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756B1 - 음 극 선 관 - Google Patents

음 극 선 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756B1
KR830002756B1 KR1019800002372A KR800002372A KR830002756B1 KR 830002756 B1 KR830002756 B1 KR 830002756B1 KR 1019800002372 A KR1019800002372 A KR 1019800002372A KR 800002372 A KR800002372 A KR 800002372A KR 830002756 B1 KR830002756 B1 KR 830002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deflection
vertical
cathode ray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2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빌헤름 맥스파울 젭펜펠드 클라우스
Original Assignee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디. 제이. 삭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디. 제이. 삭커스 filed Critical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Priority to KR1019800002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75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극선관
제 1a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의 제 1실시예를 길이 방향으로 절취와 단면도.
제 1b도는 제 1도의 선분 1β―1β를 따라서 절취한 단면도.
제 1c도는 제 1도의 선분 1c―1c를 따라서 절취한 단면도.
제 1d도는 다 극으로 자화된 링의 한가지 예를 도시한 도면.
제 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의 제 2실시예를 길이 방향으로 절취한 단면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의 제 3실시예를 길이 방향으로 절취한 단면도.
본 발명은 봉합덮개내에 타케트상에 순방향으로 전자빔을 발생시키는 최소한 한개의 전자총과, 상호 두개의 직각 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한쌍의 제 1편향과, 한쌍의 제 2편향판을 구비하는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음극선관은 오실로스코프에서 사용되어 전자 신호에 의한 측정이 수행된다. 전자빔에 의해 음극 선관의 표시 스크린상에 표시된 영상으로부터 또한 표시 스크린상에 제공된 측정프레임을 참조하여 측정된 데이타가 얻어진다.
이와같은 음극 선관은 네델란드 특허 명세서 제59,153호에 설명되어 있다. 이경우에 있어서, 다수의 영구 자석들이 타케트상의 전자빔에 의하여 나타나는 프레임의 부등변 사변형 왜곡을 고정하기 위해 덮개 외측타게트 측상에 제공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에 의한 타게트 전반에 걸친 자계분포에 의해 정확한 교정이 이루어지기는 어렵다. 또한 다른 교정이 프레임 교정에 부가되는데 이는 비선형 왜곡 교정 및 직교적 오차의 교정이며 이들은 그와같은 영구자석에 의해서는 이루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음극성관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많은 왜곡 교정이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은 다극으로 영구자화된 반강자성체의 적어도 하나의 링이 타게트와 한쌍의 제 1편향판들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링은 자화되지 않은 상태로 관에 연결되며 그리고 관이 완전히 제조된 후에 링은 요구되는 교정에 따라서 외부로부터 다극으로 영구 자화된다. 칼라 음극선관이 네델란드 특허원 제7,707,476호(PHN 8845)에서 기술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타게트 상에 정적 수렴하는 세개의 전자빔을 발생시키기 위해 자성체의 링이 표시관의 내크(neck)에 고정되어 있으며 표시관의 제조후에 다극으로 외부로부터 자화되어진다. 하나의 전자비임 또는 두개의 전자비임들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내에서, 두개의 비임들이 분리 수단으로 편향되는 소위 2중 비임 음극선관의 경우에서 전자 비임들의 정적 수렴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으며, 다극으로 자화된 링은 전혀 다른 왜곡들의 교정용으로 사용되며, 관내의 전혀 다른 장소에서 사용되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의 제 1실시예는 다극으로 자화된 링이 한쌍의 제 1편향 및 제 2편향판 사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위치에 다극으로 자화된 링을 제공하므로서, 한쪽 방향으로 편향된 전자 비임상에 교정이 이루어진다. 수직 편향용으로 위치된 제 1편향판을 통과한 후에, 수직 라인들은 전자빔에 의하여 타게트상에 기록되어질 수 있고, 이러한 라인은 표시 스크린상에 제공된 측정 프레임의 수직측과 일치된다. 다극으로 자화된 링에 의해 표시 스크린의 중심을 통과하여 측정 프레임의 수직축과 일치하도록 라인위치 및 라인 길이가 교정되며 제 1편향판의 선형 오차가 교정된다. 따라서 측정된 결과는 전자빔에 의해 측정 프레임에 의해 주어진 값으로 정확하게 표시된다. 다극에 의해 교정이 이루어지는 관계는 후에 논의될 것이다.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의 또 다른 실시예는 다극으로 자화된 링이 슬롯형 구멍이 있는 판형 전극에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전극은 제 1평향판과 제 2편향판 사이에 위치하므로 소위 “내판 차폐”로서 불리운다. 자성특성이 변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용접을 하지 않는 반강자성체의 링은 고정 장치에 의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판형 전극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의 제 2실시예는 다극으로 자화된 링이 제 2편향판과 타게트 사이에 접속됨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타게트는 형광표시 스크린이다. 또한 다른 타게트들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자면, 축적 타게트, 마이크로 채널판, 쌍안정 축적타게트 그리고 소위 주사변환 타게트 등이다. 다극으로 자화된 링에 의하여, 두개 직각 방향으로 이미 편향된 전자빔에 대한 다수의 교정이 행하여지는데 예를 들자면, 표시 스크린상에 전자비임의 점(스포트)위치의 교정, 상호 두개 편향방향의 회전 위치의 교정, 그리고 전자총의 축과 타게트 직각중심축 사이의 중심 편차에 기인한 다수의 프레임 왜곡들의 교정등이 있다. 이와 같이 다극에 의한 교정들이 행하여지는 것에 대한 설명은 후에 언급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3실시예는 제 2편향판과 타게트 사이에 관이 지지링에 고정된 블록망과 지지링에 접속되는 다극으로 자화된 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볼록망은 네덜란드 특허원 제7,401,634호에 공지된 것이며 이는 전자빔의 편향증폭과 포스트―가속을 얻기 위해 사용된다. 볼록망이 접속된 지지링은 볼록망에 지지링 용의 지지 소자로서 자주 사용되는 슬리브(sleeve)에 접속된다. 볼록망 대신에 슬롯형 구멍이 있는 편판형 망이나 곡면형망이 편향증폭 및 포스트 가속을 얻도록 사용되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 내에서 다극으로 자화된 링은 제 1편향판과 제 2편향판 사이와, 제 2편향판과 타게트 사이에 적당히 위치된다. 상술된 위치내의 두개의 링에 의하여, 두개 편향방향과 특정 프레임과의 평생에 대한 오차의 완전한 교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자면 수직 및 수평편향 방향들이 직교되나 측정 프레임의 수직 및 수평축에 비하여 틀어진 경우에, 이 오차는 두개링에 의하여 완전히 교정되어질 수 있다. 제 2편향판과 타게트 사이의 링에 의하여, 수평 편향방향은 회전될 수 있으며, 측정 프레임의 수평축과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에 요구되는 4극(이후에 상세히 설명됨)에 의하여, 수직 편향방향도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두개 편향방향의 직교가 없어진다. 이러한 직교는 제 2편향판 사이의 링에 의해 수직 편향 방향만을 회전시키므로서 다시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의 제 4실시예에 있어서 전자비임을 발생하기 위한 전자총은 음극을 포함하며, 다극으로 자화된 링이 상기 음극과 제 1 편향판 사이에 접속됨을 특징으로 한다. 편향부 앞에 링을 위치시키므로서, 표시 스크린상의 전자비임의 원하는 스포트 형태의 편차는 전극의 중심 설정상의 편차 오차와 함께 다극에 의하여 교정되어질 수 있다. 전자빔의 형태의 가변적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세로형 스포트가 표시 스크린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의 적당한 실시예는 전자총이 평판형 에노우드를 포함하며, 다극으로 자화된 링이 상기 평판형 에노우드 타게트와 마주보는 상기면에 접속됨을 특징으로 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3,877,830호의 명세서내에는 음극선관이 기술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영구 자성체인 원통형 에노우드가 외부로부터 자화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링은 단지 2극으로 자화되어지고 그리고 에노우드내에 위치한 격핀(diaphrgm)의 구멍에 전자비임을 집중시키기 위해 독점적으로 사용된다. 다극에 의하여 전자빔 형태의 변환이나 다른 교정을 위하여 링이 사용되지는 않는다.
전자총내에서 다극으로 자화된 링은 제 1 및 제 2편향판 사이와, 제 2편향판과 타게트 사이의 한개의 링과 조합되어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 1도에 도시된 음극선관은 타게트로서 작용하는 발광형광체의 표시 스크린(3)상에 표시창(2)을 갖는 유리덮개(1)을 포함한다. 표시스크린(2)상에 조사되는 전자비임을 발생하기 위한 전자총(4)은 관의 네크에 고정되어 있다. 전자총은 캐소드(5)와 구멍으로 된 그리드(6)와 평판형의 구멍으로된 가속에 노드(7)를 포함한다. 전자빔은 원통형 촛점전극(8)과 제 2가속전극(9)에 의하여 표시스크린상에 촛점이 맞추어진다. 전자빔은 수직방향에 있어서는 제 1편향판(10)에 의하여 그리고 수평방향에 있어서는 제 2편향판(12)에 의하여 편향된다. 그러나, 우선 수평적으로 편향한 후에 수직으로 편향하는 것도 가능하다. 소위 “내판차폐”라고 불리우는 슬롯형 구멍(15)을 갖는 평판형 가속전극(11)은 제 1평판형(10)과 제 2편향편(12)사이에 위치한다. 관(1)의 원추형 내부표면은 도전코팅(13)으로 덮여있다. 관의 네크의 캡내에 접속핀(14)을 접속시킨 전극의 전기적 공급라인과 접속장치들은 도면의 명료화를 위하여 도시하지 않았다. 수직 편향판(10)에만 적당한 전위를 인가하므로서, 표시창(2)에 제공된 측정프레임의 수직축과 일치하는 수직 라인이 표시창(2)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같은 라인의 위치에서 오차 특히 전자총조립동안 발생하는 중심집중 오차와 수직편향 내의 형선 차오가 발생될 수 있다.
이들 오차의 교정을 위하여, 영구 자화될 수 있는 재질의 링(16)은 평판형 전극(11)에 접속된다. 링(16)은 반강자성체로 제조된다. 이에 대해서는 네덜란드 특허출원 제 7703075(PHD 76―060)호에 연급되어 있다. 반강자성체는 코에르 플렉스(werflex)상표로서 알려진 Fe, Co, V 및 Cr의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다. 링(16)은 제 1b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다수의 고정장치(17)에 의하여 평판형 전극(11)에 고정된다. 제 1b도에서, 슬롯형 구멍(15)을 갖는 소위 내부판 차폐(11)는 평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링(16)은 약 19mm의 직경과 약 1.1mm의 두께를 갖는다. 링(16)이 평판전극(11)에 접속될 필요는 없다. 또한 링(16)은 음극선관내의 전극들이 보통 접속되는 유리봉에 링(16)을 접속하므로써, 다른 위치에서 수평 및 수직 편향판들 사이에 접속될 수도 있다.
링(16)은 자화되지 않은 상태로 관에 접속되며, 관의 제조후에 오차와 함께 외부로부터 다극으로 자화된다. 링(16)의 자화는 네덜란드 특허원 제 7,707, 476호(PHN 8845)로 부터 공지된 자화장치에 의한 방법에 따라 수행된다.
이러한 자화는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자화 유니트가 링(16)의 영역에서 관의 네크주위에 위치된다. 이것은 원하는 모든 다극들, 예를들어, 2극, 4극, 6극 및 8극이 발생될 수 있는 대다수의 코일들을 포함한다. 우선 코일들이 구동되므로서, 관내의 오차들을 제거하는 다극이 얻어진다. 이 경우에서, 코일을 통한 전류의 세기는 원하는 다극의 구성 및 세기에 의해 측정된다. 코일을 통하는 전류를 반전시키므로써 전류를 몇배 강하게 만들 수 있으며,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양측에서 링(16)의 재료를 포화하는 자화장치에 의한 소멸 반복자계를 링(16)에 발생시키므로서, 링(16)은 다극으로 자화된다.
수직 및 수평편향판 사이에 링(16)을 위치시키므로서, 제 1(수직)편향 방향에서 교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교정은 연속(수평)편향상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하원은 다극의 수는 표시 스크린상에 나타날 영상을 참조하여 유출될 수 있는 데이타를 만들기 위한 교정의 크기와 특성에 의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자면, 전자빔의 수직평향에 의해, 수직 라인이 표시창에 제공된 측정프레임의 수직축에 대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전이된다면, 수직라인의 위치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극이 있는 즉 2극으로 링(16)을 자화시키므로써 교정될 수 있다. 수직라인이 측정프레의 수직축에 관하여 회전되었다면, 이것은 수직 및 수평편향방향에 일치하는 극들을 갖는 4극으로 링(16)을 자화시키므로써 교정되어 질 수 있다.
만약, 제 1수직편향판의 편향이 대단히 크거나 또는 대단히 작아서, 수직라인의 길이가 측정프레임의 수직축보다 크거나 또는 작다면, 이것은 수직 및 수평 편향방향에 따라 45°의 각도를 갖는 축에 극들을 갖는 4극으로 링(16)을 자화시키므로써 교정되며 이에의해 수직방향으로 편향 감도의 변화가 발생한다. 형성되지 않거나 또는 정확히 조립되지 않은 편향판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편향내의 비선형성은 링(16)을 6극으로 자화시키므로써 교정되어 질 수 있다. 여기에서 편향 선형성의 의미는 측정프레임의 수직축에 연하는 표시스크린상의 전자빔과 스포트의 위치가 수직편향판에 공급되는 전압에 따라 선형적으로 연장되어 측정결과가 선형 측정 프레임에 정확히 표시됨을 의미한다.
또한 선형오차의 교정에 있어서, 상기 자화된 링에 의해 음극선관을 갖는 장치의 증폭기 내에 선형오차를 보상하기 위해 편향내에 선형오차를 삽입할 수 있다.
다극으로 자화된 링(16)에 의하여, 수직편향상판들의 비평행성에 의한 수직 라인의 휨(bending)이 교정될 수 있다.
상기 지적된 오차들에 부가적으로, 물론 이들 오차들의 합성도 다극으로 자화된 링(16)에 의하여 교정될 수 있다. 이들의 예가 제 1c도 및 제 1d도 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제 1c도에서 표시번호(2)는 발광형광체로 구성된 표시 스크린(3)상의 유리표시창을 표시한다. 또한 측정프레임(18)은 표시창(2)상에 제공된다. 적당한 교류전압이 수직편향판(10)에만 가인된다면, 수직라인은 표시스크린(3)상에 표시될 것이다. 이러한 라인은 측정프레임(18)의 수직축(19)에 일치되며, 길이도 동일하다. 표시창(3)상에 표시된 라인은 점선(20)으로 표시되어졌다. 라인(20)은 측정프레임(18)의 중심(M)에 관하여 전이되었으며 회전되었다.
또한 라인(20)의 길이는 측정 프레임(18)의 수직축(19)의 길이보다 크지만, 이들 길이는 동일해야만 한다. 이미 설명되어진 바와같이,이들 오차는 링(16)을 수직방향으로 극을 갖는 2극으로,수평수직 방향으로 극을갖는 4극으로 수직 수평방향에 대해 45°에서 극을 갖는 4극으로 링(16)을 자화시키므로써 각각 교정될 수 있다. 제 1d도는 링(16)이 이들 세개의 동시 발생되는 오차들을 교정하기 위하여 다극으로서 어떻게 자화되어야만 하는가를 도시하고 있다. 북 및 남극은 N과 S로 표시되어 있다. 필요한 다극 구조는 개별적인 오차들에 대한 각각의 교정을 위하여 필요한 다극들이 중첩된 형태를 한다. 제 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1도와 대응하는 부품에는 동일번호를 사용하였다. 표시창(2)상의 발광 형광층(3)은 얇은 금속층(30)을 갖는다. 관의 원추형 내부표면은 금속층(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전성 코팅(31)으로 덮혀있다. 수평편향판(12)의 후에는, 블록망(33)이 관내에서 지지링(32)에 고정되어 있다. 도전코팅(31)과 동시에 블록망(33)은 수렴 전자정적(electrostatic)렌즈장(field)를 형성하므로서 전자빔은 표시 스크린의 대부분에 프레임을 표시한다. 자화 가능한 반강자성체의 링(35)은 고정장치(34)에 의하여 지지링(32)에 고정된다. 링(35)은 관의 제조후에 이미 설명되어진 바와같이 다극으로 자화된다. 수직, 수평방향의 극을 갖는 2극으로 링(35)을 자화시키므로서, 표시창 상에 전자빔의 스포트 위치는 표시창의 중심내에 위치된다. 수직 및 수평 편향방향의 직교는 링(35)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극을 갖는 4극으로서 자화시키므로서 교정되어지므로, 두개의 편향 방향들은 서로를 향해 회전된다. 수직수평 편향 방향에 대해 45°에서 극을 갖는 4극으로 링(35)을 자화시키므로서 수평방향에서의 편향강도를 희생하면서 수직 방향에서의 편향 감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다극으로 자화된 링(35)에 의하여 전자총(4), 블록망(33) 및 관(1)의 축들사이의 중심오차에 의한 다수의 프레임 왜곡을 교정할 수 있다. 지지링에 교정된 블록망 이외에 다른 가속장치들 즉 슬롯형 구멍은 갖는 지지링 및 곡면판에 접속된 평판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 2편향판과 타게트 사이의 링은 포스트―가속을 갖는 음극선관에서 뿐 아니라 제 1a도에서 도시된 형태의 포스트―가속이 없는 음극선관내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의 적당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극으로 자화된 링은 제 1및 제 2편향판 사이에 있으며, 그리고 블록망의 지지링상에 위치한다. 이러한 링에 의해서 측정프레임에 대한 수직 및 수평 편향방향의 각도, 형태 및 판이 충분히 교정되어진다.
이들 두개의 링은 각각 독립적으로 자화된다. 제 2링용의 자화자계는 제 1링내에 공급된 자계를 변화시키거나 제거하지 않는다. 만약 두개의 링 사이의 거리가 서로 독립적으로 자화하기에 너무 작다면, 두개의 링은 동시에 자화될 수도 있다.
제 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1도에 대응하는 소자에는 동일번호로서 표시한다. 반강자성체인 두개의 영구자화성링이 관내에 공급된다. 링(16)은 제 1편향판(10)과 제 2편향판(12)사이의 전극(11)에 위치한다. 제 2링(40)은 고정장치(41)에 의하여 표시창(2)과 마주보는 에노우드(7)의 축상에 제공된다. 4극으로 링(16)을 자화 시킴으로써, 제 1도에 참조되어 설명된 다수의 교정이 수행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결과에 의해, 표시창 상의 전자빔의 스포트의 형태는 4극으로 자화된 링(16)의 촛점 또는 비촛점 효과에 따라 변화한다. 표시창 상의 전자빔 스포트의 형태 4극으로 링(40)을 자화시킴으로써 교정되어 질 수 있다. 또한 2극으로 링(40)을 자화시키므로써, 전자총(4)의 전극의 중심내의 오차에 기인한 오차들이 교정된다. 편향판(10) (12)을 통하여 유도되기 때문에 수직 편향판(10)사이의 거리는 작게 선택되어 감도가 증가된다. 제 1편향판용의 링은 제 2편향판(12)과 표시창(2) 사이의 링과 조합되어지나 2개의 편향판(10) (12)사이의 링과 제 2편향판(12) 표시창(2)사이의 링과 조합되어질 수 있다.

Claims (1)

  1. 봉합 덮개내에 타게트상에 순방향으로 전자빔을 발생시키는 최소한 한개의 전자총(4)과 상호 두개의 직각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위한 한쌍의 제 1편향판 및 제 2편향판을 구비하는 음극 선관에 있어서, 다극으로 영구자화된 반강자성체로 만들어진 최소한 한개의 링(16)이 한쌍의 편향판(10)과 타게트(3)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KR1019800002372A 1980-06-16 1980-06-16 음 극 선 관 KR830002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372A KR830002756B1 (ko) 1980-06-16 1980-06-16 음 극 선 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372A KR830002756B1 (ko) 1980-06-16 1980-06-16 음 극 선 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756B1 true KR830002756B1 (ko) 1983-12-10

Family

ID=19216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372A KR830002756B1 (ko) 1980-06-16 1980-06-16 음 극 선 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75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31077A (en) Cathode-ray tube with revolving magnets and adjustable sleeve
US4468587A (en) Picture display device with quadrupole lenses
CA1096922A (en) Cathode ray tube having an electron lens system including a meshless scan expansion post deflection acceleration lens
US2769110A (en) Electron beam control means
EP0018688B1 (en) Cathode-ray tube for displaying coloured pictures
US4424466A (en) Cathode ray tube with multipole correction ring
US4310776A (en) Cathode-ray tube
US2950407A (en) Electric beam controlling apparatus
KR830002756B1 (ko) 음 극 선 관
CA1139820A (en) Color picture tube with correction magnet outside its neck
US2847598A (en) Electron gun structure for plural beam tubes
US4857796A (en) Cathode-ray tube with electrostatic convergence means and magnetic misconvergence correcting mechanism
US2467009A (en) Circuit arrangement embodying cathode-ray tubes
EP0198532B1 (en) Picture pick-up device
JPH08315751A (ja) 陰極線管の偏向収差補正方法および陰極線管並びに画像表示装置
JP3034906B2 (ja) カラー受像管および偏向装置
US4801843A (en) Display tube with magnetic correction elements
EP019670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athode ray tube
US3644777A (en) Cathode-ray tube with serpentine-shaped transmission line deflection means
JPS6042445Y2 (ja) カラ−ブラウン管装置
Shibata et al. A new type of cathode ray tube suitable for bubble chamber film measurements
JPS6316125Y2 (ko)
US2815468A (en) Graphechon storage tube
KR800000316B1 (ko) 간편 콘버전스 디스플레이장치
US3277411A (en) Minor deflection yo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