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342B1 - Program player - Google Patents

Program pl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342B1
KR830002342B1 KR1019800000669A KR800000669A KR830002342B1 KR 830002342 B1 KR830002342 B1 KR 830002342B1 KR 1019800000669 A KR1019800000669 A KR 1019800000669A KR 800000669 A KR800000669 A KR 800000669A KR 830002342 B1 KR830002342 B1 KR 830002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t
setting
data
tape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06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30002349A (en
Inventor
쇼오이찌 이시이
마사노부 시마스끼
마끼라 모리조노
Original Assignee
도오꾜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와다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꾜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와다 가즈오 filed Critical 도오꾜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0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342B1/en
Publication of KR830002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3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342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프로그램 재생장치Program player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 재생장치의 1실시예를 표시하는 요부의 회로 접속도.1 is a circuit connection diagram of a main portion showing one embodiment of a program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의 프리세트부의 실장예를 보이는 도면.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the preset portion of FIG.

제3(a)도, 제3(b)도는 제1도의 이니셜 라이져 회로부의 출력특성 곡선도 및 그 출력을 미분하여서 얻어지는 클리어 펄스의 파형도.3 (a) and 3 (b) are output characteristic curves of the initializer circuit section of FIG. 1 and waveform diagrams of clear pulses obtained by differentiating the outputs thereof.

제4도는 제1도의 프리세트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프리세트 타이밍 차아트이다.4 is a preset timing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t portion in FIG.

본 발명은 특히 테이프 레코오더의 자동선곡(選曲)장치에 적합한 프로그램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relates to a program reproducing apparatus suitable for an automatic selection apparatus of a tape recorder.

근래에 테이프 레코 오더에 있어서는 라디오 수신기를 일체로 짜넣게 한 소위 라디오 카세트(redio cassette)라는 것이 급속하게 보급되어 가고 있다. 그리고 이 종류의 라디오 부(附)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도 대출력화, 하이 파이(Hi-fi)회 및 다기능화가 요청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so-called radio cassette (redio cassette) that incorporates a radio receiver in a tape record order is rapidly spreading. Also in this kind of radio sub-recorder, large output, hi-fi and multi-function are required.

한편, 음향기기의 분야에서는 사용자 자체의 참가 지향을 반영할 수 있는 것이 원하여 지고 있고, 그 중에서도 소위 가라오케(Kaaoke: background or chestra without singiugmelody)라는 것이 공전의 부움을 일으키고 있다.Meanwhile, in the field of audio equipment, it is desired to be able to reflect the intention of participation of the user itself, and among them, so-called karaoke (kaaaoke: background or chestra without singiugmelody) is causing an all-boosting.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라디오부 테이프레코오더에 있어서도 간편하게 가라오케 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경우, 테이프레코오더에 있어서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두출(頭出)장치 및 이것을 발전시킨 1종의 프로그램 재생장치인 자동선곡장치에 의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대응시킬 수가 있다.For this reason, it is required to be able to show a karaoke function simply also in the above-mentioned radio tape recorder. In this case, the tape recorder can be relatively easily coped with a conventionally known tapping device and an automatic selection device which is one type of program reproduction device that has developed it.

그러나, 단지 가라오케 기능에 대응할 수 있으면 된다고 하는 것은 아니고, 그것은 역시 한정된 일정한 스페이스로 또한 가급적 간이한 구성, 나아가서는 저럼한 가격을 가지고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고, 또한 조작이 간편하고 확실하게 선곡기능을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면 안된다고 하는 것은 말한 것도 없다.However, it is not just to be able to cope with the karaoke function, and it can also be easily realized with a limited constant space an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s well as an affordable price, and the operation function is simple and reliable. There is no saying that it must be achieved.

그런데, 종래의 자동선곡장치는 곡간(曲間)의 무신호부를 검출하는 곡간 검출부에서의 검출 신호를 실질적으로 계수(計數)하고, 이 계수치와 곡번(曲番) 설정부에서 설정된 설정치를 비교하여서 실질적으로 일치를 취하는 일시검출로부터의 일치신호에 의하여 곡번 설정부에서 설정된 소망하는 곡을 자동적으로 선곡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인데, 무엇보다도 각부의 구성이 복잡하고 또한 조작이 너무 번잡하다고 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은 자동선곡동작은 지정곡이 올때까지 테이프를 고속(패스트 포오워드(fast forward), 티와인드(rewind)로 보내고, 지정된 곡이 오면 고속으로 보내는 것을 중지하고 정속(定速) 재생으로 절환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automatic selection apparatus counts substantially the detection signal in the grain stem detection part which detects no signal part of a grain stem, and compares this count value with the setting value set by the grain number setting part, It wa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elect the desired song set in the song number setting section by the coincidence signal from the temporal detection that actually matched, and above all had the drawback that the composition of each part was complicated and the operation was too complicated. . Here, the automatic selection operation is to send the tape at high speed (fast forward, rewind) until the designated song, stop sending at a high speed when the specified song comes to the fixed speed playback It is done by switching.

또 선곡조작의 설정부 자체는 업(up)용 또는 다운(down)용의 설정자(說定子)를 연속적으로 눌러서 소위 업다운식으로 설정하느 것과 복수의 설정자를 선택하여서 원터치 식으로 설정하는 것이 있다. 이것은 당연히 후자의 편리 편리하므로 선곡수에 대응한 수만큼 터치(버튼) 스위치를 설치하는 되는데, 물리적으로 스페이스가 한정되어 있어서 그다지 많이는 할 수 없으므로 선곡 가능한 곡수가 제한되기 쉽다고 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경우 한번 선곡이 가능한 최대곡수에 설정하여서 테이프 위치를 차이를 두어서 다시 새로 선곡조작을 하는 조작을 반복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나, 대단히 번잡한 것이 되는 것을 부정할 수 없는 것이다.The setting section itself of the music selection operation may be set in a so-called up-down manner by successively pressing up or down setters, and selecting a plurality of setters and setting them in one-touch type. This is, of course, convenient for the latter, so that as many touch (button) switches are provided a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ongs, the physical space is limited so much that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number of selectable songs is easily limited. 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once the selection is made to the maximum number of songs that can be selected, the operation of repeating the selection process again with a different tape position is repeated, but it cannot be denied that it is very complicated.

또한, 자동선곡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였을 경우, 종래의 두출 기능에 대하여 이게을 완전히 생략하여 버리거나 혹은 양기능을 별개의 구성으로 병존시키도록 하는 것이 생각되나, 전자에서는 불편함과 동시에 후자에서는 쓸데없이 긴 구성으로 되어 버린다고 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automatic selection function is enabled, it may be considered to omit this completely or to coexist both functions in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the conventional tapping function, but it is inconvenient in the former and uselessly long in the latter. It had the defect that it became the constitution.

이 때문에 두출기능 및 자동선곡(일반적으로 프로그램 재생) 기능을 유기적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조작성의 점에서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성에 있어서 간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 요청되고 있었다.For this reason, it has been requested to be able to provide convenience in terms of operability and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by organically configuring the stroke function and the automatic selection (generally, program reproduction) function.

그래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에 비추어 된 것으로서 특히 한정된 일정한 스페이스이고 또한 가급적 간이한 구성, 나아가서는 저렴한 가격을 가지고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고, 또한 조작이 간편하고 확실하게 소망하는 프로그램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Therefore, in view of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limited in space, and has a simple configuration, and as simple as possible, can be easily realized with a low cost, and also easy and reliable operation of the program reproducing apparatus desired It aims to provide.

즉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재 생장치는 테이프 레코오더의 자동선곡 장치에 적용시킬 경우, 당초 고속 보냄으로 되는 테이프의 곡간(무신호)부를 검출하는 곡간 검출부로 부터의 검출 신호를 실질적으로 계수하고, 이 계수치와 곡번 설정부에서 설정된 설정치를 비교하여서 실질적으로 일치를 취하는 일치 검출부로 부터의 일치 신호에 의하여 테이프를 고속 보냄으로 부터 정속보냄으로 절환하여서 곡번 설정부에서 설정된 지정 곡번을 자동적으로 선곡하여 재생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곡번 설정부를 예를들면 1, 2, 3, 4, 5라는 연번(連番)을 독립하여서 지정 가능한 5개의 설정자를 가지고 된 제1의 부(副) 설정부와 이 제1의 부 설정부에서 지정된 곡번에 필요에 따라서 대수적(代數的)으로 부가되는 제1부설정부에서의 최대번호와 같은 특정곡번을 지정 가능한 설정자를 가지고서 된 제2의 부 설정부로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예컨대 전부 6개의 설정자를 가지고 1내지 5 및 1+5=6, 2+5=7……5+5=10이라는 전부가 10의 곡변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when applied to the automatic selection apparatus of the tape recorder, the program re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bstantially counts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intermission detecting unit that detects the intermission (no signal) portion of the tape which is initially sent at high speed. By switching the tape from high speed to constant speed by the matching signal from the coincidence detection unit which compares the count value and the setting value set in the song number setting unit, it automatically selects and plays the designated song number set in the song number setting unit.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first sub-setting part and the first sub-setting part which have five setters that can be designated independently, for example, 1, 2, 3, 4, and 5, are assigned. A specific song number, such as the maximum number in the first sub setting unit, is added to the song number designated by the sub setting unit algebraically as needed. By configuring as a second sub-setting unit having a setter that can be specified, for example, all six setters have 1 to 5 and 1 + 5 = 6, 2 + 5 = 7... … All 5 + 5 = 10 allows you to set the curve of 10 arbitrarily.

즉, 일반적으로는 복수의 데이터가 수로된 테이프를 고속 재생하여 얻어지는 데이터 간부(間部) 신호와 미리 설정하는 소망의 데이터 번의 설정치와의 실질적인 일치를 취하는 것에 의하여 테이프를 고속 재생으로 부터 정속 재생으로 절환하여서 소망하는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선출 재생하도록 한 프로그램 재생장치에 있어서 소망하는 데이터번설정부를 1, 2,……n이라는 연속된 데이터번을 독립하여서 지정 가능한 복수의 설정자를 가지고서 제1의 부설정부 및 이 제1의 부설정부에서 지정되는 데이터번에 필요에 따라서 대수적으로 부가되는 제1부 설정부에서의 최대 번호와 같은 특정 데이터번+n을 지정 가능한 설정자를 가지고 애노우드와 공통으로 저항 R9을 통하여 전원 +B에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 R10을 통하여 후술하는 비교구동 회로(18)의 입력단부에 접속되어 있다.That is to say, in general, a tape is played from fast playback to constant speed playback by substantially matching the data executive signal obtained by high speed playback of a plurality of pieces of data and a desired data value set in advance. In a program reproducing apparatus which is switched to automatically select and reproduce desired data, the desired data number setting section is 1, 2,... … Maximum number in the first sub-setting section that is added algebraically as needed to the first sub-setting section and the data number specified in the first sub-setting section with a plurality of setters that can independently designate a consecutive data number of n. and it is connected to the input end of the comparison driving circuit 18 to be described later via the resistor R 10 a + n specific data time as at the same time a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 B through the anode and the common resistance R 9 have the assignable setter .

그리고 플립플롭 FF6은 그 정상 출력단부 Q 및 입력단부(FF1의 Q에 상당)에 각 캐소우드가 대응하여서 접속됨과 동시에 각 애노우드가 공통으로 저항 R11을 통하여 전원 +B에 접속되고 또한 직접적으로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 SR의 초단부 FF1에 있어서의 입력단부 D에 궤환 접속된 다이오드 D6, D7로 된 스위칭 회로(16)과 함께 시프트 레지스터 SR에 반복 동작을 지령하기 위한 반복 지령부(19)를 구성하고 있다.The flip-flop FF 6 is connected to its normal output end Q and its input end (corresponding to Q of FF 1 ) corresponding to each cathode, and each anod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 B through the resistor R 11 in common. A repeating instruction unit for instructing the repeating operation to the shift register SR together with a switching circuit 16 of diodes D 6 and D 7 directly connected to the input end D at the first end FF 1 of the shift register SR ( 19).

여기에서 비교구동 회로(18)는 상기 저항 R10에 베이스가 접속됨과 동시에 에미터가 전원 +B에 또한 콜렉터가 저항 R12를 통하여 접지된 트랜지스터 Q3과 이 트랜지스터 Q3의 콜렉터에 콘덴서 C6를 통하여 베이스가 접속됨과 동시에 에미터가 전원 +B에 접속되고 또한 에미터-베이스 사이에 저항 R13이 접속된 트랜지스터 Q4와 이 트랜지스터 Q4, 콜렉터에 저항 R14를 통하여 베이스가 접속됨과 동시에 에미터가 접지되고 또한 콜렉터 플런져 PL의 코일 및 테이프레코오더 기구에 있어서의 고속 계통의 패스트 포오워드, 리와인드 조작부에 연동되는 리이프(leaf)스위치 SW7, SW8을 통하여 전원 +B에 접속된 테렌지스터 Q3로서 된다. 그리고 플런져 PL의 가동 철심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테이프 레코오더 기구에 있어서의 고속계통(패스트 포오워드, 리와인드)의 조작부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작동시에 고속 계통만을 해제시키는 데에 제공된다.This comparative driving circuit 18 as soon the base is connected to the resistance R 10 at the same time the emitter capacitor to the collector of the power source + B the addition the collector is grounded via the resistor R 12 to the transistor Q 3 and the transistor Q 3 C 6 in at the same time as the resistance R 13 between the base is connected transistor Q 4 and the transistor Q 4, the base is connected via a resistor R 14 to the collector - the via base is connected as soon while the emitter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 B addition emitter The emitter is grounded a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 B via leaf switches SW 7 and SW 8 in conjunction with the fast forward and rewind controls of the high speed system in the coil and tape recorder mechanisms of the collector plunger PL. As the terminated transistor Q 3 . The movable iron core of the plunger PL is connected to an operation unit of a high speed system (fast forward, rewind) in the tape recorder mechanism as described later, and is used to release only the high speed system during operation.

또한 도면중 SW9, SW10은 테이프 레코오더 기구에 있어서의 고속 계통의 패스트 포오워드, 리와인드 조작부에 연동되는 리이프 스위치로서 각 1단이 공통으로 전원 +B에 접속됨과 동시에 각 타단이 공통으로 콘덴서 C7및 R15로서 된 미분회로(20)을 통하여 우선 프리세트 회로(21)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 Q6의 에미터를 접속된다. 그리고, 이 트랜지스터 Q6는 그 콜렉터가 도시한 극성의 다이오드 D8을 통하여 상기 시프터 레지스터 SR에 있어서의 종단부 FF1의 프리세트 단자 Pr에 접속되고 또한 그 베이스가 저항 R16을 통하여 상기 비교구동회로(18)에 있어서의 트랜지스터 Q3의 콜렉터에 접속된다. 이경우 우선 프리세트 회로(2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동 선곡을 위한 프리세트로서 곡번지정이 되지 않을 경우에 통상의 (1곡)두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우선적으로 곡번지정을

Figure kpo00001
로 하는 것이다.In the figure, SW 9 and SW 10 are the high-speed fast forward and rewind operation units of the tape recorder mechanism. Each of the stages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 B and the other stage is common. First, the emitters of the transistors Q 6 constituting the preset circuit 21 are connected via the differential circuit 20 serving as the capacitors C 7 and R 15 . The transistor Q 6 is connected to the preset terminal Pr of the terminal FF 1 in the shifter resistor SR via the diode D 8 of the polarity shown by the collector, and the bas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comparison drive circuit through the resistor R 16 . It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Q 3 in (18). In this case, first, the preset circuit 21 is a preset for automatic selection as described below, and preferentially designates the song number so that a normal (one song) export function can be performed when the song number is not designated.
Figure kpo00001
It is to be.

또 상기에 있어서 플립플롭 FF6의 클록단자 CK, 및 쿨리어 단자 CL은 각각 상기한 시프트 레지스터 SR의 초단부 FF5에 있어서의 대응단자 CK, CL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clock terminal CK of the flip-flop FF 6 and the cooler terminal CL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s CK and CL of the first end FF 5 of the shift register SR described above, respectively.

제2도는 상기에 있어서의 제1부 설정부에 있어서

Figure kpo00002
내지
Figure kpo00003
및 제2부 설정 에 있어서의 +5의 프리세트 스위치 SW1-SW6및 그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 LED1-LED6의 시러제 장치예를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제2도 중의 LED7, LED8은 테이프 주행방향의 정역(正逆)을 표시하는 발과 다이오드이다.2 shows the first part setting section in the above.
Figure kpo00002
To
Figure kpo00003
And a system example of a system of the +5 preset switch SW 1 -SW 6 and the display light emitting diode LED 1 -LED 6 in the second part setting. In addition, the 2 LED 7, LED 8 in Figure is to the diode indicating the normal and reverse (正逆) of the tape running direction.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선곡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기술하면, 이 종류의 장치를 구비한 레코오더는 1시기에 복수의 조작자가 조작위치에 록(lock)이 가능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그 중의 소정의 조작자만을 남기고 다른 조작자가 해제 되도록 한 록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은 물론이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selection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 recorder having this type of device can be locked at an operation position by a plurality of operators at one tim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lock mechanism is provided so that other operators are released while leaving only a predetermined operator.

즉, 이경우 자동 선곡을 하기 위하여는 먼저 체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의 재생 조작자를 조작하는 것으로써(라디오부 테이프 레코오더의 경우에는 전원 스위치를 온으로 하고, 이어서 기능 스위치를 테이프 모우드에 설정한 후), 이에 의하여 전원 +B에 소정의 전원 전압이 주어져서 자동선곡을 위한 프리써트 즉 소망하는 곡의 곡번지정조작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in this case, in order to perform automatic selection, first operate the playback operator of the shape recorder (in the case of a radio tape recorder, turn on the power switch, and then set the function switch to the tape mode). By this, a predetermined power supply voltage is applied to the power supply + B to enable the preservation for automatic selection, that is, the music number assignment operation of the desired music.

그리고, 이러한 재생조작전에 미리 테이프의 재생개시 위치를 알고 있을 경우에는)즉시 자동선곡을 위한 프리써트 조작으로 옮길 수 있으나, 통상은 테이프가 임의로 감겨져 있는 상태에 있는 일이 많으므로 만약 테이프의 재생개시 위치를 미리 알 수 없을 경우에는 그대로 약간 재생상태를 계속하여서 현재의 테이프서 된 제2의 부설정부로서 구성시키는 것에 의하여 1, 2……n, 1+n, 2+n, ……2×n-1, 2×n이라는 데이터번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가급적으로 소수의 설정자를 가지고서 가급적 다수의 데이터 수를 설정할 수 있는 점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는 것이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 하여서 본 발명의 1실시예로서 테이프 레코오더의 자동 선곡 장치에 적용시킨 경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If the start position of the tape is known in advance before such playback operation, it is possible to move to the pre-serving operation for automatic selection immediately, but in general, the tape is often wound freely. If the position cannot be known in advance, the playback state is continued as it is, and the first and second sub-setting portions of the current tape are configured. … n, 1 + n, 2 + n,... … The data number of 2xn-1 and 2xn can be arbitrarily set, and th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number of data can be set as much as possible with a few setters. Next,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ase applied to the automatic selection device of the tape recorder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제1도에 있어서 (11)은 테이프 레코어더의 재생계통의 곡간의 예를들면, 무신호부를 검출하는 곡간(일반적으로는 데이터간) 검출부로서 통상은 포화 증폭기, 정류회로, 슈미트 회로 등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곡간(데이터간)부 마다 펄스 모양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져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곡간 검출부 (11)의 출력단부는 콘덴서 C1과 저항 R1으로서 된 미분회로(12)를 통하여 곡번설정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5비트(bit)의 시프트 레지스터 SR에 있어서의 클록단자 CK에 접속됨과 동시에 다시 콘덴서 C2와 저항 R2로서 된 프리세트 지연회로(13) 및 도시하는 극성의 다이오드 D0를 통하여 동 시프트 레지스터 SR의 파타렐 시리얼 절단단자 P/S에 접속된다.That is, in Fig. 1, reference numeral 11 denotes a grain stem (generally between data) detecting portion of the grain stem of the playback system of the tape recorder, for example, a saturation amplifier, rectifier circuit, and Schmitt circuit. In this configuration, a pulse signal is output for each grain stem (data-to-data) portion. The output end of the inter grain difference detecting section 11 is connected to the clock terminal CK in the 5-bit shift register SR constituting a part of the music number setting section through the differential circuit 12 serving as the capacitor C 1 and the resistor R 1 . At the same time, it is connected to the parallel serial cutting terminal P / S of the shift register SR via the preset delay circuit 13 serving as the capacitor C 2 and the resistor R 2 and the diode D 0 of the polarity shown.

여기에서 5비트 시프트 레지스터 SR은 5단 종속(縱續)의 플립플롭 FF5~FF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데 편의상 이들이 일체로 IC화 되어 있는 것과 같이 취급하여 입력단부 D클록단자 CK, 파라렐 시리얼 절환단자 P/S 및 콜리어 단자 CL은 초단부(初段部) FF5에만 표시하고, 정상(正相) 출력단부 Q는 종단부(縱段部) FF1에만 표시하고 있다.Here, the 5-bit shift register SR is composed of five-stage subordinate flip-flops FF 5 to FF 1. For convenience, they are treated as if they are integrated into ICs. The switching terminal P / S and the collier terminal CL are displayed only at the ultra high end FF 5 , and the normal output terminal Q is displayed only at the end FF 1 .

또, 이 시프트 레지스터 SR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그 파라렐 시리얼 절환단자 P/S가 하이레벨 H로 되는 프리세트시에 파라렐 모우드로 되고 또한 로우 레벨 L로 되는 카운트시에 시리얼 모우드로서 기능하는 것이다.As described later, the shift register SR functions as a serial mode at the time when the parallal serial switching terminal P / S becomes a high level H and when the count is a low level L. .

그리고, 시프트 레지스터 SR의 각단 FF5~FF1에 있어서의 프리세트 단자 Pr에 이경우

Figure kpo00004
의 연번을 독립하여서 지정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리세트 스위치 SW5~SW1의 각 1단이 대응하여서 접속됨과 동시에 다이오드 D5~D1의 각 애노우드가 대응하여서 접속되는 것에 의하여 제1부 설정부를 구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프리세트 스위치 SW5~SW1의 각 타단에는 공통으로 전원 +B에 접속된다. 또 상기 다이오드 D5~D1의 각 캐소우드는 공통으로 접속된 후 콘덴서 C3와 저항 R3로서 된 미분회로(14)를 통하여 시프트 레지스터 SR와 파라 시리얼 절환단자 P/S에 접속됨과 동시에 다시 콘덴서 C4와 저항 R4로서 된 미분회로(15)를 통하여 시프트 레지스터 SR의 클리어 단자 CL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 D5~D1의 공통 캐소우드에는 콘덴서 C5와 저항 R5로서 된 결합회로를 통하여 후술하는 이니셜라이져 회로(17)의 출력단부가 접속되어 있다.Then, in this case for the preset terminal Pr at each end FF 5 to FF 1 of the shift register SR.
Figure kpo00004
The first part setting part is connected to each of the stages of the preset switches SW 5 to SW 1 corresponding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respective anodes of the diodes D 5 to D 1 correspondingly connected to each other. Configure. Here, the other ends of the preset switches SW 5 to SW 1 are common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 B. The cathodes of the diodes D 5 to D 1 are connected in common and then connected to the shift register SR and the para-serial switching terminal P / S through the differential circuit 14 as the capacitor C 3 and the resistor R 3 . It is connected to the clear terminal CL of the shift register SR via the differential circuit 15 serving as the capacitor C 4 and the resistor R 4 . In addition,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itializer circuit 17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common cathode of the diodes D 5 to D 1 through a coupling circuit constituted by the capacitor C 5 and the resistor R 5 .

여기에서 이니셜 라이져(initializev)회로(17)은 +B와 접지간에 바이어스 저항 R6-R8를 가지고 소위 PNPN 접속(통칭 SCR접속)으로 된 NPN, PNP 트랜지스터 Q1, Q2로 구성되어 있다.Here, the initializer circuit 17 is composed of NPN and PNP transistors Q 1 and Q 2 that have a bias resistor R 6 -R 8 between + B and ground and are called PNPN connections (commonly referred to as SCR connections).

또 시프트 레지스터 SR의 각단 FF5~FF1에 있어서의 역상 출력단부 Q에는 이경우

Figure kpo00005
의 연번을 독립하여서 표시가능하게 하게 하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 LED5-LED1의 각 캐소우드가 대응하여서 접속된다.In this case, the inverse output terminal Q at each stage FF 5 to FF 1 of the shift register SR is
Figure kpo00005
Each cathode of the light-emitting diode LED 5- LED 1 for making the display of the sequence of s independently possible is connected correspondingly.

또할 시프트 레지스터 SR의 종단 FF1에 있어서의 정상 출력 단부 Q는 플립플롭 FF6의의 입력단부 D에 접속된다. 이 플립플롭 FF6은 그 프리세트 단자 Pr에 이경우 상기 프리세트 스위치 SW5~SW1에서 지정된 연번

Figure kpo00006
의 어디엔ㅈ가에 대수적으로 5를 가하는 의미를 가지고 특정곡번 +5를 지정가능한 프리세트 스위치SW8의 일단이 접속되는 것에 의하여 제2의 부설 정부를 구성한다. 또한 그 역상 출력단부 Q에 동일하게 특정곡번 +5를 표시 가능한 발광 다이오드 LED6의 캐소우드가 접속된다.The normal output end Q at the end FF 1 of the shift register SR is connected to the input end D of the flip-flop FF 6 . The flip-flop FF 6 is connected to the preset terminal Pr, in this case, the number specified by the preset switches SW 5 to SW 1 .
Figure kpo00006
A second subsidiary government is formed by connecting one end of the preset switch SW 8 that can assign a specific song number +5 to a logarithmic value of 5 anywhere. In addition, a cathode of the LED LED 6 capable of displaying a specific song number +5 is connected to the reverse phase output terminal Q in the same manner.

여기에서 프리세트 스위치 SW6의 타단은 상기한 프리세트 스위치SW5~SW1의 각 타단과 공통으로 전원 +B에 접속되어 있다. 또 발광 다이오드 LED6의 애노우드는 상기한 발광 다이오드 LED5-LED1의 각 위치를 확인하고 나서 프리세트 조작으로 행하는 편이 편리하다.Here, the other end of the preset switch SW 6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 B in common with the other ends of the preset switches SW 5 to SW 1 described above. Also after checking the angular position of said one light emitting diode LED 5 1 -LED lifting know-K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6 is more convenient for performing a preset operation.

즉, 프리써트 조작은 현재의 테이프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서 소망하는 곡이 거기서부터 몇곡 뒤 혹은 몇곡 앞에 위치하고 있는 가를 확인하여 그 곡수(곡번)에 대응한 프리세트 스위치 SW5~SW1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주면 되는 것이다. 이경우 소망하는 곡번이 제1부설정부에서 설정할 수 있는 곡번

Figure kpo00007
중의 어느 것일 경우에는
Figure kpo00008
의 연번을 독립하여서 지정가능한 프리세트 스위치 SW5~SW1중 대응한 것을 선택하면 되나, 소망하는 곡번이 6-10 중의 어느 것일 경우에는 프리세트 스위치 SW5~SW1에서 지정된 연번
Figure kpo00009
의 어디엔가에 대수적으로 5를 가하는 의미를 가지고 특정곡번 +5를 지정가능한 제2부 설정부의 프리세트 스위치 SW6의 조작이 필요하게 되고, 1+5=6, 2+5=7, 3+5=8, 4+5=9, 5+5=10과 같이 하여서 6-10의 저정을 하는 것이다.That is, the pre-asserted operation hayeoseo based on the current tape position desired song from there to determine whether located in front myeotgok back or myeotgok a preset switch SW 5 ~ SW 1 selectively oper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number of songs (gokbeon) to You can do it. In this case, the desired song number can be set in the first sub setting section.
Figure kpo00007
If any of
Figure kpo00008
The preset numbers SW 5 to SW 1 that can be specified independently can be selected, but if the desired song number is any of 6-10, the sequence number specified by the preset switches SW 5 to SW 1
Figure kpo00009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preset switch SW 6 of the setting part of the second part which has the meaning of adding 5 algebraically to the part of which is able to designate a specific song number +5, and 1 + 5 = 6, 2 + 5 = 7, 3+ 5-10, 4 + 5 = 9, and 5 + 5 = 10 to store 6-10.

다음에 구체예로서 3째곡 및 8째곡을 지정할 경우에 대하여 서리명한다.Next, the case where the 3rd and 8th songs are designated as a specific example is frosted.

먼저 3째곡을 지정할 경우는 거기에 대응한

Figure kpo00010
의 프리세튼 스위치 SW3을 조작한다. 이에 의하여 시프트 레지스터 SR의 3단째 플립플롭 FF3의 프리세트 단자 Pr에 전원 +B 전원이 공급되어서 당해 3단째 FF3가 프리세트된다. 그러면, 이 3단째 FF3의 역상출력단부 Q는 로우레벨로 되기 때문에
Figure kpo00011
표시용의 발광 다이오드 LED3이 점등구동되어서 3 3즉째곡에 프리세트 되었다는 것을 표시한다.If you specify the third song first
Figure kpo00010
The operation of the pre-seteun switch SW 3. As a result, the power supply + B power supply is supplied to the preset terminal Pr of the third-stage flip-flop FF 3 of the shift register SR, and the third-stage FF 3 is preset. Then, the reverse phase output terminal Q of the third stage FF 3 goes low.
Figure kpo00011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3 for display is turned on to indicate that it is preset to the third music.

그리고, 이 상태에서 테이프 레코오더의 패스트포오워드 조작자를 조작하여 재생조작자가 조작된 상태인째로 테이프레로오를 고속보냄 상태로 한다. 즉, 이것은 통상의 패스트 포오워드 상태이면 헤드가 물러나가 있어서 곡간검출을 위한 테이프 신호를 재생할 수 없으므로 이와같이 재생상태로 하여서 고속보냄 상태로 하는 것이다.In this state, the fast forward operator of the tape recorder is operated to bring the tape recorder to the high speed sending state. In other words, in the normal fast forward state, the head is retracted and the tape signal for intermission detection cannot be reproduced. Thus, the high-speed sending state is made in the reproducing state.

이에 의하여, 곡간(무신호부) 검출부(11)에서 테이프의 곡간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펄스모양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이 곡간부 신호는 미분회로(12)에서 파형정형 되어서 시프트 레지스터 SR의 쿨록단자 CK에 가하여진다. 여기에서 시프트 레지스터 SR은 상기한 바와 같이 프리세트시는 파라렐(병렬) 모우드로되고, 또한 카운트시에는 시리얼(직렬) 모우드로 되므로(이 제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그중의 프리세트된 프립플롭(이 경우 FF3)에서 곡간부 신호가 가하여 질때마다 후방의 플립플롭에 시프트되게 된다. 즉 이경우는 1번째의 곡간 부신호로서 3단째 FF3에서 4단째 FF2에 시프트되고, 2번째의 곡간부 신호로서 4단째 FF2에서 5단째 FF1에 시프트된다.As a result, the pulse shape signal as described above is output by the grain stem (no signal portion) detecting section 11 for each grain stem of the tape. This intermission signal is waveform-formed by the differential circuit 12 and applied to the cool-lock terminal CK of the shift register SR. As described above, the shift register SR becomes a parall (parallel) mode at the time of presetting and a serial (serial) mode at the time of counting (this control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reset flip-flop (in this case, FF 3 ) is shifted to the rear flip-flop whenever the intermission signal is applied. In this case, the first intermission sub-signal is shifted from the third stage FF 3 to the fourth stage FF 2 , and the second intermission portion signal is shifted from the fourth stage FF 2 to the fifth stage FF 1 .

여기에 수반하여서

Figure kpo00012
표시용의 발광다이오드 LED3이 소등됨과 동시에
Figure kpo00013
표시용의 발광다이오드 LED2가 점등되고, 이어서
Figure kpo00014
표시용의 발광다이오드 LED2가 소등됨과 동시에
Figure kpo00015
표시용의 발광다이오드 LED1이 점등되도록 하여서 도중의 경과(소망하는 곡까지의 남은 곡수)상태를 표시하고 있다.Accompanying
Figure kpo00012
LED LED 3 for display turns off
Figure kpo00013
Light-emitting diode LED 2 for display lights up, then
Figure kpo00014
LED LED 2 for display turns off
Figure kpo00015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1 for display is turned on to indicate the progress (the number of music remaining until the desired music) on the way.

그리고, 3번째의 곡간부 신호가 오면 5단째 FF1의 내용이 반전되어서,

Figure kpo00016
표시용의 발광 다이오드 LED1이 소등된다.Then, when the third grain stem signal comes, the content of the fifth stage FF 1 is reversed.
Figure kpo00016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1 for display turns off.

그러면, 프리세트 되고나서 그동안 반드시 어느 것인가 1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상태에 있었든 것이 이 시점에서 모든 발광다이오드가 소등상태로 되므로 비교구동회로(18)가 동작하게 된다. 또한 이상태에서는 후술하는 다이오드 D6, D7으로서 된 스위칭 회로(16)의 작용에 의하여 플립플롭 FF6은 어떤작용에 관여하지 않는다.Then, since all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are turned off at this point, which one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is always in the lit state after being preset, the comparison driving circuit 18 operates. In this state, the flip-flop FF 6 is not involved in any action by the action of the switching circuit 16 as the diodes D 6 and D 7 described later.

여기에서 비교구동회로 (18)의 동자거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그때가지 어느 것인가의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상태에 있어서 그 구동전류에 의하여 온(ON)상태에 있었든 트랜지스터 Q3는 모든 다이오드가 소등되고 그 구동류가 없어지는 것에 의하여 오프(OFF)상태로 된다. 그러면 여기에 응동하는 트랜지스터 Q4가 오프에서 온 상태로 되어지므로, 트랜지스터 Q3가 오프에서 온 상태로 되어진다. 이것에 의하여 트랜지스터 Q3의 콜렉터 회로에 저속된 플런저 PL이 이경우 폐로상태에 있는 리이프 스위치 SW7를 통하여 세탁이 가하여진 상태로 되고, 그 가동 철심을 상기한 바와 같이 테이프 레코오더 기구에 있어서의 패스트 포워드 조작부만을 해제하고, 고속보냄을 정지상태로 하여서 재생상태로 절환하도록 한 작동을 하게 한다.Here, the synchronism of the comparison driving circuit 18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any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in the lit state is turned on by the driving current, so that all the diodes Q 3 The lamp is turned off to be turned off because the drive flow is lost. Then, the transistor Q 4 that copes here is turned on from off, and therefore the transistor Q 3 is turned off from on. As a result, the plunger PL slowed down to the collector circuit of the transistor Q 3 is in a state where washing is applied through the leaf switch SW 7 which is in the closed state, and the movable iron core is described in the tape recorder mechanism as described above. Only the fast forward operation unit is released, and the operation is made to switch to the reproducing state by stopping the high speed sending.

그리고 이에 의하여 재생되는 것은 다름 아닌 최초에 프리세트한 8곡째이고, 이로서 소망하는 곡의 자동선곡(재생) 동작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In this way, the reproduction is none other than the eighth preset song, which enables automatic selection (reproduction) of a desired song.

다음에 8고째를 지정할 경우에 제1부설정부의

Figure kpo00017
의 프리세트 스위치 SW3을 조작하고 그후에 제2부설 정부의 +5 프리세트 스위치 SW6를 조작하여 주면된다. 이것은 후술하는 클리어 동작에 의하여 +5+를 먼저 조작하면
Figure kpo00018
을 조작한 시점에서 +5+의 프리세트 상태가 클리어 되어버리도록 되어져 있기 때문이다(다른 경우도 같다).When the eighth is specified next, the first sub-setting section
Figure kpo00017
Operating the preset switch SW 3, and thereafter operates the main surface is +5 preset switch SW 6 of the second laid state. This is because +5+ is first operated by the clear operation described later.
Figure kpo00018
This is because the preset state of +5+ is cleared at the time of operation (other cases are the same).

이경우

Figure kpo00019
의 프리세트 상태 및 그것에 의한 자동곡선의 도중 경과는 상기한 바와 동일하고, +5+의 프리세트와 동시에 +5+표시용의 발광다이오드 LED6가 점등 구동되어져 있는 것만이 다르다.in this case
Figure kpo00019
The preset state and the progress of the automatic curve by the same are as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6 for +5+ display is turned on and driven at the same time as the +5+ preset.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자동곡선의 도중 결과에 있어서의 2번째의 곡간부신호가 왔을 때에 FF1및 FF6의 정상출력단부 Q가 함께 하이레벨로 되어서 그때까지 적어도 한쪽이 온 상태에 있었든 스위칭 회로(16)의 다이오드 스위치 D6, D7이 함께 오프상태로 되어지기 때문에 전원 +B전압이 저항 R11을 통하여 시프트 레지스터 SR의 입력단부 D에 가해짐과 동시에 3번째의 곡간부 신호로서 FF1에서 FF6에 시프트된다 이 2번째부터 3번째의 곡간부 신호 동안은

Figure kpo00020
발광 다이오드 LED1이 소등되고 +5 의 발광다이오드 LED6만이 점등되어 소당하는 곡까징 나머지가 5곡이라고 하는 것의 도중 경과를 표시하고, 3번째의 곡간부 신호로서 FF6이 반전되기 때문에 +5의 표시자체는 꺼지나, 이번에는 그와 동시에
Figure kpo00021
의 표시용 발광다이오드 LED5가 점등하는 것에 의하여 동작이 계속된다.Then, when the second intermittent signal in the middle of the automatic curve as described above is received, the normal output end Q of FF 1 and FF 6 together becomes high level, and at least one of which is in the on state until then is switched. Since the diode switches D 6 and D 7 of the circuit 16 are turned off together, the power supply + B voltage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D of the shift register SR through the resistor R 11 and at the same time FF as the third intermittent signal. Is shifted from 1 to FF 6. During this second to third intermittent signal,
Figure kpo00020
Light-emitting diode LED 1 is turned off and only +5 light-emitting diode LED 6 is turned on to indicate the progress of 5 songs remaining, and FF 6 is inverted as the third interlude signal. The indicator itself turns off, but this time
Figure kpo00021
The operation is continued by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5 being displayed on.

즉, 인간은 상기한 바와같이 다이오드 스위치 D6, D7으로서 된 스위치 회로(16)의 작용에 의하여 시프트 레지스터 SR의 초단째 FF5에 있어서의 입력단부 D가 +B전압에 의한 하이레벨이 공급되어져 있는 것에 의한 것으로서 마치 FF6에서 FF5에 궤한 시프트 되는 것과 같이 한 일종의 링(ring)카운터 적 순환기능이 영위되고 있는 것과 다름없다.That is, the human being is supplied with the high level of + B voltage at the input terminal D in the first stage FF 5 of the shift register SR by the action of the switch circuit 16 as the diode switches D 6 and D 7 as described above. As a result, a kind of ring counter circulating function is performed, as if shifted from FF 6 to FF 5 .

또 4번째 곡간부 신호로서 FF5에서 FF4에 시프트 되고, 5번째의 곡간부 신호로서 FF4에서 FF3으로 시프트 되고 이하 6번째, 7번째의 곡간부 신호에 의하여 FF3-FF2-FF1의 순으로 시프트 되고, 8번째의 신호로서 FF1의 내용이 반전되어 이하 상기한 것과동 일하게 하여서 모든 발과 다이오드가 꺼지는 것에 의하여, 비교 구동회로(18)이 동작하여, 8곡째 자동선극(재생)동작이 행해진다.It is shifted from FF 5 to FF 4 as the fourth intermission signal, shifted from FF 4 to FF 3 as the fifth intermission signal, and FF 3 -FF 2 -FF by the sixth and seventh intermission signals. The comparison driving circuit 18 operates by shifting in the order of 1 and turning off all the feet and the diodes by turning the contents of FF 1 as the eighth signal and the same as that described below. (Playback) operation is performed.

또한, 이 경우 FF6은 반전된 채로 정상출력단부 Q가 로우레벨에 있으므로 스위칭 회로(16)에 의하여 재차 순환기능을 영위하는 것은 저지돠고 있다.In this case, since FF 6 is inverted and the normal output terminal Q is at a low level, the switching circuit 16 again prevents the circulation function.

그리고, 3곡째 및 8곡째 이외의 다른 곡번 1, 2, 3, 4, 5 및 6, 7, 9, 10을 지정할 경우도 상기한 각 경우에 준하여 동일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the case of designating music numbers 1, 2, 3, 4, 5 and 6, 7, 9, and 10 other than the third and eighth songs can be similarly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cases.

또 이상의 설명은 재생 조작자와 패스트 포오워드 조작자를 짜맞추어서 행할 경우에 대하여 즉 현재의 테이프 위치에서 순방향의 몇곡인가 뒤의 위치에 소망하는 곡이있을 경우에동 즉 현재의 테이프 위치에서 역방향의 몇곡인가 앞에 소망하는 곡이 있을 경우의 자동선곡 동작에 대하여도 동일하다. 단 후자의 경우에는 곡간부신호를 곡의 입상부(立上部)(전자는 곡의 입하부(立下部))에서 검출하는 것이 되므로, 미리 1곡분 플러스한 수의 곡번에 지정하여 줄 필요가 있다. 즉, 이 경우 1번째의 곡간부 신호는 현재의 곡의 입상부에서 얻어지는 것이므로, 1곡 앞을 지정할 때에는 1+1=2와 같이 하여서 비로소 1곡 앞의 입상으로부터 재생상태로 할 수 있는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for the case where the playback operator and the fast forward operator are combined, i.e., how many songs in the forward or backward position from the current tape position are the same, ie how many songs in the reverse direction from the current tape position. The same applies to the automatic selection operation when there is a desired song in the front. In the latter case, however, the grain cue signal is detected at the grain top of the grain (the former is the grain bottom of the grain). . That is, in this case, the first intermission signal is obtained from the granularity of the current song. Therefore, when specifying one track ahead, it is possible to make the reproduction state from the one ahead of the first tune in the same manner as 1 + 1 = 2.

이점, 전자의 경우에는 현재의 곡의 입하로서 얻어지는 곡간부 신호는 다음곡의 입상부에서 얻어지는 것이므로 그와같은 보정을 하지 않고, 소망하는 곡번을 그대로 설정하여 주면되는 것이다.Advantageously, in the former case, the grain stem signal obtained as the arrival of the current song is obtained from the winning part of the next song, so that the desired song number can be set as it is without correction.

또한 10곡째 이상의 곡번(11, 12……)을 소망하는 곡으로 할 경우에는 일단 10곡째 등에 프리세트로서 자동선곡을 하고, 10곡째등 나온 시점에서 소망하는 곡까지의 남은 곡수(10이하)를 재차 설정하여 주면되나 통상은 14곡을 수록한 테이프로서 임의의 재생위지를 취하는 일이 많으므로 대부분은 이와같은 일을 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In the case of making the tenth or more song numbers (11, 12, ...) into a desired song, the tune is automatically selected as a preset to the tenth song, and the remaining number of songs from the tenth song to the desired song (less than ten) is selected. It may be set again, but since it usually takes a random playback position as a tape that contains 14 songs, most of them will not need to do this.

단, 14곡 정도 이상의 상당한 곡수를 수록한 테이프를 사용하는 일이 많을 경우에는 +5와 같은 연번 지정부에 대수적으로 가하는 의미를 가진 특정곡번 +N을 지정 가능한 설정부를 예를들면 +5외에 +N'라는 +10과 같이 복수개 설치하여 눔으면되고, 6-10까지는 +5의 설정부를 함께 사용하고 또한 11-15까지는 +10의 설정부를 함께 사용하고 다시 16-20까지는 +5 및 +10의 설정부를 다함께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20곡째까지 1조작으로 프리세트할 수 있는 것이다.However, when using a tape that contains more than 14 songs, the setting part that can specify a specific song number + N, which has the meaning of applying algebraically to the serial number designation part such as +5, for example +5 N '+10 can be installed in multiple numbers, such as +10 to use the setting part of +5 together, and up to 11-15 to use the +10 setting part together, and again to 16-20 to +5 and +10 By using the setting unit together, the operation can be preset up to the 20th song in one operation.

이 경우, 상기한 예의 n=5, +N-5의 경우와 같이 n=N라고 하면 1-10을 1조작으로 프리세트하는데에 합리적이고 편리하며, N'에 대하여도 N'-2N (=10)와 같이하면 1-20의 프리세트에 합리적이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수를 취할 수 있는 것이며, 1-n, +N, +N', +N"……와 같이 하여도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as in the case of n = 5 and + N-5 of the above example, if n = N, it is reasonable and convenient to preset 1-10 in one operation, and N'-2N (= 10) is reasonable for the preset of 1-20, but can be any number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and may be 1-n, + N, + N ', + N "……. will be.

다음에 우선 프리세트회로(21)의 동작에 대하여 기술하면, 이것은 재생조작자를 조작한 후, 상기와 같은 자동곡선을 위한 프리세트조작을 하는 일 없이 즉시 패스트우오워드 조작자 혹은 리와인드 조작자를 조작하도록 했을 경우에 자동적으로 프리세트치를

Figure kpo00022
로 하여 버린다고 하는 것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이와같은 경우에는 통상의 (1곡)두출 기능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 편이 편리하기 때문이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t circuit 21 will be described first. This means that after operating the playback operator, the operator immediately operates the fast-wooward operator or the rewind operator without performing the preset operation for the automatic curve as described above. Automatically resets the preset value if
Figure kpo00022
It is said that. That is,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it is convenient to be able to exhibit the normal (one song) stroke function.

즉, 이 경우 재생 조작자를 조작한 후, 자동선곡을 위한 프리세트 조작을 하는 일 없이 즉시 패스트 포오워드 혹은 리와인드 조작자를 조작하면, 어느 것인가의 리이프 스위치 SW1, SW10및 미분회로(20)을 통하여 트랜지스터 Q가 순간적으로 온상태 되므로, 다이오드 D8을 통하여 시프트 레지스터 SR에 있어서의 5단째 FF1의 프리세트 단자 Pr에 프리세트 필수가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의하여

Figure kpo00023
의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 LED1이 점등하고, 1번째의 곡간부 신호가 오면 상기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동발광 다이되드 LED1을 소등하여 고속상태에서 재생상태로 절환하여서 소위(1곡) 두출 기능을 영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단, 리와인드 조작자를 조작하였을 경우에는 상기한 것과 같은 이유에 의하여 현재의 곡의 머리부터 재생되도록 한 소위 레뷰(Review) 기능으로 되나, 어떻게하든지 1곡 앞의 머리에서 재생하고 싶을 경우에는 이 시점에서 재차 리와인드 조작자를 조작하여주면 된다.That is, in this case, if the fast forward or rewind operator is operated immediately without performing the preset operation for automatic selection after operating the playback operator, either of the leaf switches SW 1 , SW 10 and the differential circuit 20 Since the transistor Q is turned on momentarily through, the preset essential is supplied to the preset terminal Pr of the fifth stage FF 1 in the shift register SR via the diode D 8 . And by this
Figure kpo00023
When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1 of LED lights up and the first intermittent signal comes, the same light emitting die LED 1 is turned off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o switch from the high speed state to the regeneration state to perform the so-called (one song) tapping function. It is possible to live. However, if the rewind operator is operated, it is a so-called review function that allows the current song to be played from the head of the current song for the same reason as described above. You can operate the rewind operator again.

또 우선 프리세트회로(21)이 상기한 것과 같이

Figure kpo00024
에 자동적으로 프리세트되는 것은 자동선곡을 위한 프리세트 조작이 되어지기 이전뿐만이고, 만약 그것이 되어져 있을 경우에는 트랜지스터 Q6에 의하여 금지된다. 즉, 이 트랜지스터 Q6의 베이스 전위는 비교 구동회로(18)에 있어서의 트랜지스터 Q3의 에미터 전위로서 다해 트랜지스터 Q3이 상기한 바와 같이 프리세트 되어 있어서 어느 것인가의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상태에 있으면 온 상태에 있으므로, 이때의 에미터 전위에 의하여 역바이어스 상태로 되어지기 때문이다. 바꾸어 말하면, 프리세트 조작전에는 트랜지스터 Q3이 오프되므로 트랜지스터 Q6의 베이스 바이어스가 순바이어스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같은 패스트 포오워드 혹은 리와인드 조작자에 의한
Figure kpo00025
에의 우선 프리세트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First, the preset circuit 21 is as described above.
Figure kpo00024
It automatically and before it is the preset operation for the automatic selection of music that is pre-set as in, if it has been that it is inhibited by the transistor Q 6. In other words, the base potential of the transistor Q 6 serves as the emitter potential of the transistor Q 3 in the comparison driving circuit 18, and the transistor Q 3 is preset as described above. It is because it is in an on-bias state by the emitter potential at this time since it is in an ON state. In other words, since the transistor Q 3 is turned off before the preset operation, the base bias of the transistor Q 6 is in a forward biased state, so that the fast forward or rewind operator described above is used.
Figure kpo00025
Preferred presetting is enabled.

다음에 이상과 같은 자동선극 동작을 모순없이 또한 오동작하는 일 없이 양호하게 되어지도록 하고 있는 여러 가지의 회로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Next, various circuit operations are described in which the above-described automatic pole operation is made satisfactory without contradiction and without malfunction.

먼저 이니셜 라이저회로(17)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것은 전원공급시에 전원의 입상이 완만한 것에 의하여 주어지는 불편을 해소시키려고 하는 것이다. 즉, 프리세트부의 각 플립플롭 FF1-FF6은 전원투입 직후의 모든것이 클리어 되어서 전부의 발광 다이오드 LED1-LED5를 소등상태로 하고, 이로써 프리세트 대기상태로 하는 것이 요구된다.First, the initializer circuit 17 will be described, which is intended to solv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gentle granularity of the power supply at the time of power supply. That is, each flip-flop FF 1 -FF 6 of the preset part is cleared immediately after the power is turned on, so that all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EDs 1- LED 5 are turned off, thereby requiring the preset standby state.

그런데, 만약 이니셜 라이저회로(17)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하면, 전원의 입상이 완만한 것이므로, 각 플립플롭의 상태가 일정하게 되지 않아서 그 자리에서 또한 규닝하게 클리어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불편이 있다. 그래서 이 이니셜 라이저회로(17)은 PNPN의 4층접속(소위 SCR접속)으로 한 NPN, PNP 트랜지스터 Q1, Q2에 의하여 완만한 전원 입상을 급준(急峻)한 펄스로 변환시킨 것으로서 이 펄스를 클리어 펄스로서사용한 것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PNPN의 4층 접속으로 한 NPN, PNP 트랜지스터 Q1, Q2는 제3(a)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도시한 점선의 전원입상 특성(가)에 대하여, 도시한 실선과 같은 수직 모양으로 입상하는 출력특성(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이 출력특성(나)의 트리거 레벨은 PNP 측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전압 Vbe로서 결정된다. 제3(b)도는 이러한 아니은 라이저회로(17)의 출력이 미분회로(15)를 통하여 클리어펄스로된 파형을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 클리어 펄스가 전원ㅌ입시에 각 플립플롭 FF1-FF6의 각 클리어단자 CL에 공급되는 것에 의하여 이니셜 라이저된 안정된 클리어 작용을 할 수 있는 것이다.However, if the initializer circuit 17 is not used, since the power supply is smoothly formed, the state of each flip-flop does not become constant, and there is a inconvenience that it cannot be cleared on the spot. Thus, the initializer circuit 17 converts a gentle power supply into a pulsed pulse by the NPN and PNP transistors Q 1 and Q 2 connected to the 4-layer PNPN (so-called SCR connection). By using it as a clear pulse, it becomes possible to eliminate the above inconvenience. In other words, NPN and PNP transistors Q 1 and Q 2 connected by a four-layer connection of PNPN have the same vertical shape as the solid line shown with respect to the power granularity characteristic (a) of the dotted line shown in Fig. 3 (a). to as to have the output characteristics (B) to the particulate trigger level of the output characteristic (b) is determined as a base voltage V be of the PNP transistor Q 1 side. 3 (b) shows a waveform in which the output of the riser circuit 17 is a clear pulse through the differential circuit 15. When this clear pulse is supplied to each of the clear terminals CL of the flip-flops FF 1 to FF 6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initialized stable clearing action can be performed.

또, 프리세트 조작에 따르는 클리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것은 각 프리세트 스위치 SW1-SW5와 각 플립플롭 FF1-FF6의 클리어 단자 CL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 D1-D5를 통하여 되어지는 것이다. 즉 어느 프리세트 스위치(단 SW6를 제외하는 것은 후술한다)를 조작하면, 여기에 대응하는 플립플롭을 제외한다는 플립플롭에 클리어 펄스가 어느 것인가의 다이오드를 통하여 주어지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clear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t operation is explained, it is made through the diodes D 1 -D 5 connected between the respective preset switches SW 1 -SW 5 and the clear terminal CL of each flip-flop FF 1 -FF 6 . To lose. That is, when operating the one preset switch (to be described later is to exclude only SW 6), will be given here for the clear pulse to flip-flop, except that the flip-flop corresponding to the via any one of a diode.

이에 의하여, 한번 프리세트된 수치를 정정시킬 경우, 전용의 클리어스 위치를 필요로 하는 일없이 단지 재차 그 수치에 설정하는 것만으로 앞의 프리세트수치를 클리어할 수 있는 것이다.Thus, when correcting the preset numerical value, the previous preset value can be cleared by simply setting the numerical value again without requiring a dedicated clearance position.

그런데, 상기한 바와같이 제2부 설정부의 +5의 프리세트 스위치 SW6를 조작할 때에는 제1부설정부의

Figure kpo00026
의 프리세트 스위치 SW1-SW5의 어느 것인가를 먼저 조작한 후에 조작할 필요가 있다는 것은 이클리어 동작때문인 것이다. 즉 +5의 프리세트 스위치 SW6를 먼저 조작한 후
Figure kpo00027
의 프리세트 스위치 SW1-SW5의 어느 것인가를 조작하면, +5의 프리세트 치가 클리어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반대로
Figure kpo00028
의 프리세트를 먼저 조작하고 +5의 프리세트를 뒤에 조작하였을 경우에는 프리세트 스위치 SW6에는 클리어용의 다이오드가 접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하등 클리어되는 일 없이 그대로
Figure kpo00029
의 어느 것인가와 +5의 프리세트가 되어지는 것이다.By the way, when operating the preset switch SW 6 of the second sub-set portion +5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laying government
Figure kpo00026
It is because of the clear operation that one of the preset switches SW 1 to SW 5 needs to be operated first. That is, first operate the +5 preset switch SW 6
Figure kpo00027
This is because the +5 preset value is cleared when any of the preset switches SW 1 to SW 5 are operated. Contrary
Figure kpo00028
If the preset is operated first and the +5 preset is operated later, the clear switch is not connected to the preset switch SW 6 , so it is not cleared at all.
Figure kpo00029
Which will be a +5 preset.

이것은 여하간에 상기한 것과 같이 전용의클리어(버튼) 스위치를 설치하는 일 없이 프리세트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바람직한 것이다.This is preferable in that it is easy to change a preset without providing a dedicated clear (button) switch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시프트 레지스터 SR이 프리세트시에 병렬 모우드로 또한 카운트 시에 직렬 모우드로서 가능하는 것에 대하여는 상기한 바와 같으나, 그 시리얼 파라렐절환의 제어동작을 설명한다. 즉 프리세트 스위치 SW1-SW5의 어느 것인가를 조작했을 때에 다이오드 D1-D5의 어느 것인가 및 미분회로(14)를 통ㅎ여 시프트 레지스터 SR의 파라렐 시리얼 절환단자 P/S에 가해지는 하이레렐 전압에 의하여 파라렐 모우드로 하고, 이 하이레벨 전압이 없어지고 로우레벨로 되는 카운트시에 시리얼 모우드로 하는 것이다.Incidentally, although the shift register SR can be used as the parallel mode at the preset time and as the serial mode at the time of count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serial parallel switching will be described. In other words, when any one of the preset switches SW 1- SW 5 is operated, it is applied to any of the diodes D 1 -D 5 and the differential serial switching terminal P / S of the shift register SR through the differential circuit 14. The parallax mode is set by the high reel voltage, and the serial mode is set at the time when the high level voltage disappears and becomes low level.

또한 프리세트 스위치 SW1-SW5의 어느 것인가를 조작하였을 때에는 먼저 처음에 상기한 바와같이 각 플립플롭 FF1-FF6가 클리어되므로 각 플립플롭 FF1-FF5가 실제로 프리세트 가능하게 되는 것은 이 클리어 기간이 지닌후로 된다. 또 프리세트시에는 상기한 것과 같은 시프트 레지스터 SR에 대한 파라렐 시리얼 절환의 제어에 의하여 하이레벨일 때 시프트 레지스터 SR을 파라렐 모우드로서 기능 시키는 것이므로 실제로 프리세트 하는 데에는 파라렐모우드로 되어진 후로 하여줄 필요가 있다.When any one of the preset switches SW 1 to SW 5 is operated, each of the flip flops FF 1 to FF 6 is first cleared as described above, so that each of the flip flops FF 1 to FF 5 can be actually preset. It is after this clearing period. In the case of presetting, the shift register SR functions as a pararell mode when the high level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of the pararell serial switching for the shift register S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need.

그리고 이와같은 프리세트의 타이밍을 확보하는 것이 프리세트 지연회로(13)이고, 이에 의하여 지연되어서 얻어지는 프리세트 펄스에 의하여 확실한 프리세트를 할 수가 있다.It is the preset delay circuit 13 that ensures the timing of such a preset, whereby the preset pulse obtained by the delay can be surely preset.

제4도는 이상과 같은 프리세트의 타이밍 차아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a)는 프리세트 스위치 조작의 타이밍, (b)는 프리세트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생성되는 파라렐 시리얼 절환 제어신호의 타이밍, (c)는 동일하게 클리어 펄스의 타이밍, (d)는 동일하게 지연을 수반한 프리세트 펄스의 타이밍을 표시하고, (e)는 클록펄스로 되는 곡간부 신호의 타이밍을 표시하고 있다.4 shows the timing timing of the preset as described above, (a) is the timing of the preset switch operation, (b) is the timing of the pararell serial switching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preset switch operation, (c ) Denotes the timing of the clear pulse, (d) shows the timing of the preset pulse accompanied by the delay, and (e) indicates the timing of the intermission signal which becomes the clock pulse.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하고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말 한정시키는 일없이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형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것도 없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limiting the above-described and illustrated embodiments.

예르들면, 이상에 있어서 프리세트의 설정부는 시프트 레지스터 SR과 플립플롭 FF5의 짜맞춘것에 한정되지 않고, 카운터(링카운터를 포함한다)라도 좋고, 요는 실질적으로 설정치와 곡간부 신호의 계수치를 비교하여서 테이프 구동기구를 고속보냄에서 정속보냄으로 절환하여 제어하는 것이다. 또 프리세트이 표시부는 발광 다이오드에 한정되지 않고 램프등의 다른 표시 소자더도 된다.For example, in the above, the preset setting unit is not limited to the combination of the shift register SR and the flip-flop FF 5 , but may be a counter (including a ring counter). In comparison, the tape drive mechanism is controlled by switching from high speed transmission to constant speed transmission. The preset display unit is not limited to a light emitting diode but may be another display element such as a lamp.

그리고 본 발명은 특히 테이프레코라오의 자동선곡장치에 적용하여서 적합한 것이나, 테이프에 수록되는 데이터가 음악(곡)과 상이한 다른 데이터라도 좋고 테이프를 취급하는 일반기기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기한 각 곡간부 신호는 각 데이터간 신호로 되는 것으로서, 이 데이터간 신호에 대하여는 무신호부(블랭크)를 검출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주 데이터와 식별 가능한 다른신호(데이터)를 검출하도록 한 것이라도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applying to an automatic selection apparatus of a tape recorder, but of course, the data recorded on the tape may be different from music (songs) or widely applied to a general apparatus for handling the tape. In this case, each of the grain cubic part signals is an inter-data signal, and the inter-signal signal is not limited to detecting a no-signal part (blank), but to detect main data and other identifiable signals (data). It may be.

따라서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망하는 데이터번 설정부를 1,2……n이라는 연변을 독립하여 설정가능한 복수의 설정자를 가지고서된 게 1의 설정부 및 이 제 1의 부설정부에서 지정되는 데이터번에 필요에 따라서 대수적으로 부가되는 제1부 설정부에서의 최대 데이터번과 같은 특정 데이터번 +N을 지정가능한 설정자를 가지고서된 제2의 설정부로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가급적으로 소수의 설정자를 가지고 가급적으로 다수의 데이터수를 설정할 수 있고, 이로서 한정된 일정한 스페이스로서 또한 가급적으로 간이한 구성 나아가서는 낮은 가격으로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고, 또한 조작이 간편하고 확실하게 소망하는 프로그램재생을 할 수 있도록 한 극히 양호한 프로그램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red data number setting section is 1. … the first data set part having a plurality of setters that can be independently set to n, and the maximum data number in the first part set part added algebraically to the data number specified in the first sub set part as needed; By configuring the same specific data number + N as a second setting unit having a settable designator, as many data sets as possible can be set with a small number of setters, whereby a limited number of data can be set as possib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xtremely good program reproducing apparatus which can be easily realized at a low cost and can be easily realized, and whose operation can be easily and surely desired.

Claims (1)

고속주행중인 테이프에서, 그 테이프에 수록된 복수의 데이터 (혹은 정보구획) 사이에 놓여져 있는 데이터간부 (혹은 무정보 구획)에 응답하여 순차로 데이터 간부신호를 검출하는 데이터간부 검출부(11)와 연속한 2×n개의 번호중, 1개의 소망번호를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설정부와, 전기한 데이터 간부검출부(11)에서 검출하여 얻어지는 데이터 간부 신호의 순위와 전기한 설정부에서 설정된 전기 소망번호와의 실질적인 일치를 검출하는 비교회로(18)와 전기한 비교회로(18)의 작동에 따라서, 전기한 테이프를 고속주행상태에서 정상 재생을 위한 저속주행상태로 절환하는 절환수단(PL)으로 되는 프로그램 재생장치에 있어서 전기설정부(SW1∼SW6, SR, FF6, 16),는 전기한 2×n의 번호중 1, 2……인 부분의 번호를 각각 개별로 설정할 수 있는 n개의 설정자(SW1-SW5)를 지니는 제1부 설정부(SW1-SW5, SR)와 전기 제1부 설정부(SW1-SW5, SR)와 접속되고, 전기 제1부 설정부(SW1-SW5, SR)에서 설정되는 연속번호 1, 2……n중의 최대번호 n에 같은 소정의 번호 N(=n)을 설정하는 설정자(SW6)를 지니고, 이 번호 N를 전기 제1부 설정부(SW1-SW5, SR)에서 설정된 1, 2……n 중의 임의의 번호에 대수적으로 가산하고, 그래서 전기 2×n개의 번호중의 1+n, 2+n……, 2×n-1, 2×n인 부분의 번호의 하나를 전기 제1부 설정부(SW1-SW5, SR)와 협동해서 설정하는 제2부 설정부(SW6, FF6, 16)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재생장치.In a high-speed running tape, the data executive detector 11 sequentially detects a data executive signal in response to a data executive (or no information partition) placed between a plurality of data (or information partitions) recorded on the tape. A setting unit capable of independently setting one desired number among 2xn numbers, and a ranking of the data executive signal obtained by detection by the data executive detection unit 11 described above, and the electric desire number set by the setup unit described above. Program playback comprising switching means PL for switching the tapes from the high speed running state to the low speed running state for normal playback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comparison circuit 18 and the electrical comparison circuit 18 which detects substantial coincidence. In the apparatus, the electrical setting units (SW 1 to SW 6 , SR, FF 6 , 16), 1, 2... … The first part setting part (SW 1 -SW 5 , SR) and the first part setting part (SW 1 -SW 5 ) having n setters (SW 1 -SW 5 ), each of which can individually set the number of , SR), and the serial numbers 1, 2,... Set in the electrical first part setting unit (SW 1 -SW 5 , SR). … It has a setter (SW 6 ) that sets the same predetermined number N (= n) to the maximum number n of n, and this number N is set in the electrical part 1 setting unit (SW 1- SW 5 , SR). … … is added algebraically to any number in n, so that 1 + n, 2 + n... … , 2 × n-1, 2 × n , one first sub-set of the electrical part of the unit number (SW 1 -SW 5, SR) and the second section setting part which cooperate to set up (SW 6, FF 6, 16 Program playback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KR1019800000669A 1980-02-20 1980-02-20 Program player KR8300023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669A KR830002342B1 (en) 1980-02-20 1980-02-20 Program p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669A KR830002342B1 (en) 1980-02-20 1980-02-20 Program pla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349A KR830002349A (en) 1983-05-28
KR830002342B1 true KR830002342B1 (en) 1983-10-22

Family

ID=19215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669A KR830002342B1 (en) 1980-02-20 1980-02-20 Program pla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34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349A (en) 1983-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4429A (en) System for providing transmitter-controlled actuation of equipment at the receiving end of a communications system
US4228471A (en) Apparatus for searching a piece of information recorded on a magnetic tape
US3922641A (en) Automatic video and audio source selector for entertainment center
JPS58178429A (en) Universal interface unit
EP0038648A1 (en) Video editing apparatus
JP3271124B2 (en) Switcher
US4342056A (en) Information block locating device
KR830002342B1 (en) Program player
US4357636A (en) Magnetic tape device
US5319359A (en) Cross fade indicators
JPS5919993Y2 (en) program playback device
JPS6318257B2 (en)
US4542490A (en) Radio - cassette tape recorder/player system
JPS5923267Y2 (en) Program playback device setting circuit
KR880003087Y1 (en) A control circuit of trideck cassette tape recorder
GB1603828A (en) Tape record and playback systems
JPS5817979B2 (en) magnetic tape device
JPS6059645B2 (en) magnetic tape device
JPS5923271Y2 (en) Tape recorder control circuit
US3823414A (en) Magnetic record apparatus with switching means to select tapes and interrupt for announcements
JPH0355197Y2 (en)
JPS6125106Y2 (en)
KR870002320Y1 (en) Automatic tuning double cassette
JPS6059644B2 (en) magnetic tape device
JPH0115003Y2 (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