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983B1 - 오줌표본 수집장치 - Google Patents

오줌표본 수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983B1
KR830001983B1 KR1019790004329A KR790004329A KR830001983B1 KR 830001983 B1 KR830001983 B1 KR 830001983B1 KR 1019790004329 A KR1019790004329 A KR 1019790004329A KR 790004329 A KR790004329 A KR 790004329A KR 830001983 B1 KR830001983 B1 KR 830001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container
collector
outlet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4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892A (ko
Inventor
에이취. 쿤츠 대비드
에이. 인그람 제임스
Original Assignee
제리 비, 실버
에스 에이취에스 엔터프라이시스, 리밋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리 비, 실버, 에스 에이취에스 엔터프라이시스, 리밋티드 filed Critical 제리 비, 실버
Publication of KR830000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줌표본 수집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장치의 분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장치의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의 4-4선 부분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5-5선 부분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의 조립상태를 보인 제5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장치의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한 장치의 일부분을 부분절개 표시한 정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치의 분해정면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한 장치의 부분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한 수집기 부재의 저면도.
제12도는 제10도에 도시한 수집기의 부분평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치의 일부를 절개 표시한 측면도.
제14도는 제13도 장치의 평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15-15선 단면도.
제16도는 제13도 장치의 저면도.
본 발명은 감염 및 질환의 검사와 진단에 있어 분석을 위하여 오줌표본(urine specimen)을 수집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줌의 분석은 오줌표본을 취하기가 물리적 시험으로서는 가장 간단하므로 일반적이고 유용하게 진단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는 어떤 물리적 상태나 질병의 지시나 검출로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남성보다는 여성에 많은 요로에 관련된 감염의 치료에 관련하여 특히 유용한 것이다. 그러나 여성환자의 경우 적당한 표본의 수집은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여성환자로부터 오줌표본을 수집함에 있어서는 "중류(midstream)"의 표본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성환자가 일반적인 방법으로 배설시 처음부분은 나중 부분보다 이물질로부터 오염될 우려가 더 있다. 이는 오줌줄기의 처음부분은 힘없이 방출되어 레이비어(labia)를 따라 배설되므로 이 부분에 있는 모든 오염물질이 휩쓸리게 되기 때문이다. 중류부분은 가장 큰 힘으로 방출되므로 레이비어에 접촉함이 없이 또는 이미 처음 부분에 의하여 오염물질이 씻겨진 레이비어를 통하여 요도를 직접 떠나게 된다.
많은 의사들은 여성환자로부터 오염되지 않은 오줌표본을 얻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환자를 엎드리게 하고 수행자가 요도부분의 오염물질을 세척하기 위하여 적당한 용액으로서 요도부근을 소독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예방조치에도 불구하고 채집된 오줌표본에는 세균측정에 오류를 일으키게 할 정도로 오염물질이 섞이게 되었다. 더우기 이러한 상황하에서 표본을 취하는 것은 매우 보기 흉할뿐만 아니라 환자에게는 불편한 방법이므로 환자는 병원의 간호원에게 표본채취를 의뢰하게 된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환자가 일반적인 방법으로 배설하면서 보조자 없이 최소한의 지시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일회사용 후 처분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장치이다. 이 장치는 환자가 일반적인 자세로 배설한 오줌전체를 받을 수 있으나 처음부분은 배제하고 중류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선택하여 표본용기로 이송되게 하고 다시 중류이후 배설되는 오줌은 표본용기로부터 넘쳐나가 화장실로 배출될 수 있게 되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오염되지 않은 오줌을 격리하여 수집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며, 특히 변기에 앉는 여성환자에 의하여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여성환자는 이 장치에 오줌을 배설할 수 있고, 오줌의 요망되는 중류표본이 용이하고 자동적으로 수집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개량된 장치는 수집기와 표본용기로 구성되고, 수집기는 그 상측단에 오줌수집구와 처음 배설된 부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이한 높이에 배출구를 가진 오줌 수집실로 구성된다.
제1배출구는 방출관에 따라 하향되게 수집실의 하단에 인접되어 있다. 이는 수집기로부터 느리게 조절된 속도로 처음 배설된 오줌을 배출되게 하므로서 뒤이어 배설되는 오줌의 높이가 제1배출구의 상부에 위치하고 처음 배설된 오줌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된 제2배출구에 이르게 한다. 따라서, 제2배출구로는 오염물이 섞이지 않은 중류의 오줌이 제2배출구로부터 오줌을 받을 수 있도록 위치된 분리가능한 오줌표본용기로 보내어진다. 수집실내에 오줌이 계속 배설되어 그 높이가 제2배출구 상부에 이르게되면 표본용기는 다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그 이상 배설되는 오줌은 본 장치로부터 오우버플루우(overflow)통로를 통하여 변기로 배출된다. 따라서 오염물질이 섞이지 않은 깨끗한 중류오줌이 표본용기에 남게된다. 배설의 중지 또는 감소시 수집실 방출관에 갇힌 여분의 오줌이 표본용기의 오줌표본만이 남을때까지 제1출구를 통하여 흘러나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집기(표본용기로부터는 떨어져 있다)는 그 가장자리로부터 손잡이가 연장된 형태의 깔대기(funnel)처럼 되어 있다.
깔때기의 원추형 부분은 수집실과 일치되게 되어 있고, 깔때기의 하부중간 튜우브는 방출관을 구성하며 그 하단은 처음 배설된 오줌이 제한된 속도로 조절되어 방출될 수 있도록 제한된 크기의 통공을 제외하고는 폐쇄되어 있다. 수집실과 방출관의 접합부 가까이에는 방출관의 주연부 둘레에 동일 간격으로 다수의 개방구가 형성되어 표본용기가 착설될 때에 이 표본용기와 연통되는 제2배출구를 구성하고 이를 통하여 오줌을 이송한다. 표본용기는 평단면으로 볼 때에 환상으로 되어 있으며 내 외벽을 가지고 수집기와 함께 착설되었을 때에 방출관을 둘러싼다. 표본용기에는 중앙에 개구부를 가진 가요성의 덮개가 형성되어 있다. 표본용기와 덮개의 주연에는 덮개와 용기사이의 효과적인 밀폐를 위하여 서로 계합되는 턱과 요구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 개구부를 둘러싸는 덮개의 부분은 용기의 내벽상단부로부터 상측으로 간격을 두고 있어 오줌이 통과할 수 있도록 수집기의 원추형부분의 기부에서 개방구에 인접한 주연개구부를 형성한다. 교합하는 벽과 요구는 표본용기를 방출관에 지지되게 하는 반면에 수집기와 용기가 필요할 때에 용이하게 분리되게 하는 것이다.
상향연장된 다수의 보호벽은 처음 배설된 부분이 방출관을 채울 때까지 수집기로 배설되는 오줌으로부터 제2배출구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2배출구와 정합관계로 수집실의 기부 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제2배출구 상부에 위치한 오우버플루오 배출구에서 수집실과 연결된 오우버플로우관이 수집기로부터 과잉오줌을 제거하고 오줌이 상측 테두리 너머로 넘쳐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있다. 이 오우버플로우 배출구에도 역시 배설되는 오줌이 오우버플로우 배출구를 통하여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벽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에서 파생되는 제1변형 형태에 있어서는 오우버플로우 배출구와 오우버플로우관이 장치의 중앙축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변위된 위치에서 수집실의 측부에 연결된다.
제2변형형태에 있어서는 오우버플로우관이 방출관의 폐쇄배출구로부터 상향연장된 스탠드파이프처럼 중앙에 위치된다. 방출관의 경우 방출구는 오우버플로우관의 벽과 방출관의 내벽 사이에 방사상으로 변위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 형태에 있어서는 수집기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출구를 가지며 방출관을 따라 하향연장한 요구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요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오우버플로우 통로로서 표본용기내에 형성된 인접개구부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편류기가 오줌이 표본용기로 흘러들어가는 방출관으로 오줌이 처음 향하되도록 배출구 부근의 수집기의 내측에 착설된다.
표본용기가 넘쳐흐르게 채워졌을 때에 오줌은 오우버플로우 통로와 요구가 형성된 요홈을 통하여 표본용기로부터 변기로 흐르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표본용기의 가요성 덮개와 용기내벽의 상측변부는 덮개의 중간부분을 용기의 내벽과 계합되도록 하측으로 밀때 봉합관계로 교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선택된 오줌표본이 표본용기에 수집된 후 표본용기를 완벽히 폐쇄하는 작용을 한다.
봉합이 용이하도록 표본용기의 높이는 방출관의 길이보다 약 0.35-1.27(1/4-1/2인치) 높게 되어 있다. 수집기에는 방출관과 수집실의 접합부 가까이에서 방출관을 둘러싸는 환상의 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견부에는 둘을 함께 밀때 표본용기 내벽의 상측변부에 삽입될 수 있는 환상요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된 후에 가요성 덮개의 중간턱 부분을 용기내벽을 둘러싸는 환상턱과 계합토록 하측으로 밀어 하향위치에서 덮개의 중간부분을 유기하고 덮개와 용기내벽의 상측변부 사이에 위치하는 환상개구부를 효과적으로 밀폐하여 봉합한다.
이러한 장치에 의하여, 환자는 사용후 수집장치를 간호원이나 다른 의료종사자를 위하여 남겨놓으면, 간호원은 원추형 수집실의 상측환상변부를 간단히 아래로 밀므로서 표본용기의 덮개를 용기의 내벽에 봉합되게 할 수 있다. 이는 덮개와 내벽사이에 형성되었던 개방부를 밀봉하는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덮개의 하향경사진 압력으로 덮개와 용기의 외벽사이의 외측환상봉합부를 강화한다.
그후, 간호원은 한손으로 표본용기와 덮개를 간단히 잡고 표본용기로부터 수집기를 들어 분리시킬 수 있다.
그 다음 표본용기를 개방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덮개를 표본용기에 대하여 주연변부를 상부측으로 들어올리므로서 간단히 개방할 수 있다. 이는 내외측 봉합부 모두를 풀어주는 작용을 하므로 덮개를 용기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여러가지 특징은 사용중 요망되는 오염물질이 섞이지 않은 중류 부분을 매우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고, 표본용기를 용이하게 밀봉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간단하며 가볍고 제작하기에 값싸며 치밀한 지식없이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개량된 오줌표본 수집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변형형태에서, 상측외향만곡된 손잡이가 오줌을 변기에 용이하게 쏟아버릴 수 있고 장치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제1 및 제3오줌배출구의 대향측에서 장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는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톱니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배출구는 예컨데 수집실내의 중앙수직 스탠드파이프에 위치하는 것이 좋으며, 오줌편류보호벽이 제2배출구로 처음의 오줌이 부주의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탠드파이프와 제2배출구상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제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특히 제2도의 분해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수집장치(10)는 수집기(12), 표본용기(14) 및 표본용기덮개(16)로 구성된다.
수집기(12)는 손잡이(18), 원추형 수집실(20), 수집실(20)의 하단에 위치하는 방출관(22), 및 수집실(20)의 측벽을 통하여 연장되고 이에 부착된 오우버플로우관(24)을 갖는 깔때기형 부재이다.
수집기(12)에는 오줌을 배출하기 위한 세개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제1배출구는 방출관(22)의 저면에 형성된 작은 구멍으로 된 방출구(26)이며, 그밖의 저면은 폐쇄되어 수집실(20)로부터의 처음 배설된 오줌을 받기 위한 포켓(pocket)을 구성한다. 제2배출구는 수집실(20)의 원추형부분의 저면 가까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개방구(28)로 구성된다. 이후 상세히 보인 바와같이, 이들 개방구(28)는 제1도와 같이 조립시에 표본용기(14)의 내부와 연통한다. 오우버플로우관(30)에는 수집기(12)의 오줌의 높이가 오우버플로우배출구(30)에 도달할 때까지 그 배출구(30)를 통하여 오줌이 넘쳐흐르지 않도록 보호벽(32)이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표본용기(14)는 단면이 환상형으로 원통상 내벽(42)과 원통상 외벽(44)으로 둘러싸여진 직립하는 중공형 중앙부분을 갖고 있다.
용기(14)내에 수집되는 오줌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내외벽(42)(44)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46)은 용기(14)의 상부에서 개방되어 있다. 용기(14)의 기부에는 지지각(47)이 설치되어 있다.
원통상 외벽(44)의 상부 가까이에는 표본용기(14)의 외주면으로 연장된 외향 돌출턱(4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유사한 돌출턱(50)이 내벽(42)으로부터 방사방향 내축으로 돌출하여 내벽(42)에 의하여 형성된 중공의 공간부 주연에 연장되어 있다. 공간부(46)를 향한 측부의 벽(42)의 상부 가까이에는 표본용기 내벽(42)주연에 연장되는 요구(52)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16)에는 덮개가 용기(14)에 설치될 때에 용기(14)의 턱(48)과 교합되는 내측환상요구(54)가 형성되어 있어 덮개가 용기(14)의 외측변부에 봉합지지되게 한다.
또한 덮개(16)에는 다수의 하향돌출된 정지판(55)이 형성되어 있으며, 정지핀(55)은 덮개(16)가 용기(14)에 놓여질 때 용기(14)의 내벽(42)에 형성된 턱(56)에 지지되고, 덮개(16)의 중앙개방부 둘레의 링(58)과 용기(14)의 상측벽부(59) 사이에 공간을 유지시킨다.
이들 정지판(55)은 덮개(16)와 같이 가요성으로서 핀(55)을 만족시키기에 충분한 하향힘이 가하여질 때에 핀은 환상요구(52)와 계합되게 덮개(16)의 내측돌츨력(60)을 하향케하여 덮개(16)의 내측력(60)과 용기(14)의 내측벽(42) 상단이 봉합되게 한다. 이와같이 하므로서 용기(14)에 수집되는 오줌의 저장공간부(46)는 외측턱(48)과 요구(54)사이의 봉합에 의한 외측변부와, 내측턱(60)과 요구(52)사이의 봉합에 의한 내측변부에서 완전히 밀봉된다.
제5도는 오우버플로우관(24) 부근의 수집실(20)의 측벽과 개방구(28)로 구성된 수집배출구를 보이고 있다.
도시한 바와같이, 배출구(30)는 수집실(20)의 측벽을 통하여 연장되어 있고 오우버플로우관(24)과 연통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같이, 배출구(30)는 배출구(30)를 통하여 오줌이 튀어들어가는 것을 줄이도록한 보호벽(32)에 의하여 보호된다. 작은 댐(dam)으로서 작용하는 보호벽(64)이 처음 배설된 오줌이 개방구(28)를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방구(28)의 각 상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보호벽(64)은 인접 보호벽(64)과의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통하여 오줌이 지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오줌의 높이가 개방구(28)높이까지 방출관(22)에 이를때까지 오줌을 개방구(28)로 전환시킨다.
방출관(22)의 측벽에는 개방구(28)의 직하에 위치하는 주면요구(66)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용기(14)의 내측턱(50)에 삽입되게 하므로서 용기(14)와 수집기(12)가 상호 고정될때에 용기(14)를 수집기(12)에 봉합관계로 유지시킨다. 물론 덮개(16)는 이와같은 방식으로 설치시에 수집기(12)와 용기(14)사이에 위치된다(제6도 참조).
수집기(12)에는 방출관(22)의 벽과 함께 주면요구(69)를 형성하는 하향연장된 주연력(68)이 형성되어 있다.
제6도는 제5도와 유사한 것이나, 적재하기 위하여 그리고 선택적으로 중류오줌표본을 채집하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함께 조립된 용기(14), 덮개(16) 및 수집기(12)를 보이고 있다. 덮개(16)는 주면요구(54)에 턱(48)을 교합함으로서 용기(14)에 덮개의 외주연이 밀봉되게 용기(14)상에 설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표본용기(14)의 내측벽은 주면요구(66)에 내측턱(50)을 교합함으로서 방출관(22)에 밀봉 개합되어 지지되어 있다. 그 중앙개방부를 둘러싸는 덮개(16)의 중앙환상링(58)은 부분적으로 요구(69)내에 삽입되어 턱(68)에 지지된다. 정지판(55)은 턱(56)에 지지되어 벽(42)의 상측변부(59)와 덮개(16)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한다.
이 공간은 개방구(28)에 인접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핀(55)에 의하여 전체가 조립된 상태에서 환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수집장치가 환자에 의하여 사용될 때에 오줌은 수집기(12)의 수집실(20)로 배설된다. 처음 배설되는 오줌은 방출관(22)으로 흘러내며 방출구(26)로 방출되기 시작한다. 만약 오줌이 처음에 수집실(20)의 벽에 떨어지면 이는 벽을 타고 흘러내려 보호벽(64) 사이의 통로를 통해 화살표(70)방향으로 흐른다. 오줌의 높이가 선(72)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개방구(28)에 이르면, 오줌은 개방구(28)를 통하여 그리고 덮개(16)와 표본용기(14)의 내측벽(42)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화살표(70)으로 보인 바와같이 효르기 시작한다. 배설이 계속됨에 따라 배설의 중류부분은 이미 언급된 바와같이 표본용기(14)로 향하게 된다. 표본용기(14)가 오줌으로 충전됨에 따라 빈용기(14)내의 공기는 상기 공간과 개방구(28)로부터 빠져나간다. 그후 표본용기(14)를 가득 채운후의 배설분은 오우버플로우배출구(30)의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채워진 다음 오우버 플로우관(24)를 통하여 흘러나간다. 배설이 끝나면 수집기에 남아있는 오줌은 방출관(22)과 방출구(26)를 통하여 수집기(12)가 빌때까지 방출된다.
이렇게 한 다음 환자는 수집기와 오줌표본이 들어있는 표본용기를 간호원이나 다른 의료종사자에게 가져갈 수 있고, 간호원이나 다른 의료종사자는 수집장치(10)를 테이블이나 다른 수평면상에 놓아둘 수 있고 취급시는 수집기(12)의 상측변부를 쥘 수 있다. 이는 덮개의 링(59)이 요구(69)내에 더 삽입되고 반가요성핀(55)이 턱(56)을 벗어나 구부러질 수 있도록 턱(68)이 덮개(16)의 인접 표면에 대하여 하향지지하기 때문이다. 표본용기(14)에 대하여 수집기(12)를 더욱 하향되게 하면 덮개(16)의 내측턱(60)은 주면요구(52)와 교합되게 하향되어 턱(60)과 요구(52) 사이를 봉합되게 하므로서 용기(14)내에 수집된 표본이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그 다음 수집기(12)를 덮개(16)와 용기(14)에 대하여 상측으로 당기면 요구(66)에서 방출관(22)상의 용기(14)의 지지상태가 풀려 표본용기로부터 수집기가 분리된다. 그다음 수집기(12)는 분리되어 폐기되고 표본용기는 수집된 표본의 처리를 위하여 남겨진다.
제7도와 제8도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 형태를 보인것으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집장치(10)의 부재들은 오우버플로우관(24A)이 방출관(22)의 중앙에 위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도-제6도에서 보인 바와 동일하다.
방출구(26A)는 방출관(22)의 지면에 보이고 있으나(참 7조 참조) 오우버플로우관(24A)의 벽과 방출관(22)의 내측벽 사이에 위치한다. 물론 오우버플로우관(24A)의 저면은 오우버플로우관(24A)를 통하여 넘쳐흐르는 오줌이 배출되도록 개방되어 있다. 표본용기(14)와 덮개(16)를 조합하면 조립시 이변형 실시형태의 수집기(12A)의 이용은 제1도-제6도 실시형태의 이용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
제9도-제12도의 장치는 제1도-제6도에 도시한 장치의 변형 형태로서,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였다. 특히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장치(10A)는 수집기(12A), 일체로된 표본용기(14) 및 덮개(16)를 포함하고 있다. 특이 한 차이점은 제1도에 도시한 오우버플로우관(24)와 같은 오우버플로우관이 없는 것이다.
수집기(12A)는 하향연장된 방출관(22A)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깔때기형으로 그 상부에 수집실(20)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저면 가까이에 수집기로부터 오줌을 배출키 위한 제1배출구(26)가 형성되어 있다. 제2배출구는 손잡이(18)와 나란한 축부를 제외하고 방출관(22A)의 상측주연 둘레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개방구(28)로 구성된다. 따라서 수집기(12A)의 주연은 폐쇄되어 있고, 더우기 수집기에는 방출관(22A)을 따라 하향연장된 요홈(94)(제10도 참조)이 성형되어 있다. 이 요홈(94)은 표본용기(14)로 넘쳐흐르는 오줌의 통로를 형성하므로서 수집장치(10A)로부터 직접 변기로 과잉오줌이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수집장치(10A)로 배설되는 오줌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편류기(80)가 수집실(20)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편류기(90)는 수집기(12A)의 내부형상에 일치하는 형태로서 깔때기형이며, 수집실(20)의 벽을 타고 흐르는 오줌을 모아 하측개구부(90)를 통하여 방출관(22A)측으로 흐르게 하는 외턱(88)이 형성되어 있다. 수집기(12A)의 내부에는 편류기(80)를 계합 지지하도록 충분한 거리고 상향 돌출된 환상벽(8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벽에는 편류기(80)의 주연에 형성된 요구(86)와 교합될 수 있도록 된 내향돌출링(8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편류기(80)는 조립시 편류기(80)를 간단히 아래로 밀므로서 제10도에서 도시한 위치에 유지된다. 제12도에 도시한 수집기(12A)는 편류기(80)가 삽입되기전의 상태를 보인 것으로, 사용시, 편류기(80)는 오줌이 방출관(22A)에 채워질때까지 개방구(28)를 통하여 표본용기(14)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토록 작용하므로서 처음 배설된 오줌이 부주의로 표본용기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사용시 수집장치(10A)는 여성환자가 변기에 앉아있는동안 엄지와 검지로 손잡이(18)를 잡아 배설되는 오줌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자세로 사용하므로서 본장치는 표본용기(14)의 일부분(50)과 개방부보다 약간 높은 요홈(94)에 인접한 덫개(16)의 내측링(58) 사이로 개방부분이 위치되는 각도로 놓이게 된다.
따라서, 이는 표본용기(14)내에 갇혹 요망되는 표본이 적절하게 채워지는 것을 방해하는 공기가 빠져나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더우기 요홈(94)과 함께 이 부분은 오우버플로우 통로를 형성하므로 표본용기(14)가 일단 채워지면 과잉 오줌이 장치로부터 유출되게 한다.
따라서 과잉 오줌은 배설이 끝날때까지 요홈(94)를 포함한 이 오우버플로우 통로를 통하여 변기를 신속히 배출된다. 이때에는 환자는 방출관(22A)의 소량의 오줌이 방출구(26)를 통하여 배출될때까지 조금만 기달렸다가 표본이 들어있는 수집장치(10A)를 간호원이나 다른 종사자에게 가져갈 수 있다.
제10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수집기(12A)에 수집된 오줌은 화살표(A)로 보인 바와같이 방출관(22A)으로 흘러든다. 그후 이 흐름은 화살표(B)(C)로 보인 바와같이 갈라진다. 오줌의 일부는 방출구(26)를 통하여 흘러나가는 반면에(화살표 B), 나머지 부분은 방출관(22A)을 채우고 최종적으로 상부지역(92)으로 넘치기 시작하여 표본용기(14)로 유입되도록 상향된다(화살표 C).
표본용기(14)내의 오줌높이가 제10도의 좌측에 보인 오우버플로우 통로에까지 이르면 오줌은 표본용기(14)로부터 외측으로 유출되며(화살표 D), 요홈(94)을 경유하여 방출관(22A)과 표본용기(14)의 벽(4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흘러내려간다. 배설이 끝나면 수집기(12A)에 남아있는 모든 오줌은 수집기가 빌때까지 방출구(26)를 통하여 배출된다. 다만 표본용기(14)에만 오줌이 남아있게 된다. 그후, 수집장치(10A)는 이미 언급된 바와같이 용기(14)에 덮개(16)가 봉합되어 폐기될 수집기로부터 표본과 용기가 분리되도록 조작된다.
제13도-제16도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장치(110)(제13도) 하측의 증공형 지지기부(116)에 일체로 고정된 상부개방 오줌수집실(114), 및 기부(116)내에 배치되어 도관(120)에 의하여 수집실(114)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표본용기(118)로 구성되는 원통형 하우징(112)를 포함하고 있다.
수집실(114)은 하우징(112)의 수직환상측벽(122) 및 만곡된 폐쇄저면부(124)로 형성되어 있다(제15도). 저면부(124)는 중앙의 중공형 수직스탠드 파이프(126)의 기부측으로 경사져 있다(제13도 및 제15도). 그러나 사면부(128)가 저면부(124)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사면부는 스탠드파이프(126)의 기부로부터 장치(110)의 측벽(122) 일부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형성된 협소한 수직요구(130)측으로 경사져 있다. 요구(130)의 하단에 인접하여 수평벽(13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평벽(132)에는 오줌이 배출될 수 있는 협소한 수직방출공(134)이 천설되어 있다. 또한 요구(130)는 요구(130)의 대향측부상에 배치된 한쌍의 이격된 중공형의 상부가 개방된 수직기등(13)에 의하여 한정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기둥(136)은 장치(110)의 저면으로 연장되고 또한 그 상단이 수집실(114)의 스탠드파이프(126)의 높이 이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수직기둥(136)은 각각측벽(122)에서 끝나는 가로벽(140)(142)에 의하여 한정되어 있다(제14도). 수직기둥(136)은 수집실(114)과 장치(110)로부터 과잉오줌이 흘러나갈 수 있는 통로(144)를 형성하므로서, 오줌이 장치(110)의 저면부(138)로부터 배출된다.
스탠드파이프(126)는 상단이 개방되고 중공형인 한쌍의 결합된 수직관(146)(148)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직관(142)의 높이는 저면부(124)의 상부에서 타측수직관(148)의 높이보다 높아 오줌이 수직관(148)을 통하여 유입될 때에 표본용기(118)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양측수직관(146)(148)의 높이는 수직기둥(136)의 상단보다 낮다. 수직관(146)(148)은 수집실(114)로부터 오줌표본용기(118)를 채울 수 있도록 용기(118)의 분리가능한 덮개(154)에 형성된 중앙구부(152)(제17도)내에 삽입되는 이중도관(150)을 형성한다. 따라서, 용기(118)는 도관(150)에 활주 및 분리가능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관(150)의 하단(158)에는 경사부(156)가 형성되어 있어 용기(118)를 도관(150)에 간편히 삽탈할 수 있다.
분리가능한 뚜껑(151)은 용기(118)가 채워졌을 때에 구부(152)를 밀폐할 수 있도록 가요성 연결대를 통하여 덮개(154)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수직관(146)의 상측단(162)에는 분리가능하게 오줌보호벽(16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보호벽(160)은 버섯형이다. 따라서, 이는 수직관(146)의 상측단(162)에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장간(168)을 정렬시키는 표시돌기(166)를 가진 보호용도움(dome)(164)으로 구성하고, 도움(164)의 일부는 수직관(148)의 개방상측단부(170)와 수직관(146)의 개방상측단부(171)에 연장된다.
연장간(168)은 도움(164)이 단부(170)(171)를 보호할 수 있게 충분히 멀리 연장되도록 도움(164)에 대하여 수직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오줌이 수집실(114)로 배설될 때에 도움(164)은 오줌이 단부(170)(171)로 직접 흘러들거나 튀어드는 것을 방지한다. 단부(170)는 도관(150)의 수직관(148)과 같이 연속한 오줌수집배출구를 형성한다.
이와같이 수집실(114)에는 높이가 다른 분리된 세개의 오줌배출구가 존재하게 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수집실(114)에는 장치(110)의 저면(138) 가까이에 형성된 요구(130) 저면의 배출구(134), 배출구(134)의 높이보다 높은 수직관(148) 상단의 배출구(170), 및 배출구(170)의 높이보다 높은 수직기둥(136)의 개방상측단부(172)의 배출구(174)가 형성되어 있다. 환자가 장치(110)를 요도아래에 대고 변기에 앉아 배설할 때에 처음 배설되는 오염된 부분의 오줌은 수집실(114)를 지나, 그러나 도움(164)에 부딪치면서 모두 요구(130)로 흘러들어 배출구(134)를 통해 장치(110)를 떠나기 시작한다. 배출구(134)는 협소하므로(좋기로는 직경이 약 2.5mm), 오줌은 요구(130)에 채워질 수 있도록 충분히 느리게 장치(110)를 지나가며, 중류오줌이 배설되므로서 오줌의 높이가 수집실(114)의 배출구(170)높이에 이르러 도관(150)을 통하여 용기(118)로 흘러들기 시작한다. 도관(150)으로 흐르는 오줌은 대부분 중류의 오줌이므로 용기(118)내에 수집되는 오줌표본은 사실상 오염되지 않은 것이다.
용기(118)가 일단 채워지면, 오줌은 도관(150)을 넘쳐 수집실(114)내의 오줌높이는 배출구(170)을 지나 오우버플로우배출구(172)의 높이에 이르러 수직기둥(136)을 통하여 저면부(138)로부터 배출되어 버린다. 배출구(170)는 배출구(134)로부터 원격한 것이 좋다. 더우기, 비록 배출구(134)는 이론적으로는 폐지되어도 가능하나, 오염물질이 다량 포함된 오줌을 장치(110)로부터 신속히 제거하여 용기(118)에 용입되는 표본의 순도를 높이는데 요구되는 것이다. 또한 표본용기(118)가 채워진후 수집실(114)을 비우게 하는 데도 유용하다.
장치(110)를 우측에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수집실(114) 부근의 하우징(112)으로부터 외향상측으로 만곡되고(제13도) 또 수집실(114)의 상측단 높이에서 끝나는 손잡이(174)가 형성되어 있다. 고무, 폴리에틸렌, 폴리비닐, 플라스틱 등으로 비용이 적게드는 일단계 고속주조 조작으로서 손잡이(174), 수집실(114), 도관(150), 스탠드파이프(126) 및 기부(116)를 단일체로 용이하게 주조할 수 있다. 또한 보호벽(160)과 용기(118)도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비용이 적게드는 고속형조작으로 분리 성형할 수 있다. 손잡이(174)에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으로 손잡이(174)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상측면(178)을 따라 톱니(176)가 형성되어 있고 또 손잡이(174)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상측면(178)을 따라 톱니(176)가 형성되어 있고 또 손잡이(174)의 외측단(182)에 인접하여 손잡이턱(180)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는 왼손잡이나 오른손잡이 모두가 사용할 수 있도록 대칭이 되게 할 수 있다. 손잡이(174)는 본 장치(110)를 용이하게 포장 및 보관토록하며, 또한 용기(118)를 적절히 삽입하기 위하여 거꾸로 들 수 있게 한다. 또한 기부(116)에는 장치(110)가 직립위치에 있을 때에 용기(118)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예를들어 장치(110)로부터 오줌으로 채워진 용기(118)를 이동시킬 때에 용기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손가락 넣는 개방부(184)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절결 형성되어 있다.
또한 뚜껑(151)은 도관(150)으로부터 용기(118)을 당겨내는데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뚜껑(151)은 표본을 시험하기 전에 용기(118)내의 오줌이 오염되거나 누출되지 않도록 밀봉하기 위하여 구부(15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배출구(134)(172)는 손잡이(174)로부터 멀리 떨어져(즉, 반대위치)장치(110)측부에 설치하므로서 배설시 환자가 장치(110)를 기울여 오줌이 배출구(134)(172)로부터 계속 흐르게하여 수집실(114)이 비워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

  1. 수집실(20)과, 처음 배설된 오줌부분을 배출하기 위한 방출구(26)와, 분리가능한 표본용기(14)에 이르는 중류(midstream) 부분 이송용 개방구(28)와, 상기 용기(14)내에 유지될 오줌표본의 과잉분을 배출하기 위한 오우버플로우관(24)을 갖는 수집기(12)로 구성되는 배설된 오줌의 중류부분을 선택적으로 수집하기 위한 오줌표본 수집장치에 있어서, 방출관(22)을 수집실(20)의 저부 중앙으로부터 하향연장시키고, 방출구(26)를 방출관(22)의 저부에 형성시키며, 표본용기(14)를 환상으로 형성하여 방출관(22)을 둘러쌀 수 있게 구성시키고, 개방구(28)를 수집기(12)의 주연벽에 형성된 개구에 의해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줌표본수집장치.
KR1019790004329A 1979-04-19 1979-12-07 오줌표본 수집장치 KR8300019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031,427 US4331162A (en) 1979-04-19 1979-04-19 Urine specimen collec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US31,427 1979-04-19
US031427 1993-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892A KR830000892A (ko) 1983-04-28
KR830001983B1 true KR830001983B1 (ko) 1983-10-04

Family

ID=21859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4329A KR830001983B1 (ko) 1979-04-19 1979-12-07 오줌표본 수집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331162A (ko)
KR (1) KR8300019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5951A (en) * 1981-10-14 1985-01-29 Rajko Kenda Apparatus for separately catching successive streams of urine at taking samples to laboratorial and bacteriological examination
US4494581A (en) * 1983-02-18 1985-01-22 Whitman Medical Corporation Isolation of forestream and midstream portions of collected urine samples
US4492258A (en) * 1983-02-18 1985-01-08 Whitman Medical Corporation Sterile urine specimen collection
US4569090A (en) * 1984-05-29 1986-02-11 Davstar Industries, Inc. Disposable urine specimen collecting device
US5422076A (en) * 1991-03-11 1995-06-06 Jones; R. Shane Combined urine specimen bottle and cap
USD425618S (en) * 1999-08-06 2000-05-2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pecimen collection device
US6358477B1 (en) * 1999-10-07 2002-03-19 Belinda Webb Urine specimen collection device
US6908441B1 (en) * 2002-09-27 2005-06-21 Clifford Bernard Urine collection device
US7195602B2 (en) * 2003-06-28 2007-03-27 Yong Peter A K Dual-chamber liquid receiving and containing device
US8043230B2 (en) * 2007-01-20 2011-10-25 Glynis Deadwyler Urine specimen collection device
US20140005572A1 (en) * 2011-03-16 2014-01-02 Kuo-Huang Yang Guiding device for urine collection
GB201303799D0 (en) * 2013-03-04 2013-04-17 Forte Medical Ltd Urine collection device
US20140276214A1 (en) * 2013-03-15 2014-09-18 Lipinsky Enterprises, LLC Urine sample collection device
US9155525B2 (en) * 2013-03-15 2015-10-13 Lipinsky Enterprises, LLC Urine sample collection device
GB201411491D0 (en) * 2014-06-27 2014-08-13 Randox Lab Ltd Liquid sample collection device
CN105842013B (zh) * 2016-04-28 2019-03-19 上海科勒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集液装置及包括该集液装置的智能马桶
CN107981894A (zh) 2018-01-12 2018-05-04 北京峰誉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阵列网孔采集区的集液机构及含有其的智能马桶
CN109999324B (zh) * 2019-05-08 2021-04-16 安徽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新型泌尿外科护理用导尿装置
CN110220753A (zh) * 2019-07-04 2019-09-10 卿吉琳 一种适用于尿液样本采集的装置及方法
WO2021155174A1 (en) 2020-01-31 2021-08-05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Urine collection, storage, and testing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2683A (en) * 1963-05-29 1966-05-24 Aluminum Specialty Co Ring mold
US3722503A (en) * 1968-02-07 1973-03-27 Gambrell J Apparatus for collection of urine in females
US3561427A (en) * 1968-04-03 1971-02-09 Profy Albert T Device for measuring urinary output
IT1028403B (it) * 1975-01-16 1979-01-30 Crippa Egidia Contenitore con provetta esterna per analisi di urine e altri liquidi acidi
US4040791A (en) * 1976-06-22 1977-08-09 David H Kuntz Specimen collecting device
US4064760A (en) * 1976-12-15 1977-12-27 Ipco Hospital Supply Corporation Sterile urine collection device
US4176412A (en) * 1978-09-15 1979-12-04 The Kendall Company Urine coll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331162A (en) 1982-05-25
KR830000892A (ko) 198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01983B1 (ko) 오줌표본 수집장치
US4276889A (en) Urine specimen collecting device
US4252132A (en) Midstream urine specimen collecting device
US4557274A (en) Midstream urine collector
US8690794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on of human bodily waste samples
JP5976321B2 (ja) 初尿採取器
DK168615B1 (da) Blodopsamlingsindretning
EP0250170B1 (en) Specimen collector
EP0218758A1 (en) Disposable urine specimen collecting device
US20040267159A1 (en) Dual-chamber liquid receiving and containing device
JPH01501918A (ja) 疾病診断のために体腔から流動検体を採取するための洗浄装置
US20060064033A1 (en) Midstream urination collection device
KR101935986B1 (ko) 일회성 밀폐형 체액 보유 장치 및 간편하고 위생적인 채액 방법
AU2004254594A1 (en) Dual-chamber liquid receiving and containing device
EP0009980B1 (en) Urine specimen collecting device
US4301812A (en) Midstream sampling device
US20060064034A1 (en) Midstream urination collection device
GB2162312A (en) Midstream urine collector
JPH02249942A (ja) 尿サンプリング装置及びコンテナ付尿サンプリング装置
KR101732843B1 (ko) 소변의 분리 및 감염 관리를 위한 진보된 소변 검사용 용기
WO1990013280A1 (en) Mid stream urine device
JP7082243B2 (ja) 新型の便利な液体採取装置
CA1232810A (en) Midstream urine collector
JP2004528570A (ja) 尿収集装置
JP2884126B2 (ja) 尿採取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