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094B1 - 건식배연 탈유 방법 - Google Patents

건식배연 탈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094B1
KR830002094B1 KR1019800001469A KR800001469A KR830002094B1 KR 830002094 B1 KR830002094 B1 KR 830002094B1 KR 1019800001469 A KR1019800001469 A KR 1019800001469A KR 800001469 A KR800001469 A KR 800001469A KR 830002094 B1 KR830002094 B1 KR 830002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ke
coal
gas
semi
desulfu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1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522A (ko
Inventor
노리오 아라시
유끼오 히시누마
히데도시 아끼모도
사다오 다까하시
후미도 나까지마
고미겐이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바브코쿠 히다찌 가부시기 가이샤
우에노 가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바브코쿠 히다찌 가부시기 가이샤, 우에노 가쓰지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800001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094B1/ko
Publication of KR830002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식배연 탈유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건식배연 탈황 방법을 설시하도록 설계된 탈황 플랜트의 계통도.
제2도는 반제(半製) 코오크스와 시판 활성탄과의 흡착성능의 특성도.
제3도는 흡착제의 순환을 실시하는데 있어서의 제어계통도.
제4도는 이동층식 흡착탑(脫
Figure kpo00001
塔)의 반제코오크스 이동속도와 탈황율(脫
Figure kpo00002
率)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
제5도는 이동층식 탈착탑의 탈착율과 탈착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
제6도는 흡착제 제고공정에 있어서의 각종 가스의 이용을 도모하고저 설계된 탈황플랜트의 부분 계통도.
제7도는 열중량 변화측정장치에서 측정한 반제 코오코스의 SO2가스 흡착에 의한 중량 증가율과 부활가스중의 수분농도와의 관계도면이다.
본 발명은 건식배연탈황방법(乾式排煙脫
Figure kpo00003
方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석탄을 연료로 하는 보일러, 로(
Figure kpo00004
)등으로 부터의 연소배기 가스의 정화에 알맞는 건식배연탈황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력발전소의 보일러나 화학공장으로부터의 유황함유 배기가스가공해의 원흉이되고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종래부터 여러가지의 배연방법이 검토되어왔다.
탈황 방법은 유황의 회수방식에 따라 두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배출 가수중의 유황 산화물과 흡수제(예를 들면 석회)와의 반응생성물(예를들면 석고)을 회수하는 방식이고, 또 하나는 연기 가스중의 유황 화합물을 단체(單體) 유황으로 회수하는 방식이다. 전자는 유황의 회수방법 및 장치가 극히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회수물이 다량으로 나오기 때문에 처분하는데 문제가 있다. 특히 석탄을 연료로하는 경우에는 중유를 연료로 하는 경우에 비하여 연소배기가스중에는 4~6배의 유황성분이 포함되고 있기 때문에 회수물의처리는 한층곤난 하게된다.
그러므로 회수물의 량이 적은 후자의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석탄을 연료로 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다. 단체 유황을 회수하는 방식의 탈황 방법에는 습식산화물을 흡수시켜 이 흡수액을 처리하는 것으로서 용수량(用水量)이 많아진다. 한편 후자는 배기가스중의 유황산화물을 흡착제를 사용하여 흡착제거하고 흡착후의 흡착제로부터 흡착물을 이탈시키고 다시 환원한다는 방식이므로 다량의 물은 필요치 않게된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특기 각광을 받고 있는 탈유 기술이다. 그럼에도 종래제안되었거나 사용되어온 건식배연 탈황법은 흡착제로서 종래 그 성능이 충분히 확인된 활성탄을 사용하고 있으며, 활성탄이 고가이므로 탈황플랜트에 의한 운전 원가도 높아지고 있다. 어찌되었든 석탄을 연료로 하는 배기가스는 유황분이 많으므로 사용량이 많고 흡착, 탈유의 반복에 의한 손실소모 또 석탄진애에 의한 흡착재의 막힘에 의한 열화등이 겹쳐운전원가의 증가는 불가피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성탄 대신 값싼 흡착제를 석탄으로부터 얻어, 탈황 플랜트에 있어서의 운전원가의 저하를 도모하는 데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흡착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흡착제를 사용한 흡착탑의 효과적인 운용방법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최후의 목적으로 탈황후의 흡착물을 특별한 환원제를 준비하지 않고 원소유황으로 회수하는 전체적인 건식 탈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요점은 반제 코오크스가 우수한 황산화물 흡착성능을 가지며 또 반제 코오크스는 석탄의 건류에 의하여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는데 착안하여 반제코오크스를 유황산화물의 흡착제로 사용하여 배기가스중의 유황산화물을 반제코오크스로 흡착시켜 배기가스를 정화하고, 유황 산화물을 흡착한 반제코오크스를 가열하여 고농도의 유황산화물을 취출하여 반제코오크스를 재생하고 순환사용하는데 있다. 흡착제의 원료인 석탄은 원료로 연소시키는 석탄의 일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하면 활성탄등 특별한 흡착제 또는 흡착제를 만들기위한 특별한 석탄을 연료용 석탄과 구분하여 운반할 필요가 없게된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같이 반드시 모든 석탄이 건류를 하므로서 바람직스러운 흡착성능을 갖는 반제 코오크스가 된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연료용으로 준비한 석탄과는 별도로 흡착성을 잘 발휘하는 석탄을 별도로 선택준비하여 이것을 반제코오크스화하여 흡착제로서 사용할 수가 있게된다.
또한 이 경우 반제코오크스화의 작업은 어데서 하드라도 관계없다. 또 흡착제로서 얻어진 반제코오크스는 그 용도외에 탈황플랜트에 있어서의 중요한 처리 과정의 하나인 유황 산화물의 환원에 환원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단순하게 연료로서 연소되는 석탄을 건류하여 반제코오크스로 만들므로서 반제코오크스의 일부를 유황 산화물의 흡착제로 사용하고, 일부를 원소 유황으로 변환해 사용하므로서 물을 사용하지 않고 또는 유황산화물 흡수제나 환원제를 별도로 운반할 필요가 없는 원소유황의 수형 의건식배연 탈황기수의 확립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일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배연 탈황 방법을 실시하기에 알맞는 탈황 플랜트의 계통도이다.
플랜트내에서 행해지는 공정을 대별하면 탈진 공정(100), 배연 처리공정(200), 유횡회수공정(300), 흡착제 제조공정(400)으로 구성된다.
석탄 보일(1)로의 석탄은 석탄공급관(3)에 의하여 배송(配送)되어 미분탄기(5)에서 미분화(黴粉化)된후 공급된다. 보일(1)에서 발생한 가스는 배기가스 연도(煙道)(7)에 의하여 전기 집진기(101)에서 탈진후 연도(103)을 거쳐 송풍기(201)에 의하여 송압되어 흡착탑(203)에 보내진다. 흡착탑(203)에는 흡착제 제조공정(400)에서 제조한 흡착제가 충전되어 있고, 이 충전층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유황 산화물을 제거당하고 연도(206)를 거쳐 버그(bug) 필터(105)에 의하여 다시 탈진(집진)되어 정화된 가스가 되어 연통으로부터 대기중에 방출된다. 흡착탑(203)에서 유황산화물을 흡착하여 포화상태에 달한 흡착제는 흡착제 이송관(205)으로부터 취출되어 탈리(脫離) 탑(207)에 보내진다. 탈리탑(207)에는 열가스 발생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발생된 가스가 불황성 가스 순환관(211)을 통하여 공급되어 탈리탑(207)내의 온도가 300℃~400℃로 가열되고 있다. 이결과 유황 산화물을 흡착한 흡착제로부터 농도가 높은 유황 산화물이 방출되어 관(213)으로부터 취출된다. 유황산화물이 탈된 흡착제는 흡착능력을 회복하고 분급기(分級機)(215)에 의하여 분화(粉化)된 흡착제를 제거한후 흡착제 이송관(217)을 통하여 다시 흡착탑(203)으로 되돌려진다. 여기서 분급기(215)에 의하여 제거된 분화된 흡착제는 관(219)를 거쳐 보일러(1)로 보내져 다른 연료 석탄과 함께 연소한다.
한편, 고농도 SO취출관(213)으로부터 취출된 고농도 유황산화물은 환원탑(301)로 보내진다. 환원탑(301)에는 탈황제 제조공정(400)에서 제조되는 반제 코오크스를 충전하고, 외부로부터 환원탑(301)을 가열하고, 다시 상기한 반제 코오크스의 일부를 스스로 연소시키므로서 탑내부를 600~800℃로 가열한다. 이 결과 고농도의 유황산화물은 반제 코오크스의 환원작용에 의하여 원소 유황의 증기로 절환된다. 그러나 이 단계에서 유황 산화물의 일부는 미반응인체로 남고, 다른 일부는 고농도의 유황산화물과 함께 들어간 수증기와 반응하여 유화수소가 된다. 이 가스중의 성분은 석탄의 종류 또는 그후의 조작조건에 따라 다르나 탈착탑(207)출구에서 SO229%, CO214%, H2O 57%가 되고, 환원탑(301) 출구에서 H2S 7.6%, SO21.3%, S88.2%, H2O 40.2%, H21.9%이다. 따라서 환원탑 출구 가스를 유황 증기 취출관(303)으로 취출하여 유황 응축기(305)로 보내고, 여기서 액상 유황으로서 원소 유황을 회수하는 한편, 나머지 가스를 클라 우스로(
Figure kpo00005
)(307)에 보내어 주지의 반응에 의하여 원소유황을 얻는다.
원소유황은 유황 응축기(309)에 의하여 액상 유황으로 회수되어 유황응축기(305)에서 회수된 액상 유황과함께 입상화(粒狀化)탑(311)으로 보내져 고체인 입상유황이 된다.
그런데 석탄의 일부는 미분탄기(5)에서 미분화되기전의 5~10mm정도의 입경(粒俓)을 가진 상태에서 건류용 석탄공급관(7)를 거쳐 건류로(401) 보내진다.
건류로()(401)에서는 약600~700℃로 가열되어 건류가스, 타알과 반제 코오크스가 되어 가스타알은 도관(403)으로부터 반제코오크스는 도관(405)로부터 취출된다. 반제 코오크스의 일부는 도관(407)통 하여 환원(301)탑로 보내지나. 대부분은 도관(405)를 거쳐 부활로(賦活
Figure kpo00007
)(409)로 보내진다. 부활로 에서는 도관(411) 및 도관(413)으로부터 스팀 및 공기가 공급되어 반제코오크스와 스팀의 반응을 한다. 여기서는 반제 코오크스의 산화가 진행되어 반제 코오크스에 흡착활성의 세공(細孔)이 만들어진다. 부활 반응은 약 700~900℃(에서 행한다. 부활(賦活)된 반제 코오크스는 SO2흡 착제로서 뛰어난 성능을 갖는다. 따라서 분급기(215)에서 제거한 분화한 흡착제와 같은 양을 관(415)을 통하여 부활로(409)부터 취출관(217)에 보급하여 흡착제의 총량을 유지한다.
또 건류로(401)에서 발생되어 관(403)으로부터 취출된 가스 타르중 중질(重質)인 타르분은 별도로 뽑아내어 보일러(1)로 보내져 연료로 사용되나 여는 도시하는 것을 생량한다. 가스분은 수소, 메탄이 풍부한 가스이므로 타르분과 마찬가지로 연소처리하여 열 회소를 하게되나 필요에 따라 공지인 리호머에 의하여 다시 수소가 풍부한 가스로 전환되어 환원 탑(301)로 보내 환원제로 사용해도 된다. 이것도 도시하는 것을 생량한다. 또 부활로(409)에서는 반제코오크스중의 탄소의 일부가스팀과 산소에 의하여 가스화되기 때문에 수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가 풍부한 가스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여기서 발생한 가스도 건류 가스와 마찬가지로 보일러(1)로 보낸다든가 별도 계통내의 연소기로 연소시커거나 하여 처리와열 회수가 행해진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흡착제로 사용되는 반제 코오크스는 전량이 부활(賦活)공정을 거친것이다. 그렇지만 이미 알려진 바와같이 배출가스중에는 다량의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으며 산소도 있다. 따라서 흡착제로서 부활되지 않는 반제코오크스를 사용해도 흡착탑(203)에서 배출가스와의 접촉으로 부활된 것과 동일한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발명자가 얻으려고하는 것도 부활공정을 거친 반제 코오크스는 흡착성능은 사용에 의하여 열화되어 가는 것 뿐인데 대하여 단지 건류만한 반제 코오크스는 사용과 함께 흡착성능이 향상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석탄의 종류에 따라 예를들면 건류만을 한 정도로 흡착성능을 얻으려고 하는 경우에는 부활공정을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제1표 및 제2표는 상기탈황 플랜트를 사용한 석탄화력 발전소의 열평형 및 석탄의 평형을 나타낸다. 본 탈황 플랜트에 있어서의 열과 석탄의 주된 소비부분은 환원로(
Figure kpo00008
)에서의 소모이며 발전소 전체의 열과 석탄의 유효이용률은 97%~98%에 달한다.
따라서 종래의 습식탈황법에서 아프터 버너를 사용하는 경우등과 비교했을 경우 현저하게 유리하다. 또본 플랜트로부터 회수되는 부산물은 유황이라는 점 예를들면 석고가 부산물인 경우에 비하여 그 출고량이 약 1/5정도가 되는 효과를 가져오며 또 배수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효과가 있다.
[제1표]
Figure kpo00009
[제2표]
Figure kpo00010
앞서 말한 바와같이 부활을 실시한 반제코오크스는 초기활성은 시판활성탄에 비하여 우수하나, 어떤 흡착시간을 경과하면 흡착활성은 급격하게 열화한다. 이러한 상태를 제2도에 나타낸다. 도중(i)은 반제 코오크스(ii)는 시판 활성탄의 경향을 나타낸다. 예를들면 대략의 포화흡착량으로 비교하면 반제코오크스는 시판활성탄의 약 1/4~1/3이 된다. 또 부활을 시키지 않은 반제 코오크스인 경우 초기 활성이 낮고 포화 흡착량도 적다. 그러므로 반제 코오크스를 사용하여 SO2를 흡착시키는데는 고정층에서는 흡착 재생의 반복이 빈번해지므로 이동층식탈황탑 또는 유동층식 탈황탑의 형식이 불가피하게 된다. 그러나 반제 코오크스는 분화되기 쉬우므로 유동층식탈 황탑을 사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있다. 흡착제의 분화는 재이용이 곤난할 뿐만이 아니라 처리가스에 분체가 혼입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는 이동층힉 탈황탑을 사용한 경우에도 발생되는 문제이다. 따라서 상기한 여러가지 문제를 해결하기위하여 탈황탑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있다.
제3도는 이동층식 탈황탑(203)의 운전제어장치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연소 배기가스는 관로(103)로 부터 이동층식탈황탑(203)에 공급되나, 걸출단(219)에서 SO2농도를 검출하여 제어계라인(221)로부터 SO2검출기(223)으로 들어간다. 이동층식 탈황탑(203)의 출구배기가스는 도관(206)으로부터 취출되나 검출단(225)에서 SO2농도를 검출하여 제어계마인(227)로부터 SO2검출기(229)로 들어간다. SO2농도는 신호로 변환되어 각각 제어계라인(231), (233)으로 연산기(235)에 들어간다.
연산기(235)에는 제어계라인(237)로부터, 이동층식 탈황 탑(203)의 현시점의 반제코오크스 이동속도, 연소 가스온도, 유속등의 신호가 인가된다. 여기서 설정 탈황율과 상술한 입력신호로부터 패턴 인식하여 이동층식 탈황탑의 이동속도를 현시점의 이동속도와 대비하여 판단하고, 이동 속도를 결정하여 신호로서 제어계라인(239)로부터 각각 이동층식 탈황 탑(203), 이동층식 탈황탑(207)의 하부에 설치된 반출기(241),(243)에 각각 제어계라인(245),(247)로 지시한다. 그 결과 이동층식 탈황탑내의 흡착제는 약 0.1m/h에서 1.0m/h의 범위로 이동하여 소정의 흡착성능을 얻는다.
상기실시예에서의 이동층식 탈황탑(203)의 흡착제 이동속도 Vcoal과 탈황율 ηSO2의 관계는 제4도에 도시된다. 도중에서, (iii)은 이동층식 탈황탑 입구측 SO2농도가 1000ppm일때의 경향, (iv)는 2000ppm일때의 경향을 나타낸다. 흡착제로서는 야력청탄계(亞歷靑炭系)의 석탄을 700℃의 질소분위 기하에서 2시간건류하고, 이어스팀분위기 하에서 800℃로 1.5시간 부활탄 반제 코오크스를 사용했으며 연소 배기가스의 온도는 150℃이었다.
이동층식 탈황탑의 흡착층은 배기가스의 흐름의 방향에 대하여 1.5m, 이것과 거의 직각인 흡착제이동 방향의 길이를 8m로 하고 있다. 본 도면에서 명백한 것은 흡착제의 이동 속도가 상승함과 동시에 탈황율 이 상승한다는 것이며 농도가 변하드라도 양자의 관계는 증가 관수(關數)의 관계가 인정된다.
즉, 탈황율 ηSO는
ηSO2+(Z, L, Vcoal, VG, Bso2, Oso2, Dcoal, Qin, K, BH,C,D)……(1)
로 표시된다. 이들 인자를 야래에 표시한다.
Z:반제 코오크스의 이동 길이.
L:가스가 통과하는 반제 코오크스층의 길이.
V:가스의 유속.
Vcoal:반제 코오크스의 이동속도.
Bso1:연소배기가스중의 SO2농도
Oso2: 이동층식탈황탑 배기가스중의 SO2농도
Dcoal:반제코오크스의 입경(粒俓)
Qin:반제 코오크스의 재생상태.
BH,C,D: 연소배기가스중의 SO2이외의 성분농도.
K:석탄종류 및 반제코오크스 제조시의 흡착활성 정수, 석탄종류, 반제코오크스 제조조건 및 이동층식 탈황탑의 조작조건이 결정되면 Z, L, Dcoal, Qin, K의 관계는, K=f(Z, L, Dcoal, Qin, K)……(2)로 일정하다고 생각되므로, (1)식은 실질적으로는
ηSO2 f(K, VcoalVGBso2Oso2)……(3)
이 된다. 따라서 (3)식의 패턴인식을 연산기에 판단을 시키면 이동층식 탈황탑의 반제 코오크스의가장 적당한 이동 속도가 결정된다.
한편 탈취조작은 가열하여 행한다. 제5도에는 반제코오크스의 탈착율과 탈착온도와의 관계를 대표적예를 나타냈다. 야력청탄계(亞歷靑炭系)의 태평양탄을 원료로하여 승온(昇溫) 속도는 약 20℃/min로 했다. 탈착율은 대략 550℃의 온도로부터 포화하는 경향이 있다. 본 프로세스의 제어법을 달성함에 있어서는, 이동층식 재생탑의 탈착온도는 이동층식 탈황탑의 반제 코오크스의 변동량의 부하 변동을 흡수가 있을 필요가 있고 550℃이상에서 조작할 필요가 있다.
이상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반제 코오크스를 사용하드라도 더욱 높은 탈황 성능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보일러의 부하변동, 석탄의 불균일성에 의한 연소배출가스중의 유황산화물 농도의 변동, 건류, 부활 조건에 의한 흡착활성의 변동등의 외란(外亂) 요소에 대하여 이동층식 탈황탑 출구배기가스중의 유황산화물 농도를 검출하여 이동층식탈황탑의 반재 코오크스를 이동시키므로써 항상 탈황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유황산화물, 검출단은 가능한한 이동층식 탈황탑의 출구에 가까운 장소가 바람직하며 또 반재코오크스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적어도 2개소 이상의 검출단을 설치하고, 각각의 검출단으로부터의 유산황화물 농도의값을 연산기에 입력시키므로서 부하 변동에 대하여 응답이 보다더 빨라진다는 효과가 있다.
제6도는 제1도의 실시예를 더욱 국부적으로 개선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1도 및 제1표, 제2표 등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석탄을 흡착제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석탄, 열, 또는 물 등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연소배기가스의 탈황제 제조공정(400)의 이용을 더하도록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일러(1)의 연소배기 가스는 관료(103)과 관료(107)로 분활한다. 관로(107)는 다시 관로(109)와 관로(111)로 분활된다. 가스량조정을 하기위하여 관로(103)에는 뎀퍼(113)을 관로(109)에는 뎀퍼(115)를 그리고 관로(111)에는 뎀퍼(117)를 설치한다.
관로(109)는 부활로(409)에 이른다. 연료의 종류에 따라 관로(109)상에는 먼지제거 장치를 설치하여도(도시치 않음)회분등을 포집(捕集)한다. 관로(111)는 부활로(409)에서 나오는 관로(417)과 합류하여 건류로(401)에 이르게 된다.
보일러의 연소배기가스의 성분은 연료나 보일러의 조업조건에 따라서도 다르나, 석탄을 때는 경우 수분, 일산화 탄소, 이산화탄소, 질소, 유황 및 질소의 산화물등이며 부활공정에 관여하는 수분은 7~12%가 포함된다.
한편 열중량 변화측정장치(가스유통식 반응관내경 80mmψ7)의 기초시험결과에 의하면 부활조건으로 판단하면 반드시 연소배기가스중의 수분만으로서는 불충분하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제7도는 부활가스중의 수분 비율을 바꾸어서 얻은 반제코오크스에 관하여 흡착시험을 한 결과이다. 이 실험에서 부활온도는 800℃이다. 흡착시험에 사용한 모의 연산배기가스조성은 SO22%, O26%, H2O 10%로 했다. 그리고 흡착온도는 150℃로 했다. 제4도로부터 명백한바와같이 동일부활시간, 부활온도이면 부활가스중의 수분비율이 많을수록 반제코오크스의 흡착성능은 향상되고, 수분비율이 25%정도에서 그 영향은 완만하게된다. 이 때문에 연소 배기가스중의 수분과 별도로 연소배기 가스에 첨가하는 관로(27)로부터의 스팀에 의하여 보다 높은 효율로 부활이 이루어진다. 또 연소 배기가스의 열만으로서는 부활로의 소요열량은 부족하나 관로(26)으로부터의 공기의 공급으로 반제코오크스의 부분산화가 이루어져 이 문제는 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할로(409)의 고온가스는 관로(417)로부터 건류로(401)에 공급하여 건류로(401)의 가열원으로 사용된다. 건류로 출구가스(관로(403))는 보일러 또는 계내(系內)에서 연소시켜 열회수를 한다(도시생략).
한편 열 평형적으로는 부활로(409)는 온도 800℃로 운전되고 보일러(1)로 부터의 연소배기가스는 450℃이므로 부활로(409)에서는 반제코오크스의 부분산화가 필요하게 된다. 부활로 건류로는 회분식(回分式)으로 행한다면 정상시에는 열손실과 반응열을 보충하므로서 평형시킨다. 부활로(409)의 반제코오크스와 스팀의 반응은 약2700kcal/kg의 흡열반응, 건류로(401)의 열분해열은 약450kcal/kg가 된다. 여기서30,000Nm3/h의 연소배기가스량을 발생하는 석탄을 때는 보일러를 대상으로 했을 경우 보일러에서 연소하는 석탄량은 3.78ton/h가 된다. 보일러의 연소배기가스중의 SO2농도를 1,000ppm으로 하여 탈황율을 95%로 하면 흡착기탈착탑간의 반제 코오크스 순환량은 약 1.0ton/h가 된다. 플랜트 정상시에는 반제 코오크스 순환량의 약 10%의 반제 코오크스가 열화마모하므로 새로운 반제 코오크스의 보충이 필요하게 된다. 부활로의 소요열량으로부터 부활로에서 반제코오크스의 부분산화량을 고려하면 건류로로 공급하는 석탄량은 약 0.89ton/h의 석탄을 건류하면 0.49ton/h의 반제코오크스를 제조하게 된다.
또 상기실시예에서는 보일러 연소배기가스를 직접 부활로로 도입하고 부활로의 소요열량를 반제코오크스의 부분산화에 의하여 보충했으나 부활로의 열원으로서 별도로 설치한 2차 연소기에 의하여 별도 연료를 연소시켜 얻은 연소열을 사용할수도 있다. 이와같이하면 상기 실시예로 달성되는 효과에다 (1)고열량의 부활가스를 제공할 수 있다. (2)부활로에 공급하는 부활용 가스의 조성이 안정하다. 이로서 반제 코오크스를 안정된 부활생성물을 얻을 수가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석탄을 연료의 최소한 일부로 사용하는 보일러 화로(火
    Figure kpo00011
    )로 부터의 배출 연기중의 유황산화물을 제거함에 있어, 상기 연료용 석탄을 건류하여 만든 반제 코오크스에 의하여 상기 유황산화물을 흡착하여 배출연기중에서 제거하고 그 후 상기 유황 산화물을 흡착한 반제코오크스를 가열하여 고농도의 유황산화물을 분리하여 반제코오크스를 재생하고, 이 반제 코오크스를 흡착과 재생사이에서 반복 사용함에 있어서, 반복 사용에 의해 열화(劣化)한 반제코오크스를 반복 사용을 위한 순환로 밖으로 취출하여 상기화로의 연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배연 탈유방법.
KR1019800001469A 1980-04-09 1980-04-09 건식배연 탈유 방법 KR830002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469A KR830002094B1 (ko) 1980-04-09 1980-04-09 건식배연 탈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469A KR830002094B1 (ko) 1980-04-09 1980-04-09 건식배연 탈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522A KR830002522A (ko) 1983-05-30
KR830002094B1 true KR830002094B1 (ko) 1983-10-12

Family

ID=19216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469A KR830002094B1 (ko) 1980-04-09 1980-04-09 건식배연 탈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09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522A (ko) 198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3205A (en) Simultaneous mercury, SO2, and NOx control by adsorption on activated carbon
CA2557695C (en) Sorbent for removal of trace hazardous air pollutants from combustion flue ga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2992065A (en) Process for removing sulfur oxides from gases
US4427642A (en) Process for dry desulfurization of flue gas
KR101827582B1 (ko) 가스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4833877A (en) Process for the reduction of pollutant emissions from power stations with combined gas/steam turbine processes with preceding coal gasification
WO2021232692A1 (zh) 一种烟气低温吸附脱硫方法
CN206646064U (zh) 一种干熄焦装置
CN104689679A (zh) 一种焦炉烟道废气脱硫脱硝工艺
JPS63501031A (ja) 窒素およびイオウを含有する燃料の燃焼時に酸化窒素および酸化イオウの排出を減少させる方法
CN111346605A (zh) 一种适用于大型燃煤电厂的污染物综合治理系统及方法
CN113019094A (zh) 一种利用含硫废气高效脱汞装置及方法
CN108970328B (zh) 一种处理化工行业高硫废气回收硫磺的装置及工艺
KR850001200B1 (ko) 배연탈황법
CN107875838A (zh) 运用复合克劳斯炉处理活性焦法焦炉烟气脱硫脱硝酸汽的生产工艺及处理系统
JP4723922B2 (ja) 炭素質吸着材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環境汚染物質の除去方法及び除去装置
JP4594239B2 (ja) ガス精製システムおよびガス精製方法
KR830002094B1 (ko) 건식배연 탈유 방법
CN103316563A (zh) 兰炭尾气脱硫净化装置及其使用方法
CN103523749A (zh) 一种利用炭黑尾气制氢的工艺
Zielke et al. Sulfur removal during combustion of solid fuels in a fluidized bed of dolomite
CN113274837A (zh) 一种煅烧烟气净化处理系统
CN106122983B (zh) 一种焚烧炉烟气携气流脱除二噁英的装置及其方法
CN217015933U (zh) 一种煅烧烟气净化处理系统
CN211585924U (zh) 一种粉焦循环再生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