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043B1 - 구조물의 열절연 및 보호덮개 - Google Patents

구조물의 열절연 및 보호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043B1
KR830002043B1 KR1019790000673A KR790000673A KR830002043B1 KR 830002043 B1 KR830002043 B1 KR 830002043B1 KR 1019790000673 A KR1019790000673 A KR 1019790000673A KR 790000673 A KR790000673 A KR 790000673A KR 830002043 B1 KR830002043 B1 KR 830002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ed fabric
glass fiber
thermal insulation
yar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0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끄로 자끄
Original Assignee
끄로 자끄
에따블리스망 다르도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끄로 자끄, 에따블리스망 다르도렐 filed Critical 끄로 자끄
Priority to KR1019790000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구조물의 열절연 및 보호덮개
제1도는 일부분을 절개시킨 본 발명에 따른 덮개가 설치된 집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집의 지붕 및 벽을 확대한 부분 횡단면도.
제3도는 유리 섬유실의 편직포가 래스(lath)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부분도.
제4도는 유리 섬유실의 편직포가 래스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확대 횡 단면도.
제5도는 유리 섬유질의 편직포의 여러 층으로 구성된 덮개의 횡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가 설치된 온실의 사시도.
본 발명은 구조물의 열절연 및 보호 덮개, 특은 바람에 대한 구조물의 열절연 및 보호덮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조물"이란 용어는 온실, 베란다, 현관 및 이와 유사한 차폐물은 물론 주택, 아파트 또는 사무실, 공장 또는 농장건물 및 창고를 포함한 지붕이 있는 구조물을 말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형태의 구조물의 열절연 방법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대부분의 이들 방법에서, 구조물 벽 또는 지붕의 내면은 신장된 폴리스티렌 또는 유리솜 같은 절연물질의 판이 덧붙여진다. 어떤 방법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판 또는 유리솜이 벽의 내부에, 예컨대 탄재-블록 또는 벽돌의 두줄사이에 놓여진다. 벽의 외면은 대부분의 경우 합성 시멘트풀의 얇게 다듬어진 피복에 의하여 마무리된 모르타르면으로 보호된다.
다른 공지방법은 합성수지와 함께 접착된 유리 섬유의 누설 방지층으로 벽의 의면을 덮는 것이다. 이러한 덮개의 외표면은 합성물질의 조각으로 피복되어 진다. 이러한 형태의 복합식 덮개는 값이 비싸고, 습기가 차며, 또 곰팡이가 생긴다. 그밖에도, 이러한 덮개는 습기와 태양열의 복합작용으로 신속히 변질된다.
온실의 경우, 열절연은 물론 바람과 비에 대한 보호는 온실의 구조를 골격에 직접 붙여져서 고정되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판에 의하여 달성된다.
태양열의 작용하에 유리판은 널리 공지된 "온실효과"에 의하여 내부 공간내에 열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이들 유리판은 파괴되기 쉽고 실제 이용이 곤란하다는 난점을 가지고 있다.
플리에틸렌 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같은 플라스틱판은 유연성이 있어 이용하기에 대단히 편리하다 아주 현저한 온실효과를 발생하며, 특히 태양열의 작용으로 아주 신속히 노화된다.
유리 및 플라스틱판은 공기가 통과하지 않는 또 다른 단점이 있는데, 이 때문에 온실의 내부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온실에 개구를 형성할 필요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비와 바람에 대하여 구조물의 효과적인 열절연 및 보호덮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덮개는 함께 조합된 광물섬유로 섞어 짠 실로 구성된 물질의 층으로 구조물의 외부를 덮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덮개는 물 및 자외선의 작용으로 노화되는데 대한 특별한 내구성을 가진다. 또한 이러한 덮개는 광물섬유실을 섞어 짜므로서 생기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있다. 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공기 투과성인 세공을 형성한다.
덮개는 광물 섬유의 실로 짠 직포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광물 섬유실의 편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직은 직각이 전혀 없는 루우프(loop)를 형성하게 되어서, 루우프는 덮개의 기계적 강도 및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바람직한 예에 의하면, 편직포는 유리 섬유실로 짠 것이다.
유리 섬유실의 편직포의 사용은 그 강도 및 변형성으로 인하여 매우 편리하다. 이외에, 이러한 유리섬유실의 편직포는 노화, 대기 물질 및 태양열에 대해 현저한 내성을 가진다. 더우기 실제 실험결과 이러한 형태의 편직포는 바람과 비에 대하여 반-투과성 장벽을 형성하면서 구조물의 외부를 열-절연시키는 놀라운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특히 주택의 열전연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서, 이러한 주택의 지붕 및 벽은 유리 섬유실의 편직포와 지붕 및 벽사이에 공간이 있도록 덮혀져 있다.
상술한 공간은 열절연에 도움이 되는 공기의 정체된 층을 형성한다. 공기는 적당하지만 습기의 응축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유리섬유실의 편직포의 세공을 통해 유등한다. 이같은 응축은 또한 태양열과 유리 섬유실의 편직포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술한 공간 내에서 발생하는 온실 효과에 의해 방지된다. 또한 상술한 유리 섬유실의 편직포는 연마분 입자가 실려있는 바람의 부식 작용으로 부터 주택의 벽 및 지붕을 보호하여 준다. 실제로 유리는 연마에 대해 우수한 내성을 갖는다.
온실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유리 섬유실의 편직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한 덮개는 온실의 구조물 골격에 직접 붙여진다.
상술한 형태의 유리 섬유실의 편직포는 유연성이 있으며, 종래 기술에서 사용된 플라스틱판 만큼 취급이 용이하나, 자외선, 태양열의 작용으로 인한 플라스틱의 노화에 대해 내성이 낮지않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더우기, 유리섬유 편직포에 존재하는 세공은 온실 내부의 통기를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주택 및 온실과 같은 구조물의 열절연 및 보호용 외부 덮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덮개는 공기는 통과시키면서 빗물의 통과를 저지하기에 충분한 미세한 메쉬(mesh)를 가진 유리섬유 편직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의 편직포는 라첼(Rachel)형 편직기에 의하여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는 측벽(2) 및 타일(4)이 덮힌 지붕(3)을 가진집(1)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집(1)의 외부는 비와 바람의 작용에 대해 벽(2) 및 지붕(3)의 열절연 및 보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덮혀있다. 따라서 벽(2) 및 지붕(3)에는 유리섬유실의 편직포로 구성된 덮개가 설치된다.
상술한 편직포의 실은 동일 방향으로 몇개의 혼합 유리섬유 필라멘트를 꼬므로서 얻어진다. 고강도의 연사를 얻기 위하여 이들 실은 여러개가 함께, 특히 반대로 꼬여진다.
유리섬유실 편직포의 높은 기계적 강도 및 유연성을 고려하여, 상기 작업은 지붕(3)과 벽(2)에 유리섬유실로 만든 편직포의 패널을 전개시키므로서 수행할 수 있는데, 상술한 패널은 소정의 크기로 미리 절단한 것이다.
특히 집의 경우에 있어서, 유리섬유실의 편직포(5)와, 지붕(3) 및 벽(2) 사이에는 공간(6)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특히 제2도에 도시). 상술한 공간(6)을 형성하기 위하여, 균일하게 이격된 래스(lath)(7)를 지붕(3) 및 벽(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유리섬유실의 편직포는 상술한 래스(7)에 못으로 박거나 꺽쇠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유리섬유실의 편직포(5)를 기계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진 아교층(8)에 의하여 래스(7)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제4도에 도시). 상술한 아교층(8)은 래스(7)에 인접해 있는 편직포의 주연(5a)에서 편직포(5)의 메쉬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더우기, 편직포(5)를 미리 절단한 패널을 집(1)의 벽(2) 및 지붕(3)에 래스(7)를 부착하기전에, 래스(7)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래스(7)는 덮개를 굴곡된 표면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의 유연성 단면 스트리ㅍ으로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형태의 유연성 단면 스트립은 유리섬유실로 구성된 편직포가 편직기로 부터 이송될 때 유리섬유실로 구성된 편직포의 밴드의 두개의 종방향 주연에 직접 성형될 수 있다.
벽(2), 지붕(3) 및 편직포(5) 사이의 공간(6)은 예컨대 바람 또는 비의 작용으로 편직포에서 생기기 쉬운 압력을 고려하여 편직포(5)와, 벽(2) 및 지붕(3) 사이의 어떠한 접촉도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히 깊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대부분의 경우 5cm에 해당하는 두께와 약 1m의 간격을 가진 래스(7)가 당하다.
유리섬유실의 편직포(5)는 라첼형 편직기로 약 0.5-2mm 범위의 두께를 가진 유리섬유실로 만들 수 있다. 편직포(5)의 조직은 예컨대 스토킹-스리치(Stocking-stitch)조직으로 될 수 있다. 스토킹-스티치 조직은 가장 간단하며, 최선의 강도/중량비를 준다. 따라서 1-4mm의 두께와 아주 높은 인장강도를 가진 편직포(5)가 얻어진다.
이 편직포의 메쉬는 통상 물방울이나 빗방울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함께 충분히 밀집된다. 실험결과 벽을 덮기 위하여는 편직포(5)의 메쉬의 평균 크기는 실의 직경의 2-6배 범위내가 유리함을 알았다.
그러나 지붕의 덮개같은 어던 것에 적용해 본 결과 비교적 미세한 메쉬(실의 직경의 2배이하의 크기를 가진것)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였다. 이 경우 빗물은 편직포(5)를 통과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편직포(5)는 공기를 통과시켜, 그 결과 지붕 아래에 곰팡이의 형성이 방지되었다.
집(1)의 벽(2) 및 지붕(3)에 사용된 유리섬유실의 편직포(5)의 이점 및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편직포(5)의 유연성(종래의 직물실로 짠 편직포의 유연성과 견줄 만한) 및 그에 다른 취급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집(1)의 외부 보호는 집(1)의 외 를 변형시킬 필요없이 단시간 내에 완성시킬 수 있다. 편직포의 유연성은 상술한 편진포의 루우프 및 직각이 없다는데 기인한다.
유리섬유실의 편직포(5)는 태양열에 대해 투명하며, 유리의 주요 단점인 파괴되는 단점이 없는 유리에 견줄만한 온실 효과를 발생한다. 이 온실효과 및 편직포(5)와 벽(2) 및 지붕(3)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6)은 열절연을 향상시키는 장용을 한다.
더우기, 유리섬유실의 편직포는 -30℃ 및 +40℃ 사이에서 사실상 0인 열 팽창계수를 가지고 있어 항시 완전히 펴져있다.
유리섬유실의 편직포(5)는 바람에 대하여 아주 효과적인 장벽을 구성한다. 따라서 바람의 부식작용 및 열전달 촉진작용은 억제된다.
편직포(5)의 세공은 편직포(5)와, 벽(2) 및 지붕(3) 사이에 형성된 공간(6)을 연속적으로 통기시킨다. 따라서 이것은 슬기응축을 방지하여 주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 곰팡이가 형성되는 결과가 일어나 집(1)의 구조를 골격, 벽(2), 및 타일(4)을 열화시키게 된다.
편직포(5)의 세공은 빗방울이 많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매우 춥고 습기찬 날씨에, 편직포(5)의 표면에는 하얀 서리 또는 얼음막이 형성되는데, 서리 또는 얼음 막은 얼음의 잠재적 고화열이라고 생각되는 열절연 상태를 만든다.
특히 추운 지역에서, 열절연은 집의 외부에, 특히 집의 가장 노출된 벽에 다수의 유리섬유실의 편직포의 층(9, 10, 11)을 부착시키므로서 향상시킬 수 있는데, 상술한 층은 제 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래스(12)에 의하여 분리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충적인 특징으로서, 바람에 대해 보호해 주는만큼, 본 발명에 따른 덮개는 특히 구조물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내화 재료로 지어지는 경우 구조물 외부에서 발생하는 화재에 대하여 구조물을 또한 매우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덮개는, 그의 메쉬 구조에 의하여, 담쟁이 덩굴, 인동덩굴, 양담쟁이 등과 같은 기어오르는 식물이 부착되도록 하는 우수한 지지체를 구성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기어오르는 식물은 벽의 부수적인 퇴화 위험없이 부가적인 열절연을 제공하여 주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실의 보호에 적용된다. 제6도에 도시한 예에서, 유리섬유실의 편직포(14)는 온실(13)의 금속 골격(15)에 직접 부착된다.
강도, 유연성 및 노화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고려하면, 상술한 유섬리유실의 편직포(14)는 현재까지 이용되었던 유리 및 플라스틱판을 대신하는 장점을 갖는다.
더우기, 유리섬유실의 편직포(14)의 세공은 빗방울 통로를 조정할 뿐만 아니라 적당하면서도 충분한 유동 속도로 공기를 순환시켜 온실(13)의 내부의 통기를 균일하게 조절하여 준다.
쉽게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상술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로 부터 이탄함이 없이 다수의 변형을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덮개는 목재 또는 금속으로된 공장 및 농장 창고의 외부 보호에도 또한 적용할 수 있다고 추정된다.
또한 유리섬유실(5, 9, 10, 11, 14)의 편직포는 구조물에 설치된 후 물 및 자외선, 열의 본합 작용으로 노화되는데 대해 내성이 좋은 아크릴 같은 수지로 피복시킬 수 있다. 그러나 공기가 유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편직포의 유리섬유실 사이에 형성된 세공이 완전히 밀폐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주의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아크릴 수지 피복은 유리섬유실의 편직포의 투명성공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유리섬유실은 유리와 동일하게 실제로 눈에 보이지 않는다. 상술한 피복은 구조물의 원래의 외관 및 매력적인 특성에 어떠한 변형을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효과적인 것이 밟혀졌다.
쉽게알 수 있듯이 집의 벽 및 지붕의 식에 해당하는 색으로 유리섬유실의 편직포를 페인트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유리섬유실의 편직포의 투명성 및 온실효과는 따라서 감소된다. 또한 편직포가 어떤 곳에서는 넓은 메쉬로 되어 본 발명에 따른 덮개는 통기와 투명성을 보다 좋게할 수 있다.
어떤 경우, 특히 온실의 경우에 있어서, 유리섬유실의 편직포는 유리섬유실의 직포로 대치할 수 있다. 직포는 편직포보다 제조하기가 아주 경제적이긴 하나, 유리섬유실의 직조물질의 유연성 및 기계적 강도는 편직포 물질의 경우보다 못하다.
편직포 도는 직포의 유리섬유실을 암석 섬유, 세라믹섬유 및 심지어 탄소 섬유같은 짜거나 편직할 수 있는 다른 광물섬유로 대치할 수 있다. 이들 모든 섬유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직 또는 직포한 덮개를 통기 구조물에 제공하여 주는데, 통기 구조물은 나쁜 일기상태, 태양열 및 온도변화에 대하여 적절히 안정성을 유지한다.

Claims (1)

  1. 대 략 0.5-2mm직경의 유리섬유실로 메쉬가 그 직경의 거의 2-6배인 발이 성긴 투명한 편직포로 짜서래스에 고정히고 이 래스에 의해 구조물의 외면에 공간을 형성시킨 다구조물의 열절연 및 보호덮개.
KR1019790000673A 1979-03-05 1979-03-05 구조물의 열절연 및 보호덮개 KR830002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0673A KR830002043B1 (ko) 1979-03-05 1979-03-05 구조물의 열절연 및 보호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0673A KR830002043B1 (ko) 1979-03-05 1979-03-05 구조물의 열절연 및 보호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043B1 true KR830002043B1 (ko) 1983-10-07

Family

ID=19210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0673A KR830002043B1 (ko) 1979-03-05 1979-03-05 구조물의 열절연 및 보호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04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3888A (en) Method and a covering for heat insulation and protection of a construction
US10669721B2 (en) Flashing device assembly
US9428916B2 (en) Mesh vent with varying density or integral moisture barrier
US4630421A (en) Roof web for pitched roofs
DK156965B (da) Udvendig, vandafvisende bygningsbeklaedning.
CN201078037Y (zh) 木结构单向透气保温墙体
KR830002043B1 (ko) 구조물의 열절연 및 보호덮개
NO780771L (no) Undertaksduk.
RU2604840C2 (ru) Лист, обеспечивающий водонепроницаемость стен и чердачных помещений зданий, а также изолирующие панели, подходящие для ограничени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и насекомых
KR101020403B1 (ko) 유리온실의 커튼용 원단
KR102087520B1 (ko) 인삼식물재배용 투톤 차광막 및 그 제조방법
KR200166817Y1 (ko) 하우스용 단면 단열재
KR102381305B1 (ko)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돔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CN210257502U (zh) 一种新型景观膜结构用的荧光膜
JP3972971B2 (ja) 通気水切り構造
JPH0941624A (ja) 建材用シート状基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外装用建材
RU2195807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наружных ограждений временных зданий в сельской местности
JP3992169B2 (ja) 通気水切り構造
WO2017137785A1 (en) Multiwall polycarbonate-containing composite plate, especially for architectural an decorative purposes
RU106275U1 (ru) Кровельное покрытие жилых и общественных зданий
FI70286C (fi) Vind- och fuktskyddsskiva
DK9500189U3 (da) Bygning, især til beboelse
JP3992165B2 (ja) 通気水切り
RU57312U1 (ru) Паропроницаемая ткань
KR890001900Y1 (ko) 부직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