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203Y1 - 고리후크(hook) 웅체(雄體)의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고리후크(hook) 웅체(雄體)의 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203Y1
KR830002203Y1 KR2019800003730U KR800003730U KR830002203Y1 KR 830002203 Y1 KR830002203 Y1 KR 830002203Y1 KR 2019800003730 U KR2019800003730 U KR 2019800003730U KR 800003730 U KR800003730 U KR 800003730U KR 830002203 Y1 KR830002203 Y1 KR 8300022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main body
seat
projections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3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392U (ko
Inventor
요시히로 칸자카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2019800003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203Y1/ko
Publication of KR8300003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3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2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2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42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deformable pro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05Fastening of press-button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29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44B13/0035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using prong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리후크(hook) 웅체(雄體)의 부착구조
제1도 내지 제9도는 고리 후크 융체의 부착구조의 실시예로서 제1도는 고리 후크 융체의 본체의정면도.
제2도는 동상의 배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Ⅳ-Ⅳ에 따른선 단면도.
제5도는 좌금(挫金)의 정면도.
제6도는 동상의 배면도.
제7도는 제6도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의 단면도(湍面圖).
제9도는 본체와 좌금을 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
본 고안은 고리 후크 웅체의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리 후크의 웅체를 피복에 부착하는 구조로서, 예를들면 실개소 51-13902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이 웅체의 기부에 설치한 돌기를 피복에 삽통하여, 이 돌기를 좌금의 윤곡부에서 되접어꺽어 굴곡시켜 웅체와 좌금을 부착시킨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조는 부착하기는 간단하지만, 후크 웅체의 회전 방지에 관하여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하는 동안에 웅체가 회전하여 웅체를 원활하게 계합시킬 수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결점을 해소시킨 것으로, 부착하기 쉽고, 또 부착한 후에는 전혀 회전하지 않는 고리후크 웅체 부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도면에서 (A)는 고리 후크 웅체의 본체(B)는 좌금이다. 상기 본체(A)는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부(1)과, 이 기판부(1)에서 굴곡부(2)를 거쳐 연장된 괘합부(3)과, 이 기판부 (1)에서 직각방향으로 꺽어서 형성된 돌기(3a)(3b)(3c)를 갖고 있다.
이 돌기(3a)(3b)(3c)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괘합부(3)의 중심점(0)를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 원주상에 형성된다. 돌기의 갯수는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로하며, 또 각 돌기의 간격을 90°이상으로하는 것이 가장좋으나, 이 이외의 갯수로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돌기(3a)(3b)사이 및 돌기(3b)(3c) 사이에는 바람직하게는 기판부(1)에서 거의 평행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 부(4a)(4b)가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플랜지부는 후술하는 좌금 주체(5)의 만곡부(9) 내단을 넘어서 연장되어있다.
상기 좌금(B)는 좌금 주체(5)와, 이 좌금 주체(5)에 감장되어 있는 장식 커버 (6)으로 이루어진 원형단추모양이다. 이 좌금 주체(5)는 완만한 테이 퍼부(7)에서 중앙부쪽으로 돌출한 돌출부(8)과 이 테이퍼(7)에서 외주를 향하여 돌출부(8)쪽 으로 만곡된 만곡부(9)를 갖고 있다. 상기 돌출부(8)의 견부(8')에서 테이퍼부(7)을 덮고 있어 이 테이퍼부(7) 표면에 약간 부풀어 오른 돌기부(10)이 복수개소에 형성됨으로써 이 돌기부(10) 사이에 상기 돌기(3a)(3b)(3c)에 대응하는 요부(11a)(11b)(11c)가 테이퍼부(7) 표면에 형성된다. (제6도 참조).
상기 요부(11a)(11b)(11c)와 각 돌기(3a)(3b)(3c)의 위치는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도 좋으나 본체(A)가 회전하지 않도록 각돌기(3a)(3b)(3c)중 적어도 한 측연이 계지될 수 있는 위치에 돌기부(10)를 배치하는 것이좋다. 제8도의 예에서는 돌기(3a)(3c)와 돌기부(10)이 계지됨으로써 시계방향의 회전이 방지되며, 돌기(3b)와 돌기부(10)이 계지하여 반시계방향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12)는 장식 커버(6)의 표면에 형성된 장식무늬, (13)은 장식 커버(6)외 주에 돌설된 위치 결정편(片)이다. 제9도는 상기 본체(A)와 좌금(B)를 조합시켜 피복 (14)에 부착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본체(A)의 돌기(3a)(3b)(3c)를 피복(14)에 삽통시킴과 동시에 각돌기(3a)(3b)(3c)를 각각 좌금(B)의 요부(11a)(11b)(11c)에 일치시킨다음 서로 압압시킴으로써 각돌기(3a)(3b)(3c)가 테이퍼부(7) 표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만곡부(9)에서 안쪽으로 만곡되면서 계지되고, 본체(A)와 좌금(B)는 피복(14)을 사이에두고 일체로 조합된다. 조합시킨 상태에서 각돌기(3a)(3b)(3c)는 각 돌기부(10) 사이의 요부(11a)(11b)(11c)로 들어가며 각돌기부(10)에서 측연이 계지되기 때문에 본체(A)가 좌금(B)에 대하여 미끄러지면서 회전하는 것이 방지 된다.
본체(A)의 기판부(1)에 형성된 플랜지부(4a)(4b)는 피복(14)을 이면에 접하게함으로써 본체(A)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플랜지부(4a)(4b)는 제2도와 같이 돌기(3a)(3b) 사이 및 (3b)(3c) 사이의 2개소에 돌설되어 있기 때문에 종방향(제9도의 지면과 직각방향), 횡방향(지면의 상하방향). 그밖의 어느방향으로 흔들리는 것도 유효하게 방지된다. 그리고 또 좌금주체(5)의 만곡부(9)의 내단과이 내단을 지나 연장하고 있는 복수개의 플랜지 및 후크 웅체본체의 기판부(1)의 굴곡부(2) 측과의 사이에 피복(14)를 협지하고 있기 때문에 후크는 피복(14)에 대해서 종횡 방향으로 안정하게 부착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좌금의 테이퍼부에 복수개의 돌기부를 형성하고 각돌기부간의 요부에 돌기를 배치했기 때문에 각돌기의 측면이 돌기부에서 계지되고 고리 후크 웅체의 본체가 회전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또 본체와 좌금이 서로 압압하는 것만으로써 돌기가 좌금의 만곡부에서 만곡계지되기 때문에, 부착이 간단하며 빼내는 방향의 강도도 크다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기판부에 돌설된 복수개의 돌기를 가지고 있는 본체와; 테이퍼부에서 중앙쪽으로 돌출한 돌출부 및 상기 테이퍼부에서 외주를 향하여 돌출부쪽으로 만곡된 만곡부를 갖고 있으며, 또 상기 테이퍼부 표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좌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 기판부에는 상기 좌금의 만곡부 내단을 지나 연장하고 있는 복수개의 플랜지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본체의 돌기를 피복에 삽통시켜 좌금의 상기 각 돌기부 사이의 요부에 일치시켜 상기 만곡부 내주에 만곡계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후크 웅체의 부착구조.
KR2019800003730U 1980-06-11 1980-06-11 고리후크(hook) 웅체(雄體)의 부착구조 KR8300022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3730U KR830002203Y1 (ko) 1980-06-11 1980-06-11 고리후크(hook) 웅체(雄體)의 부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3730U KR830002203Y1 (ko) 1980-06-11 1980-06-11 고리후크(hook) 웅체(雄體)의 부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92U KR830000392U (ko) 1983-06-17
KR830002203Y1 true KR830002203Y1 (ko) 1983-10-19

Family

ID=19217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3730U KR830002203Y1 (ko) 1980-06-11 1980-06-11 고리후크(hook) 웅체(雄體)의 부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20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92U (ko) 198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02203Y1 (ko) 고리후크(hook) 웅체(雄體)의 부착구조
JPS62137246U (ko)
JPH0215902Y2 (ko)
JPH046427Y2 (ko)
JPH0336272Y2 (ko)
JPS6130361Y2 (ko)
JPS6026846Y2 (ja) トリガ−式噴霧器
JPS5934330Y2 (ja) 時計バンド
JPH0117685Y2 (ko)
JPS6234517Y2 (ko)
JPH0743816Y2 (ja) テ−プリ−ル
JPH0750964Y2 (ja) 尾 錠
JPS5891904U (ja) 身障者用靴
JPS631169U (ko)
JPH01166889U (ko)
JPS6430621U (ko)
JPS63176259U (ko)
JPS622612U (ko)
JPS60138089U (ja) ホ−スバンド
JPS6157411U (ko)
JPS62118827U (ko)
JPS638488U (ko)
JPS6180959U (ko)
JPH02139417U (ko)
JPH0479511U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