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990B1 - 예비여진계를 가진 좌표 독취 장치 - Google Patents

예비여진계를 가진 좌표 독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990B1
KR830001990B1 KR1019790001753A KR790001753A KR830001990B1 KR 830001990 B1 KR830001990 B1 KR 830001990B1 KR 1019790001753 A KR1019790001753 A KR 1019790001753A KR 790001753 A KR790001753 A KR 790001753A KR 830001990 B1 KR830001990 B1 KR 830001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itation
coordinate
magnetizing
circuit
coordinate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1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로우 다께우찌
도시로우 기구찌
노리오 미쯔모도
도요기 다까하시
슈이찌 하야시
사도시 이찌오까
Original Assignee
미시마 마사가즈
미시마 고오상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시마 마사가즈, 미시마 고오상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시마 마사가즈
Priority to KR1019790001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99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예비여진계를 가진 좌표 독취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좌표 독취 장치 및 이 종류 장치의 일반적 구성 개요와 그 조작 순서와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2도는 종래의 착자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 장치의 회로 구성 개요도.
제4도는 예비 여진 및 자동 착자에 있어서의 팔스 타이밍 차아트 도면.
제5도, 제6도, 제7도는 본 발명 장치의 전체의 구성 설명도로서 제5도는 1축형.
제6도, 제7도는 2축형을 도시한 설명도.
제8(a)도, 제8(b)도는 착자전류 공급부와 여진 출력과 그의 상관적 타이밍 차아트 도면.
도면중 1은 자의 자료로된 진동전파 매체, 2는 스타이래스 내지는 독취조작펜, WX, WY는 여진 권선, 70은 예비 여진 회로이다.
본 발명은 좌표 독취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이 종류 장치에 있어 그 실효 여진조 작전에 적어도 1회의 예비 여진을 자동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한 예비 여진계를 구비하여 수성하고 그 결과보다 일층 높은 정밀도와 신뢰성을 발휘토록 한 에비여진계를 가진 좌표독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좌표독취 장치는 자의 자료를 진동 전파 매체로 구성하는 것으로서 주지하는 바와 같이 모든 분야에 있어서의 도형 패턴 도면과 테이블를 좌표 분석하여 예를 들어 분석 데이터를 콤퓨터 등에 입력시켜 각종 생력화시스템, 주변기기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도면 제1도에 의거하여 상기한 좌표독취 장치의 일반적 개요, 조작 순서, 동작 원리 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장치는 터블렐(1), 픽업코일로된된 검출기(2) 및 이들에 전기 접속한 일출력 제어부(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부호(4)는 입출력 제어부(3)에 임으로 접속시켜 다양한 생력화 시스템, 예를 들어 자동제도장치 등을 구성하기 위한 외부접속 장치근을 도시한 것이다.
독춰 장치는 상기 터블렐(1) 상에 회로설계도, 심전도, X선 사진, 지도 등 각 분야에 있어서의 모든 도형 패턴 도면을 세트하며 그 연후에 펜 또는 커어서어형의 검출기(2)를 사용하여 세트한 도면의 도형을 뒤따르는 것이다.
환언하면 상술한 도형 패턴은 아나로구 데어퍼이며 이를 임으로 설정한 기준점으로부터의 X축 및 Y축 변위로서 검출하고 이를 입출력 제어부(3)로 디지틀량으로 변환시켜, X, Y좌표 데이터로서 외부 접속 장치, 예를 들어 콤퓨터와 프린터 등에 입력시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장치는 1차 평면 또는 X축 및 Y축 변위를 계속하는 2차 원평면에 있어서 자성 자료증을 전파하는 자의 진동파의 지연을 이용하여 좌표 해석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2차 원의 경우는 터블렐(1)은 X 및 Y축 방향의 자의 진동파를 전파하기 위하여 여진권선 WX및 WY에 의하여 진동되는 2종의 자의 진동 전파로 LX및 LY를 현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 2종류의 자의 진동 전파로 LX및 LY(1원차에서는 어느 한쪽)을 현출시키는 형태로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그 한가지는 압연 가공 또는 적당한 베이스판에 도금후 박리하여 얻어지는 자의 재료박판을 소요 면적의 구형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이 구형박판의 종, 횡각일변에 X 및 Y축 성분의 각각의 여진권선 WX및 WY를 실시한 형태가 있다. 다만, 이 경우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상적인 각 전파로 LY는 외관상 볼 수는 없다.
다른 한 가지는 상기한 것과 동일한 자의 재로박판을 두장 사용하여 하나는 X축용으로 다른 하나는 Y축용으로 포트엣팅 기술 등으로 가공하여 많은 평행 스리트를 만들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상적 다수조의 자의 진동 전파로 LX또는 LY를 얻는다.
물론 이들 두 장에 있는 전파로 LX, LY는 하나의 공통된 평면좌표를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두 장의 자의 재료 박판을 각기의 각 리스트가 교차되도록 하여 적당한 절연 시이트를 개재시켜 중첩하고 각기의 끝을 접착제 등으로 고정한 후 X 및 Y축 성분의 WX, WY를 해당하는 박판 일끝에 각기 실시한 형태이다.
또한 선상 또는 기본상의 압연재 등을 격자상으로 조합하여 구성한 자의 재로로 된 터블렐, 니켈과 파아로이 등의 압연재로된 평면상, 리본상 또는 선상의 자의 재료에 의하여 구성된 터블렌 등도 있다.
상기한 형태의 어느 것에 해당되는 터블렐(1)에 있어서 지금 자의 재료 박판을 진동시키기 위하여 각여진선 WX또는 WY에 여진팔스 전류를 인가한다.
그러면 여진 자계가 발생하고 이것이 박판을 여자하여 자의 진동을 생기시킨다.
그리고 이 진동이 각 전파로 LX또는 LY가 타단을 향하여 진행하여 간다.
여기서 계속 포인트를 제1도 도면의 P로 하고 P점 상에 픽업코일로 된 종래의 검출기를 접근시켜 놓은 것으로 한다.
그리하여 이 P점까지 진행한 자의 진동에 의하여 생기는 자속 변화가 검출기 코일에 전압을 유기한다.
이러한 진동파의 전파 지연시간은 좌표 축삼에 있어서 거리와 대응해 있으므로 P점에서의 검출 시각과 전기한 여진선에 팔스 전류를 인가한 시각과의 시간차, 즉 지연 시간을 그록팔스의 계수 등에 의해 계측하면 1차원에서는 1축 성분, 2차원에서는 P점의 X 및 Y축 좌표치를 독취할 수 있다.
또한 X축 성분과 Y축 성분과의 독취를 교호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 어떠한 그록팔스 발생 방식, 팔스 카운트 방식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2도 2차 원용의 러블렐(1)은 실제적인 형태로 도시한 것이며 전술한 독춰 조작을 전개하는 경우 러블렐(1)의 요부, 즉 자외 재료로 된 진동 전파 매체는 미리 적당한 자위까지 여기되도록 착지되는 것이며 이 착지는 독춰 조작의 빈도, 경과 시간 등에 상관하여 소정 주기를 가지고 계속해서 실시하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도시한 바와 같은 봉상자석(5)를 러블렉(1)의 일각우부 부터 매각선 방향(화살표 6방향)으로 천천히 이동시켜 실시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착자 조작은 일련의 독춰 처리의 서두에서 반듯이 한번은 필요로 하는 조작인 것이나 그 봉상자석(5)에 의한 착자 조작은 터블렐(1)에 수납되어 있는 자의 재료로 형성한 진동 전파 매체에 대하여 균일 및 일정 방향의 착자 작용을 실시토록 하게 않으면 장치의 좌표 득춰 기능이 불능하게 되는 결점이 있기 때문에 조작에는 적지 않는 숙련이 요하여 예상외의 곤란을 겪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봉상 자식(5)의 이동 양상에 따라 터블렐의 독춰 정밀도는 크게 변화되는 것과 동일하게 착자용 봉자석(5)의 표리 어느쪽을 터블렐(1)측에 대면시키는가에 따라서 독취 정밀도가 변화된다는 극히 취급하기에 불편한 결점을 가지고 있다.
더구나 이러한 적지않은 곤란점과 세밀하고 치밀한 취급 조작은 자의 재로로 된 진동전파매체의 여기(작자) 상태가 감쇄됨에 따라 거듭하여 실시할 필요가 있게 되어 이것이 이 종류의 좌표 득춰 장치의 큰 결점이었다.
또한 제2도 증의 부호(11)은 터블렐(1)의 유효 독춰 영역을 표시하여 이 영역(11)은 터블렐 의장 곽세(12)의 개구부이다.
또한 종래 장치는 터블렐(1) 상에 봉자석(5)를 접근 또는 재치하는 경우처럼 터블렐(1) 내의 자의 재료에 애하여 자기외탄 작용이 가해지면 사전에 실시한 착자효과가 교란되어 독춰 정밀도 및 독춰 기능 자체가 크게 혼동되는 결점이 있어 전기한 바와 같이 봉자석(5) 등에 의한 자기의란 작용원을 터블렐 상에서 배제함과 아울러 터블렐(1)을 전술한 바와 같은 착자 조작에 의하여 재차 착자시켜야 하는 번잡한 불편이 있었다.
특히 예시한 봉자석(5)와 같은 자기외 란원이 되는 물체는 상용하는 사무용구 등에 부착되어 존재하고 이 종류에 장치에 의한 독취작업 환경에서는 여간한 산경 배려를 한 환경 관리를 하지 않는 한 자기외란 물체를 피할 수는 없는 상환에 있는 것이다.
또 한 작업자 자신이 그러한 자기외란 작용이 터블렐(1)에 가해진 것을 모르고 소요의 좌표 독춰 작업을 하였을 경우에 예측되는 실해는 대단히 심각한 것이다.
그러한 실정에 의하여 상기한 결정을 해결하는 좌표 독취 장치는 별도로 출원하였다. 즉, 그 요지는 자의 재료로 형성하는 진동 전파 매체의 독춰 유효 영역에 대하여 대략 동일한 규칙성을 가진 착자를 실시하기 위한 고정착자 코일을 전기 진동 전파 매체에 배설함과 아울러 이 고정 작자 코일에 소요의 착자 전류를 효르게 하기 위한 착자 전류 공급 수단을 구비하여 좌표 독취 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착자 조작은 극히 용이하여지고 또한 하등 인위적인 착자 조작이 불필요하게 됨과 아울러 가사 자기외란 작용이 고의 또는 과실적으로 가하여지더라도 외란원을 배제함과 동시적으로 터블렐(1)은 자동 적으로 원래의 착자 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그러나 보다 높은 정밀도의 분해. 능력이 높은 그리고 신뢰성이 높은 독서 기능을 없음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더 개발할 여지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즉, 구체적으로 동일 지점의 좌표 독취에 있어서 착자 직후의 첫번째의 단위 여진 실효 작용 후의 득취 좌표치와 이어지는 두번째의 득취 좌표치와의 오차가 생기기 때문에 진동전파 매체인 자의 재료 중의 자기분자 내지는 스핀 분포 상태를 실제 측전에 정비하는 것, 환언하면 자화 펙틀의 방향성을 자외 진동에 대하여 순응시켜 놓은 사건의 처리를 실시하여 두는 것이 보다 높은 좌표해석 성과를 얻는데 필요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그러한 것을 목적의 일부로 하여 개발된 것이다. 그 특징으로 한 것은 진동 전파 매체의 여진 권선에 있어서의 단위 실효 여진 작용, 즉 본 여진에 앞서서 적어도 1회의 예비 여진을 실시하기 위한 예비 여진계를 구비한 좌표 독취 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 장치를 2차 원용의 1실시례에 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1차 원용에 관해서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제3도, 제4도는 본 발명 장치의 2차 원용 회로 구성도와 그 타이밍 차아트 도면이다.
먼저 제3도의 회로도에 있어서 SWl은 스타라이라스 스위치, 즉 전기한 제1도 설명의 펜 도는 커어서 어형의 검출기(2) 상면에 내장한 스위치이다. 이 스타이라스 내지는 검출기측 부터의 검출 신호는 적당한 신호 처리 회로, 예시례에서는 차아트링 방지회로를 거쳐서 신호 a로서 당해 좌표 독취 장치의 입출력제어부(3A)에 입력된다. 부호(30)은 착자 전류 공급부에서 팔스 전류(혹은 직류 착자 전류)를 발생한다.
부호(40)은 본 여진용의 여진부, (50)은 좌표 변화부로서 공고의 타브렛 콘트로울러의 계수회로부에 해당되며 크록팔스, 증폭회로, 신호증폭회로, 각종의 논리 회로, 카운터, 디지틀표출, 출력회로 등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예비 여진계(60)은 볼수 계수의 각 지연 회로와 논리 회로와 본 여진용 여진부(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시의 경우 디지틀 집적회로를 사용하고 있으나 소정의 팔스 출력을 얻음에 있어 예시의 회로 및 사용소자에 관해서는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4도는 타이밍 차아트를 보는 것처럼 지연회로, D3은 착자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일종의 자동 착자 회로를 구성하고 스타이라스의 스위치 SWl의 ON에 따라 트리거 된다.
(팔스 신호)
지연회로 D1, D2에 의하여 적당히 지연되어 예비 여진 제어 팔스 b, c를 얻게 되고 그 출력 팔스는 여진부(40)에 트리거팔스 f, g로서 입력된다.
여진부(40)은 제1도로서 상술한 바대로 자외 진동전파 메체에 실시한 X, Y 여진 권선에 바라는 여진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로서 XE, YE인 여진 팔스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이 예비 여진계(60)은 여진부로부터의 여진 출력 XW또는 YE가 단위 실요 여진 출력으로서 환언하면 본 여진 출력으로서 출력됨에 앞서서 사전에 팔스 신호 b, c에 의하여 여진부(40)을 작동시켜서 여진전파 매체의 자기 펙톨 분포 상태를 갖추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X축 성분에 대하여 본 여진에 앞서서 적어도 1회의 예비 여진을 또한 Y축 성분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어도 1회의 예비 여진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동작을 X축 또는 Y축에 대해서만 실시할 것, 또한 매회가 아니고 적당히 계속적으로 실시할것 등 제약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예비 여진의 주기는 진동 전파 매체에 자외 진동이 생겨서 이것이 허용될 정도로 감쇄하여 후에 본 여진을 인가하도록 타이밍을 계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팔스 신호 b, c는 이를 병합한 단일의 팔스 신호라도 좋다. 물론, 그렇게한 팔스 신호를 얻는 회로 구성은 당업자에 있어서 주지의 기술로 작성할 수는 없다.
좌표 변환부(50)은 상기의 여진부에 의한 자외 진동의 전파 매체 중에서의 여기와 스타이라스에 의한 검색으로 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한 제1도의 설명과 같은 조작(크록 발생, 증폭, 논리 연산, 게이트, 리세트, 팔스 발생들을 포함한다)으로부터 소요의 조표 해석치 출력을 얻게 되는 것이다.
착자부(30)에 관해서는 제5도, 제6도, 제7도, 제8도에 의거하여 이 장치의 전체구성 설명과 아울러 설명한다.
제5도, 제6도, 제7도는 본 발명에 관한 좌표 독취 장치의 대략 구성을 표시하며 또한 착자부(30) 및 그외 구체적인 착자 코일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5조 본 발명에 관한 좌표 독취 장치를 일측형으로 한 경우, 제6도, 제7도는 동일하게 2축형의 각 좌표에 적용토록 구성한 경우이며 부호 20, 20x, 20y, 20'는 고정 착자 코일이다.
이들 각 고정 착자 코일 20, 20x, 20y, 20'는 소요의 자외 재료로 형성한 진동전파 매체(1)에 대하여 그 주위에 권성한 형태로서 각 진동전파 매체 (1)의 유효 독취 영역, 예를 들명 제5도에서의(11) 제6도에서의 (11x)(11y)의 부분에 정확한 착자를 실시할 수 있도록 권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각 고정 착자 코일 20, 20x, 20y, 20'의 각 단자는 소정의 착자 전류 공급부(30)에 적속되어 진동 전파 매체(1)에 대하여 대략 동일한 규칙성을 가진 착차를 실시토록 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의 Wx, Wy는 제1도에 기술한 바와 같이 X축 Y축 방향의 자외 진동파를 발생하기 위한 진동 여진권선이다. 전기 착자 전류 공급부(30), 예비 여진계(60), 좌표변환부(50) 등은 당해 장치의 입출력 제어부 3A에 포괄되어 있다. 또한 스타이라스(2)(제1도)도 이 입출력 제어부(3)의 외부 적속단자(도면에서는 생략하였다)에 접속되었다.
제3도의 설명으로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에비 여진계(60)은 회로에 의하여 팔스 전류 또는 직류를 공급하는 착자 전류 공급부(30)을 자동적으로 제어한다. 이른바 자동 착자 회로도 구성하고 있다. 제6도, 제7도의 2축형 터블렛에 있어서 고정 착자 코일 20x, 20y(제6도)는 동시적으로 착자하는 것도 좋고 혹은 독취 조건에 맞게하여 적당한 주기를 가지고 대별적으로 여자하여도 좋다. 특히 제7도의 코일 20'는 각자 외진동 여기 권선 WX과 Wy로서 발생하는 진동파 XW, YW의 진행 방향과 경사진 형태로 권장한 것으로서 코일 20'의 경사 각도 θx, θy는 대략 동 각도에 있거나 혹은 대략 각형을 형성한 유효 독취 영역의 대각선을 따르는 방향에 따라서 코일 20'를 권성하는 경우 서료 대략 예각 관계를 취하게 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의 착자 전류 공급부(30)은 타블렛(1)의 독성에 응하여 임의의 착자 전류를 인가시키는 것이 좋으나 예를 들어 소정의 규칙성을 가지고 착자 전류 팔스를 발생할 수 있는 착자 전류 팔스 회로와 그외 착자 전류 팔스를 적당한 타이밍 하에서 발생시키기 위한 타이밍 제어 회로(예를 들어 제3도에서의 D3를 주체로 하는 것처럼)를 갖추어 구성하여도 좋고 직류 착자 전류를 발생하는 직류 착자 전류 발생 회로와 전기 타이밍 제어 회로와를 갖추어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물론 제6도의 경우에 있어서 팔스 착자 전류를 사용할 수 있는 것 등은 양자의 조합 기술로서 당연히 생각되는 것이고 또한 상기의 착자 전류 공급 수단이 착자 전류 팔스 발생 회로 또는 직류 전류 발생 회로의 어는 것이라도 실용상은 지장을 갖어오지 않는다.
제8(a)도, 제8(b)도는 착자 전류 공급 수단(30)에 의한 착자 작용과 독취 조작과의 상관적 타이밍 차아트를 표시한 것이다.
도면 중 TE는 착자기간, TX은 Ty축의 좌표치의 독취 기간, Ty은 Y축 좌표치의 독취기간을 각각 표시한 것이다. 제8(a)도에 있어서 (30P)(31P)는 착자 전류 팔스의 트리거팔스로서 타이밍 제어 회로(31)에 의하여 고정 착자 코일 20x, 20y로의 착자 전류 팔스 발생 회로(32)의 착자 출력 팔스 또는 적당히 타이밍하여서 제어되고 있는 것이다.
동시에 전기 타이밍 제어 회로(31)은 터블렛(1)의 각축용 여기 권선 WX, Wy의 여기 타이밍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할 경우 X축용과 Y축용의 각 고정 착자 코일 20x, 20y에 대하여 타이밍 제어 회로(31)부터의 트리거팔스(31P)에 의한 개별적인 착자 전류 팔스의 인가 예를 들면 X축 좌표 독취 기간 TX의 첫머리에 코일 20y에 각각 착자 전류 팔스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도 좋다.
제8(b)도는 직류 착자 전류 (30P)(32P')를 고정 착자 코일 20''에 부가한 경우를 표시하며 TX, Ty를 전기한 것과 같이 X, Y축 좌표치의 독취 기간을 표시한다.
TP는 여진 권선 WX, Wy의 트리거 타이밍 차아트이나.
이 경우 타이밍 제어회로(31') 직류 착자 전류 발생회로(32')를 일련의 좌표 독취 조작의 적어도 시, 종외 사이, 소요의 직류 착자 전류 코일 20'에 흐르도록 작용하여도 좋고 또한 제8(a)도와 같이 본 여진 작용 전에 착자 팔스를 인가하는 것과 같은 타이밍 제저에 의하여 즉 스위칭 작용을 하도록 한 것이라도 좋다.
이렇게 한 각 타이밍 차아트에 의거한 제어 체계는 이 종류 장치에 있어서의 원솟트 모오드 또는 연속 모오드에 의한 독취 제어계와 본 발명의 특징인 예비 여진계(60)과의 연계 동작에 의하여 소요의 좌표 독취 처리는 정밀도에서도 안접 및 고도로 유지됨과 아울러 외란 작용의 거의 완전한 보상 작용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본 예에서 상술한 예비 여진계(60)은 스타라이스 내지는 독취 조작펜(이른바 제1도에서의 검출기(2)이다)과 연동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것을 적당한 제어 팔스 발진기 등에 환치하여 그것과 연계 작용하는 예비 여진계를 구성하기도 한다.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예비 여진계(60)를 가진 좌표 독취 장치는 터블렛(1)에 대한 외란보상이 완전하고 더구나 좌외 진동 전파 매체에 있어서의 자기 펙톨의 분포 상태를 갖추어 실제 계측에 옮기기 위하여 채록된 좌표 해석치가 극히 고정밀성 및 고신뢰성을 가진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예에서 설명한 입출력 제어부(3A)에는 도면에서는 생략하였지만 적당한 좌표치 표시부(예를 들면 디지틀 지시계 등)를 부가하였음을 부기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예비 여진계(60)은 자응 착자 회로(D3)을 주체로 한다)를 조합하므로서 고정 착자코일, 이 코일에 소요의 착자 전류를 부여하는 착자 전류 공급부를 통하여 착자 작용 효과는 종래 장치에서는 적지 않게 곤란하고 손이 많이 가는 번잡한 착자 조작을 생력화하고 더구나 용이 및 자동적인 형태로 개선되는 이점을 가짐과 아울러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한 자기외란 작용으로부터의 복귀를 신속 및 자동화될 수 있도록 한 이점을 가지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이 종류 장치에 있어서 독취 조작의 간이화를 촉진할 수 있음에 독취 정밀도의 안정성 및 고도화도 촉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Claims (1)

  1. 자외 재료를 진동 전파 매체로 하고 적어도 일차원 이상의 좌표 독취를 할 수 있도록 한 좌표 독취 장치에 있어서 전기 진동 전파 매체의 여진 권선에 있어서의 단위 실효 여진 작용에 앞서서 적어도 1회의 예비 여진을 실시하기 위한 여진계를 갖추어 구성하여 이 예비 여진계를 좌표 독취 장치에 있어서의 독취 조작펜의 실효 신호에 의하여 트리거 되도록 하고 예비 여진계를 연속 및 주기적으로 트리거되도록 제어팔스 발생기를 갖추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여서된 예비 여진계를 가진 좌표 독취 장치.
KR1019790001753A 1979-05-28 1979-05-28 예비여진계를 가진 좌표 독취 장치 KR830001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753A KR830001990B1 (ko) 1979-05-28 1979-05-28 예비여진계를 가진 좌표 독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753A KR830001990B1 (ko) 1979-05-28 1979-05-28 예비여진계를 가진 좌표 독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990B1 true KR830001990B1 (ko) 1983-10-04

Family

ID=1921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1753A KR830001990B1 (ko) 1979-05-28 1979-05-28 예비여진계를 가진 좌표 독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99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295902A (ja) 位置検出装置
JPS60221820A (ja) 位置検出装置
JPH0350285B2 (ko)
CN105866713A (zh) 状态反馈式自激励磁通门传感器
EP0184835A2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Hall Dynamics and vibrations of magnetostrictive transducers
US4273954A (en) Coordinate reading device
KR830001990B1 (ko) 예비여진계를 가진 좌표 독취 장치
De Klerk Ultrasonic Wave Propagation in a Nickel Single Crystal
GB895048A (en) Control device for the setting in exact position of a movable member
JPS6143754B2 (ko)
Moorhead et al. Electric fields in accelerating conductors: measurement of the EMF in rotationally accelerating coils
Wu Compact magnetic shielding using thick-film electroplated permalloy
JPS63189928A (ja) 位置検出装置
SU1305610A1 (ru) Измеритель характеристик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го пол
JPH0355847B2 (ko)
JPS5816220B2 (ja) 予備励振系を有する座標読取装置
Curzon et al. Using perturbed resonant frequencies to study eigenmodes of an acoustic resonator
JPS63295901A (ja) 位置検出装置のコイル巻装構造
JPS608709A (ja) 位置検出装置
SU1359735A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 энергетического спектра проводников
Gupta et al. An ultrastable Mössbauer spectrometer using integrated circuits
Cortez Magnetic Effect on a Vibrating Quartz Crystal Excited Piezo-Electrically
JP2003149311A (ja) 広帯域アクティブ磁気シールド法
RU15784U1 (ru) Прибор управления и стабилизации летательных аппарато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