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829Y1 - 폐 타이어용 난로 - Google Patents

폐 타이어용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829Y1
KR830001829Y1 KR2019820003773U KR820003773U KR830001829Y1 KR 830001829 Y1 KR830001829 Y1 KR 830001829Y1 KR 2019820003773 U KR2019820003773 U KR 2019820003773U KR 820003773 U KR820003773 U KR 820003773U KR 830001829 Y1 KR830001829 Y1 KR 8300018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tove
air
support frame
waste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37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남방에너지
이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남방에너지, 이혁배 filed Critical 주식회사남방에너지
Priority to KR20198200037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8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8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폐 타이어용 난로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절개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중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소실동체 2 : 송풍관
3 : 연료통 5 : 공기유통공
8 : 연통 10 : 연결통
15 : 송풍기 16 : 연소실뚜껑
18 : 연통소제구
본 고안은 잘게자른 폐타이어 조각을 공해나 냄새없이 완전히 연소시키므로서 다량의 열을 발생하게 한 폐타이어용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차량이나 특수차량의 증가에 따라 다량으로 배출되는 폐타이어의 처리는 공터에 쌓아놓음으로서 미관상 좋지 않고 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소각처리 할때도 많은 매연을 발생시켜 가중되는 공해를 더욱 가속시키는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폐타이어를 소각하는 장치가 있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많이들기 때문에 거의 실용화되지 못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좀더 실용적이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연소실동체의 내측에 송풍관 및 연료받침틀이 형성된 통상의 난로에 있어서 연료받침틀의 상단에 연료통을 설치하되 연료통의 최상단 측벽에 다수의 공기유통공을 설치하므로서 잘게 자른 폐타이어 조각을 매연이나 냄새없이 완전히 연소시킬 수 있는 난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료실동체(1)의 내측에 송풍관(2) 및 연료받침틀(3)이 형성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연료받침틀(3)의 상단에 연료통(4)을 설치하되 연료통(4)의 최상단 측벽에 다수의 공기유통공(5)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6, 6', 6''은 공기조절구, 7은 연소제를 소제하기 위한 문, 8은 연통, 8는 연결대, 10은 연결통, 11은 재받이판, 12, 13은 구멍, 14는 파이프, 15는 송풍기, 16은 연소실뚜껑, 17, 17', 17''은 받침링, 18은 연통소제구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된 본 고안은 연료받침(3)를 위에 가연성이 높은물질(종이)을 올려놓고 착화시킨 다음, 어느 정도 착화되면그 위에 잘게자른 폐타이어 조작을 올려놓고 송풍기(15)를 가동시킨다.
이와 같은 예비가열작업이 끝나게 되면, 연료통(4)에 폐타이어 조각을 채워 넣어 장기 연소를 하게된다.
이때, 송풍관(2)을 통해 강제송풍된 공기의 일부는 연료통(4)의 공기유통공(5)을 통해 연료통(4)안으로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는 연료사이에 누적된 가스와 함께 연료통(4)하부로 밀려나 연료받침틀(3)에서의 연소를 도우며, 일부는 연료받침틀(3)에서 연소되는 연료에 공급되어 연료받침틀(3)에서의 연소를 원활히 해준다.
처음의 불길은 일시적으로 상부로 향해 연료를 가열시켜 양호한 착화상태로 만들며, 약간의 시간이 지나게 되면 끝이 밀폐되고 주위에 구멍(13)이 환설된 송풍관(2)의 하단으로 송풍되는 공기하향흐름과 기압의 차이에 의한 연통의 배출력에 의해서 불길은 하향으로 유도되어 연료는 밑에서부터 타들어가게 되며, 연소열 및 배기가스는 하단으로 유도되어 연결통(10)을 거쳐 연통(8)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연소원리를 이용한 본 고안은 연료통(4)의 최상단에 공기유통공(5)을 마련하므로 가스나 공기흐름을 원활히 했다.
만약, 공기유통공(5)을 연료통(4)의 하단이나 중간에 뚫게 되면 공기유통공(5)보다 위쪽은 공기의 흐름에 의해 배출되는 가스가 축적되므로 폭발할 위험성이 있을뿐 아니라 연소실동체(1)와 연소실뚜껑(16) 사이의 공간을 통해 밖으로 누출되게 되어 위험하다.
또한, 본 고안은 모우터에 의해 가동되는 송풍기(15)의 강압공기를 다수의 구멍(13)이 주위에 환설된 송풍관(2)을 통해 송풍하므로 공기를 연소실동체(1)내부에 골고루 분산시키도록 설계했으며 공기조절구(6)(6')(6'')를 설치하여 연소실동체(1)안의 연소공기공급을 도울수 있게 하였다.
재받이판(11)에는 다수의 구멍(12)을 마련하여 미처 연소하지 못하고 떨어진 폐타이어의 잔여분이 연소할수 있도록 하였으며, 연통(8)의 하단에 연통소제구(18)를 마련하여 연통 배출력에 의해 연통으로 빨려나가던 재를 모아서 제거할 수 있게 하였고 연결대(9)는 연통(8)의 지지를 위해 설치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폐타이어를 완전연소시켜 공해없이 소각하고, 소각할때 발생하는 열도 이용할수 있게 하였으며, 폭발이나 누출의 위험없이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제작비용이나 난로자체의 크기를 줄일수 있어 일반가정이나 공장등에서 사용할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Claims (1)

  1. 연소실동체(1)의 내측에 송풍관(2) 및 연료받침틀(3)이 형성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연료받침틀(3)의 상단에 연료통(4)을 설치하되 연료통(4)의 최상단 측벽에 다수의 공기유통공(5)을 설치함을 특징으로한 폐타이어용 난로.
KR2019820003773U 1982-05-14 1982-05-14 폐 타이어용 난로 KR8300018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3773U KR830001829Y1 (ko) 1982-05-14 1982-05-14 폐 타이어용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3773U KR830001829Y1 (ko) 1982-05-14 1982-05-14 폐 타이어용 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829Y1 true KR830001829Y1 (ko) 1983-09-17

Family

ID=19225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3773U KR830001829Y1 (ko) 1982-05-14 1982-05-14 폐 타이어용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8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83832A (en) Apparatus for burning industrial wastes
KR830001829Y1 (ko) 폐 타이어용 난로
KR200371234Y1 (ko) 소각보일러의 배기가스 재 연소장치
KR100247294B1 (ko) 폐기물 소각로용 폐타이어 연소장치
KR20070036265A (ko)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열풍기
KR19990078939A (ko) 개질 연소식 소각로
JPH07239110A (ja) 廃棄物焼却装置
JP2847469B2 (ja) 可燃ゴミ焼却装置
KR100304423B1 (ko) 폐유연소보일러
JPH0330673Y2 (ko)
US5335607A (en) Rubber tire combuster
CN217843947U (zh) 一种多燃料取暖炉
KR0165921B1 (ko) 자연통풍식 소각로
KR200161843Y1 (ko) 쓰레기 소각겸용 난방보일러
JP3006430U (ja) 無公害焼却機
JP3579774B2 (ja) バーナー加熱式高分子焼却機
KR100430725B1 (ko) 건류식 소각로와 결합하여 건류가스로 가열되는 온수보일러
JP2847470B2 (ja) 可燃ゴミ焼却装置
KR19990085244A (ko) 열분해식 폐기물 소각장치 및 그 방법
KR200363498Y1 (ko) 가연성 쓰레기 및 폐기물의 건류소각로를 구비하는 온수보일러
KR830001461Y1 (ko) 석유화학 제품의 폐기물 소각장치
KR810000102Y1 (ko) 가연성 쓰레기소각겸용 온수 보일러
KR100193694B1 (ko) 소각기
KR940000792A (ko) 무연 쓰레기 소각장치
KR200270521Y1 (ko) 소각로의 연소실 압력 감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