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773Y1 - 열동 개폐(熱動開閉)휴즈 - Google Patents

열동 개폐(熱動開閉)휴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773Y1
KR830001773Y1 KR2019830006612U KR830006612U KR830001773Y1 KR 830001773 Y1 KR830001773 Y1 KR 830001773Y1 KR 2019830006612 U KR2019830006612 U KR 2019830006612U KR 830006612 U KR830006612 U KR 830006612U KR 830001773 Y1 KR830001773 Y1 KR 8300017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movable contact
housing
lead wire
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66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니오 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니후꼬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00003746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3798A/ko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니후꼬,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니후꼬
Priority to KR20198300066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7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7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7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74Switches in which only the opening movement or only the closing movement of a contact is effected by heating or cooling
    • H01H37/76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동 개폐(熱動開閉)휴즈
제1도는 전기사용중의 본 고안에 의한 열동개폐 휴즈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열동 개폐휴즈의 가동접촉부와 리드선의 접촉부의 변형단면도.
제3도는 비사용중의 제1도의 열동개폐 휴즈의 단면도.
제4도는 전기 사용중의 본 고안의 열동 개폐휴즈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제5도는 전기 비사용중의 제4도의 열동개폐휴즈의 단면도.
제6도는 전기사용중의 본 고안의 열동 개폐휴즈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제7도는 비사용중의 제6도 열동개폐 휴즈의 단면도.
제8도는 전기사용중의 본 고안의 열동 개폐 휴즈의 제4실시예의 단면도.
제9도는 전기 사용중의 본 고안의 열동 개폐 휴즈의 제5실시예의 단면도.
본 고안은 한쌍의 리드선 사이의 온도가 규정된 위험수준에 달할때 전기사용이 차단되는 열 스윗치 혹은 열동 개폐 휴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좋은 열감응 특성을 나타내는 것들로서 최근에 제안되고 있는 열감응 펠릿(Pellet)이 사용되는 열동개폐 휴즈들중에는 전기회로를 차단하는 신뢰성 있는 작용을 제공하고, 열감응 펠릿과 많은 수량의 기계적인 스프링과를 결합사용하고 있다.
그들은, 전기 사용의 계속성이 성립되며 또 불변의 접촉 유지로 계속성이 있어야하고 휴즈 하우징 사이의 접속상태가 상세하게 배열된 가동접촉부를 가져야하며 기계적인 스프링장치에 의해서 가동접촉부가 고정접촉부에서 떨어져 나가는 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받으며 또 동시에 규정된 위험 수준이하의 온도에서 고체이며, 일정한 부피로 가정되는 열감용 펠릿장치에 의해서 고정접촉부로부터 그 가동접촉부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벗어남을 방지하는 등의 일반적인 원칙에 의해서 작동된다. 정상조건에 있어서 2개의 접점은 서로 완전하게 접촉이 유지되며 접촉상태로 단말되어 있는 한쌍의 리드선은 서로가 전기의 흐름이 유지되게 한다. 규정된 위험수준 이상으로 순식간에 포위된 온도가 상승될때 열감응 펠릿은 순간적으로 녹으며 액화된다. 따라서 기계적인 스프링의 힘이 발생케되며 그 결과로 가동접촉부가 고정접촉부로부터 미끄러져 나가며 한쌍의 리드선 사이의 전기의 흐름이 끊어진다.
본 고안인에 의해서 이전에 제안된 열동개폐 휴즈(일본 공개공보 1979-42640호)에서는, 그 가동접촉부는 가동접촉부와 고정접촉부 사이의 접촉부면에 대하여 하우징내의 수직방향으로 접동된다. 그때에 그 가동접촉부의 외부면은 하우징의 내벽면에 마찰된다.
대단히 약간일지라도 2개의 표면 사이에서 마찰로 발생하는 힘이 휴즈 하우징으로 부터다른데로 변화될때 가동접촉부는 접동발생이 차단되거나 경사체로 접동하는 결과가 될때가 될것이며 그 결과 고정접촉부로부터 가동접촉부의 이탈이 불완전하게 될 것이다.
가동접촉부가 비상시에 원만한 접동이 되게 하려면, 그 접동동안 주스프링이 경사체로 됨을 방지하기 위해 채택된 보조 스프링을 갖는 기계적인 주스프링을 사용하거나 혹은 요구되는 정상상태보다 더 다른 큰 힘을 발생할 수 있는 비교적 더 큰 기계적인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들 장치는 휴즈의 단가가 상승되며 휴즈의 크기가 커지고 휴즈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정상적인 조건하에서 실패함이 없이 고정접촉부의 한 부분과 접촉되어 있는 가동접촉부의 한 부분내에 열동개폐 휴즈가 제공됨에 있으며 또 열감응펠릿이 녹을때 2개의 접촉부가 분리됨에 절대로 잘못되는 일이 없도록하는 열동개폐 휴즈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의거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우징과, 그 하우징내에 관통되어 있는 제1리드선, 그 제1리드선의 관통끝에 연결되며 그 수평방향으로 고정적으로힘을 받으며 방사상으로 비스듬하게 방향이 전환되는데 적합한 가동접촉부 및 상술한 가동접촉부의 주변을 둘러싸여진 고정접촉부와, 고정접촉부에 연결된 제2 리드선과, 하우징내의 가동접촉부와 반대로 배열되어 정해진 위험온도에서 녹을수 있는 열감응 고체 펠릿 및 비스듬하게 방향이 바뀌게되는 가동접촉부를 유지하며 고정접촉부를 고정점으로 접촉 유지하게 하는 상술한 가동접촉부와 열감응 펠릿 사이에 끼워진 정지체등으로 구성된 열동 개폐 휴즈가 제공된다.
그 휴즈에 가까운 주변 온도가 올라가고 정해진 위험수준에 도달하며 열감응 펠릿이 결과적으로 녹을때, 정지체상의 펠릿에 의해서 미치는 반발력과 가동접촉부상의 정지체에 의해서 미치는 압력은 다같이 중지되며 따라서 가동접촉부는 코일스프링의 힘에 의해서 수평위치로 튀어나오게 된다. 그러므로 고정접촉부로 부터의 가동접촉부의 순간적인 분리가 완성된다.
열감응 펠릿이 녹음으로써 고정접촉부로부터 가동접촉부가 이탈된 동안 가동접촉부의 운동은 꼭 바라는 마찰력으로 상승되므로 본 발명의 열동개폐 휴즈는 효과적으로 전류의 흐름이 차단을 꼭 성취하게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과 특징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설명으로 본 고안의 내용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는 열동개폐 휴즈의 제1실시예의 규정된 위험수준하의 온도에서 정상상태로 되어있는 내부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그 휴즈는 하우징(1)을 가지며 본 예에서는 원통형이며 일단(1a)은 열려있다. 이 개구단(開口端)(1a)을 거쳐서 제1리드선(2)의 리드단(2a)은 하우징에 끼워져 있다. 그 리드선의 타단은 도시는 비록 안되어 있으나 하우징의 외부에 뻗어 있다.
제1리드선(2)의 부분적인 리드단(2a)을 하우징내에 밀어넣기 위하여 금속도체로 된 전기전도성 가동접촉부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동접촉부(3)는 적은 둥근정점을 가진 원추형 머리부분(3a)과 원추형 머리부분의 저면 지름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지며 그 머리부분(3a)의 저면에서 수직으로 뻗은 샌크(shank)부(3b)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이 가동접촉부(3)는 버섯의 일반적인 모양을 하고 있다.
그 가동접촉부(3)의 샌크부(3b)은 제1리드선의 리드단(2a)과 접촉이 유지된다.
실시예에서의 특별한 것은 샌크부(3b)의 단자표면은 약간 볼록한 구표면을 갖고 리드선의 관통된 끝인 리드단(2a)의 단자면은 약간 오목한 주위면을 가지고 그들은 서로가 잘 맞는다. 금속재로 만들어진 코일 스프링(4)은 샌크부(3b)의 외부면을 둘러싸게 배치되고 상술된 된 부재의 결합된 길이를 통하여 리드선의 관통된 끝인 리드단(2a)으로 배치된다.
이 코일스프링(4)은 자연적으로 그 원래상태로 놓여졌을때 그 자체의 축에 따라 신장하는 형태를 취한다. 가동접촉부(3)가 제1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리드선(2)에 관련하여 방사상 방향으로 비스듬히 돌아올때 코일스프링(14)은 동시에 만곡하고 만곡력에 대하여(화살표 "A"방향으로)탄력을 내게 한다. 결과적으로 코일스프링(4)은 가동접촉을 하우징의 중앙으로 탄력으로 올리는 힘을 부가하게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가동접촉부(3) 및 리드선(2)는 그들의 보조주위 단자면을 통하여 서로가 독자적인 접촉으로 유지하므로 코일스프링(4)은 수평방향에서 가동접촉부에 단지 힘을 부가하는 수단뿐만 아니라 밀착 결합된 상태에서 리드선(2)와 가동접촉부(3)를 유지하는 기능도 한다. 이 이유때문에 코일스프링(4)은 상기한 두 부재의 직경보다 적은 내경을 가지며, 두 부재는 코일스프링의 내측을 압축하는 상태로 유지되고 결합의 상태에서 단단히 유지되도록 한다. 상술한 기능에 더하여 이 코일스프링(4)은 병렬전류 통로 및 리드선(2)과 가동접촉부(3)사이의 접촉저항을 소멸시키는 다른 기능을 가진다.
가동접촉부(3)와 리드선(2)의 단자면의 보조구형의 상술한 이유로 가동접촉부(3)가 비스듬히 돌았을 때 또 경사의 각도가 구조의 공차내로 변하였을때 두 부재는 접촉저항이 증가하지 않도록 항상 고정된 접촉만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것은 실제로 설계에서 고려되어야 할 문제이다. 마음대로 가동접촉부(3)와 리드선(2)은 알려진 보편적이고 소구체(小球體)적인 결합과 같이 보다 큰 길이의 표면접촉을 유지하도록 볼록한 구면과 오목한 구면을 가진다. 거꾸로 접촉저항이 중요한 문제가 아닌 것에서는, 그와같은 구면을 가진 가동접촉부(3)와 리드선(2)을 특별히 준비할 필요는 없다. 그 대신 리드선(2)은 제2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리드단에서 오목한 구면을 가지고 제공되고 단자단에서 평면을 가진 가동접촉부가 각각 제공된다. 이 배열에서 두 부재가 그들의 단자면으로 코일스프링(4)에 의하여 힘을 받아도 한쌍의 리드선간의 전기의 연속성에서 문제는 되지 않는다. 물론 같은 효과는 단자단에서 평면을 가진 리드선(2)과 단자단에서 볼록한 구면을 가진 가동접촉부(3)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얻어진다.
하우징(1)내에서 혹은 가동접촉부(23)의 반대에서는 용융점에서 신속하게 용융하는 열감응 펠릿(5)은 고정된 체적을 점유하도록 고체상태에서 배치된다. 고체의 면에 대하여 열감응 펠릿이 가동접촉부에 대향하고 온도적으로나 전기적으로 절연인 정지체(7)는 예를들면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지고 가동접촉부(3)를 가진집적 접촉으로 되도록 적용되고, 예로서 실리콘 고무 또는 테프론 수지로 만들어진 적당한 탄성판(6)의 매체를 통하여 접착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정지체(7)는 원추형을 가지고 그 바닥은 열감응 펠릿측에 떨어지며 정지체(7)는 탄성판(6)으로 부터 원추의 꼭대기까지의 거리가 탄성판(6)으로 부터 가동접촉부(3)의 꼭대기까지의 거리보다 큰 크기를 가진다.
그러므로, 정지체(7)는 접촉으로 유지되는 원추의 주변면을 가지고 가동접촉부(3)의 머리부분(3a)의 원추의 주변면에 대하여 압축된다. 결과적으로 가동접촉부(3)는 비스듬히 돌고 경사된 형태로 유지되어 정지체(7)와의 접촉에서 유지된 부분에 대향된 원추주변면의 일부는 하우징(1)의 내부벽(1b)의 일부에 대하여 압축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하우징(1)은 그 자체가 적당한 전류가 흐르도록, 금속물질로 만들어지며 하우징의 내부벽(1b)은 그 자체가 고정접촉면(8)을 구성한다. 이 고정 접촉면(8)에 연결되어야할 둘째리드선(9)이 하우징의 저단부(低端部)(1c)의 한 일단에 고정된다.
그와같이 둘째 리드선은 전기적으로나 기계적으로 하우징(1)에 고정된다.
상기한 배열때문에 제1도에 표시된 통상적인 조건에서 전류의 통로는 하우징(1)과 하우징의 내부벽(1b)(고정접촉면(8))에서 제1리드선(2)부터 제2리드선(9)으로 가동접촉부(3)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열동개폐 휴즈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첫째, 제2리드선(9)은 콜킹(caulking)에 의하여 하우징(1)의 닫혀진 저단부(1c)에 납땜 또는 용접되어 연결되고 열감응 펠릿(5)은 하우징(1)의 개구단(1a)을 통하여 삽입된다. 그때 탄성판(6)이 펠릿(5)의 위치로 떨어지고 가동접촉부(3)를 가지고 접촉을 강하게 하는 원추 정지체(7)가 삽입된다.
다른 한편, 제1리드선(2)은 예비적으로 절연 하우징(10)으로 삽입되고 코일스프링(4)은 그의 전체길이의 반으로 제1리드선(2)주위에 삽입되고 가동접촉부(3)의 샌크부(3b)는 그들의 결합을 완전하도록 코일스프링(4)의 나머지 부분속으로 밀려들어간다.
그때 이 결합은 하우징(1)속으로 가동접촉부(3)의 방향에서 삽입된다. 첫째로 가동접촉부(3)의 머리부분(3a)은 제1리드선(2)과 동축으로 직립하여 원추정지체(7)와 충돌한다. 그때 이 상태에서 리드선(2)과 하우징 내부속의 부싱(10)의 강제 삽입으로 머리부분(3a)의 약간 둘러싼 팁(tip)이 정지체(7)의 꼭대기에 대하여 어떠한 방사상 방향으로 미끄러지고 머리부분(3a)의 옆면이 정지체(7)의 옆면에 따라 움직이고 가동접촉부(3)가 코일스프링(4)의 힘에도 불구하고 비스듬히 점차적으로 돈다. 결과적으로 가동접촉부(3)는 경사진 방향으로 진행하고 정지접촉면(8)을 구성한 하우징의 내부벽(1b)과 충돌하고 제1도에 표시된 상태를 이룬다. 휴즈의 여러 부품이 기술된 크기로 부여되고 표시된 바와같이 조합되어 있을때 절연상태로 리드선(2)을 운반하는 부싱(10)의 하우징의 개구단(1a)에 가깝게 장착된다. 하우징으로부터 리드선(2)의 우발적인 이탈을 제거하기 위하여, 부싱(10)을 통하여 삽입된 리드선(2)길이의 절반정도의 방사상으로 팽창한 부분(11)이 제공되고, 부싱의 대응하는 위치에서 단계면(12)이 축방향에서 방사상으로 팽창한 부분과 접촉하도록 적용된다.
그후 하우징의 개구단(1a)은 예를들어 콜킹에 의하여 표시된 바와같이 밀폐되고 본래대로 내부구조물을 유지한다. 임의로, 개구단(1a)은 적당한 합성수지의 밀봉(13)이 제공되어도 좋다. 필요할때는 하우징(1)의 전 외부면은 합성수지의 피복으로 덮혀도 좋다.
상기와 같이 얻어지는 휴즈의 완성조건에서 가동접촉부(3)는 비스듬히 돌려지고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즉 수평방향으로 코일 스프링(4)에 의하여 생기는 부가된 힘을 가진다. 반대로, 이 힘은 정지체(7)에 반발력과 같이 운반되며 정지체(7)는 경사된 상태에서 눌러내리는 가동접촉부(3)를 유지하고, 두 부재들 사이에 접촉면의 매체를 통해 축방향(화살표 "B"방향)에 있는 정지체(17)를 밀어 내려는 힘의 분력을 상승하게 한다. 다시 말해 정지체(7)는 상기 설명과 같이 가동접촉부(3)에서 떨어져 나간 정지체를 움직이려는 힘이 부과된다. 이때 휴즈는 정상조건 하에 있게되며, 열감응 펠릿(5)은 정지체(7)의 뒤에 고체상태로 단단히 남게되고 이 힘에 저항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정지체(7)를 단단하게 위치시키도록 유지한다.
이결과 가동접촉부(3) 역시 그의 수평위치로 되돌아가려는 동작의 발생이 방지되며 이로서 고정접촉부(8)와 접촉상태로 유지된다.
열동개폐 휴즈의 주위온도가 사용된 열감응 펠릿(5)의 용해점에 해당하는 높이로 상승하게 될때 열감응 펠릿(5)은 바로 용해되며 이는 이 형태펠릿의 공지의 특성을 예정된 바이다.
결과적으로 펠릿은 정지상태에 있어서 고정된 용적을 취하게 되며, 상기 설명한 정지체(7)는 이의 물리치는 힘을 빼았으므로서 유발되는 축방향의 힘 "B"를 성공적으로 저항하게 된다. 이결과 정지체(7) 역시 가동접촉부(3)가 제 위치에 고착되어 보전될려는 힘을 빼앗게되며 가동접촉부(3)는 코일스프링(4)의 힘에 의하여 그의 수평위치에서 튀어오르게 된다. 이로서 순간적으로 가동접촉부(3)는 하우징(정지접촉부(8))의 내부벽(1b)로 부터 분리된다. 물론, 정치체(7)는 이 분리에 응답하여 축방향으로 멀리 밀려난다.
열동 개폐 휴즈는 이로서 제3도의 상태를 취하게 되며 여기에서 두개의 리드선 사이의 전기사용이 단절된다.
본 고안에 의한 열동개폐 휴즈에 있어서, 가동접촉부(3)의 분리동작은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원하지 않는 어떤 마찰력을 절대로 발생하지 못하도록 정해진 위험온도에서 열감응 펠릿(5)의 용해에 뒤이어 일어난다. 이로서 절대로 종래 휴즈에서 종종 경험하게 되는 분리동작에 장해를 주게되는 가능성을 전혀 없게 한다. 본 발명의 휴즈는 비상 상태에서 전기연속성을 완전하게 단절시키는 것을 신뢰할 수 있게되며, 비교적 적은 힘의 코일 스프링(4)에 의해 효과적으로 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열감응 펠릿(5)은 밀폐된 공간내에서 용해되므로 비록 용해된 상태이긴 하지만 정지체(7)의 움직임에 대해 저항을 주게될 가능성이 있게된다. 이 가능성을 제거할 목적으로, 본 고안은 하우징(1)의 내경보다 적은 직경으로 이 펠릿(5)표면상에 탄성판(6)을 부여하는 것이 고려되었으며, 이로서 원주방향으로 용해 펠릿의 누출을 보조하기 위하여 탄성판 주위가 환형공간(14)에 상승하게끔 하우징 내경보다 적은 직경을 부여하게 된다. 이로서 정상상태에서 정지체(7)는 가동접촉부(3)의 탄성력에 의해 마주보는 측면 위치상에서 하우징의 내부빼(1b)에 대하여 압축되며 그 위치에서 가동접촉부가 고정접촉부와 접촉상태에 있게 되며, 상기 공간(14')은 오직 반경 방향으로 발생하도록 허용된다. 탄성판(6)을 휴즈와 연합하여 열감응 펠릿(5)이 조잡한 표면을 가질때라도 정지체(7)이 정위치하는 것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활을 충족하게 되며, 또한 두 접촉부(3,8)사이의 접촉저항에 의하여 열감응 펠릿(5)에 유발되는 발생열을 가능한 한 크게 방지하는 기능을 이행하게 된다. 열감응 펠릿(5)의 표면이 평활할때에는 이는 생략해도 좋다.
제4도와 제5도에 제2실시예가 표시되어 있으며 기능은 제1도 실시예와 여기에서는 정지구(7)를 구면형태로 사용한 이외에는 모든 면에서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 전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되풀이를막기 위해 구조설명은 생략한다. 이 구면 정지구(7)의 특성은 플라스틱 재료보다 오히려 염가의 유리로 만들게 된다.
구면을 가진 원추형 정지구(7)의 대응으로 생기는 장점의 하나는 휴즈조립의 진행순서에 있어서 하우징 내부에 정지구를 삽입하는 일이 보다 편리하게 수행된다는 것이다. 정지체(7)가 상술한 실시예에서 원추형으로 되어 있을 때이는 매우 주위를 요하며 하우징안에 삽입되어야 하고, 바닥표면은 펠릿의 표면상에 편편하게 부착되어야 한다. 정지구가 구면형태로 되며는 방향성이 없게되며, 삽입은 상기와 같은 어떠한 주의도 요하지 않는다.
또한 가동접촉부(3)가 리드선(2)과 더불어 삽입될때에는 정지체와 충돌한 후 가동접촉부(3)가 한 반경방향으로 비스듬이 회동될때까지 코일스프링(4)의 가세된 힘에 대향하여 더 누르게 되며, 이 구면정지체는 가동접촉부가 자유로운 미끄럼접촉을 할뿐 아니라 그 자체가 구면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가동접촉부(3)는 보다 원할하게 비스듬히 회동될 수 있게 된다. 더우기 휴즈의 주위온도가 규정된 위험레벨로 상승한 후 열감응 펠릿(5)이 용해되고 가동접촉부(3)가 제5도에 표시된 그의 원위치로 되돌아갈때, 정지체(7)는 접촉부의 표면상에서 자유로운 미끄러짐만의 이용으로 밀려날때보다 이 구면의 효과적 이용에 의하여 보다 신속하게 밀려나게 된다. 한편, 구면 자체가 하우징의 내부벽과 점접촉을 형성하게 되므로 구면하에서 가동접촉 동작에 의하여 유발되는 마찰저항은 최소가 된다. 이 사실이 또한 가동접촉 동작 속도를 증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면이 열감응 펠릿(5)이나 탄성판(6)과 점접촉으로 들어게 되므로, 이 점접촉이 오랜 시간을 지속하게 되면 펠릿이나 판의 구면과의 접촉을 유지하는 부분이 변형할 가능성이 있게되며, 구면이 가동접촉부(3)를 제자리에 확실하게 유지하는 힘이 결과적으로 감소된다.
본 고안의 온도 휴즈에 대한 제3실시예는 제6도와 제7도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불편점을 제거한 것이다.
제3실시예는 제2코일스프링(15)을 가졌으며, 이 스프링이 열감응 펠릿(5)(또는 만일 펠릿 표면에 판이 사용되면 탄성판(6))과 구면정지체(7)사이에 접촉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제2코일스프링에 의하여 구면 정지체(7)는 제위치에 안전하게 지지되며 구면 정지체(7)에 의하여 탄성판(6)이나 펠릿표면(5)상에 유발되는 접촉력은 코일 한 바퀴의 전 길이에 걸쳐 분산되어, 표면과 접촉을 유지하게 되고 한편 표면의 가소성 변형의 가능성을 충분히 방지하게 된다. 또한 코일스프링(15)이 구면 정지구상에 유발하는 힘 "C"는 분력 "C"를 일어나게 하여 가동접촉부(3)을 보다 강력하게 억압 지지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제2스프링은 휴즈의 정상상태에서의 전기적 연속성을 보다 확실하게 보증하게 된다.
더우기 코일스프링(15)의 힘은 또한 펠릿축에 분력 "D"을 유발하게 된다. 열감응 펠릿(5)이 지시된 위험온도에서 용해되었을때 이 분력은 구면 정지체(7)뒤쪽으로 부터 용해된 펠릿이 제거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회전절단 속도를 높이도록 유도한다.
이 제2코일 스프링(15)의 강도는 주코일 스프링(4)의 강도에 관계없이 자유로히 선택된다. 물론 코일스프링(4)의 접촉상태로부터 자유상태까지의 스트로크가 너무 길때는 펠릿이 용해된 후에는 구면이 공간내로 밀고 들어가 가동 접촉부(3)가 그의 수평위치로 튀어오르는 불편을 경험하게 된다.
탄성벽(6)이 어떠한 플라스틱 변형의 가능성을 갖지 않는 곳에서, 두번째 실시예에서처럼 충분하게 큰 탄성력을 나타내기에 충분히 증가된 두께를 주는 탄성판(6)은 두번째 코일스프링(15)이 전기적인 연속성을 보증하며 또 회로 차단의 속도가 가속되어 나타나는 작용을 어느 정도까지 만족할 수 있다. 정지체(7)가 탄성체(7)가 탄성력이 많고 높은 절연특성을 함유하는 실리콘 고무같은 기질로 될때, 탄성판(6)이나 스프링(15)의 사용이 발견될 수 없다. 물론 원추정지체를 사용하는 첫번째 실시예에 있어서, 두번째 코일스프링(15)은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동접촉부(3)의 형태는 버섯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것이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구형을 가질때, 적당한 직경을 갖는 기계적인 구멍들이 구형의 가동접촉부(3)의 리드단 및 리드선(2)의 리드단(2a)에 각각 뚫려지며 구멍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갖는 코일스프링(4')의 한쪽단은 구형의 가동접촉부(3)의 구멍내로 삽입되며 다른쪽단은 리드선의 구멍내로 삽입된다. 정상상태에서, 구형가동 접촉부(3)는 정지체(7)에 의해 고정접촉부(8)과 접촉을 유지한다. 열동개폐 휴즈의 주위온도가 언급된 불안정 레벨에 이르면, 열감응 펠릿(5)은 즉시 녹기 시작하여 구형 가동접촉부(3)는 코일스프링(4')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밀려져, 두 리드선(2,9)사이의 전기접촉을 끊어진다.
제9도는 굽혀진 리드단(2a)을 갖는 봉형접촉부(3)를 가동접촉부로서 사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봉형접촉부(3)는 언급된 봉형접촉부(3)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굽혀진 스프링(4")에 의해 리드선(2)의 리드단(2a)에 단단히 결속된다. 정상상태에서, 봉형접촉부(3)의 리드단(2a)표면은 두 리드선들 사이에 전기 연결을 유지시키도록 정지체(7)에 의해 고정 접촉부(8)과 접촉 유지된다.
열감응 펠릿(5)이 언급된 불안정 레벨에서 용융되면, 정지체(7)은 가동접촉부를 굽혀진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힘을 상실한다. 결과적으로, 봉형접촉부(3)는 고정접촉부(8)와 분리되게 되어 전기연결은 끊어진다.
언급된 각각의 실시예들에서, 하우징의 내부벽(1b)은 가동접촉부(3)주위에 위치된 고정접촉부면(8)을 구성한다. 또, 하우징(1)은 절연물질로 제조될수도 있으며, 전기전도 물질로 제조된 고정접촉면은 가동접촉부(3)를 에워싸도록 하우징 내측에 분리적으로 위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우징(1)으로부터 안출되는 한쌍의 리드선들은 모든 실시예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안출되어 있으나, 리드선(9)은 리드선(2)과 동일한 방향으로 하우징(1)으로부터 인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로, 하우징(1)의 개구단(1a)에 부착된 한 리드선(9)를 갖는다는 착상이 누구에게나 쉽게 떠오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착상으로부터, 작업자는 분리적으로, 고정접촉부(8)를 준비하고, 고정접촉부(8)에 제2리드선(9)를 부착시키며, 제1리드선(2)와 동일한 방향으로 리드선(8)을 인출시키며, 이러한 배치를 하우징(1)내부에 합체시킨다는 구상이 떠오를 것이다. 결국, 본 고안은 가동접촉부의 회로차단 운동이 마찰에 의해 방해됨이 없이 전기회로의 빠르고 용이한 차단을 보장하는 온도 휴즈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하우징내에 있어서의 두개의 접촉부가 스프링 작용과 소정온도에서 용융하는 열감응 펠릿의 용융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어 전기 사용이 차단상태가 되는 열동개폐 휴즈에 있어서, 하우징(1)내에 관입(貫入)하고 있는 제1리드선의 리드단(2a)에 후단으로 연접하고 머리부분(3a)은 열감응 펠릿(5)과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코일스프링(4)에 의하여 제2리드선(9)에 접속하여 고정 접촉부(8)를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 내부벽(1b)과 떨어진 위치로 부세되어 있는 가동접촉부(3)가 상기 열감응 펠릿(5)과 상기 가동접촉부(3)와의 사이에 있는 절연성 정지체(7)에 의하여 상기 고정접촉부(8)에 강제적으로 당접하는 위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개폐. 즈휴.
KR2019830006612U 1980-09-26 1983-07-27 열동 개폐(熱動開閉)휴즈 KR8300017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6612U KR830001773Y1 (ko) 1980-09-26 1983-07-27 열동 개폐(熱動開閉)휴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3746A KR830003798A (ko) 1980-09-26 1980-09-26 온도 휴즈
KR2019830006612U KR830001773Y1 (ko) 1980-09-26 1983-07-27 열동 개폐(熱動開閉)휴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3746A Division KR830003798A (ko) 1980-09-26 1980-09-26 온도 휴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773Y1 true KR830001773Y1 (ko) 1983-09-16

Family

ID=2662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6612U KR830001773Y1 (ko) 1980-09-26 1983-07-27 열동 개폐(熱動開閉)휴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7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9697A (en) Thermal cut-off fuse
US5831507A (en) Dual-functional fuse unit that is responsive to electric current and ambient temperature
US3944960A (en) Nonresettable thermally actuated switch
KR101753635B1 (ko)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
US4276532A (en) Thermal fuse
US3781737A (en) Thermal circuit protector
US4384267A (en) Thermosensitive fuse
US4401965A (en) Thermal switch
US4480247A (en) Thermal cutout fuse
US7071809B2 (en) Thermal fuse containing bimetallic sensing element
US4322705A (en) Thermal cutout fuse
US4126845A (en) Temperature responsive current interrupter
US4286248A (en) Thermal cut-off fuse
KR830001773Y1 (ko) 열동 개폐(熱動開閉)휴즈
US3821685A (en) Thermally responsive non resettable electric switch
US11024478B2 (en) Overheating destructive disconnecting method for switch
US4255736A (en) Thermal protective switch
US3796981A (en) Fail safe thermostatic switch
US4135177A (en) Thermal protective switch
US4386335A (en) Electric plug type fuse
US4281307A (en) Thermal cut-off fuse
US3924218A (en) Thermal limiter construction
US11070010B2 (en) Overheating destructive disconnecting method for switch
GB2373926A (en) Thermal sensor
US4203086A (en) Temperature-sensitive spiral spring sliding contact device