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196Y1 -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동전달기구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동전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196Y1
KR830002196Y1 KR2019800000215U KR800000215U KR830002196Y1 KR 830002196 Y1 KR830002196 Y1 KR 830002196Y1 KR 2019800000215 U KR2019800000215 U KR 2019800000215U KR 800000215 U KR800000215 U KR 800000215U KR 830002196 Y1 KR830002196 Y1 KR 8300021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ler
lever
tape recorder
tape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0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쓰히꼬 쓰찌아
미끼오 오까
Original Assignee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00000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1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1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1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동전달기구
제1도는 종래형의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동력 전달기구를 나타내는 이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이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동작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소형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동력전달기구, 특히 아이들러를 포함하는 구동력전달기구의 개량구조에 관한 것이다. 초소형(超小形)의 카세트 테이프를 사용하는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가 개발되어 시판되도록 되었다. 이 테이프 레코오더의 테이프 구동기구는 여러종류 있지만, 다음에 설명하는 것같은 기구가 일반적이다. 즉,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우터(1)의 회전력은 벨트(2)에 의해 플라이휠(3)에 전달되고 이 플라이휠(3)에서 아이들러(4)를 거쳐 권취(卷取)릴(5)에 전달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플레이동작, 녹음동작, 빨리보내기(早送)동작이 행해지고, 되감기(rew ind)동작이 행해졌을 때만 아이들러(4)는 플라이휠(3) 및 권취릴(5)에서 떨어진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테이프 레코오더는 동작정지 중에도 인장스프링(6)에 의해 아이들러(4)가 플라이휠(3) 및 권취릴(5)에 압접(壓接)되어 있다. 이 때문에 테이프 레코오더를 장시간 동작정지시켜 놓으면, 고무제인 아이들러(4)의 주위가 변형하여 테이프 레코오더의 동작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못하는 일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개선하는 신규의 고안으로서, 그 목적은 모우터의 구동력을 아이들러를 거쳐 테이프 권취기구에 전달하는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테이프 레코오더의 사용시에만 아이들러를 플라이휠과 권취릴간에 압접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동기구의주요부를 나타내는 이면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7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빨리보내기되감기 레버이고, 제2도는 중립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테이프 레코오더가 정지상태이고, 제2도의 상태에서 왼쪽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빨리보내기 동작이 행하여 짐과 함께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위치결정 장치에 의해 빨리보내기로 유지되고, 오른쪽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되감기동작이 행하여짐과 함께 위치결정장치에 의해 되감기위치로 유지된다.
8은 플레이 레버이다.플레이 레버(8)는 빨리보내기되감기레버(7)와 직교(直交)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또한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넣는 위치로 로크(loc k)되어 주지의 재생동작이 행하여진다.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은 스톱레버를 동작시키면 그 로크는 벗겨진, 복귀스프링의 힘으로 제2도의 상태로 돌아온다. 플레이 레버(8)에는 헤드베이스(8a)가 설치되고, 그위에 녹음, 재생헤드(8b)가 취부되어 있다. 9는 핀치로울러 브레킷으로서, 일단을 샤시에 추착(樞着)시키고, 타단에 화치로울러(10)가 추착되어 있다. 또, 핀치로울러 브레킷(9)은 플레이레버(8)과 연결되어 있어 플레이레버(8)가압 압로크되면 핀치로울러 브래킷(9)은 제2도의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핀치로울러(10)는 플라이휠 (3)과 동측상태로 설치되며, 이것과 회전을 함께하는 캡스턴(11)에 압접된다.
12는 플라이휠(3)과 동축상태로 샤시에 추착된 REW레버이다. REW레버(12)는 3개의 아암(12a), (12b), (12c)을 갖는다. 아암(12a)의 선단은 절곡되어, 빨래보내기되감기레버(7)에 설치된 각공(角孔)(7a)에 감합(嵌合)되어 있다. 아암(12b)의 선단에는 아암리프터핀(12d)이 돌설되고, 이 아암리프터핀(12d)은 핀치로울러 브래킷( 9)과 접촉하며, 이 핀치로울러 브래킷(9)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할때 이것에 눌러 RE W레버(12)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아암(12c)에는 돌기(12e)가 설치되어 U자형 스프링(13)의 선단이 폐지되어 있다.
그리고 U자형 스프링(13)은 REW레버(12)를 반시계방향으로 바이어스하고 있다. 14도 U자형 스피링이다. 아이들러(4)는 아이들러밭침(4a)에 추착되어 있고, 아이들러받침(4a)은 슬릿(15)에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샤시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U자형 스프링(140에 의해 아암(12C)방향으로 눌러져 적당히 아암(12C)과 U자형 스프링 (14)에 협지된 것같은 상태로 되어있고,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레코오더가 정지되어 있을때 아이들러(4)의 외주는 어느 부품과도 접촉하지 않는다.
다음에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코 레프오더가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 제3도에 타나낸 바와 이같 플레이레버(8)를 누르면, 녹음재생헤드(8b)가 전진해서 테이프와 접촉함과 함께, 핀치로울러 브래킷(9)이 회동하고 회동을 시작한 캡스턴(11)에 핀치로울러(10)를 눌러 핀치로울러(10)와 캡스턴(11)과의 사이에 테이프를 협지하여 테이프를 주행시켜 재생동작을 행한다.
한편, 플레이레버(8)에 눌려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 핀치로울러 브래킷(9)은 R EW레버(12)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REW레버(12)가 회동하면 아암(12C)은 아이들러받침(4a)의 압압을 중지하므로 아이들어의 외주에 접촉시킨다. 이 때문에 아이들러(4)의 회전력은 아이들러(4)를 거쳐 권취릴(5)에 전달되어 캡스턴(11)에 의해 보내져 오는 테이프를 권취(卷取)한다.
그리고, 녹음시에는 플레이레버(8)와 함께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녹음레버도 압압동작되지만 아이들러(4)이 움직임은 상술한 재생시와 다름없다. 되감기동작을 행하기 위해, 제2도의 상태에서 빨리보내기되감기레버(7)를 오른쪽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이 레버만이 오른쪽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되감기스위치가 작용하여 테이프의 되감기동작이 행하여진다. 빨리보내기 동작을 하기 위하여 제2도의 상태에서 빨리보내기 레버(7)를 왼쪽방향으로 이동시키면, REW레버(12)의 아암(12a)선단이 각공(7a)의 우측으로 눌려지고,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REW레버 (12)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REW레버(12)가 회동하면 아암(12C)은 아이들러받침(4a)의 압압을 중지하므로 아이들러받침(4a)은 U자형 스프링(14)에 눌려 슬릿(1 5)내를 이동하여 아이들러(4)를 권치릴(5)과 플라이휠(3)의 외주에 접촉시킨다.
한편, 빨리보내기되감기레버(7)의 좌측에로의 이동에 의해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스위치가 작용하고, 테이프 구동용 모우터는 속도제어장치에서 떨어져나가 고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문에 재생시 혹은 녹음동작시에 비해 고속회전하고, 그 회전은 아이들러(3)에 전해지며, 그리고 아이들러(3)를 거쳐 권취릴(5)에 전해져 테이프를 급속히 권취한다.
그리고 권취동작을 행하는 경우는 핀치로울러(10)와 캡스터(11)을 접촉시킬 필요도 없고, 또 녹음재생헤드(8b)도 전진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들은 제2도에 나타낸 위치에 머문다. 큐우동작을 행하는 경우는, 제3도에 나타낸 재생상태에서 빨리보내기되감기레버(7)를 왼쪽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모우터의 회전을 빠르게 하면 좋다. 또, 레뷰동작을 행하는 경우는, 제3도의 상태에서 빨리보내기되감기레버(7)를 오른쪽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각공(7a)의 좌측에서 REW레버(12)의 아암(12a)선단을 눌러 REW레버(1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아이들러(4)를 권취릴(5)과 플라이휠(3)로부터 끌어 떼어 놓음과 함께 핀치로울러 브래킷(9)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캡스턴(11)에서 핀치로울러(10)를 끌어 떼어 놓는다. 또, 빨리보내기되김기레버(7)가 오른쪽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면모우터는 고속으로 역회전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테이프 레코오더가 정지되고 있을 때에는 아이들러가 플라이휠 및 권취릴에서 항상 떨어져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아이들러의 외주가 변형하는 것같은 좋지못한 상태는 일어나지 않는다.
또, 정지중에는 아이들러가 분리되어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므로 아이들러를 구성하는 고무재로서 종래보다도 부드럽고 마찰계수가 큰 것을 선택할 수 있어 회전력의 전달력이 종래의 것보다 확실하게 행하여진다.
이외에 정지중에 아이들러를 권취릴 및 플라이휠에서 끌어 떼어 놓기 위한 구성도 종래의 구성을 약간 변형한 정도로 충분한 등의 효과도 있다.

Claims (1)

  1. 모우터의 구동력을 아이들러(4)를 거쳐 테이프 권취릴(5)에 전달하는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 테이프 레코오더를 조작하는 레버(7), (8)에 의해 회동되어 테이프 레코오더가 정지중에는 아이들러를 어느 쪽으로도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편위(偏位)되게 하는 REW레버기구(12)를 설치하고, 레버(7), (8)의 조작에 의해 테이프 레코오더를 조작할때 이 레버(7), (8)가 REW레버(12)를 회동하게 하여 아이들러(4)를 테이프 권취릴(5)과 회전구동원인 캡스턴(11)간에 개재시켜 모우터의 회전력을 테이프 권취릴( 5)에 전달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동전달기구.
KR2019800000215U 1980-01-15 1980-01-15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동전달기구 KR8300021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215U KR830002196Y1 (ko) 1980-01-15 1980-01-15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동전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215U KR830002196Y1 (ko) 1980-01-15 1980-01-15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동전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196Y1 true KR830002196Y1 (ko) 1983-10-17

Family

ID=19215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0215U KR830002196Y1 (ko) 1980-01-15 1980-01-15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동전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1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93186A (en) Magnetic recorder with movable head base
US4611251A (en) Transmission change-over mechanism for selectively driving automatic-loading and tape-operation means in 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GB2071900A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4437129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enabling tape transport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US5448431A (en) Tape tension adjusting device including a movable chassis carrying a rotatable arm which is adapted to engage a stop pin on a stationary chassis
KR880003724Y1 (ko) 진동 아이들러 기구
US2590665A (en) Stopping device for tape in magnetic recorders
US3918660A (en) Brake mechanism for magnetic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830002196Y1 (ko)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동전달기구
JPS5936340B2 (ja) 磁気再生装置
JPH05174453A (ja) 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テープテンション機構
JPS6128271Y2 (ko)
JPS6120679Y2 (ko)
JP295473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カム操作機構
US4300735A (en) Tape recorder
JP2538469Y2 (ja) リール台ソフトブレーキ装置
JP2501781Y2 (ja) テ―プガイド機構
JPH0216437Y2 (ko)
JPS626600Y2 (ko)
JPH0426989Y2 (ko)
JPH0421262B2 (ko)
JPH0430676Y2 (ko)
KR910000148Y1 (ko) 브이씨알의 고속서치를 위한 테이프 로딩장치
JPH0521712Y2 (ko)
JPH0521711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