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774Y1 - 회로 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774Y1
KR830001774Y1 KR2019830006577U KR830006577U KR830001774Y1 KR 830001774 Y1 KR830001774 Y1 KR 830001774Y1 KR 2019830006577 U KR2019830006577 U KR 2019830006577U KR 830006577 U KR830006577 U KR 830006577U KR 830001774 Y1 KR830001774 Y1 KR 830001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or
conductor
crossbar
circuit breaker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65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미 다마루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신도사다가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00000146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2378A/ko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신도사다가쓰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30006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7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7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1Details concerning the lever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36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electromagnetic release and no other automatic release
    • H01H73/38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electromagnetic release and no other automatic release reset by lev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로 차단기
제1도는 종래의 회로차단기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이데, 회로차단기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동상의 폐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동상의 과전류에 의한 개로동작 순간을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동상의 가동접촉자 도체와 크로스바와의 계합위치 관계 및 계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고안은 전류를 개폐하는 회로차단기의 개폐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로차단기로서 제1도와 같은 회로차단기가 있는데, 이 회로차단기는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한 고정접촉자(4)를 일단에 고착하고, 타단에는 외부전선7도시하지 않았음) 접속용 단자나사(3)이 설치된 고정접촉자도체(2)와, 가동접촉자(6)를 고착한 가동접촉자도체(5), 가동접촉자 도체(5)에 이탈력을 주기 위한 이탈스프링(21), 가동접촉자도체(5)의 개폐동작을 돕는 지점(17a)(17b)과 접압(接壓)을 유지하기 위한 것과, 크로스바의 이동시 난조를 흡수하여 폐로동작을 돕는 접압스프링(22), 이탈스프링(21)과 접압스프링(22)의 위치를 결정한 후 가동접촉자도체(5)에 힘을 전달하는 크로스바(7), 수동적인 힘을 전달하는 핸들(10)과 링크(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로 동작시에는 핸들(10)을 수동에 의하여 도시한 것과 같은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크로스바(7)의 미는 힘이 약해져 이탈스프링(21)의 힘에 의해 크로스바(7)가 윗방향으로 올라가고 가동접촉자도체(5)도 올라가면서 가동접촉자(6)가 열린다.
이때 가동접촉자도체(5)의 단부는 자동프리핑장치(17)의 점(17a)에 닿게되고, 이를 지점으로 하여 가동접촉자(5)는 전류를 차단하게끔 충분하게 열리게 된다.
한편, 폐로동작시에는 핸들(10)을 수동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케하면, 링크(9)에 의해 크로스바(7)는 아랫방향으로 눌리게 된다.
이 압압력이 이탈스프링(21)의 이탈력보다 클때 크로스바(7)는 내려가서 전압스프링(22)를 통하여 가동접촉자 도체(5)를 아래로 눌러 가동접촉자(6)가 고정접촉자(4)에 접촉하여 폐로상태로 된다.
이때 가동접촉자도체(5)의 단부는 자동트리핑장치(17)의 지점(17b)에 닿음으로 인하여 이를 지점으로 크로스바(7)를 아래로 밀고, 이 미는 힘은 전압스프링(22)를 휘어지게하면서 접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탈스프링(21)과 접압스프링(22)의 두가지스프링이 필요하게 되어 부품의 가지수가 많아 조립이 곤란하고 또 이탈스프링(21)과 접압스프링(22) 및 가동접촉자도체(5)와 관계되는 크로스바(7)의 형상이 복잡하게되어 금형구조가 복잡하게 되므로 성형시 변형도 커지게 된다.
또 접압스프링(22)을 크로스바(7) 내에 장입하기 때문에 강도도 약해진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조립이 용이하고 신뢰성이 높은 회로차단기를 제공하는데 자다.
이하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1은 절연재로 된 베이스, 2는 일단에 외부전선(도시하지 않았음) 접속용단자나사(3)를 나합하고 타단에는 고정접촉자(4)를 고착한 고정접촉도체로서, 베이스(1)에 장착되어 있다.
5는 고적접촉자(4)와 접탈동작하는 가동접촉자(6)를 고착한 가동접촉자도체, 7은 절연재로 된 크로스바로서,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양측단부를 절결하여 형성된 가동접촉자도체(5)의 수부(首部((5a)와, 이 수부(5a)와 계합되고 가동접촉자도체(5)의 위치를 결정하는 요부(凹部, 7a)와, 이 요부(7a)의 개구단부에 설치되어 가동접촉자도체(5)의 하면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철부(7b) 등을 구비하고 있고, 베이스(1)의 홈(1a)을 따라 접동하여 가동접촉자도체(5)를 개폐동작시킨다.
7c는링크(9)의 양측판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홈, 9는링크로서, 일단은 수동핸들(10)에 핀(31)으로 가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크로스바(7)와 괘탈(掛脫)할수 있게 핀(14)으로 계합하였다.
10은 절연재로 된 수동핸들로서, 핀(11)으로 프레임(12)에 장착되어 있고, 타단은 핀(13)을 통하여 냉크(9)에 연결되어 있다.
12는프레임으로서, 베이스(1)에 장착되어 개폐동작을 하는 기구부를 지지하고 있으며, 동시에 인장스프링(15)을 괘지하는 돌기부(12a)를 갖고 있다. 이 인장스프링(15)는 수동핸들단부에 핀(13)으로 괘지되어 있고 타단은 프레임(12)의 돌기부(12a)에 괘지되어 있다.
16은 레바로서, 핀(11)으로 수동핸들(10)과 같이 프레임(12)에 장착되어 크로스바(7)과 링크(9)와의 계합부에서 생기는 힘의 분력을 자동트리핑장치(다음에 설명함)에 전달함과 동시에 크로스바(7)와 링크(9)의 계합을 유지한다.
17은 자동트리핑 장치인데, 과전류, 단락전류가 발생하면 레바(16)와의 계합을 해제시켜 자동적으로 트리핑동작을 하는 장치이다.
또한 이 자동트리핑장치(17)의 한쪽출구부에는 일단을 가동접촉자도체(5)에 고착한 가소동연선(18)이 접속되어 있고, 다른쪽의 출구부에는 외부전선(도면에 표시하지않 았음) 접속용 단자나사(19)를 나합하고, 베이스(1)에 장착된 단자판(20)이 접속되어 있다.
21은 가동접촉자(6)를 고정접촉자(4)에서 이탈시키기 위한 이탈력과 전압을 발생시키는 압압스프링, 8은 절연재로된 카바로서, 내부기구를 외력에서 보호함과 동시에 먼지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프레임(12)이 올라오는 것을 베이스(1)과의 나합에 의해서 방지하고 있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온(ON)에서 오프의(OFF) 개로동작에 관하여 제2도에 의해 설명한다.
온에서 오프의 개로동작시에는 핸들(10)을 수동으로 도면에 표시한 위치까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링크(9)의 내려미는 힘이 없어져 압압스프링(21)의 이탈력으로 가동접촉자도체(5)와 크로스바(7)이 위로 올라 가므로 자동트리핑장치(17)의 지점(17a)에 닿게되어 가동접촉자(6)는 크게 열려진다.
또한 페로동작시에는, 핸들(10)을 반시계 방향으로 밀게되는데, 이때 핸들(10)에 가해지는 수동력은 링크(9)의 작용에 의해 크로스바(7)로 내려미는 힘으로 작용하며, 이 힘은 압압스프링(21)의 이탈력보다 크므로 가동접촉자도체(5)를 하방으로 밀어서 가동접촉자(6)와 고정접촉자(4)를 상접시켜 폐로상태로 된다.
더구나, 크로스바(7)를 통하여 가동접촉자도체(5)가 아래쪽으로 약간 내려감으로써 제3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가동접촉자도체(5)의 단부는 지점(17a)와 떨어져 압압스프링(21)에 힘이 축적되어 가동접촉자(6), 고정접촉자(4)의 접압력으로 작용한다.
또한 과전류의 동작시에는 자동트리핑장치(17)의 작동에 의해 제4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괘합부(17c)가 풀려 레바(16)가 회전하고 링크(9)와 크로스바(7)의 계합상태가 해제되어 압압스프링(21)의 이탈력에 의해 개로상태로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한개의 압압스프링으로서 이탈스프링과 접압스프링의 양쪽효과를 하게 하므로 부품의 수가 적어지고, 크로스바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고,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해지며 기계적강도가 큰 안정성이 있는 회로차단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전류를 흐르게하는 가동접촉자도체(5) 및 고정접촉도체(2)와, 위의 가동접촉자도체(5)에 계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크로스바(7)와, 가동접촉자도체(5)에 이탈력을 가하는 압압스프링(21)과, 위의 가동접촉자도체(5)의 일단부와 계합하여 가동접촉자도체(5)의 이탈을 도와주는 지점(17a)(17b)을 가진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가동접촉자도체(5)의 수부(5a)와 계합하며 가동접촉자도체(5)의 위치를 결정하는 요부(7a)와 이 요부(7a)의 개구단에 설치되어 가동접촉자도체(5)의 하면부를 지지하는 한쌍의 철부(7b)등으로 구성한 크로스바(7)와, 가동접촉자(6)를 고정접촉자(4)에서 이탈시키기 위한 이탈력과 접압을 발생시키는 압압스프링(21)과, 개로시에만 가동접촉자도체(5)에 닿는 지점(17a)등을 구비하여서 된 회로차단기.
KR2019830006577U 1980-01-16 1983-07-26 회로 차단기 KR8300017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6577U KR830001774Y1 (ko) 1980-01-16 1983-07-26 회로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146A KR830002378A (ko) 1980-01-16 1980-01-16 회로 차단기
KR2019830006577U KR830001774Y1 (ko) 1980-01-16 1983-07-26 회로 차단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146A Division KR830002378A (ko) 1980-01-16 1980-01-16 회로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774Y1 true KR830001774Y1 (ko) 1983-09-16

Family

ID=2662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6577U KR830001774Y1 (ko) 1980-01-16 1983-07-26 회로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7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142B1 (ko) * 2000-12-27 2003-09-06 니치다이 인더스트리얼 가부시키가이샤 외장재블록 및 그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142B1 (ko) * 2000-12-27 2003-09-06 니치다이 인더스트리얼 가부시키가이샤 외장재블록 및 그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8119A (en) Means for breaking welds formed between circuit breaker contacts
GB2097590A (en) Circuit breaker
US6307460B1 (en) Power switch device
US4338586A (en) Circuit protector having a slidable latch
US5898355A (en) Switch breaker having an arc prevention mechanism
US4436972A (en) Circuit protector having a lamp within its handle and terminals therefor
US4518943A (en) Bimetallic circuit breaker with an auxiliary switch
US4752755A (en) Circuit breaker
KR830001774Y1 (ko) 회로 차단기
US4075594A (en) Thermostat with reset arm
US6377159B1 (en) Push button circuit breaker switch
US2352517A (en) Thermal circuit breaker
US3009999A (en) Tool handle switch with overload protection
KR20010108005A (ko) 플러그접속식 회로차단기
US4902999A (en) Enclosed bimetal circuit breaker
US3340374A (en) Resistance wire snap acting circuit breaker switch
US3895337A (en) Overcurrent protective device
US2767281A (en) Thermal over-current circuit-breaker
JPS6136048Y2 (ko)
US3832663A (en) Circuit breaker with improved frame and cradle support means
US2403051A (en) Circuit breaker construction
JP3070999U (ja) 押しボタン式回路遮断器スイッチ
US3588772A (en) Fused circuit interrupter
US4151495A (en) Resetting means for trip free circuit breaker contact operating mechanism
US3184561A (en) Torsion spring actuated snap action electric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8012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