 분리주파수보다 작게 하므로, 상기 분주기 제어회로가 미리 결정된 범위내에서 제어인수를제어하여 AFT신호의 미리 결정된 신호상태에 응답하는 상기 표준값과 상기 정보보유 반송파의 주파수간의 편차를감소시키게 한 비표준 주파수 반송파용 텔레비죤 주파수 합성기.
KR1019760002821A 1976-11-11 1976-11-11 비표준 주파수 반송파용 텔레비죤 주파수 합성기 KR830002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60002821A KR830002781B1 (ko) 1976-11-11 1976-11-11 비표준 주파수 반송파용 텔레비죤 주파수 합성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60002821A KR830002781B1 (ko) 1976-11-11 1976-11-11 비표준 주파수 반송파용 텔레비죤 주파수 합성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483A KR830000483A (ko) 1983-03-30
KR830002781B1 true KR830002781B1 (ko) 1983-12-14

Family

ID=72896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60002821A KR830002781B1 (ko) 1976-11-11 1976-11-11 비표준 주파수 반송파용 텔레비죤 주파수 합성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78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483A (ko) 198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374B1 (ko) 수상기용 튜닝 시스템
US4422096A (en) Television frequency synthesizer for nonstandard frequency carriers
US4575761A (en) AFT arrangement for a double conversion tuner
US4408349A (en) Receiver provided with a frequency synthesizer capable of storing fine tuning information
KR920004105B1 (ko) 이중변환 텔레비젼 동조기 제어장치
KR100384209B1 (ko) 단일의국부발진기를가진광주파수스펙트럼텔레비전튜너
US2896018A (en) Automatic frequency control apparatus
US5203032A (en) Station selecting apparatus
CA1175586A (en) Television frequency synthesizer for nonstandard frequency carriers
US4358791A (en) Phase locked loop tuning control system including a sync activated AFT signal seeking arrangement
US4317227A (en) Multi-mode automatic channel frequency synthesis system
US4426734A (en) Arrangement useful in a phase locked loop tuning control system for selectively applying an aft voltage in a manner to improve loop stability
US4288875A (en) Controlled local oscillator with apparatus for extending its frequency range
US4078213A (en) Transmitter selection circuit for a radio or television receiver
US4385315A (en) Phase locked loop tuning control system including a timed sync activated AFT signal seeking arrangement
US3867568A (en) Control circuit for an afc system
US4245351A (en) AFT Arrangement for a phase locked loop tuning system
KR830002781B1 (ko) 비표준 주파수 반송파용 텔레비죤 주파수 합성기
US4598317A (en) Ramp comparator arrangement useful in an on-screen channel indicator system of a television receiver
KR900005463B1 (ko) 위상 고정루프 동조시스템
US4365348A (en) Tuning voltage generating apparatus of voltage synthesizer type
US3952143A (en) Wide band AFC system
CA1042098A (en) Automatic fine tuning defeat circuit
US3624512A (en) Automatic frequency control system
US3678183A (en) Automatic frequency control of voltage variable reactance tuned receiv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