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679Y1 - 방충망 체착구 - Google Patents

방충망 체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679Y1
KR830002679Y1 KR2019820004079U KR820004079U KR830002679Y1 KR 830002679 Y1 KR830002679 Y1 KR 830002679Y1 KR 2019820004079 U KR2019820004079 U KR 2019820004079U KR 820004079 U KR820004079 U KR 820004079U KR 830002679 Y1 KR830002679 Y1 KR 8300026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screen
screen
opening
ho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4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119U (ko
Inventor
이재화
Original Assignee
이재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화 filed Critical 이재화
Priority to KR2019820004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6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6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679Y1/ko
Publication of KR8300041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119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21Frameless fly screens; Tension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충망 체착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과의 비교를 위한 종래 고안의 예시도.
본 고안은 방충망 체착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제3도에 도시한 것처럼형 고정대 내에 방충망이 물러지게 한 상태로 원봉을 감삽시켜 방충망을 고정시켰는바, 방충망을 칠때는 사방을 팽팽하게 당기면서 고정시키게 되므로 상기한형 고정대를 사용할 경우 제3도에 예시한 것처럼 당겨지는 쪽의 측벽이 벌어지면서 원봉이 해탈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방충망 체착구의 결점을 감안해서 일단 괘착되면 절대로 해탈되지 않도록 체착구를 개량 고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저면에 받침판(2)이 형성된 몸체내의 괘착공(3)에 원봉(4)을 감삽시키게 된 공지의 방충망 체착구에 있어서, 일측은 길고 다른 한쪽은 짧게 형성된 몸체의 일측상단(5)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그 절곡단부(5')가 괘착공(3)의 중심부(a)에 위치되게 하므로써 파형돌기(6')가 형성된 타측 몸체상단(6) 내면과 절곡단부(5')의 사이에 형성되는 V형 개구(7)가 괘착공(3)의 중심부(a)일측에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8은 방충망을 표시한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길게 형성된 몸체의 일측상단(5)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탄성차단편의 기능을 하게 함과 동시 절곡단부(5')가 괘착공(3)의 중심부(a)에 위치되게 하므로서 원봉(4)을 끼월줄때 개구(7)를 통해 눌러 끼워주면 몸체 양단(5)(6)이 외축으로 벌어지면서 개구(7) 한단이 확개 되므로 쉽게 밀려 들어가 괘착공(3)에 감삽되며 일단 괘착공(3)에 감삽된 원봉(4)은 절곡단부(5')가 개구(7)을 막고 있기 때문에 절대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된 본 고안은 절곡단부(5')를 괘착공(3)의 상방 중심부(a)에 위치시킴에 의해 개구(7)의 위치도 중심부(a)일측에 위치되게 하였기 때문에 절곡단부(5')가 개구(7)를 개폐하는 개폐편의 기능을 하게되는 것이며, 방충망(8)을 칠때의 바대쪽에서 팽팽하게 당겨도 절곡단부(5')에 의해 원봉(4)이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어 제3도에 도시한 종래의 체착구의 결점을 해소하면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저면에 받침판(2)이 형성된 몸체내의 괘착공(3)에 원봉(4)을 감삽시키게된 공지의 방충망 체착구에 있어서, 몸체의 일측상단(5)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그 절곡단부(5')가 괘착공(3)의 중심부(a)에 위치되게 하므로서 타측 몸체상단(6) 내면과 절곡단부(5)의 사이에 형성되는 V형 개구(7)의 위치가 괘착공(3)의 중심부(a)일측에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한 방충망 체착구.
KR2019820004079U 1982-05-25 1982-05-25 방충망 체착구 KR8300026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4079U KR830002679Y1 (ko) 1982-05-25 1982-05-25 방충망 체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4079U KR830002679Y1 (ko) 1982-05-25 1982-05-25 방충망 체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679Y1 true KR830002679Y1 (ko) 1983-12-08
KR830004119U KR830004119U (ko) 1983-12-30

Family

ID=19225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4079U KR830002679Y1 (ko) 1982-05-25 1982-05-25 방충망 체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6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119U (ko) 198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247949S (en) Mop mounting plate
KR880014719A (ko) 브러시 보유 장치
KR830002679Y1 (ko) 방충망 체착구
USD299170S (en) Retaining wall with tie-back elements
USD271611S (en) Fishing rod holder
USD257948S (en) Downspout bracket
USD268211S (en) Ashtray
USD252668S (en) Drapery rod
US2853054A (en) Telephone service devices
USD268280S (en) Bath seat
USD337062S (en) Device for measuring fish
USD260418S (en) Adhesive trap for rodents
USD260851S (en) Wastebasket hanger
KR840001789Y1 (ko) 창문의 망 부착장치
USD267969S (en) Bath seat
USD253335S (en) Magnetic door stop
USD248487S (en) Fire starter
JPH0185754U (ko)
KR870002187Y1 (ko) 화일박스 설합의 개폐장치
USD256270S (en) Fishing lure
JPS603897Y2 (ja) 上げ落し
KR910009351Y1 (ko) 방충망 체착구
USD274277S (en) Inspection device
KR920008169Y1 (ko) 콤팩트 용기의 조립핀
KR910004092Y1 (ko) 완구 협지용 흡착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