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111B1 - 수치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수치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111B1
KR830002111B1 KR1019800003478A KR800003478A KR830002111B1 KR 830002111 B1 KR830002111 B1 KR 830002111B1 KR 1019800003478 A KR1019800003478 A KR 1019800003478A KR 800003478 A KR800003478 A KR 800003478A KR 830002111 B1 KR830002111 B1 KR 830002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ddress
numerical control
machin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3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759A (ko
Inventor
료오지 이마제끼
Original Assignee
후지쓰후아낙크 가부시끼가이샤
이나바 세이우에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후아낙크 가부시끼가이샤, 이나바 세이우에몽 filed Critical 후지쓰후아낙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3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111B1/ko
Publication of KR830003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치제어 방법
제1도는 종래의 수치제어 방법의 블록 다이어그램.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제1실시예의 블록 다이어그램.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의 블록 다이어그램.
본 발명은 수치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계와 수치제어장치 사이의 케이블 본수(本數)를 감소시킬수 있는 수치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작기계, 로보트 등의 기계와 수치제어 장치를 형성한 수치제어 방법에 있어서는 그 기계와 수치제어 장치 사이에서 서로 데이터 수수(授受)를 행하면서 소망의 가공제어나 또는 로보트서어비스 제어가 행해진다. 예를들면 가공 데이커가 천공되어 있는 종이 테이프등으로부터 보조기능 명령(M 기능명령), 공구교환명령(T 기능명령) 또는 주축 회전속도명령(S 기능명령)등이 지령되면 NC는 기계측에 이들 명령을 송출함과 동시에 이들 명령에 따라서 소정의 계산기 등 기계소자를 동작시키며, 그 명령에 따른 기게 동작의 완료에 의하여 NC에 동작 완료신호(FIN)를 전송한다. 또, 기계측에는 과 이동(over-travel) 검출용 리미트등 각종 리미트 스위치와 감지기등이 장착되는데, 이들 리미트 스위치, 감지기등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NC에 송출되면 이에 의하여 NC는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NC와 기계측 사이는 대단히 많은 데이터 전송용 케이블에 의하여 결합되어 배선이 번잡함과 동시에 제조원자가 높은 결점이 있었다. 특히, 기계와 NC 사이의 거리가 길어질때에는 더 많은 결점이 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와 수치제어 장치 사이를 접속하는 케이블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수치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계와 수치제어 장치 사이에 서로 데이터를 비트직렬(bit-serial manner)로 전송할 수 있는 수치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계와 수치제어 장치 사이의 케이블 본수를 감소시켜 염가의 수치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코우드 회로(Decoder circuit)를 기계측에 형성하여 그 디코우드 회로에 대하여 수치제어 장치로부터 송출되어 온 어드레스 신호 또는 기계측에서 발생한 어드레스 신호를 해독하고, 그 해독 결과에 따라 수치제어 장치로부터 송출되어 온 데이터를 소정의 회로에 출력하여 소정의 기계제어를 행할 수 있는 수치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메모리에 직접 접근하여 그 메모리에 직접 데이터의 판독, 기록이 가능한 직접 메모리 접근 제어기를 형성하고 모선의 공 시간(Vacant time)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수치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수치제어 방식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예시한 것으로, 예시부호 1은 NC로서 컴퓨터가 구비된 수치제어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CPU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의 처리장치로서 제어 프로그램 및 가공 프로그램에 따라서 소정의 수치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MEM은 메모리로서, 가감속의 시정수등의 매개변수 및 공구의 현재위치 등을 기억하는 영역, 제어 프로그램 기억영역, 기계측으로부터 송출되는 접점 신호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등을 기억하는 영역등을 갖고 있다. PT는 가공 프로그램이 천공된 종이테이프, TR은 종이 테이프판독기, ITP는 펄스 분배기로써 종이 테이프 판독기(TR)로 부터 판독된 이송속도 지령치, X축 및 Y축 방향 이동지령치 X,Y가 각각 입력되어 공지의 펄스분배 연산을 실행하여 분배펄스 Xp,Xp를 출력한다. DI는 데이터 입력회로로써 기계측으로부터 송출되어 오는 각종 리미트 스위치와 릴레이 접점등의 신호를 수신받는 리시이버(R1∼Rn)와, AND게이트 회로(G1∼Gn)와, 어드레스 신호를 해독하여 소정의 AND게이트를 여는 디코우드(DEC1)를 형성하고 있다. DO는 데이터 출력회로로서 BCD 2단 (8비트)의 T기능명령, CDB 2단의 S 기능명령, BCD 2단의 T기능명령등을 기억하는 다수의 래치회로(L1∼Lm)와, 상기 각 래치회로(L1∼Lm)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각 래치의 출력신호를 기계측에 송출하는 드라이버(D1∼Dm)와, 어드레스 신호를 해독하여 소정의 래치를 세트, 리세트 가능하게 하는 디코우더 (DEC2)를 형성하고 있다, CBUS는 제어신호 수수용의 제어신호 모선, ABUS는 어드레스신호 전송용 어드레스 모선, DBUS는 데이터 전송용 데이터 모선, 111∼112, 121∼12n, 131∼13m는 각각 NC와 기계측 사이에 접속되어 데이터 수수를 행하는 케이블, 2는 공작기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SVX, SVY는 각각 서어보제어 회로로서 분배펄스 Xp,Yp를 입력하여 서어보 모우터(MX)(MY)를 각각 구동시킨다. RC1∼RCn은 릴레이 접점으로 도시하지 않은 ±X, ±Y 방향과 과 이동 리미트 스위치, 감속 리미트 스위치 등의 "온"/"오프"에 따라 개폐하고, NC의 리시이버(R1∼Rn)에 케이블(121∼12n)을 통하여 송출한다. RL1∼RLn는 릴레이로서 NC의 드라이버 회로(D1∼Dm)의 출력에 따라 동작하여 주축 회전제어, 주축 속도제어, 공구 교환제어 등 각종 기계제어를 행한다.
이하 제1도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종이 테이프(PT)에는 다수의 블록으로써 된 가공 프로그램이 천공, 기록되어 있다. 종이 테이프 판독기(TR)에 의하여 위치지령정보 (이송속도 F, 위치정보 X,Y)가 천공된 블록이 판독되면 이들 F,X,Y는 펄스 분배기(ITP)에 입력된다. 펄스 분배기(ITP)는 공지의 펄스 분배연산을 실행하여 그 출력펄스(Xp)(Yp)를 케이블(111∼112)을 통하여 기계측측의 서어보 제어회로 (SVX)(SVY)에 출력하여 모우터(MX)(MY)를 구동시켜 공구, 테이블의 가동부를 지령대로 이동 제어한다.
한편, 종이 테이프 판독기(TR)에 의하여 종이 테이프(PT)로부터 판독된 블록 정보가 이를테면, M기능명령 "MO3" (S,T기능 명령이어도 같다) 이면 처리장치는 M기능명령에 따른 어드레스 신호 AD(m)를 어드레스 모선(ABUS)에 송출하며, 또 제어신호 모선(CBUS)을 통하여 디코우드(DEC2)만이 동작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데이터 모선(DBUS)에 "3" (0000 0011)을 송출한다. 어드레스 신호 AD(m)는 디코우더(DEC2)에 의하여 해독되며, M기능명령 BCD 2단 (8비트)을 기억할 8개의 래치(L∼L)만이 세트, 리세트 가능상태로 된다.
이에의하여 데이터 모선(DBUS)상의 데이터 "3" (0000 0011)이 래치(L1∼L8)에 세트되면 (L1, L2가 세트, L3∼L8은 리세트) 케이블(131∼138)을 통하여 기계측(2)에 송출되며, 릴레이(RL1∼RL8)가 "온", "오프"제어된다. 따라서 "MO3"이 이를테면 냉각제를 "온" 하는 보조기능 명령이면 공작기계(2)는 냉각제를 "온"하게 된다.
또, 공작기계(2)로부터 NC(1)에 송출되는 릴레이 접점(RC1∼RCn) 신호의 판독은 다음과 같이 행한다. 메모리(MEM)의 어드레스 기억 영역에는 릴레이 접점(RC, RC...RC) 신호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AD(rC1), AD(rC2)...AD(rCn)이 순차로 기억되어 있다. NC의 가동개시에 의하여 각 모선의 공 시간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CPU)는 순차로 어드레스(AD(rC1), AD(rC2)......AD(rCn)을 판독하여 어드레스 모선(ABUS)에 송출함과 동시에 제어신호 모선(CBUS)을 통하여 제어신호를 송출하며, 디코우드(DEC1)만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어드레스 모선(ABUS)에 어드레스 AD(rC1)가 나타나면 AND게이트 (G1)만이 열리며, 릴레이 접점(RC1)의 신호가 선(121, 리시이버 (R1),AND 게이트 (G1)와 데이터 모선(DBUS)을 통해 마이크로 프로세서(CPU)에 인가되어 그 접점 신호에 따라서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이와같은 방법에 의하여 릴레이 접점(C2, RC3......RCn)의 신호가 마이크로 프로세서(CPU)에서 릴레이 접점(RCn)의 신호의 판독이 종료하면 다시 RC1, RC2......의 신호를 판독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상술한 것은 접점 신호를 1개씩 판독하였지만 하나의 어드레스에 대하여 복수개의 어드레스 게이트를 열도록 하여 복수의 접점신호를 일시에 판독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수치제어 방법에 있어서는 공작기계(2)와 NC의 한칸은 다수의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배선의 복잡성, 제조원가가 높은 점등을 초래하였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제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회로의 블록 다이어그램으로써, 상술한 제1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예시부호를 병기하였고 이에 대한 상세하 설명은 약한다.
상기 도면중 예시부호 INFN은 NC에 내장된 인터페이스 회로를 표시한 것으로써 병렬정보를 직렬정보로 변환(이하 PS변환이라 칭함)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공작기계측으로부터 비트직렬로 전송되어온 직렬정보를 병렬정보로 변환(이하 SP변환이라 칭함)하는 변환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DMAC는 메모리(MEM)에 직접 접근하여 그 메모리 데이터의 판독/기록할 수 있는 주지의 직접 메모리 접근 제어기(DMAC)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CPU)로 부터의 명령에 의하여 동작한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CPU)에 의하여 메모리MEM)의 소정의 어드레스로부터 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하라는 명령이 발하면 상기 DMAC는 모선의 공 시간을 이용하여 직접 메모리(MEM)의 소정의 어드레스로부터 1바아트씩 사이클링에 기억내용을 판독하여 인터페이스회로 (INFN)에 입력한다. LN은 케이블로서 공작기계(2)와 수치제어장치 (1)의 한칸에서 이 케이블 (LN)을 통하여 데이터의 전송이 행해진다.
INFM은 공작기계(2)에 내장된 인터페이스 회로로서 수치제어 장치(1) 내의 내장된 인터페이스 회로(INPN)와 같이 PS변환 및 SP변환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예시문자 MBUSM, ABUSM, DBUSM은 각각 기계측의 제어신호 모선, 어드레스 모선, 데이터모선을 각각 표시한 것이다.
그런데, 제2도의 수치제어 방법은 ①케이블(111)(112)을 고려하지 않으면 수치제어 장치(1)와 공작기계(2) 사이가 1본의 케이블(LN)에 의하여 연결되며, 그 케이블(LN)을 통하여 데이터의 수수가 행해지며 ②수치제어 장치(1)와 공작기계(2)에 인터페이스 회로(INFN)(INFM)가 형성되어 있다. ③데이터 입력회로(DI) 및 데이터 출력회로(DO)가 공작기계(2)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 았어서 제1도의 종래의 수치제어 방법과 상이하다.
이하 제2도의 수치제어 방법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이 테이프 판독기(TR)에 의하여 M기능명령 "MO" (S,T 기능명령이라도 같다) 이 종이 테이프(PT)로부터 티독되면 그 BCD 2단의 "3"은 메모리(MEM)의 M기능 BCD 2단을 기억할 소정의 어드레스에 기억된다.
한편 직접 메모리 접근 제어기(DMAC)는 마이크로 프로세서(CPU)에 의하여 어드레스 AD1로부터 ADN까지 N바이트의 정보를 순차로 사이클링에 판독하도록 지령되어 있으므로 각 모선(CBUS)(ABUS)(DBUS)의 공시간을 이용하여 순차로 메모리(MEM)로부터 기억내용을 판독하여 인터페이스회로(INFN)에 입력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테면 메모리(MEM)에 있어서의 소정의 어드레스 ADi(i=1.2...N)에 디코우더(DEC2)만이 동작하도록 지령하는 제어신호와 M기능의 어드레스AD(m)와 BCD 2단 "3"을 지시하는 데이터를 각각 기억하여 두면 [또한 상기 제어신호, 어드레스 AD(m), BCD 2단을 각각 다른 어드레스에 기억하여 두어도 무방함] 직접 메모리 접근 제어기(DMAC)에 의하여 메모리(MEM)의 어드레스 AD로부터 상기 제어신호와 어드레스 AD(m)와 데이터(BCD 2던 "3")가 판독되어 데이터 모선(DBUS)을 통하여 인터페이스회로(INFN)에 입력된다. 인터페이스 회로(INFN)는 메모리(MEM)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PS변환하여 비트 직렬로 케이블(LN)을 통하여 공작기계(2)의 인터페이스 회로(INFN)에 전송한다. 기계측의 인터페이스 회로(INFN)는 직렬비트로 송출되어온 상기 제어신호, 어드레스 및 데이터로써 된 직렬정보를 SP 변환하여 병렬정보로 변환하고 제어신호를 제어신호 모선(CBUSM)에 송출한다. 이에 의하여 디코우더(DEC)만이 해ㄷ고 가능 상태가 되며, 어드레스AD(m)를 해독하여 M기능의 2단 (8비트)을 기억할 래치(L∼L)만이 "세트"/"리세트" 가능상태로 된다. 따라서 BCD 2단의 데이터 "3"에 의하여 래치 L1과 L2가 세트, L3∼L8이 리세트되며 드라이버(D1∼D8)를 통하여 릴레이 RL1과 RL2가 "온"되고, RL3∼RL8이 "오프"되어 "MO3"에 따른 공작 기계동작, 이를테면 냉각제가 "온"된다.
이상은 수치제어 장치(1)로부터 공작기계(2)에 M,S,T 기능명령등을 송출하는 경우이지만 다음에 공작기계(2)로부터 리미트 스위치등의 접점신호를 판독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릴레이 접점(RC1∼RC3)의 "온"/"오프"를 판독하는 경우 메모리(MEM)의 소정의 어드레스(ADj)에 디코우더(DEC1)만이 동작하도록 지령하는 제어신호와 릴레이 접점(RC1∼RC8)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정보 AD(rC18)를 기억하여 두는 [제어신호와 어드레스 AD(rC18)를 각각 다른 어드레스에 기억하여 두어도 무방함] 직접 메모리 접근 제어기(DMAC)는 메모리(MEM)의 어드레스(ADj)로부터 제어신호와 어드레스 정보 AD(rC)를 판독하여 데이터 모선을 통하여 인터페이스 회로(INFN)에 입력한다. INFN은 제어신호와 어드레스 AD(rC18)를 PS변환하여 직렬비트로 케이블(LN)을 통하여 공작기계(2)의 인터페이스 회로(INFN)에 전송한다. 인터페이스 회로(INFN)는 직렬비트로 보내져온 제어신호와 어드레스 정보 AD(rC18)를 SP변환하며, 제어신호를 제어신호 모선(CBUSM)에 어드레스 정보를 어드레스 모선(ABUSM)에 각각 송출한다. 이에 의하여 디코우터(DEC)만이 해독가능 상태로 되어 어드레스 AD(rC18)를 해독하여 AND 게이트(G1∼G8)를 연다. 이에 의하여 릴레이 접점(RC1∼RC8)은 "온"/"오프" 상태가 데이터 모선(DBUSM)에 송출된다. 인터페이스 회로(INFM)는 8비트의 접점신호(데이터)를 받으면 이를 PS 변환하여 직렬비트로 케이블(LN)을 통하여 수치제어 장치(1)의 인터페이스 회로(INFN)에 송출한다. 수치제어 장치측의 인터페이스회로(INFN)는 직렬비트로 보내져 온 데이터를 SP변환하여 데이터모선(DBUS)을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CPU)에 인입시킨다. 이후 이와같은 방법에 의하여 릴레이 접점(RC9∼RCn)의 판독을 행하면 전 접점신호가 수치제어 장치(1)에서 판독되게 된다.
제2도에 있어서 메모리(MEM)의 소정의 어드레스에 제어신호, 어드레스 데이터를 기억시킨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제어신호, 어드레스 데이터를 각각 다른 어드레스에 기억하여 두고 순차로 제어신호, 어드레스 데이터를 판독하여 공작기계측에 직렬비트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케이블(LN)을 1본 형성하여 그 케이블을 통하여 제어신호, 어드레스 데이터 등을 전송하도록 하였지만 3본의 케이블을 형성하여 각각의 케이블을 통하여 직렬비트로 제어신호, 어드레스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한, NC로부터 공작기계에의 케이블과 공작기계(2)로부터 수치제어 장치(1)에의 케이블을 따로따로 하여도 무방하며, 이와같이 하면 데이터 전송시간을 단출할 수가 있다. 또 제어모선(CBUS)(CBUSM)을 갖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들을 삭제하고 어드레스와 데이터만을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제2도의 실시예에서는 어드레스 신호를 수치제어 장치(1)-공작기계(2)사이에서 직렬비트로 전송하였지만 공작기계(2)에 어드레스 신호 발생회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수치제어 장치(1)로부터 공작기계(2)에 동기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어드레스 신호의 전송을 생략할 수가 있다. 즉, 메모리(MEM)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의 전송에 동기하여 상기 어드레스 신호 발생회로에 있어서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여 어드레스 신호의 전송을 생략할 수가 있다.
제3도는 공작기계 측에서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시킬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수치제어 방식의 실시예를 예시한 것으로, 도면중 제2도의 수치제어 방법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예시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약한다.
상기 도면중 SFR은 시프트 레지스터로서, 병렬 기록/판독과 직렬 기록/판독이 가능하다. GT는 시프트 레지스트에도 또는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의 데이터의 기록 및 판독을 제어하는 게이트 회로이고, TRCN은 전송회로로서 데이터의 전송에 있어서 클럭펄스 CLK를 발생함과 동시에 직접메모리 접근 제어기(DMAC)(제2도 참조)의 동작에 앞서 동기신호(SYNC)를 발생한다. 또 전성제어 회로(TRCN)는 어드레스 모선(ABUS)으로부터 어드레스 신호를 수신받아 게이트신호(GS)를 발생시켜 게이트회로(GT)의 개폐제어를 행한다. SFRM은 시프트 레지스터로서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SFR)와 같이 데이터의 병렬기록/판독과 직렬기록/판독이 가능하다. BCT는 1병렬 데이터의 비트수 (8비트)와 같은 용량을 갖는 비트 카운터로서 수치제어 장치(1)로부터 송출되어 오는 클럭펄스를 계수하며, 8개의 클럭펄스(CLK)의 도래(바꿔말하면 8비트의 데이터 전송에 의하여 하나의 단 올리기 펄스 즉, 캐리어 펄스 CP)를 발생한다. ADC는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카운터로서 상기 캐리어 펄스(CP)를 계수하며, 그 계수치를 어드레스 신호로서 어드레스 모선(ABUSM)에 송출한다. 그리고, 제3도에 있어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CPU), 메모리(MEM), 직접 메모리 접근 제어기(DMAC), 펄스분배기(ITP), 테이프판독기(TR), 데이터 입력회로(DI), 데이터 출력회로(DO), 릴레이(RL1∼RLm), 릴레이 접점(RC1∼RCm)등의 예시는 생략하였음을 인식해주기 바란다.
이하 데이터 출력회로(Do)의 래치회로(L1∼L8)(제2도)를 제1어드레스, 래치회로(La∼L16)을 제2어드레스, ....래치회로(Lm7∼Lm)을 제1어드레스로하여 순차 수치제어 장치(1)로부터 기계(2)에 제1어드레스의 데이터, 제2어드레스의 데이터,... 제i어드레스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수치제어 장치(1)에 내장된 직접 메모리 접근 제어기(DMAC)(제2도 참조)에 의한 직접메모리 접근 동작에 앞서 수치제어 장치(1)의 전송 제어회로(TRCN)로부터 동기신호(SYNC)를 발생하면 그 동기신호를 케이블(L2)을 통하여 공작기게(2)에 전송하는데 이 동기신호(SYNC)는 어드레스 카운터(ADC) 및 비트 카운터(BTC)에 인가되어 이러한 카운터들이 초기 내용을 클리어한다.
그후수치제어 측에서 제2도와 같이 직접 메모리 접근제어기(DMAC)가 직접 메모리 접근 동작을 개시하며 전술한 바와같이 메모리(MEM)(제2도 참조)에 기억되는 있는 데이터를 순차로 판독하며, 시프트 레지스터(SFR)에 병렬로 기록한다. 그 다음에 이 데이터는 클릭펄스(CLK)에 의하여 1비트씩 이전하면서 데이커 케이블(L0)에 송출된다. 즉, 병렬 데이터는 직렬 데이터(DATA)로 변환되어 비트직렬로 전송되고, 직렬데이터(DATA)의 각 비트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클릭펄스(CLK)도 케이블(L1)을 통하여 송출된다.
공작기계(2)에서는 이 클럭펄스(CLK)에 의하여 전송되어온 직렬데이터(DATA)를 샘플링하여 시프트 레지스터(SFRM)에 순차로 1비트씩 이전하면서 직렬로 기록하여 SP변환을 행한다. 이와동시에 클럭펄스(CLK)는 비트 카운터(BTC)에 입력되며, 그 클럭펄스 수는 이 비트 카운터(BTC)에 의하여 계수된다. 비트 카운터(BTC)는 직렬비트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길이 (8비트)와 같은 8개의 클럭펄스를 계수하면 캐리어 펄스(CP)를 발생하며, 이에 의하여 어드레스 카운터는 1보 전진한다. 어드레스 카운터(ADC)의 1보 전진에 의하여 직렬데이터(DATA)의 SP변환이 종료하며, 어드레스 카운터(ADC)의 계수치1 (제1번지)에 대응하는 래치(L∼L)(제2도 참조)에 데이터가 시프트 래지스터(SFRM)로부터 병렬적으로 기록된다.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어드레스 카운터(ADC)의 내용은 순차로 1본 전진하며 대응하는 래치를 선택하는 제1어드레스 신호, 제2어드레스 신호....제i어드레스 신호가 2어드레스 카운터로부터 발생한다. 그리고 클럭펄스(CLK)는 동기신호(SYNC)에 의하여 공작기계(2)에서 작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송할 신호를 PS변환하여 수치제어 장치와공작기계 사이에서 직렬비트로 전송하도록 하였으므로 케이블 본수를 격감시킬 수가 있으며, 배선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제조원가도 저렴하게 할 수가 있으며, 또한 신호전송의 신뢰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어드레스에 대신하여 동기신호를 공작기계에 송출하여 어드레스 신호를 공작기계 측에서 발하도록 구성하면 데이터 전송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수치제어 장치에 직접 메모리 접근 제어기(DMAC)를 형성할 경우에는 그 제어기(DMAC)의 제어에 의하여 공작기계와 수치제어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행할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 컴퓨터(CPU)의 부하를 현저하게 경감시킬 수 있다.

Claims (1)

  1. 공작기계나 로보트 등과 같은 기계와 수치제어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수수를 행하여 기계를 제어하는 수치제어 방법에 있어서, 수치제어 장치에서 상기 기계를 제어하기 위해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직렬 데이터를 직렬비트로 전송 케이블을 통하여 송출하는 단계와, 기계측에서 그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병렬 데이터에 의하여 동작할 기계측의 회로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기계측에서 해독하는 단계와, 상기 해독 결과에 의하여 상기 회로를 동작시켜 기계에 소정의 동작을 실행시키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 방법.
KR1019800003478A 1980-09-04 1980-09-04 수치제어 방법 KR830002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3478A KR830002111B1 (ko) 1980-09-04 1980-09-04 수치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3478A KR830002111B1 (ko) 1980-09-04 1980-09-04 수치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759A KR830003759A (ko) 1983-06-22
KR830002111B1 true KR830002111B1 (ko) 1983-10-12

Family

ID=1921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3478A KR830002111B1 (ko) 1980-09-04 1980-09-04 수치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1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759A (ko) 198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8623A (en) Numerical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both a machine tool and a robot
US4034354A (en) Programmable interface controller for numerical machine systems
US4200936A (en) Asynchronous bidirectional direct serial interface linking a programmable machine function controller and a numerical control
US3470542A (en) Modular system design
US4396987A (en) Machine tool and robot control apparatus
US4368511A (en) Numerical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CN100394334C (zh) 数值控制装置
US4628442A (en) Centralized peripheral interface with a numerical control unit
US5473531A (en) Finite state machine with minimized memory requirements
US4725959A (en)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EP0137852A1 (en) Numerical control system
KR830002111B1 (ko) 수치제어 방법
US4138597A (en) PCM time slot exchange
US5274562A (en) Numerical control unit for facilitating tool change
US3753237A (en) Electronic structure for and method of random tool selection
US4071889A (en) Central process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receiving time division multiplex signals
EP00923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ladder diagrams
JPS58195902A (ja) シ−ケンスコントロ−ラ
EP0088805A1 (en) Programmable sequence controller
EP0662651B1 (en) Improved finite state machine for process control
EP0230316A2 (en) Programmable controller
US3274563A (en) Sorter system
SU74446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числового программного управлени станком
SU160521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ограммного управлени объектом
US3967245A (en) Traffic signal control device with core mem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