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232B1 - 전 자 렌 즈 - Google Patents

전 자 렌 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232B1
KR830002232B1 KR1019800002032A KR800002032A KR830002232B1 KR 830002232 B1 KR830002232 B1 KR 830002232B1 KR 1019800002032 A KR1019800002032 A KR 1019800002032A KR 800002032 A KR800002032 A KR 800002032A KR 830002232 B1 KR830002232 B1 KR 830002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piece
lens
spacing
aberration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2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141A (ko
Inventor
가쓰시게 쓰노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시 가부시끼 가이샤
가세이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시 가부시끼 가이샤, 가세이 다다오 filed Critical 니혼 덴시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2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232B1/ko
Publication of KR830003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02Details
    • H01J37/04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discharge,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ion-optical arrangement
    • H01J37/10Lenses
    • H01J37/14Lenses magnetic
    • H01J37/141Electromagnetic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n Tubes For Measurement (AREA)
  • Electron Sources, Ion Sour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렌즈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해서 사용하는 3자극 전자렌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 2 도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은 전자 현미경의 투영렌즈로서 사용함에 유효한 전자렌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현미경의 크기는 전자총 및 렌즈의 구성, 수차, 조작성 등을 고려해서 결정되지만, 가속 전압이 높은 전자현미경에서는 필연적으로 크게 되고, 통상의 실험실에 설치할 수 없을 정도의 높이로 되고, 특별한 방을 설치하여 수용하는 경우가 종종발생한다. 따라서 전자 현미경의 크기(특히 높이)를 적게하는 것을 성능 향상과는 별도로서 요구되어 왔었다. 이 전자현미경의 높이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투영렌즈와 사진필름과의 거리에 있다. 이 거리를 결정할 때, 상관찰실(像觀
Figure kpo00001
室)의 크기 및 상관찰창(窓)의 크기가 큰 비중을 갖지만, 실제의 전자 현미경에는 대상관찰에 필요한 공간보다도 훨씬 큰 렌즈, 필름 간거리를 갖고 있는데, 이것은 주로 투영렌즈에 의한 S자 왜상수차(歪像收差)를 비교적 작게 하기 위한데에서 비롯된 것이다. 종래 전자현미경의 결상계의 설계에서 구면수차, 축상색수차, 축의 만곡수차, 비점수차, 왜상수차 및 축의 색수차의 전체가 가장 작게 되도록 한 렌즈 형태와 여자(勵磁)조건은 선택되었지만, S자 왜수차에 대해서는 이를 작게 하는 유효한 방법이 없다고 하여 그다지 고려되지 못했었고 연구조차 하지 아니하였다.
그런데 S자 왜상수차는 ΔS/r=DSP·(rfp/L)2로서 표시한다. 여기에서 r은 필름면상에서의 중앙으로부터의 거리, ΔS는 상의 비낌량, fp는 투영렌즈의 초점거리, L는 렌즈와 필름과의 간격, DSP는 S자 왜(歪)수차계수이다. 이식에 있어서 종래에는 DSP를 조절할 수 없었기 때문에, L을 크게 하므로서 S자 왜곡수차를 적게하는 방법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렌즈 자체가 매우 적은 S자 왜수차계수를 갖도록 하여, 이로써, 렌즈, 필름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는 전자렌즈를 제공함에 있다.
S자 왜수차계수 DSP는 자계렌즈로서 물체면, 상면(像面) 등 모두 자장의 밖에 있을 경우,
Figure kpo00002
로 표시된다. 여기에서 B는 자장의 강도, Y는 전자선의 궤도를 나타내는 좌표, Y'는 그것의 구배(句配) Zo는 물체면 위체, Zp는 상(像)면위치이다.
이 식에서 알 수 있는 것은 DSP가 가장 강도 B의 기수차(奇數次)항에 의해서 표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수차항 의경우, 자장의 극성을 역전한 2개의 렌즈를 조립해서 사용하면, 제 1 의 렌즈에 의해서 만들어진 S자로된 왜의 수차계수 DSP1과 제 2 의 렌즈가 만드는 S자 왜의 수차계수 DSP2는 부호가 역으로 되어, 양자의 합, 즉 전체로서의 S자 왜수차수계수는 현저하게 적게 되는 결과가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고찰하에서 3개의 자극형(磁極型) 전자렌즈를 사용함을 제안하는 것이다.
제 1 도는 3개의 자극편 전자렌즈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1)은 요크이다. 이요크의 상단가 하단에는 각각 제 1 자극편(2) 및 제 3 자극편(3)이 접합되어, 또 양자극편(2, 3)의 중간에 제 2 자극편(4)이 배치되어 자극(2)와 자극 (4)의 사이 및 제 2 자극편 (4)와 제 3 자극편(3)의 사이에 렌즈장을 형성하는 간격이 형성된다. 상기 요크(1)와 제 2 자극편(4)과에 의해서 형성되는 2개의 간부에는 여자코일(5 및 6)이 수용되어 상기한 양 자극편 간격(S1, S2)에 역방향의 자장이 발생하도록 여자전원이 전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공급된다. 상기한 자극편의 형태는 제 2 자극편(4)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되고 따라서 제 1 자극편 간격(S1) 및 제 2 자극편 간격의 크기(간격)(S2)는 같게 되고, 또 구멍 구경(d)도 같게 되어 있다. 또 제 2 자극편(4)은 광축에 가까운 부분에 엷게 형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5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3개의 자극편 전자렌즈의 초점거리(fp)를 제 2 도에 도시하였다. 도면중 횡축은 여자 파라메타
Figure kpo00003
를 도시하고, 각 곡선은 S=5mm, t=3mm, d=3mm일 때의 계산치를 프로트한 것이다. 실측치는이 계산치보다 약간 작은 값이 되지만, 곡선의 경향은 거의 같다. 초점거리는 fp1, fp2로서 표시하는 곡선으로 되고, 2개의 극소치를 갖고 있음이 주목된다. (또한 여자를 강하게 하면, fp1, fp2에 근사하는 2개의 곡선이 되풀이하여 나타난다) 양곡선 fp1과 fp2의 비교해서 약(弱)여자측의 극소치 쪽이 강(强)여자치의 그것보다는 훨씬 크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이 약 여자측에서는 제 1 자극편 간격(S1)내의 자계에 의한 렌즈와 제 2 자극편(4) 사이에 자계에 의한 렌즈등이 허상-실상 결상을 한다. 이와 같은 허-실결상의 초점거리 극소치부근에서는 S자 왜수차는 제 2 도중(ΔS/r)1의 곡선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충분하게 작고, (1% 이하) 더구나, 왜상수차도(Δr/r)1로서 표시함과 같이 제로(또는 제로에 근사)로 되어, 투영렌즈로서 바람직하다고 생각이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이 초점거리 fp가 길고, 현실에 있어서는 5mm 전후밖에는 짧게 않된다. 따라서 투영렌즈의 배율을 100배로 하기 위하여는 투영렌와 즈필름과의 거리는 500 mm 이상 필요로 하고, 전자 현미경의 소형화라는 목적은 달성되지 못한다.
한편, 강 여자측에서는 fp2로부터 명확한 바와같이, 초점거리의 극소치는 대단히 작게 되고, 이 영역에서는 2개의 자극편 간격내의 자계에 의한 렌즈가 어느 쪽이건간 실상 결상을 한다.
따라서, 양렌즈에 있어서의 상의 회전은 역향으로 되어, S자 왜수차 계수를 작게 할 수가 있다. 실제 계산에서는 제 2 도(ΔS/r)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SBU*-1/2가 0.45부근에 있어서 1.3% 정도의 극소치가 얻어지고 있다. 또 실험에서 이 값은 더욱 작게 되고, 0.3%정도까지 작게 된다. 한편 왜상수차는(Δr/r)2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S자 왜수차가 극소로 되어 여자조건과 거의 같은 곳에서 영(극소치)을 도시한다. 이리하여 3개의 곡선 즉 초점거리 fp2, S자수차(ΔS/r)2, 왜상수차(Δr/r)가 여자강도(SBU*-1/2) 0.4 내지 0.5 TKV-1/2(즉 0.45근방)에 있어서 전부극소치를 가지며, 따라서 각각의 값이 충분히 작은 것도 알 수 있다. 이리하여 본 발명의 특징은 3자극렌즈의 각 자극편 간격내의 렌즈의 여자조건을 상기범위에 설정함에 있다. 더우기 S자 왜수차를 작게 할 목적으로 여자조건의 하한은 더욱 낮고, SBU*-1/2이 0.35 이상이면 실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전자렌즈를 투영렌즈로서 사용하면, S자 왜수차를 현저하게 적게 할 수 있어서, 이에 의해서, 투영렌즈 필름 사이거리 (L)를 작게할 수 있고, 전자 현미경의 높이를 충분하게 낮게 할 수가 있다. 지금 L를 반문했을 경우를 생각하면, S자 왜수차 ΔS/r는 4배로 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극소치를 0.3%정도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크기는 1.2%(4×0.3)에 불과하다. 이 값은 종래의 전자현미경에 있어서 S자 왜수차가 1.5 내지 3% 정도임에 비교하면, 충분하게 작은 값인 것이다. 더구나, 초점거리 fp는 1.3내지 1.5mm에로 될 수 있기 때문에, L를 반분(예를들면 200mm 정도)하여도 충분한 확대율을 얻을 수가 있다.

Claims (1)

  1. 3개의 자극편(2)(3)(4)를 갖고, 제 2 자극편(4)의 중심에 대하여 상하 대칭인 자극편 구조로 하고, 제 1 의 자극편 간격(S1)과 제 2 의 자극편 간격(S2)에 생기는 자장의 방향이 역으로 되도록 여자한 3자극형 전자렌즈에 있어서, 상기 양자극편 간격(S1)(S2)에 생긴 자장에 의한 렌즈작용이 함께 실상결상을 행하는 조건이고, 양자극편 간격(S1)(S2)에 있어서의 기자력을 동일하게 한 경우 각 자극편 간격에 있어서의 렌즈의 여자 피라메타 S·B·U*-1/2(단 S : 자극편 간격(mm), B: 자강강도(Tesla), U* : 상대론 보정후의 가속전암(KV)로 한다)는 0.35 내지 0.5mm·T·KV)의 범위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즈.
KR1019800002032A 1980-05-23 1980-05-23 전 자 렌 즈 KR830002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032A KR830002232B1 (ko) 1980-05-23 1980-05-23 전 자 렌 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032A KR830002232B1 (ko) 1980-05-23 1980-05-23 전 자 렌 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141A KR830003141A (ko) 1983-05-31
KR830002232B1 true KR830002232B1 (ko) 1983-10-20

Family

ID=19216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032A KR830002232B1 (ko) 1980-05-23 1980-05-23 전 자 렌 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23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141A (ko) 198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mpfer Unipotential electrostatic lenses: Paraxial properties and aberrations of focal length and focal point
US10332718B1 (en) Compact deflecting magnet
JP2001516139A (ja) 電子光学系の三次球面収差の補正時に一次、二次および三次光軸の像の変形を除去する方法
US6184975B1 (en) Electrostatic device for correcting chromatic aberration in a particle-optical apparatus
US2233264A (en) Electron lens
US2486856A (en) Electron lens
JPS58129734A (ja) 複合磁界粒子ビームレンズ及び粒子ビームリソグラフィー装置
KR830002232B1 (ko) 전 자 렌 즈
Blackett et al. The measurement of the energy of cosmic rays-II—The curvature measurements and the energy spectrum
Munro et al. High‐resolution, low‐energy beams by means of mirror optics
Mulvey et al. The focal properties and aberrations of magnetic electron lenses
US4898457A (en) Optical system of television camera
Tsuno et al. Minimisation of radial and spiral distortion in electron microscopy through the use of a triple pole-piece lens
JPS5944743B2 (ja) 走査電子顕微鏡等用照射電子レンズ系
JPS6336108B2 (ko)
JPS6245662B2 (ko)
JPS6341184B2 (ko)
KR830002712B1 (ko) 전자렌즈
Ximen The electromagnetic deflection system and its aberrations
JP3491112B2 (ja) 荷電粒子線転写装置
Shao Correction of spherical aberration in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US2906879A (en) Imaging apparatus
Ximen The electron optical imaging system and its aberrations
JPH10255705A (ja) 2重対称磁気レンズおよび2段磁気レンズ系
Samuel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dii of the polepiece and the iron-shroud face tip in the design of the electron magnetic snorkel l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